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택 가격 변화의 지역별 추세에 관한 연구

        한주연 한국 지리·환경 교육학회 199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7 No.2

        After continuous housing price increases during the 1980s, the need for a more permanent and radical solution for the expansion of housing stock was largely recognized. The Two Million Unit Housing Construction Plan of 1988-1992 was a construction plan of extensive scale that proposed to relieve housing shortages in the Korean cities. The plan was relatively successful for the expansion of housing stock. Accordingly, ever-rising housing prices started to be stabilized after the mid-1990s. At the end of 1997, the depression of housing markets took place due to the economic crisis in Korea. The price of housing abruptly dropped in 1998 and managed to bounce back after the mid-1999. During the period of hosing price rise in the early 1990s and its decrease after the Korean economic crisis, the degree of housing price change was not even across the country. The cities in Kyunggi province registered the highest degree of change both for the rise and the fall of housing price in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price was relatively stable, especially for the purchase price, in the cities in Kangwon or North Chonlla provinces, which did not get much share of the increasing urban population during the rapid urbanization period.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housing price change in Korea was that different types of housing had a different rate of change. The increase in apartment prices led the total housing price increase during the periods of housing price rise in the early 1990s and in the mid-1999. The degree of the decrease of apartment prices was also higher during the period of housing market depression. The housing price rise struck renters market more seriously. Overall, the apartment units in Kyunggi province in renters market stood in the forefront of the house price change. In the local cities in the provinces like Kangwon or North Chonlla where the housing price has been relatively stable, the difference of the rate of change between housing types was not noticeable.

      • KCI등재

        BIM 적용을 통한 노후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 표준화 방안

        한주연,차희성,이동건,Han, Ju-Yeoun,Cha, Hee-Sung,Lee, Dong-G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4 No.2

        1970년대 정부의 주택 보급률 증가 정책에 의해 공동주택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그로 인해 현재 노후화된 공동주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주거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재건축이나 리모델링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자원낭비와 부동산 문제등의 폐해 때문에 재건축보다는 리모델링 공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리모델링 공사는 참여자간의 의사소통 문제와 철거 보수 공사와 같이 불확실성이 많은 공정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들은 리모델링 공사의 표준화 미흡으로 인하여 더욱 큰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리모델링 공사의 표준화 문제의 해결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도구가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리모델링 공사에서 BIM을 통한 리모델링 표준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case study에 적용을 통하여 BIM의 향후 활용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리모델링 공사에 BIM의 활용을 통하여 공사 효율성이 증진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Government's policy of increasing the supply of residential houses in 1970s, the number of apartment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and as the result, the number of old aged apartment are increasing too. Therefore remodeling is being executed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rate of remodeling is increasing instead of rebuilding because rebuilding takes more resource and because of the realestate issue. There are many uncertainties in construction progress of remodeling such as communication between personnel, demolition and repair work. There are no standard for remodeling construction so such problems have been causing more problems. It has been found that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may be effective for resolving issues of standardization of remodeling construction. Therefore this study wishes to develop a standard process for remodeling work through BIM to estimate the possibility of its use at remodeling sites. Based on this, I wish to contribute to the issue of achieving construction efficiency pursued by BIM.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다중현장관리를 위한 자원조달계획 지원 모델

        한주연,김경래,신동우,홍영수 대한건축학회 2004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0 No.11

        This paper presents resource-planning supporting-model for multi-project management in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which need to develop suitable and effective information system. Therefore itis intended to raise the standard of information system in overall construction industry. We analyzed the works that related reusable resource deliveryin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then reorganized the process to underpin the problems. The process that reorganized is classified into resource delivery planning, executing planning and accomplishment reporting which is same classification as old one but we broke down resource planning process into the works that support decision making in each phases. Furthermore, the system support resource-planning, cars-allocation-planning with consideration of several factors and establish resource pool that furnish actual results data as estimation data. As a result, we can select the resource planning which maximize reusability

      • KCI등재

        뉴 미디어를 활용한 예술치료의 표현과 정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주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1

        현대 예술치료는 뉴 미디어를 저장, 기록의 소극적 수단이 아닌 적극적 치료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뉴 미디어와 가상환경은 기존 예술매체의 경우와는 다른 정서적, 감각적 성격을 발생시킨다. 본고는 뉴 미디어의 미학적 경험과 표현의 특성을 통해 예술 치료적 활용의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뉴 미디어의 표현은 비물질적인 과정과 시스템을 다루는 것으로써, 관람자는 참여자로서 창작에 관여하며, 총체감각적 경험을 하게 된다. 이 때 미디어와 참여자간의 상호작용은 독특한 정서적 효과들을 생산하게 된다. 뉴 미디어의 예술행위는 가상공간에서 비물질적인 과정으로 존재하며 사용자의 얕은 감정적 거리와 깊은 투사라는 양가적인 정서적 효과를 생산한다. 예술치료에 사용되는 뉴 미디어는 자아 반영과 재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안전한 가상의 표현 환경을 제공하며, 몰입적 정서 경험으로 소통과 표현을 증가시킨다. 뉴 미디어는 예술치료과정에서 다양한 예술 형식과 결합될 수 있으며, 다원적인 수행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치료사는 내담자의 특성과 증상에 따라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는 뉴 미디어의 사용 범위와 방향을 설정하고 유도할 필요가 있다. In modern art therapy, new media are not restricted to passive means of recording and storage but serve as active and virtual therapeutic tools which generate novel emotional and sensual featur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xisting art medi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the art therapeutic applicatio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experiences and expressions of new media. Since new media present processes and systems in dematerialized fashions, spectators become participants involved in creation and obtain holistic sensory experiences. This type of interaction between media and participants produces unique emotional effects. In particular, new media in art therapy provide virtual environments where one can safely express, reflect, and reconstruct one’s own ego; therefore, immersive emotional behaviors such as communication and self-expression increase. Moreover, artistic acts in new media exist as dematerialized process in virtual space, bringing about an ambivalent emotional state, namely shallow emotional distance and deep projection. As such, new media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forms of art for multiple therapeutic purposes. Therefore, therapists sh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of their clients and determine specific functions and directions of new media use.

      • KCI등재

        디지털 상호작용성의 치료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주연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4

        본 연구는 예술 치료적 디지털 미디어 개발을 위한 선행적 연구로써의 의미를 두고 진행되었다. 현재, 정신분석치료, 예술치료, 놀이치료, 디지털 미디어 치료 등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통합미술치료와 치료적 디지털 미디어의 융합을 통해 우울증 등의 심리적 증상을 치료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우울감, 낮은 자존감, 미비한 분노 조절 등과 같은 정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청소년에게 적용한 치료적 디지털 미디어의 연구는 부족하며 실제 치료적 사례를 적용한 국내 연구는 매우 미비한 편이다. 연구자는 디지털 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의 특징이 야기하는 효과와 특징을 추적하여 정신치료의 도구로 활용되는 디지털 미디어의 효과성의 실제 사례를 살펴보았다. 성공적인 치료 사례를 통하여 디지털 미디어가 치료적 요소로서의 예술적, 문화적, 놀이적 행위로써 의미를 나타냄으로써 인지와 행동의 긍정적 변화를 도모하여 기타 심리치료뿐 아니라 예술 치료적 미디어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융합 예술치료의 기반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Despite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in two emerging areas of therapeutic research, i.e., art therapy and digital media therapy, few studies have integrated the two approaches to address cognitive and emotional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d aggressiveness. In particular, applied research which therapeutically uses both art and digital media for adolescents with emotional symptoms such as depression, low self-esteem, and anger-control disturbances is rare. The present study first reviews significant clinical uses of digital media with a special focus plac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digital interactivity. This identifies artistic, cultural, and recreational elements of digital media, which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cognitive and behavioral problems. Therefore, it is contended that du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developing digital media for art therapeutic purpos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교힐(絞纈)기법에 관한 연구 -바느질, 감아 묶기 기초제작방법을 중심으로-

        한주연,이동아 한국동양예술학회 2019 동양예술 Vol.43 No.-

        교힐(絞纈)은 우리나라에서 거의 잊혀진 방염기법(防染技法)이나 고대부터 전 세계적으로 사용된 대표적 문양표현 중 하나로 그 기원 및 전파과정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바 없으며, 현재 일본, 인도,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전승 및 발전 되어오고 있다. 1960년대 이후 섬유예술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일본에서는 패션 및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응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교힐(絞纈)에 관한 기록 및 회화는 삼국시대부터 확인되어지며,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문집을 통해서만 확인되어지나 이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고, 유물 역시 확인되어지지 않고 있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에 들어서 교힐(絞纈)은 점차 사라진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교힐(絞纈)에 대한 현재 구체적 도안이나 기법이 전승되지 않게 된 것이 아닌가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 시보리(絞リ shibori)의 기초제작 방법과 전통공예상품으로 지정된 아리마쯔시보리(有松絞り)기법을 바탕으로 바느질 및 감아 묶기 기법의 제작과정 과 방법제시와 이에 따른 문양을 제시 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