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실내모형시험을 통한 연약지반의 쉴드 TBM 터널굴착 모사
한명식,김영준,신일재,이용주,신용석,김상환,Han, Myeong-Sik,Kim, Young-Joon,Shin, Il-Jae,Lee, Yong-Joo,Shin, Yong-Suk,Kim, Sang-Hwa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3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5 No.5
This paper presents the shield TBM technology in soft ground tunnelling. In order to perform this study, a scale model test was carried out using the developed small scaled shield TBM machine. The various instrumentations were conducted during the simulation of tunnelling. In addition, the ground behavior due to the shield TBM operation parameters was measured during the simulation.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the stability of the ground was evaluated and the fundamental shield TBM tunnelling technique in the soft ground was suggested. In conclusion, design's reliability through laboratory small scale model test about Shield-TBM section was obtained, and both the improvement plan for safety during construction and the construction plan for securing airport runway's safety during tunnel passing by Shield-TBM propulsion were suggested.
바로크 공간에서 나타나는 시지각적 착시현상과 유형별 특성 분석 -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을 중심으로
한명식 한국바로크학회 2022 바로크연구 Vol.5 No.-
바로크 건축과 미술에 적용된 공간에 대한 표현은 기본적으로 전시대인 르네상스의 투시법과 개념적인 차이가 있다. 르네상스의 투시법이 공간체계의 시각적 상상력을 창출했다면 바로크는 ‘왜상(anamorphosis)’이라는 변칙적 투시법을 통해서 공간을 착시적인 현상으로 변화시켰다. 본 연구는 바로크 공간의 이러한 착시적 조형성을 분석하고 개념적으로 응용함으로서 공간이라는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이론적 토대를 갖추기 위함이다. 바로크 공간의 착시적인 유형을 조형적으로 분류해보면 ‘왜상과 과장투시’, ‘중첩과 반복’, ‘운동과 연속’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를 게슈탈트 시지각이론으로 분석해보면 주관적이고비가시적인 구축 요소로서 심상작용에 다양한 조형 언어적 의미를 생성시키고 그 응용적 결과를 확대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