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HP를 활용한 공사 홍보전략 수립 방향에 대한 연구

        이재홍 ( Lee Jaehong ),이주한 ( Lee Juhan ) 공군사관학교 2022 군사과학논집 Vol.73 No.0

        현재 공군사관학교에서 시행하는 홍보방안은 공군사관생도 및 공군 장교들이 고등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홍보하는 방안과 기념품이나 홍보물을 전송하거나 인터넷/온라인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여 선택적으로 수용하게 하는 간접 홍보방안이 존재한다. 하지만 코로나-19 시대의 도래로 홍보방안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던 직접 홍보가 어렵게 되면서, 사관학교는 홍보에 있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지속적인 학령인구의 감소와 입시 정책의 일부 변화로 공군 사관학교에 지원하는 인원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로 인해 공사 입시경쟁률은 과거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타 대학들에서 실시하는 홍보방안과 비교했을 때 공군사관학교의 홍보방안은 정보의 양과 전달력이 부족하고, 홍보의 정체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공군사관학교는 2020년 생활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를 재정립하였으므로, 기존의 장교 양성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홍보방안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계층분석과정(AHP)을 사용하여 공군사관학교 홍보전략 활성화를 위한 주요 지표 선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학교 홍보전략 수립을 위한 측정영역과 그에 따른 측정지표를 설정하였고, 입시 관련 전문가에게 검토받았다. 특히 AHP 설문 대상을 입시 및 학교 홍보와 관련한 담당자들로 설정하여 측정지표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형성 단계별로 적용하여 향후 방향을 검토하였다. Currently, there are promotional measures implemented by the Air Force Academy(AFA), including direct visits to promotional targets and indirect promotional measures that transmit promotional materials or provide materials online to selectively accept them.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COVID-19 era, direct promotional measures, which accounted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romotional measures, were not available, and a new phase of promotional measures was taken. In addition, the number of applicants to AFA is decreasing due to the continuous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changes in entrance examination policies, which soon led to the lowest competition rate ever. In this situation, the AFA is in urgent need of finding ways to promote through a new method. Compared to the recent promotional plans implemented by other universities, the AFA's plan lacks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delivery power compared to those of other universities, and lacks the identity of publicity. Accordingly, the AFA should also present an effective and new way of promoting its PR compared to other universities. In addition, by redefining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2020 life curriculum, the AFA should redefine it with a new identity, not an AFA aimed only at training existing officers, and apply it to public relations measure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n the selection of major values to establish a strategy on the promotion of the AFA’s PR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o this end, the measurement area and corresponding measurement indicators were set through references, and were reviewed by related experts. In particular, the target of the survey was set as experts related to recruitment and promotion of military schools, setting priorities for values, and applying them by policy formation stage to review future direct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using only literature research methods in setting measurement areas and corresponding measurement indicators, but priorities were selected through opinions from experts related to publicity and suggested new measures while enhancing future directions.

      • AHP를 활용한 공사 홍보전략 수립 방향에 대한 연구

        이재홍 ( Lee Jaehong ),이주한 ( Lee Juhan ) 空軍士官學校 2022 空士論文集 Vol.73 No.1

        현재 공군사관학교에서 시행하는 홍보방안은 공군사관생도 및 공군 장교들이 고등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홍보하는 방안과 기념품이나 홍보물을 전송하거나 인터넷/온라인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여 선택적으로 수용하게 하는 간접 홍보방안이 존재한다. 하지만 코로나-19 시대의 도래로 홍보방안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던 직접 홍보가 어렵게 되면서, 사관학교는 홍보에 있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지속적인 학령인구의 감소와 입시 정책의 일부 변화로 공군 사관학교에 지원하는 인원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로 인해 공사 입시경쟁률은 과거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타 대학들에서 실시하는 홍보방안과 비교했을 때 공군사관학교의 홍보방안은 정보의 양과 전달력이 부족하고, 홍보의 정체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공군사관학교는 2020년 생활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를 재정립하였으므로, 기존의 장교 양성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홍보방안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계층분석과정(AHP)을 사용하여 공군사관학교 홍보전략 활성화를 위한 주요 지표 선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학교 홍보전략 수립을 위한 측정영역과 그에 따른 측정지표를 설정하였고, 입시 관련 전문가에게 검토받았다. 특히 AHP 설문 대상을 입시 및 학교 홍보와 관련한 담당자들로 설정하여 측정지표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형성 단계별로 적용하여 향후 방향을 검토하였다. Currently, there are promotional measures implemented by the Air Force Academy(AFA), including direct visits to promotional targets and indirect promotional measures that transmit promotional materials or provide materials online to selectively accept them.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COVID-19 era, direct promotional measures, which accounted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romotional measures, were not available, and a new phase of promotional measures was taken. In addition, the number of applicants to AFA is decreasing due to the continuous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changes in entrance examination policies, which soon led to the lowest competition rate ever. In this situation, the AFA is in urgent need of finding ways to promote through a new method. Compared to the recent promotional plans implemented by other universities, the AFA's plan lacks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delivery power compared to those of other universities, and lacks the identity of publicity. Accordingly, the AFA should also present an effective and new way of promoting its PR compared to other universities. In addition, by redefining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2020 life curriculum, the AFA should redefine it with a new identity, not an AFA aimed only at training existing officers, and apply it to public relations measure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n the selection of major values to establish a strategy on the promotion of the AFA’s PR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o this end, the measurement area and corresponding measurement indicators were set through references, and were reviewed by related experts. In particular, the target of the survey was set as experts related to recruitment and promotion of military schools, setting priorities for values, and applying them by policy formation stage to review future direct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using only literature research methods in setting measurement areas and corresponding measurement indicators, but priorities were selected through opinions from experts related to publicity and suggested new measures while enhancing future directions.

      • 체육학편 : 공군사관학교 생도의 4년간 체력 변화 연구

        전상윤 ( Sang Yoon Jeon ),최진 ( Jean Choi ),김정운 ( Jung Woon Kim ),박정섭 ( Jung Sub Park ),김병주 ( Byoung Joo Kim ) 공군사관학교 2014 군사과학논집 Vol.65 No.0

        본 연구의 목적은 공군사관학교 제58~61기 생도들을 대상으로 4년간의 체력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생도 체력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체육교육에 환류하여 생도 체력 향상의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58~61기 사관생도들의 기초체력평가(3,000m 달리기/VO2max, 윗몸일으키기, 팔굽혀펴기) 자료를 SPSS 17.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군사관학교 남·여생도의 심폐지구력(VO2max)은 고학년일수록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고, 58기 여생도는 .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공군사관학교 남·여생도의 복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는 고학년일수록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고, 58기 여생도를 제외한 전 학년은 .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공군사관학교 남·여생도의 상체근지구력(팔굽혀펴기)는 고학년일수록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고, 전 학년은 .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eek health management and generate new data for the effective health improvement programs by analyzing changes in physical fitness of period of 58-61 cadets. For these purpose, push-up, sit-up and VO2max of period of 58-61 K.A.F.A cadets. All test results including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were generated by SPSS 17.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ardiorespiratory endurance(VO2max) of the Air Force Academy cadet showed a tendency to improve the more higher grades. And 58th women cadets also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ce at the .05 level. Second, Abdominal endurance(sit-up) of the Air Force Academy cadet showed a tendency to improve the more higher grades. And all grades except 58th women cadets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ce at the .01 level. Third, Upper body muscular endurance(push-up) of the Air Force Academy cadet showed a tendency to improve the more higher grades. And all grades cadets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ce at the .01 level.

      • 개정 교과과정과 고교교육 혁신에 따른 공군사관학교 수학 교과과정 개선 연구

        이용균 ( Lee Yongkyun ),김홍태 ( Kim Hongtae ) 空軍士官學校 2022 空士論文集 Vol.73 No.1

        본 연구는 최근 개정된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첨단기술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공군사관학교의 수학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첫째, 최근 개정된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을 요약하고 이번 개정을 2009년 개정된 이전 교육과정과 비교한다. 둘째, 현재 고등학교 수학 교육 환경을 요약한다. 셋째, 현재의 교육과정과 타 기관의 교육과정을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공군사관학교의 요구와 공군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수학 교과과정을 개정하는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This study proposes an improved curriculum on mathematics at ROKAFA to reflect the recent revision of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social demands for advanced technologies. First, we demonstrate the recent revision of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compare this revision to the previous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09. Second, we summarize current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environments. Third, we compare our current curriculum and that of other institute. Finally, we propose two ways to revise our mathematics curriculum to fulfill the demand of majors in ROKAFA and the needs of the Air Force.

      • 개정 교과과정과 고교교육 혁신에 따른 공군사관학교 수학 교과과정 개선 연구

        이용균 ( Lee Yongkyun ),김홍태 ( Kim Hongtae ) 공군사관학교 2022 군사과학논집 Vol.73 No.0

        본 연구는 최근 개정된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첨단기술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공군사관학교의 수학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첫째, 최근 개정된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을 요약하고 이번 개정을 2009년 개정된 이전 교육과정과 비교한다. 둘째, 현재 고등학교 수학 교육 환경을 요약한다. 셋째, 현재의 교육과정과 타 기관의 교육과정을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공군사관학교의 요구와 공군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수학 교과과정을 개정하는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This study proposes an improved curriculum on mathematics at ROKAFA to reflect the recent revision of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social demands for advanced technologies. First, we demonstrate the recent revision of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compare this revision to the previous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09. Second, we summarize current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environments. Third, we compare our current curriculum and that of other institute. Finally, we propose two ways to revise our mathematics curriculum to fulfill the demand of majors in ROKAFA and the needs of the Air Force.

      • 주요 국방 강국의 사이버전 교육 시스템 비교분석 및 공군사관학교에 대한 시사점

        김재철 ( Kim Jae Cheol ) 공군사관학교 2017 군사과학논집 Vol.68 No.1

        본 논문은 주요 참고 국가들의 사관학교 혹은 군사교육기관에서 사이버전 인력 양성을 위해 시행중인 사이버전 교육체계와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공군사관학교의 사이버전 교육발전 방향을 제안한 것이다. 사이버전 능력이 전평시를 막론하고 국가안보의 중요 요소가 되면서 각 나라는 민간에서 양성하는 인력과는 별도로 군에서 활용가능한 사이버전 전문가 양성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중국, 일본, 영국, 프랑스, 캐나다, 호주, 이스라엘의 예와 우리나라 공군사관학교에서의 사이버전 교육체계 및 교육내용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공군사관학교에서의 사이버전 교육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This study reviews and analyses the cyberwarfare education systems of military academies or institutes of selected countries and proposes a direction of the cyberwarfare education in Republic of Korea Air Force Academy. Cyber capabilities are becoming so vital in terms of national security that each nation is endeavoring to educate the cyber security expert in military area as well as civilian realm. In this research, we compare and analyse the cyberwarfare education systems of military academies or institutes of US, China, Japan, UK, France, Canada, Australia, Israel, and Korea. Through this analysis, we propose a future direction of cyer education for our Air Force Academy.

      • 2021년도 공군사관학교 생도의 토론교육 인식과 교육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이병주 ( Lee Byeongjoo ),이태원 ( Lee Taewon ) 공군사관학교 2022 군사과학논집 Vol.73 No.2

        이 연구는 2021년도에 공군사관학교에서 매주 2시간씩 진행한 성무인토론프로그램의 교육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공군사관생도 총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2021년 1학기 710명, 2021년 2학기 685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조사 도구는 설문지이며, 결과분석을 위해 SPSS 29.0을 이용하였다.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사관생도의 토론교육 인식의 중요도는 향상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관생도의 토론교육 만족도는 향상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관생도의 토론교육 참여도는 향상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관생도의 토론교육 준비시간은 향상도와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관생도의 토론교육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교육성과에 긍정적인 요소로 판별됐다. 그 결과 사관생도에게 토론교육의 중요도를 인식시키는 것이 주요 과제임이 식별되었다. 이러한 영향요인 외에도, 1학년의 모든 토론교육평가지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3학년의 모든 토론교육평가 지표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공군사관학교의 교육상황을 고려하여 해석한다면, 토론교육의 강제와 반복시행이 토론교육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을 주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이는 시계열적 통계 결과를 반영할 후속연구를 통해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the Sung-Mu-Students Debate Program held for 2 hours per week at the Air Force Academy in 2021. To measur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for all Air Force cadets, and finally, responses from 710 people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nd 685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1 were collected. The survey tool is a questionnaire, and SPSS 29.0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the cadets' perception of debate educ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improvement. Second, cadets' satisfaction with debate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improv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ion of cadets in debate educa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preparation time for debate education of cadets had no effect on the level of improvement. Therefore, cadet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debate education was found to be a positive factor in educational performance.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main task was to make the cadets aware of the importance of debate education. In addition to these influencing factors, all debate education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first grade were the highest, and all debate education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third grade were the lowest. If this is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the Air Force Academy, it can be assumed that the compulsory and repeated implementation of debate education may have negatively affected debate education. This can be identified through time series follow-up studies.

      • MMPI-2 RF에 의한 사관학교 지원자의 성격 변화 분석 : 2015년과 2020년 비교

        윤유경 ( Yoon Youkyung ) 공군사관학교 2021 군사과학논집 Vol.72 No.0

        본 연구는 2015년과 2020년에 실시한 A사관학교 2차 입학시험 지원자를 대상으로 MMPI-2 RF 검사를 사용하여 지원 시기별 심리적 차이를 분석하고 어떠한 요인이 합격을 예측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015년 지원자 445명과 2020년 지원자 649명이었다. 분석결과, 지원 시기와 무관하게 사관학교 합격자는 불합격자보다 MMPI-2 RF 재구성 임상척도에서 RCd(의기소침), RC2(낮은 긍정정서), RC3(냉소적 태도), RC4(반사회적 행동), RC7(역기능적 부정정서)이 낮았다. 사관학교 합격을 예측하는 요인은 RCd(의기소침)와 RC2(낮은 긍정정서)로 나타나 우울과 관련된 지표들이 사관학교 합격의 기저 특성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사관학교 지원자들은 5년 전보다 정서상태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대에 따른 사관학교 지원자들의 특성 변화를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d 1094 cadet applicants by MMPI2-RF in 2015 and 2020 according to the time and whether they passed the applic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successful candidates of the applicants showed lower RCd(demoralization), RC2(low positive emotions), RC3(cynicism), RC4(antisocial behavior) and RC7(dysfunctional negative emotions) in the MMPI-2 RF Scale than the failed ones. The scales for predicting the passing of the academy were RCd and RC2, and the indicators related to depression were analyzed as factors of passing the academy. In addition, recent applicants at the academy showed a positive emotional state compared to applicants five years ago. This makes us estimate the change of personality of cadet applicants.

      • SWLS(Satisfaction With Life Scale)를 활용한 공군사관생도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장완진 ( Wan Jin Jang ) 공군사관학교 2012 군사과학논집 Vol.63 No.2

        이 연구는 Diener 등(1985)에 의해 개발된 SWLS(Satisfaction With Life Scale)를 활용하여 공군사관학교 생도의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성, 분야(조종/정책), 계열(문과/이·공과) 등으로 분류한 집단 간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공군사관생도의 SWLS 평균은 26.66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만족 상태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 분야(조종/정책), 계열(이·공/인문)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를 t-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통해 검정한 결과,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measured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 Air Force Academy cadets utilizing SWLS(Satisfaction With Life Scale) developed by Diener et al.(1985), And analized the influence of variables such as gender, branch on life satisfaction. The average SWLS score of Korea Air Force Academy cadets was measured 26.66 that was included in the satisfied state. The results of the analyzing the intergroup(gender, department, branch) difference through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 훈육요원의 리더십 유형이 공군사관생도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현석 ( Hyun Suk Ko ),장완진 ( Wan Jin Jang ),서휘석 ( Hwui Suk Suh ) 공군사관학교 2012 군사과학논집 Vol.63 No.2

        본 연구에서는 훈육요원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공군사관생도의 조직성과를 알아보기 공군사관생도들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훈육요원의 리더십유형이 공군사관생도들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 가운데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유형은 변혁적 리더십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몰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과정에서도 기존의 연구결과와 같이 자기효능감의 매개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hows the result that the instructor`s leadership type can affect the performance of Air-Force Academy Cadet. We make a survey all the Air-Force Academy cadets and instructors who work with the cadet very closely. Instructor`s leadership type that i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Air-Force Academy cadet. But transactional leadership doesn`t affect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Air-Force Academy cade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fficacy also work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ransactional r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owever,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 means in the Academy, they have a very severe and strict regulation for cadet`s life, so they doesn`t have enough power or influence for cadet`s life. There is no transactional action for the cadet`s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