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과 연구영역별 성과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심광택 ( Kwang 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지리학회지에 발표된 지리교육논문 102편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 및 연구영역별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영역별 비중을 살펴보면, 대한지리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63-2015년, 102편)은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재분석개발, 교실수업론, 교사전문성, 평가분석 영역 순이지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지리교육논문(1993-2015년, 406편)은 교재분석개발, 교육과정, 학습자 특성, 교실수업론, 평가분석, 교사전문성 영역 순이다. 한국지리교육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서는 지리교사의 교실수업 설계, 분석 및 학생평가전문성 연구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 요청되고 있다. 영역별 연구주제를 범주화하여 연구 동향 및 연구성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한국의 지리교육학자가 교육과정연구 영역에서 비판지리교육, 도덕지리교육, 지속가능발전 교육 및 세계시민교육 연구에 도전하고, 교재분석 및 개발연구 영역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시선으로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성찰한 노력은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학교지리의 역할에 조응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nd synthesize the outcome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by 102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The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eported in the selected journal articles includes in turn curriculum studies, empirical research with learners,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eories of instructional design,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and the analysis of assessment. During a similar period, there were 406 geography education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latter articles include in tur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urriculum studies, learners’ characteristic, theories of classrooms organization, analysis of assessment, and teacher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Future attention calls for further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classroom dynamics and analysi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assessment of students. Figure 5 shows the trends and categories of research themes based on each domain of research represented in the articles reviewed. The review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suggests a movement towards critical geography, moral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tention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evident i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omplements the role of geography education in attaining UNESCO goals.

      • KCI등재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교수 · 학습자료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

        전보애 ( Bo Ae Chun ),길현주 ( Hyun Joo Ghil ),김민숙 ( Minsuk Kim ),김인철 ( Incheol Kim ),범영우 ( Yeongwoo Beom ),서지연 ( Jiyeon Seo ),성정원 ( Jeongwon Seong ),오태훈 ( Tae-hun Oh ),이윤구 ( Yungu Lee ),채나미 ( Nami Cha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자료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의 개발 및 검토 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사례를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개발 및 검토 과정의 분석은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가 교수·학습자료로서 갖는 의미와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지리교육 분야의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운영과 관련된 의미있는 논의를 제공하리라고 기대된다. 개발과정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점 사항이자 특징이기도 한 교과역량 및 기능의 교육적 실천, 교수·학습과정과 연계된 과정중심 평가, 학생 참여에 토대한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등을 위한 자료를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해 현장적합성 검토, 교실 수업 적용 등과 같은 검토를 거쳤다. 검토결과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성취기준과 교과역량에 대한 분명한 안내를 토대로 활동 중심의 수업 실천, 과정 중심의 평가 등을 가능케 하여 궁극적으로는 교실 수업의 발전적 변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는 교수·학습자료라고 평가받았다. 이와 더불어 활동량이나 수업 시수 조정, 지리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들 간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등과 같은 지적사항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수·학습자료는 교수활동이나 학습활동에 활용되는 자료 뿐만 아니라 평가를 위한 자료까지도 아울러야 한다는 인식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상에는 자료 자체는 물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안내도 충분히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역량중심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가 적절히 개발 및 활용되려면 교과역량 및 기능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지리 교수·학습자료는 복잡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과 맥락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예시적인 자료집의 성격을 갖는만큼,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보다 효과적인 학교 현장 안착 및 개선을 위해서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안해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revision, and supplemental processe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was created to provide the examples of curriculum material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practice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sibly provide meaningful discussions about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as well as the potential of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the adoption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student-centered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improvements, were emphasiz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Several revisions and supplemental processes were followed to refine and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These processes suggested that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has meaningful possibilities for contribution to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Further ideas, such as considerations for optimizing the volume of contents/ activities and diverse geographic contexts, were also proposed. These results show several meaningful discussions toward the development and use of curriculum materials as follows: First,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materials are not limi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ut encompass assessment processes. Second, curriculum materials ought to provide guidance as to their use in class. Thir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ies should be deeply analyzed and understood before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terials. Fourth, consideration of diverse geographic factors and contexts are essential for creating geography educational materials. Additionall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is a collection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Follow-up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can meaningfully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다중스케일적 접근의 지리교육적 의의와 가능성 -초등사회과 세계지리 영역에서의 지역 인식 문제를 중심으로-

        이동민 ( Dong Min Lee ),최재영 ( Jae Yung Choi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지리교육에서 균형 잡힌 지역 인식 함양을 위한 다중스케일적 접근 방안을 탐색 및 제시하는 데 있다. 다중스케일적 접근은 지역을 다양한 스케일들이 다층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이루어지는 공간 단위로 파악하려는 지리적 관점으로, 지리교육에 있어 지역 인식의 단일스케일적 고착 문제, 즉 특정 스케일에 고착되어 지역을 인식하는 문제에서 벗어나게 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지역 인식의 기초가 이루어지는 초등지리교육에 이와 같은 다중스케일적 접근의 적용은 그 의미가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중스케일적 접근의 지리학적, 지리교육적 의미에 대해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중스케일적 지역학습 활동을 실제적으로 구성해보았다. 학습 활동 구성에 있어 다중스케일적 접근이 학생들이 가진 기존의 단일스케일적 인식에 인지부조화를 유발하여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다중스케일적 지역학습 활동의 구체적인 실례로 아프리카의 기후를 주제로 한 학습활동을 개발하여, 아프리카가 대륙 스케일에서 열대 및 건조기후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스케일에서 여러 기후 패턴을 관찰할 수 있는 지역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지리교육에서 이와 같은 다중스케일적 접근이 지속되고 정착될 수 있다면, 세계 여러 지역에 대한 균형 잡힌 인식과 이해를 함양한다는 지리교육의 목표 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suggest multiscalar approach to primary geography education in order to build balanced region recognition. Multiscalar approach is a geographical frame of recognition that regards a region as a spatial unit which consists of diverse and multi-level scales, which is expected to break out of the problem of the fixed region recognition of a single scale that is, the problem of recognizing regions fixed to a certain scale in geography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highly significant to apply multiscalar approach to primary geography education, where they lay the foundation of region recogni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geographical and pedagogical meanings of multiscalar approach, and based on them, composes actual regional learning activities of multiscalar approach. This learning activity is designed to induce cognitive dissonance from the conflict between students’ recognition of a single scale and multiscalar approach to a region, for effective learning. By presenting practical examples of multiscalar regional learning activities on African climate patterns, this study tries to find a solution for students to overcome a fixed idea on Africa as a continent of the only tropical and dry climates and recognize the region where they can observe diverse climate patterns on various scales. To continue applying and sustaining multiscalar approach to geography education can contribute to achievement of the goal of geography education: to build balanced region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n various regions in the world.

      • KCI등재

        한국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동남아 홀대 현상과 원인 분석 -국가주도 사회과 교육과정의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이재 ( Eje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9 No.2

        아세안은 중국에 이어 한국에게 가장 중요한 경제 파트너로 부상했고 한국과 동남아 간 인적·문화적 교류도 급증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신남방정책으로 한국 외교에서 동남아의 위상이 주변 4강국 수준으로 제고되었지만, 한국 사회에서 동남아에 대한 무시와 홀대 현상은 여전하다. 해방 직후 교수요목기에서 2015개정 국가 교육과정까지 한국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를 양적·질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는 동남아 관련 내용 비중과 변화 추이를 고찰하고, 동남아 홀대 현상의 원인을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역사 속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 요목기에서 1차 교육과정기 사이 출판된 한국 중학교 교과서가 한국 교육사상 동남아 내용 비중이 가장 높았는데, 사회과 교육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인 교수요목기 교과서에서는 동남아의 인문·자연지리적 요소를 균형있게 다루며 개별 국가의 특성도 충실하게 기술하였다. 그러나 1차 교육과정 이후 정부 주도로 사회과 교육의 기계적 통합 논리가 강화되고 서구중심적인 교육과정이 본격화되면서 중학교 사회 교과서 속 동남아 비중은 계속 축소되고 동남아에 대한 고정관념도 강화되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중학교 사회과 세계지리 영역의 메타지리 체계가 변화하고 부티크 다문화주의가 유행하는 가운데 한국 중학교 교과서에서 동남아의 비중은 여전히 낮고 편견은 더 심해지고 있어 국가 교육과정의 대대적 혁신이 시급하다. ASEAN (Associations of Southeast Asian Nations) has emerged recently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conomic partners of Korea with a sharp increase of personal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Southeast Asia. The NSP (New Southern Policy), the signature foreign policy initiative launched by Korean President Moon Jae-in, has been supposed to open a new chapter in relations with ASEAN since 2017. However many Koreans still seem to neglect Southeast Asia and expose prejudice on Southeast Asians. Analysis of contents and changing status of Southeast Asia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has been made focusing o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Middle School Textbooks in Korea since 1946. The findings suggest Korean Middle School textbooks published between 1946 and 1st National Curriculum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Southeast Asian cont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nations with balanced approaches of human and physical geography. However, Southeast Asia has been marginalized under the euro-centric National curriculum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eduction controll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percentage of Southeast Asia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has been diminished since the 1st National Curriculum, while stereotypes on Southeast Asia has become stronger. Boutique multiculturalism seems to make the bad situation worse under the new meta-geographical framework introduced in the 2007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Extensive innov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made immediately to correct deeply-rooted prejudices on Southeast Asia in the Korean society and even educational world.

      • KCI등재

        한국 · 중국 · 일본 고등학교 지리 교육과정의 개발 동향 분석

        심광택,董玉芝,金玹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1

        Integrated Korean, Chinese, and Japanese high school geography curriculums were developed in 2018. After examining three curriculums in order of background of development, content, method, and assessment, the authors clarified the comm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s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sults, the curricular contents and methods aim at strengthen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Key Competencies in Geography. Within the curriculums, the system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consist of: 1)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using GIS, GPS, RS; 2) interdependence and creation of sustainabl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disaster measures; 3) understanding of living with cultural diversity in a plac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ctivity and natural environment; 4) regional geography based on living space (river basin); 5) reasonable use and management of water and marine resources; 6) rural and urban areas as living space; 7)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and living environment; 8) economic activity and movement; and 9) connections and interdependencies among spatial scales. With regard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eachers consider the following: 1) thematic inquiry and problem solving using GIS, GPS, RS; 2) geographic task solving based on survey of learners’ living space; 3) applying comparisons, relations, and changing perspectives between systematic themes; 4) identifying learners’ thinking structure and presenting expressible task; and 5) inquiry and question strategies according to 5 themes in geography education. 2018년 남북한통합, 중국, 일본의 고등학교 지리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교육과정을개발 배경, 내용, 방법, 평가 순으로 살펴보며 국가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 교육과 세계시민성 교육 그리고 지리과 핵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지리 교수학습의 내용 및 방법을 다음과 같이예시하였다. 학습 내용의 체계 및 조직은 1) GIS, GPS, RS를 활용한 지리 환경적 문제 해결, 2) 인간과 자연 간의 상호의존및 지속가능한 관계 설정, 방재 대책, 3) 장소에서의 생활 문화의 다양성을 인문 활동과 자연 환경 간의 관계를 통해 파악, 4) 생활권(하천 유역권)에 토대한 지역 지리, 5) 수자원과 해양 자원의 합리적 이용과 관리, 6) 생활공간으로서 촌락과 도시, 7) 인구와 생활환경 간의 관계, 8) 산업 활동과 이동, 9) 공간 규모 간 연결 및 상호의존 등으로구성한다. 교수 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수업자는 1) 지리정보 기술을 활용한 주제 탐구 및 문제 해결, 2) 학습자 생활권 조사에 토대한 지리적 과제 해결, 3) 계통적 주제 간 비교, 관련, 변화의 관점 적용, 4) 학습자의 사고 구조 파악 및 표현성 과제 제시, 5) 지리 교육의 5대 중심 개념에 따른 발문 전략 등을 고려한다.

      • KCI등재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대응하는 교육과정의 개발 - 한국지리 탐구 과목을 사례로 -

        이종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1 No.1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newly revised ‘Korean Geography’ subject throug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o propose tasks.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subject curriculum, the subject matter must be transformed into a digitalize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t must also be possible to cultivate future digital capabilities when learning with the curriculum. Korean Geography has the advantage of sufficient digital resources that can be used in class, such as geospatial web service, open & big data, smart devices for fieldwork, and digital statistical data. In the case of Korean Geography, the type of data and geospaital technologies used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hemes, and digital transformation was also emphasized in terms of content.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Korean Geography in the classroo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har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to prepare an alternative textbook platform that can support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새롭게 개정된 ‘한국지리 탐구’ 과목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디지털 전환을평가하고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교육과정은 디지털화 된 교수학습 환경에서 가르칠 수 있는성격으로 변환해야 하고, 교육과정으로 학습했을 때 디지털 미래역량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지리 탐구 과목은 공간정보웹서비스, 공공 빅 데이터,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야외조사, 디지털 통계자료 등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의 양이풍부한 장점이 있다. 한국지리 탐구 과목의 경우 주제에 따라 활용되는 데이터 및 공간정보기술의 유형이 달라졌으며, 내용 측면에서도 디지털 전환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한국지리 탐구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 공유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대안적인 교과서 플랫폼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지리하기'로서 지리교육의 구성

        송언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지리하기’로서 지리교육을 위한 논리적·방법적 토대를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리하기’로서 지리교육은‘준비’하는 교육에서‘사는’교육으로, ‘개념’을 위한 교육에서‘삶의 양식’을 위한 교육으로, 탈 맥락적‘이해’에서 맥락적‘해석’으로 전환을 지향한다. 이 같은 지리교육의 방법적 토대가‘지리하기’이다. ‘지리하기’는 공간적 동물로서 인간이 가지고 있는 삶의 기본적 속성이다. 이 같은 속성을 교실에서부터 연습하는 것이‘지리하기’로서 지리교육의 목적이다. 따라서 ‘지리하기’ 로서 지리교육은 활동 중심의 교육이다. 학습은 지리적 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지도, 그림, 사진, 그리고 각종 문헌 자료 등을 토대로 공간을 구조적으로 조망하고, 관계적으로 해석하는 활동이 주가 된다. 이 같은 지리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일상 삶에서 세상을 지리적으로 보고, 지리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지리인”을 육성하는데 있다. This paper is on a reconceptualization of geography education, from that of conceptual imprint to doing geography. It can be characterized, among others, by a contextual or situated understanding rather than a-contextual objective cognition, by practice of life rather than concept attainment, and, in short, by education as living rather than as preparation for life. Children here do a geography, instead of merely learn about geography. Geography learning as doing geography is an activity-or problem-centered learning. Children can attain a structured and relational interpretation of their geographic space, relying on various data including maps, pictures, and other recorded materials. One ultimate aim of geography education is to produce “philo-geographer”, who can habitually or tacitly appreciate their life world geographically.

      • KCI등재

        독일의 초등 지리교육과정 변화 특성 및 그 함의 고찰

        이간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7 No.2

        This study is to elucidate recent changing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elementary geography curriculum of German. In 2004 curriculum the geography education has been realized in 「Integrated Subject」for 1st-4th grades with ‘understanding of spatial’ theme as the center, and in high level in 「Geography」for 5th-6th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company with 2017/18 curriculum geography education of Germen has an experience a great changes. The 2017/18 curriculum pursues competence development of learners on the bases of integrated themes. Thus theme of Earth of 「Integrated Subject」 takes on a main role as geographical contents, 「Social Science」replaces 「Geography」for upper grades. The contents of 「Social Science」are composed of 6 mandatory themes, i.e. food, and 7 optional themes, i.e. world of children. The themes of this subject bear a close parallel to traditional geographical themes, and the contents have stereo-structures to understand phenomena from a geographical, historical and social perspective. These feature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 to reorganize our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지리교육 강국인 독일의 최근 초등 지리교육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고, 우리 초등사회과에 주는 함의를 고찰하였다. 독일의 2004 교육과정 체제에서 지리교육은 1-4학년의 「통합교과」에서는 8가지 대주제 중에서 ‘공간 이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5-6학년에서는 「지리」라는 독립 교과로서 매우 체계적이고높은 수준에서 이루어졌었다. 그렇지만 2017/18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지리교육은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통합적 주제를 바탕으로 한 역량 계발을 지향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지리교육은저학년 「통합교과」에서는 새로 선정된 8가지 대주제 중에서 ‘지구’ 주제를 중심으로, 고학년에서는 신설된 「사회과학」에서 통합적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통합적 주제는 ‘식량’ 비롯한 6가지 필수 주제와 ‘어린이들의 세계’를 비롯한 7개의 선택 주제로 구성된다. 이 「사회과학」교육과정은 내용 면에서 전통적인 지리적 주제와유사성이 높고, 장소나 지역 사례를 토대로 과거와 현재 사회를 이해하도록 하는 입체적 구성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장치 우리의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진정한 통합을 추구하고자 할 때, 하나의 수범적 사례가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리적 탐구방법과 통합된 봉사학습: 지역사회중심 환경교육의 실행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전보애 ( Bo Ae Chu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지리적 탐구방법과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통합한 미국의 한 봉사학습 프로그램인 EEGISC를 소개하고, 그 프로그램의 실행 효과를 평가, 분석하였다. GIS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 환경교육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동안, 학생들은 수질을 조사하고, 토지이용 변화를 분석하는 등 실제 과학자들이 하는 것과 같은 연구 활동을 경험하고, 대학의 연구자 및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의 시설관리과의 전문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도시계획과정에 참여하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지역사회의 여러 지원체제를 개발하고, 환경에 대한 이해를 넓힐 뿐 아니라 자신들의 목소리가 실제로 반영되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국내에서 다소 생소한 개념인 봉사학습을 소개하고, 유사개념들과의 차이점을 비교할 뿐 아니라 국내외의 현황과 문헌검토를 통해 지리환경교육에의 접목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EEGISC의 목표, 참여한 지역사회, 교육실무자, 교육과정 활동 등을 구체적으로 소개함으로써 향후 봉사학습을 한국의 지리환경교육에 도입할 때 도움이 될 하나의 모델로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세째, 학생들의 학습 및 프로젝트의 평가와 관련하여 다양한 시각들을 보다 심도 있게 관찰하기 위해 사용된 질적 연구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그 실증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 GIS를 활용한 지리적 탐구방법, 지역사회중심 환경교육, 봉사학습에 초점을 두고 뉴욕주 앰허스트시의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발견한 결과를 검토하였다. Student scientists learned how they could become involved in the town planning process while participating in a project,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GIS within Community (EEGISC)" to monitor water quality and analyze land use changes based on strong consortium with University and Town. By involving students in this process and developing strong community support, students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the environment while gaining the sense of empowerment that their voice count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EEGISC project including the mission and goals, a description of the community and education providers involved, and examples of activities. It describe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used to document diverse perspectives, issues, suggestions related to student``s 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project. The article also highlights its findings from a study with local middle school students in Amherst, New York. Particular emphasis is plac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investigation, their learning based on the geographic inquiry and GIS in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ervice-learning.

      • KCI등재

        중등 지리교과서 학습용어의 계열성과 영역별 특성 -"해안지형"과 "공업활동" 내용을 중심으로-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2014년도에 출간된 중학교 사회(6종), 한국지리(5종) 그리고 세계지리(3종) 교과서의 지리교육내용 중에서 자연지리와 인문지리 영역을 각각 선정하여, 학습용어를 중심으로 교육내용의 계열성과 영역별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 학습용어 수의 비교결과, 영역별로는 인문지리 보다 자연지리 영역의 학습용어가 더 많다. 과목별로는 한국지리의 학습용어 수가가장 많고, 그 다음이 세계지리, 그리고 중학교 사회 과목의 순이다. 둘째, 교과서별 평균 학습용어 수의 비교결과, 인문지리 영역의 교과서별 차이가 많고, 자연지리 영역은 상대적으로 차이가 적다. 과목별로는 한국지리의 경우 영역별 차이가 적은데 비하여, 중학교 사회와 세계지리는 특히 인문지리 영역에서 교과서별 차이가 많다. 셋째, 교과서 간 공통학습 용어의 비율을 비교해 본 결과, 영역별로는 자연지리 영역이 인문지리 영역에 비해서 교과서 간 차이가 적게 나타난다. 과목별로는 한국지리 과목은 교과서 간 차이가 적은데 비하여, 중학교사회 과목은 교과서 간 차이가 많다. 넷째, 학습용어의 과목별 계열성을 비교해 본 결과, 자연지리 영역의 학습용어는 중학교와 한국지리 과목에서 학습이 대부분 이루어지는데 비하여, 인문지리 영역은 학교급별로 학습해야 할 학습용어가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즉, 자연지리 영역은 계열성이 분명하게 나타나는데 비하여 인문지리 영역은 약하게 나타난다. 다섯째, 관련 과목과의 계열성 분석 결과, 표면적으로는 중복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관점과 접근방법에 차이가 있어서 계열성을 비교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내용이 지리과목에 계속 설정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look at the sequence and characteristics of subject contents focus on studying term, selected the each one part of physical and human geography domain in Middle School(Social Studies),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textbook. In summary is as follows; First, comparison of the total number of the studying term that physical geography is more than human geography, and Korea Geography subject is the most and Social Studies is the least in it. Second, comparison of the average number of studying term that human geography domain has more difference than physical geography domain, and has more difference Social Studies than Korea geography especially in human geography domain. Third, compare the ratio of common studying term that physical geography domain is less difference than human geography, and the difference is more in Social Studies than Korea Geography. Four, compare the sequence of studying term that physical geography domain is concentrated learning in Social Studies and Korea Geography, but human geography domain is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In other words, the physical geography domain appears clearly but the human geography domain is weak in content`s sequence. Fifth, analysis of the sequence with related subjects that seems to be overlap in the surface but difficult to compare the sequence each other because they have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and approach about the same phenome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