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란 관측기를 이용한 견실한 차량 안정성 제어

        한진오,이경수,강수준,이교일 대한기계학회 2002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6 No.12

        A disturbance observer-based vehicle stability controller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lumped disturbance to the vehicle yaw rate dynamics caused by the uncertain factors such as uncertain tire forces and parameters is estimated by the disturbance observer, which is utilized by the robust controller to stabilize the lateral dyof the vehicle. The dynamics of the hydraulic actuator is incorporated in the vehicle stability controller design using the model reduction technique. Modular control design methodology is adopted to ettectively deal with the mismatched uncertainty.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disturbance observervehicle stability controller can achieve the desired reference tracking performance as well as sut1icient level of robustnes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노면 경사부하를 고려한 승용차용 토크컨버터 클러치 시스템의 퍼지 슬립 제어

        한진오,신병관,조한상,이교일,Han, Jin-O,Sin, Byeong-Gwan,Jo, Han-Sang,Lee, Gyo-Il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4 No.3

        Nowadays, most passenger cars equipped with automatic transmissions use torque converter clutches to reduce fuel consumption, and recently the slip control scheme of torque converter clutches is widely studied for the expansion of the operating region of torque converter clutches and thus for the further improvement of the fuel economy of vehicles.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torque converter clutch system including the line pressure control unit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and the actuating hydraulic control unit of the torque converter clutch is performed, and a feedforward controller and a fuzzy logic controller for its slip control are proposed. Also, for the slip controller to use the grade resistance information during control, an observer-based grade resistance estimator is designed.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grade resistance estimator and the slip controller is verified by dynamic simulations, and the effect of the torque converter clutch slip control on the fuel economy is examined using a driving cycle simulation.

      • 차량 제어시스템 유압 엑츄에이터의 경험적 모델링

        한진오,강수준 空軍士官學校 2002 論文集 Vol.49 No.-

        동력전달계 및 브레이크 등이 차량 제어 및 이상진단 분야에서 압력 정보를 이용하려는 최근의 시도들에 따라 유압 액츄에이터의 정밀한 제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는 또한 제어기 설계에 이용하기 위한 높은 신뢰성을 갖는 유압 액츄에이터의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를 촉진시켰다. 이러한 관점에서 물리적으로 유도된 유입 액츄에이터 모델의 가장 큰 단점은 유도된 모델이 제어기 및 관측기의 설계에 적용하기에는 너무 복잡하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 모델의 대안으로서 유압 액츄에이터의 경험적 모델을 제시한다. 선형 및 비선형 시스템 식별 기법들이 저차의 유압 액츄에이터 모델을 도출하는데 사용되었으며, 실험적 검증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수립된 모델들이 유압 액츄에이터의 주요한 특성들을 충분히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여가정책만족의 매개효과

        한진오,정득,이종석 여가문화학회 2019 여가학연구 Vol.17 No.2

        This study aims at empirically analyzing the impact of th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of Korea people’s leisure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is is an effort to examine whether there exists any mediating effect of leisure policy satisfaction in that th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influences people’s leisure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raw data entitled 「The 2018 Survey on Public Leisure Life of Korea」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re used. The target subjects chosen were 2,973 persons (1,705 males, 1,268 females) who were aged over 19 and had experienced using public leisure facilities. Along with socio-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ge, schooling level, income level, and region),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weekly 5-day work system, weekly working hours, and happiness level) were controlled for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and on leisure policy gave positive(+) influences. In addition, Path Analysis proved that leisure policy satisfac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course of examining the impact of satisfaction of public leisure facilities over leisure life satisfaction. Such results imply that practical public leisure facilities and related leisure policy, both of which can increase the quality of Korean people’s life, must go hand in hand to enhance their leisure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the public domain, policies and PR measures should be arranged for the minorities and isolated groups to enhance their accessability to public leisure facilities or leisure programs within their life zone. Furthermore, this study implies that, in order to overcome the regional differences in leisure life satisfaction, we should seek ways to increas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by establishing leisure policy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in a given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특히 공공여가시설만족도가 여가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여가정책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2018 국민여가활동조사」의 원시 자료를 활용하였고, 공공여가시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19세 이상의 2,973명(남자 1,705명, 여자 1,26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성별, 연령, 학력수준, 소득수준, 지역)와 함께 근무환경변수(주5일제, 근무시간, 행복수준)를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으로 연구한 결과, 공공여가시설만족도와 여가정책만족도는 여가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양(+)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로분석을 통해 공공여가시설만족도가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여가정책만족도가 부분매개하는 효과가 존재함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가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공공여가시설과 관련 여가정책이 병행되어야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여가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법과 제도의 개선과 함께, 다양한 여가시설, 질 좋은 여가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 전문인력 양성 및 배치와 같은 인프라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공공영역에서는 취약계층이나 소외계층의 생활권 내 공공여가시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과 홍보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여가생활만족도의 지역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민들의 특성을 고려한 여가정책 수립으로 공공여가시설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지장본풀이>에 담긴 수수께끼와 연행방식 고찰 -지장과 새의 의미, 연행방식의 특징을 중심으로

        한진오 ( Jin Oh Ha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9 탐라문화 Vol.0 No.35

        지장본풀이는 신의 내력담을 노래하는 제주도의 무가 중 하나로 지장아기씨라는 여인의 비극적 삶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본풀이는 주로 죽은 조상의 영혼을 천도하는 시왕맞이에서 불려진다. 제주도굿에서 불리는 여느 본풀이들이 심방 한 사람에 의해 리듬과 멜로디를 자유롭게 운용하며 말과 노래를 병행하는 독창으로 진행하는 것과 달리 규칙적인 틀을 가진 노래로 불리며 심방의 노래를 악사들이 그대로 반복하는 가창방식을 보여준다. 이같은 점에서 지장본풀이는 다른 지방의 만세받이, 바라지창과 비슷한 면모를 보이고 있어 상호 간에 적잖은 영향을 주고받았으리라 여겨진다. 지장본풀이에서 가장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는 것은 지장이 죽은 뒤 새로 환생했다는 부분이다. 이 새는 제주도굿에서 부정한 것으로 간주되어 시왕맞이에서 내쫓김을 당하는데, 이글에서는 과연 이 부정한 새가 지장의 화신인가 하는 점과, 부정한 것이라고 해 무조건 내쫓김을 당하는가 하는 두 가지 의문이다. 최근까지 전개된 선행연구들은 대체로 새는 지장의 화신이며 부정한 것으로 여겨 내쫓는 대상으로 성격을 파악해왔다. 그러나 이글에서는 2008년에 채록된 두 편의 새로운 자료에 근거해 지장과 새의 관계를 새로운 시각에서 해석하고 있다. 새로운 자료에 의하면 지장은 사후(死後)에 새로 환생한 것이 아니라 돌부처로 환생해 서천꽃밭에 좌정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 돌부처에게 날아들어 해코지를 하는 새를 내쫓아내자는 것이 지장본풀이가 의례의 전후맥락에서 지니는 의미인 셈이다. 이글에서는 최근의 채록자료에 근거해 지장과 새의 관계를 새롭게 해석하는 작업과 더불어 지장본풀이가 지닌 연행방식의 특징을 비교적 후대의 산물로 바라본다 그를 위해 다른 지방의 유사한 사례와 비교해 내용과 형식이 어떤 경로를 거쳐 오늘날의 모습을 지니게 되었는지 살펴보고 있다. <Jijangbonpuri> which has a tragic living story of a woman, Jijang, is one of Shaman Songs singing an account of one`s lfe. <Jijangbonpuri> is frequency sung in Siwangmaji leading death ancestor to the Heavenly way. JejudoGut is different to any Bonpuri, which a shaman originally performs in singing and a talk applicating freely rhythm and melody, and shows a singing pattern in which bandsmen play regularly and repeatedly a Shaman`s song to itself. In view of this pattern, <Jijangbonpuri> is so similar to the other local Mansebaji, Barajichang that they seem to be effected in each other. The most importantly interested part of <Jijangbonpuri> is that Jijang has given another birth as a bird after she is dead. The bird is regarded as a uncleanly thing in JejudoGut so that it was expelled in Siwangmaji. In this article, there are two questions, "whether the uncleanly bird is truly Jijang" and "whether the uncleanly ting is absolutedly expelled". The resent pre-studies explain that the bird is Jijang`s avatar and understand it`s expelled as a uncleanly thing. However, this article based on two new extracted materials in 2008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Jijang and the bird in a new way. The new materials explain that Jijang, after death, isn`t an incarnation of a bird but a stone of (image of) Buddha sitting in Seo-chon flawer garden. The original meaning of <Jijangbonpuri>, looking at it before and behind, is to expel the bird doing harm toward the Buddha, Jijang`s avatar. This article based on the recent extracted materials doesn`t only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Jijang and the bird in a new way but also researches in regarding the character of <Jijangbonpuri>`s Performing form as a relatively product of the future generation how to turn into the present <Jijangbonpuri> to itself through what channel, comparing the other local similar instances in letter and in spirit.

      • KCI등재

        제주도 입춘굿에 나타난 전통축제의 원리

        한진오(Han, Jin-Oh)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 No.26

        이 글은 20세기 초까지 전승되었던 전통사회의 제주도 입춘굿의 연행에 나타나는 원리를 주술적 원리, 구성과 진행의 원리, 정서적 원리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본 것이다. 이 세 가지 원리는 미리 연역적인 틀을 세우고 진행한 것이 아니라 문헌을 비롯한 각종 자료의 기록에 근거해 연행의 각 부분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것이다. 이같은 원리를 1965년부터 시도되기 시작한 제주도 입춘굿의 복원사례와 대입했을 때, 먼저 전통사회의 입춘굿에는 유사의 법칙에 근거한 모방과 접촉의 법칙에 근거한 변환을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주술적 원리가 작동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이에 비해 오늘날의 입춘굿은 주술적 제의에서 예술이 분화해간 것처럼 미리 만들어진 공연텍스트, 즉 대본을 토대로 있는 그대로 재현하며 공연양식의 완성도에 집중하는 예술적 연행에 치우쳐 있음이 확인됐다. 둘째, 전통사회의 입춘굿은 맞이에 해당되는 거리굿이 제주읍성 일대를 장시간에 걸쳐 순례하는 것으로 시작해서 ‘跳躍亂舞’의 과정으로 마무리되는 연속적인 연행이었다. 이러한 양식의 진행은 ‘내고 달고 맺고 푸는’ 원리에 입각한 것이다. 한편 복원시기 입춘굿놀이 중 탐라국 입춘굿놀이를 제외한 세 가지 사례들은 민속예술경연대회 출품용으로 복원된 연행인 관계로 제한된 시공간 속에서 압축적으로 연행됨으로써 이러한 원리가 적용되지 않았다. 셋째, 전통사회의 입춘굿에는 흥을 매개로 한에서 신명으로 이어지는 신명풀이의 정서적 원리가 나타난다. 특히 기간의 학문적 연구와 현장의 복원과정에서 축제의 뒤풀이 정도로 여겨졌던 ‘跳躍亂舞’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임이 확인됐다. 복원사례의 경우에 이같은 원리가 적용되는 경우는 탐라국 입춘굿놀이라고 할 수 있는데, 맞이에서 놀이에 이르는 연행의 흐름은 제대로 구현하고 있으나, 축제의 절정부라고 할 수 있는 ‘跳躍亂舞’가 마련되지 않고 있음이 확인됐다. 위와 같이 이 글에서는 전승시기 입춘굿을 중심으로 제주도 입춘굿의 연행양상과 연행원리를 분석했다. 본 연구가 지니는 한계는 학문적인 입장에서는 학제적 연구를 통해 한계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장으로의 환원과 관련해 제주도 무속이 살아있는 전승현장을 비롯해 탐라국 입춘굿놀이에 깊이 관여하는 예술인과 협력하며 현장의 연행텍스트로 바꿔 거듭되는 복원행위를 통해 한계와 가능성을 검증 받아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