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중국에서 '‘鄕土’ 개념의 전개

        한지은(Ji-Eun Han) 韓國文化歷史地理學會 2010 문화 역사 지리 Vol.22 No.1

        The concept of ‘Native Place(XiangTu)’ has been used in various contexts and perspectives in East Asia. But modern concept of native place was introduced or discovered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ition of ‘ Native Place' concept in modern China in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semantic. The concept in the literature of the nat ive place reflected the changes of national-local relations over time, and this new concept constructed a new spatial metaphor. It is important that these changes have exercised a far-reaching influence on spatial recognition and practices in China 동아시아에서 '鄕土' 개념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채 다양한 관점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 향토 개념을 둘러싸고 벌어2진 여러 활동들은 이 시기 향토 개념이 당시의 세계사적 맥락과 국가-지방 관계 등의 변화와 관련하여 새롭게 등장하거나 혹은 발견된 근대적 산물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근대 초 중국의 근대국가 형성과정에서 발간된 향토관련 저작에서 드러나는 향토 개념의 의미 변화와 은유를 추적하여, 때로는 애국심 함양을 위한 도구로 때로는 계몽의 대상이나 회귀해야 할 심미적 대상으로 표상되어 온 향토를 고찰한다. 이를 통해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데올로기적 활동의 대상이 되어 온 동아시아의 향토에 대한 의식과 태도의 기원을 찾고자 한다.

      • KCI등재

        얼굴표정의 긍정적 정서에 의한 시각작업기억 향상 효과

        한지은 ( Ji Eun Han ),현주석 ( Joo Seok Hyun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4

        본 연구는 시각작업기억에 저장이 요구되는 얼굴 자극이 보유한 긍정적, 부정적 그리고 중립적 정서가 기억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가자들은 유쾌, 불쾌 및 무표정의 세 가지 표정 유형 중 하나가 무선적으로 부여된 얼굴들의 표정을 기억한 후 잠시 후 제시된 검사 얼굴들에 대한 대조를 통해 기억항목과 검사항목 간 얼굴 표정의 변화 유무를 보고하였다. 얼굴 표정의 변화에 대한 탐지정확도를 측정한 결과 기억항목의 노출시간이 500ms이었을 경우, 긍정적 표정을 보유한 기억항목에 대한 변화탐지는 부정 및 중립 표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했다. 반면에 노출시간이 1000ms로 연장되자 이러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 정서가 시각작업기억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며, 특히 긍정적 정서에 의한 기억촉진 효과는 기억 표상 형성에 있어서 요구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촉박한 경우에 나타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업기억과 정서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비교적 단순한 과제인 변화탐지과제를 사용하여 긍정적 정서가 시각작업기억 표상 형성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memory accuracy for faces with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emotional expressions to test whether their emotional content can affect visual working memory (VWM) performance. Participants remembered a set of face pictures in which facial expressions of the faces were randomly assigned from pleasant, unpleasant and neutral emotional categories. Participants` task was to report presence or absence of an emotion change in the faces by comparing the remembered set against another set of test faces displayed after a short delay. The change detection accuracies of the pleasant, unpleasant and neutral face conditions were compared under two memory exposure duration of 500ms vs. 1000ms. Under the duration of 500ms, the accuracy in the pleasant condition was higher than both unpleasant and neutral conditions. However the difference disappeared when the duration was extended to 1000ms. The results indicate that a positive facial expression can improve VWM accuracy relative to the negative or positive expressions especially when there is not enough time for forming durable VWM representations.

      • 다문화주의의 개념적 쟁점과 지리교육적 함의

        한지은 ( Ji Eun Ha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09 地理敎育論集 Vol.53 No.-

        이 논문은 지구화 과정에 따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교육의 주요 개념적 쟁점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지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다문화주의는 소수집단의 문화와 그들의 문화적 권리 및 정체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최근 한국에서 다문화교육은 그 대상과 방법에 있어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지만 오늘날 변화된 환경 속에서 다문화적 지리교육의 구성은 시급한 문제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적 지리교육은 다양한 문화적 차이들의 협상의 과정으로 구성되는 시민성과 정체성 변화된 개념을 고려하여 새롭게 구성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ual issues in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ropes for possibility of the multicultural geography education. Multiculturalism has been a controversial topic about culture of minority, group right of culture, and cultural identity.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has been criticized for subject and method of education. But multicultural geography education became an urgent request in the changes of global environment. Now,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multicultural geography education should be constructed by new concepts about contested citizenship and multiple identity by various cultural differences.

      • KCI등재

        식민지 향토 개념의 중층성

        한지은(Ji-Eun H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4 No.-

        이 논문은 식민지 시기 언론 매체에 나타나는 '향토' 개념과 그 표상들을 검토하였다. 20세기 초 향토를 둘러싼 시공간적 차원과 그에 대한 감각이 변화하면서 향토는 자본주의에 '위협받는 농촌', 낙후된 문명으로 인해 '개조되어야할 주변부', 긍정적 자기 인식 대상인 '조선의 자랑' 등으로 다양하게 표상되었다. 그러나 향토는 점차 민족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각종 문화운동으로 통합되었는데, 식민지적 상황 하에 이들 활동들은 저항적 요소를 지니기도 했지만 파시즘과의 밀접한 연관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결국 전통적 '향토'의 세계는 식민주의적 조건 하에서 새로운 시공간으로 재편되었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 향토의 개념과 표상은 끊임없이 (재) 구성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식민지 시기 향토개념의 특성과 그 기원을 포착하고, 이를 통해 보편적 세계에서 주변부로서의 조선이 스스로를 어떻게 정의하였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Hyangto(Native Place)' and its representations expressed on the mass media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the dimensions of time and space about 'Hyangto' and its sense changed in the early 20th century, 'Hyangto' was represented as 'the rural community under threat of capitalism', 'the marginal place required to reform', or 'pride of Joseon' in various contexts. But it was gradually combined into some cultural movements emphasizing ethnic identity, which is limited to find a close relation to the rhetoric of fascism though there were factors of resistance in these movements. In the end, the world of traditional Hyangto was reorganized under the condition of colonialization, this change led continuous (re)construction of concept and representations. Therefore, an examination of concept and representations of colonial Hyangto may shed some light on understanding awareness of those days regarding both the universal world and the marginal Joseon.

      • KCI등재

        제주지역 고령의 선주민이 정착이주민에 대해 가지는 태도 연구

        한지은 ( Ji-eun Han ),김석호 ( Seokho Kim ),공선희 ( Seon-hee Kong ),박효민 ( Hyomin Park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1 조사연구 Vol.22 No.4

        노동과 소비에 대한 가치관 변화는 이주의 유형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경제적 동기에 기반한 도시로의 이동보다 자연 속에서 시간적 여유를 누리고자 헤테로토피아를 찾는 이동이 늘고 있다. 특히 제주는 이러한 신유형의 이주민들에게 매력적인 공간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제주 정착이 주민의 적응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매해 적응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정착이주민이 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이 정착이주민의 관점에서 이주를 다뤘다면, 본 연구는 선주민의 입장에서 이주민에 대해 가지는 태도를 살펴보았다. 특히 도시에 국한하지 않고 읍·면부로 이주하는 양상을 염두에 두어 고령화된 지역사회에서 만나게 되는 고령의 선주민 태도를 확인하였다. 이들 고령의 선주민이 이주민에 대해 가지는 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크게 4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고령자 관련 특성, 제주 관련 특성, 코로나19(COVID-19) 영향, 접촉경험. 전반적인 인간관계와 독거여부, 영양 상태가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제주출생인 선주민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이주민의 유입에 부정적이었다. 코로나로 인해 부정적 영향을 받았을수록 이주민의 유입을 꺼렸다. 마지막으로 정착이주민과의 개인적 접촉을 통해 긍정적 인상을 가지고 있을수록 정착이 주민의 유입을 반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착이주민에 대한 선주민의 태도를 살펴보고, 고령의 선주민과 신유형의 정착이주민 간의 갈등을 줄이며 한 지역사회에서 함께 거주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Changes in values for labor and consumption have also changed the type of migration. Rather than moving to cities based on economic motivation, more and more people tend to seek heterotopia to enjoy time in nature. In particular, Jeju became an attractive place for these new types of immigrants; however, the issue of adaptation of Jeju settlers has been raised continuously and more and more settlers are expressing difficulties in adaptation each year. Prior research studies mostly dealt with mi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mmigrants; this study discussed the attitude toward newcomers from the perspective of indigenous people. Considering the tendency to settle in not only the city but rural areas too, the attitude of elderly people became an issue;therefore the elderly’attitude was measured in this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migrants were analyzed in four stages.: Elderly-related characteristics, Jeju-related characteristics, Covid-19 impact, experience of direct contact. Overall relationship satisfaction, living alone, and nutritional status have affected the attitude. The Jeju-born elderly expressed more negative feeling to the influx of migrants. The more negatively affected by Covid-19, the more reluctant the influx of migrants was. The more positive the impression they have through personal contact with new settlers, the more they welcome the influx of newcom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easured the attitude of indigenous people with quantitative data and sought ways to reduce conflicts between Jeju elderly people and new-type of immigrants to live together in a community.

      • KCI등재

        탈식민주의 도시 상하이에서 장소기억의 경합

        한지은(Ji-Eun Ha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8 문화 역사 지리 Vol.20 No.2

          과거에서 현재까지 근대 상하이는 식민주의와 근대성과 관련한 대립적 장소기억의 대상이었다. 근대 상하이의 상징적 경관들은 정치적 변화 속에서 끊임없이 제거되거나 이용되고 경합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으로 결정적인 순간들을 거치면서 근대 상하이에 관한 장소기억이 부끄러운 것에서 자랑스러운 것으로 변화하여 온 과정을 검토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개혁개방 이후 상하이에서 근대 시기에 대한 노스탤지어가 어떻게 구성되고 소비되는지를 밝힘으로서, 사회주의 체제 하 탈식민주의 도시에서 나타나는 장소기억의 복잡한 과정을 드러내고자 한다.   For the long time, modem Shanghai has been the contested object of two distinct interpretations about colonialism and modernity. Symbolic landscapes of modem Shanghai have been removed, utilized, and contested over the political changes of China. This paper examines how the memory of modem Shanghai has been changed from the shameful to the proud for the critical historic moments. Specially, this paper explores how modem Shanghai nostalgia is socially constructed and consumed in post-reform China. It shows the complexity of the place memory in the socialist postcolonial city.

      • KCI등재

        여름철 지하역사 실내환경 특성 및 쾌적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지은(Han, Ji-Eun),권순박(Kwon, Soon-Bark),전정윤(Chun, Chung-Yoon) 대한건축학회 201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assenger’s comfort in subway stations in the summer. Six subway stations in Seoul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subway passenger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12<SUP>th</SUP> to 28<SUP>th</SUP> in August, 2014. The questionnaire of comfort consisted of five environmental factors; thermal, air, light, acoustic and overall comfort and each items consisted of a five-point scale on each comfort. Tablet PCs were used to make passengers check the questionnaires quickly. At the same time, temperature, humidity, air velocity, carbon dioxide(CO₂), illumination, noise, and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r matter(PM) in subway stations were measured. The respondents were 1739 people of various ages.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evaluation of each comfort, most respondents answered they felt ‘neutral’ or ‘comfortable’ for thermal, air and light environment.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discomfortable’ were more than other responses relatively for acoustic environment. And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significantly for the evaluation of air and acoustic environment. The evaluation from male was better than on female. As a result of the relative weights of the four factors contributing to the overall comfort, all factors contributed significantly and air environment was the highest contribution to the overall comfort and there were also gender differences of relative weights of the factors.

      • 의료종사자의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지표에 관한 연구

        한지은(Han ji eun),권규현(Kwon gyu hyun)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의료업계는 정보통신기술과 융합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해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환경은 환자의 안전한 입원생활 뿐 아니라 의료종사자의 효율적인 업무수행에도 도움을 주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 종사자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환경을 구성하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지표를 구성한 후 일반병원과 스마트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지표의 중요도를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는 안전성, 공조환경, 기능성, 사회성, 기술성의 다섯 가지 지표로 정리되었다.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의 의료종사자는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환경지표는 안전성, 사회성, 기술성, 공조환경, 기능성순이라고 답한 반면, 일반병원 환경의 의료종사자는 기술성, 안전성, 기능성, 공조환경, 사회성 순이라고 답했다.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의 의료종사자는 서비스환경에 익숙하게 적응되어 있어 이에 대한 요구보다는 환자의 안전(안전성),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사회성)에 대한 중요도가 더 높게 측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응답자 모두 공통적으로 업무의 효율을 높이는데 있어서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이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고 대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의료종사자가 효율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스마트헬스케어 환경의 지표와 중요성을 환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문화지리학의 경관 연구와 경관의 텍스트성

        한지은 ( Ji Eun Han ) 영미문학연구회 2013 안과 밖 Vol.0 No.34

        Landscape is one of the “hottest” keywords in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It has long been studied in many fields such as visual art, landscape architecture, environmentology and earth sciences literature.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a focus of geography``s engagement with the humanities. The term “landscape” generally means everything you can see when you look across an area of land, including mountains, rivers, buildings, and trees, But in geography it has been defined as an appearance of an area made up of a distinact association of forms. The pioneer of American cultural geography Carl Sauer, who was influenced by German geographers such as the “Landshaft School,” introduced the concept of “cultural landscape” and regarded landscape as an area composed of distinct association of forms. In the late 1970s, the “New Cultural Geographers” challenged the traditional concept of landscape. Denis Cosgrove defined “a landscape as “a cultural image, a pictorial way of representing, structuring or symbolizing surroundings.” Under this view, many cultural geographers have studied landscape as “a way of seeing” and analysed visual descriptions of landscape in painting , photography and film. On the other hand, a number of geographers have also developed a text metaphor of landscape as shown in The City as Text by James Duncan. Duncan insisted that we have to read landscape represented in various texts. Although landscape is representation of texts as he said, it also represents reality at the same time. Since the 1990s, cultural geographers have paid attention to “politics of place,” and they have emphasized that landscapes are social products. So we have to examine how some (dominant) people create, (re)present, and interpret landscape based on their own power relationships. Gillian Rose thought that traditional landscape studies in geography were involved in a masculinist way of seeing. Don Mitchell was worried that recent landscape studies were only concerned with representations in images and texts. Landscape is not only a symbolic process but also a material and ideological process. This is the reason why we have to explore this interesting concept by employing both literature and geography,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