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과 공통교육과정에 나타난 ‘매체’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하채현,Ha,Chae-hyu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2

        이 논문은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매체’가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다고 보고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매체의 개념과 범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국어교육 논의에서 매체의 유형을 분류하면서 밝힌 매체의 개념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국어과 공통교육과정에 나타난 용어 ‘매체’를 떼어내어 조목조목 살펴 보았다. 분석한 결과, 국어교육과정 문서에서 각기 다른 개념과 범주로 매체라는 용어를 쓰고 있었다. 이에 본고는 의사소통 관점에서 매체교육을 생각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매체를 수단, 메시지, 도구, 채널로 유형화하여 그에 따른 성격과 특성을 밝혔다. 이를 기준으로 현행 국어과 공통교육과정의 매체교육을 좌표로 표시하여 이해하였다. 국어교육에서 매체의 개념과 범위를 합의하고 매체교육의 수준과 방법을 논의하는 일은 국어교육의 본질과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 중 하나다. This article was a critical review the ‘media’ of the term appeared in Korean common curriculum. The parts are there still does not explain to a medium. This is the premise of this article. For the purposes was highlighting the ‘media’ term in the Korean common curriculum. So, I analyzed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media on discussed in terms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this, this paper argues that the media should be redefined in terms of Korean education. And than I proposes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media’. First, I propose that access to the four types with respect to the medium. It is a tool, message, channel, machine. Second, with new concepts and new types of media, I hope to clean up the levels and methods of media education. I believes What is discussed in the media is one to check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TOPIK과 JLPT에 반영된 언어문화 지문 비교 연구

        하채현(Ha Chaehyun),가네코 루리코(Kaneko Ruriko)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7 No.-

        이 논문은 TOPIK과 JLPT에 나타난 언어문화 지문의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두 언어 평가에서 언어문화 문항 개발 방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언어문화 지문이란 산문, 칼럼, 평론, 각본 등 목표어 중 가장 숙달도가 높은 학습자들에게 제공되는 언어예술을 다루는 지문을 말하는 것으로 임의로 정한다. 이를 위하여 TOPIK 10회부터 최근까지의 기출문제에 나타난 언어문화 지문 34개와 문항, JLPT에서 추출한 언어문화 지문 64개와 그에 따른 문항을 놓고 비교하였다. TOPIK 수필은 약 14%, 평론은 약 8%였고, JLPT 수필은 전체 중 약 27%, 평론은 50%였다. 소설의 경우 TOPIK 전체 언어문화 지문 중 약 64%, JLPT의 경우 0%였다. 문항의 구성에서는 주제를 묻거나 내용 이해를 묻는 것과 어휘를 묻는 문항, 인물의 감정을 묻는 문항 등이 발견되었다. 앞으로 TOPIK은 지문 구성 체계를 정교화하고 의사소통 수행을 위한 언어문화 지문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JLPT는 지문 체계를 유연화하고 다양한 텍스트를 적극적으로 평가 문항으로 개발해야 할 것이다. 언어문화 지문은 목표 언어의 고차원적인 언어 이해로 가는 밑바탕이 되므로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유용하다. 다양한 언어문화 텍스트가 골고루 반영될 뿐만 아니라 단순한 내용 이해에 머물기보다 주제에 대한 이해와 역사와 사회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언어문화 지문과 문항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language-culture item development in the evaluation of two languag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aspects of language-culture text in TOPIK and JLPT. Here, the language-culture text refers to a text that deals with the most advanced language art among the target words, which means a literary work, column, criticism, script, etc. For this purpose, 34 language-cultural texts and questions presented in the TOPIK 10th to the latest questions, and 64 language-cultural texts extracted from JLPT were compared. In the case of novels, about 64% of the total language-cultural texts of TOPIK, 14% of essays, and 8% of reviews were found. On the other hand, in the whole JLPT, novels were 0%, essays were about 27%, and critics were 50%. In the future, TOPIK will have to elaborate the text system and strive to develop language-culture text for communication performance. JLPT will have to make the text structure system flexible and actively develop various texts as evaluation items. Language-cultural texts are useful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as they ar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language at a higher level. Language-cultural text questions should be structured in such a way as to include an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nd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society rather than just understanding the content.

      • KCI등재

        A Case Study on the Challenges of Public Library Reading and Discussion Program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Ha, Chae-hyun(하채현)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3

        이 글은 한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독서 토론의 특정 사례를 통하여 공공도서관 독서 토론 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독려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1년 동안의 해당 프로그램을 관찰하고 담당 교사와 참여 학생을 인터뷰한 다음, 그 중 독서 토론 장면의 일부를 잘라내어 문제점을 부각시키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독서 토론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텍스트, 인간, 환경 요인이 충족되어야 한다. 본고는 참여자들의 자발성을 높이고 참여자들 간의 신뢰를 높이는 일이 급선무임을 사례 연구를 통하여 밝혀냈다. 독서 토론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이 읽을 텍스트 목록을 스스로 작성하게 하고 학생, 학부모, 교사, 사서가 협력하여 다양하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한국 사회 내의 청소년의 읽을거리에 대한 일정한 합의도 이루어져야 한다. 청소년 문학, 청소년 에세이, 청소년을 위한 고전 등 목록의 분산은 청소년을 읽기로부터 점점 멀어지게 하는 하나의 요소가 될 수 있다. 본고는 전자 매체 시대의 청소년의 읽기와 독서 토론 프로그램에 대한 도전적인 제안을 함으로써 청소년 읽기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청소년 대상의 다양한 독서 토론 프로그램들의 활성화를 도모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help the management of a public library reading discussion program through the case of reading discussion for Korean youths. In order for the reading discussion to be smooth, prerequisite requirements must be met. For public library reading and discussion programs, text, human and environmental factors must be met. This study has revealed through the cases of Korea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spontaneity of the participants and to raise the trust among the participants. In other words, participants needed to write their own text lists and operate in a variety of ways, with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librarians working together. It is a strong measure to increase student satisfaction. This paper hopes that out of school reading and discussion programs will be activated through this proposal.

      • KCI등재

        1950년대 전반기 전주 지역 동인지 연구

        하채현(Ha Chae Hyun),황태묵(Hwang Tae-mook)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7 No.-

        1950년대 전반기 전주 지역 문학 동인지는 10종을 웃돈다. 그러나 지금까지 문학 동인지가 발견되지 못하여 정확한 면모를 확인할 길이 없었다. 본고는 먼저 전주 지역 문학사회의 동향과 동인지 현황을 살펴 본 후, 전주 지역에서 발간된 동인지 『남풍』, 『연비』, 『풍토』, 『풍토예술』을 발굴하여 소개하였다. 본고는 발굴한 동인지를 통하여 1950년대 전주 지역 문학의 양상과 특징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이러한 시도는 1950년대 전주 문학의 지형도를 드러내고 향후 전주 지역 동인지 문학사의 초석을 다지기 위한 것이다. 후속 작업으로 본고는 1950년대 이후 전주 지역 문단을 살피고 지역 문학에 대한 온당한 담론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In the first half of the 1950s, there were over 10 literary coterie magazines in Jeonju. But so far, no bronze paper has been found, so the exact aspects have not been confirmed. The original manuscript was introduced by exploring the "Nampung", "Yeonbi", "Pungto", "PungtoYesul" literary coterie magazines published in Jeonju. This paper reveal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the Jeonju area in the 1950s by reading its literary coterie magazines. The attempt is aimed at displaying the topography of Jeonju literature in the 1950s and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magazine part of Jeonju. As a follow-up,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literary circles in Jeonju since the 1950s and help form a fair discussion on local literature.

      • KCI등재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및 모형 제시

        하채현(Ha, ChaeHyun)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58 No.-

        이 글은 실제 교재 개발 사례를 토대로 읽기 교재 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한국어 읽기 교재 현황을 검토하여 읽기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런 다음, 기존 토픽 문항 분석을 통하여 주제에 따른 ‘텍스트 제대로 읽기’를 전략으로 활용하였다. 이는 학습자의 텍스트성을 살리는 읽기 전략이다. 또한 읽기 학습에서 어휘 능력에 관한 이론을 검토하였다. 토픽의 지문들은 표준 모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래서 효과적인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형은 학습자의 기본적인 읽기 능력을 신장하게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고는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고 교재를 구성하는 방법의 예시를 보여 주었다. 이로써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방향을 가늠하게 하고 교재 개발 구성을 위한 논점을 제공한 의의를 지닌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the actual teaching practice model based on example of a reading textbook development. The first, it emphasizes the need to read and review books into Korean reading materials development. And then, we set up as a reading strategy to read through the thematic to analysis with TOPIK item. "Text read properly" is the reading strategy of extending the text of the learner. In addition, we review the theory of vocabulary skills in learning to read. TOPIK of the text are analyzed based on the standard model. So the proposed model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o read. This model is to be stretching the basic reading of learners. As a result, the proposed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following a reading strategy, and showed an example of how to configure the book.

      • KCI등재후보

        통일 주제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을 위한 시론(試論) : KIIP 통일 관련 단원 분석을 중심으로

        하채현 ( Ha Chae-hyun ),문동규 ( Mun Dong-kyu ) 한국기독교철학회 2022 기독교철학 Vol.35 No.-

        이 논문은 앞으로 통일 관련 논의가 재한 외국인들에게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아니 그들에게 통일교육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통일교육을 위한 통일 주제 읽기 교재 개발에 대해 다루는 글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통일교육 현황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통일에 대하여 살펴보고 한국어 기관 교재에서 ‘통일’ 주제 단원을 확인하여 분석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런 다음, 앞으로 ‘통일’ 주제 읽기 교육의 필요성과 통일 주제 교재 개발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붙였다.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통일’은 역사 항목에 들어 있는데, 아직 교육내용으로 풍부하게 활용되고 있지 않다. 그래서 필자는 이 글에서 분단 70년이 넘은 시기에 국내외적으로 중요한 주제인 ‘통일’이 문화 영역이 아닌 네 가지 언어기능 중 읽기 교육에서 다루어질 것, ‘통일’ 주제가 추상적이고 정치적인 이슈가 아니라 국민과 거주민의 감정과 경험을 담은 실제 읽기 자료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는 앞으로 통일 주제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작업에 해당한다. In the hope that unification-related discussions will be actively pursued by foreigners living in Korea in the future, this thesis intends to preach about the development of reading text textbooks on unification topics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sense that they need unification education. To this end, first, the status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unifi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were reviewed, and the subject section of ‘unification’ was identified in th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and analyzed. Then, some suggestions on the necessity of learning to read the subject of ‘unifi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on the subject of unification were attached. In Korean education, ‘unification’ is included in the history and has not yet been used abundantly as an educational content. However, the author believes that ‘unification’, an important topic at home and abroad in the 70’s after division, will be dealt with in reading education a part of the four language functional area rather than in the cultural domain. And the author insisted that the topic of ‘unification’ should consist of authentic reading materials that contain the emotions and experiences of the people and residents, not abstract and political issues. This corresponds to the basic field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reading textbook on the subject of unification.

      • KCI등재후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작 교육 기초 연구

        하채현 ( Ha Chaehyu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문교육 Vol.22 No.-

        이 글은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창작활동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창작은 교사와 학생에게 다루기 힘든 활동 분야에 불과했다. 본고는 창작을 소통의 한 방식으로 나의 이야기를 너와 공유하는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다루었다. 스토리텔링과 창작은 내밀함, 배열의 적정성, 개연성, 독창성 등의 공유 지점을 지니고 있다. 본고는 이태준의 단편 다섯 작품을 창작 주체(학습 작가)의 입장에서 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나의 이야기 쓰기`는 기본적인 활동으로 주변 인물을 상세히 관찰하고 그것을 기록한다. 여기서는 인물을 보는 서술자인 `나`의 안목과 시각이 드러나게 된다. `인물의 이야기 쓰기`는 서술자가 바로 인물이 되는 지점에서 가능하므로 인물에 대한 창조적인 심리 묘사가 중요하다. 서술자와 인물 사이의 내밀한 교통이 이루어져야 한다. `역사 인식 담아서 쓰기`는 당대의 모습인 역사적이고 시대적인 배경을 포함하도록 모방하는 것을 말한다. 학습 작가가 역사 인식을 어느 정도 표면화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관건이다. 본고는 창작이 문학 교과목 안에 있다는 틀을 벗어나서 작문교육과 독서교육 안에서 학습자가 자기(ego)와 만나는 일임을 밝혔다. 또한 이 논의는 현재 국어교육에서 인성교육과 정체성 형성의 문제를 해결할 최적의 활동으로 `창작`을 자리매김 하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적이다. This article aims to propose activities involving writing creative literature as ways to improve learner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So far, writing creative literature has been considered a tough activity area for teachers and students. This paper discusses using creative literature writing in terms of storytelling. Storytelling and creative literature writing are very similar as they share common points such as intimacy, suitability, probability, and originality. This paper categorizes the five short stories by Lee Tae-joon into three types from the viewpoint of the creative subject (a learner). `My Story Writing` is a basic activity where writers make close observation about characters in their surroundings and record them. In the `Narrative Writing of a Person,` it is important to give a creative psychological description about characters. The `Writing with the View of History` refers to a writing activity where writers imitate so that the background of the time can be included. This paper shows that teaching creative literature writing goes beyond the boundaries of literary curriculum and it is an activity where learners meet with their own ego in composition and reading education. In addition, this argument is suggestive in that it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creative literature writing` as an optimal activity to solve issues regarding building students` characters and forming students` identity in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문자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하채현 ( Chae Hyun H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9 No.-

        이 글은 ``매체``가 다른 문자와 영상에 대한 학생의 이해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문사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에 대한 학생의 이해에 관한 기초 연구는 조사 연구(survey research)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연구문제로 설정한 것과 관련된 설문 문항을 만들어 배포하였다. 표집된 설문지를 spss로 분석하여 검토하였다. 대학교 교양 수업 수강자를 대상으로 전체 학생 266명이 설문 작성에 참여하였고, 강의를 맡고 있는 교수자 26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문자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지적 즐거움, 지혜, 성숙을 위해서, 영상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감각적 즐거움, 흥미와 몰입을 위하여 한다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문자 텍스트 수업과 영상 텍스트 수업에서 두 수업의 목표가 동일하다고 보는 인식이 두드러졌다. 만약 두 수업의 목표가 다르다면 문자 텍스트 수업은 표현력과 상상력의 향상, 문학적 지식의 획득을, 영상 텍스트 수업은 영상 예술의 이해, 문화생활의 영위를 지향해야 한다고 학생들이 대답했다. 마지막으로 서사 이해에서 내용 이해와 인물 이해를 더 잘 할 수 있는 텍스트는 영상 텍스트라고 보는 응답이 우세했다. 그러나 상상력을 더 잘 발휘하게 하는 텍스트는 문자 텍스트라고 보는 응답이 많았다. 기억의 지속성에서는 영상 텍스트가 약간 우위에 있지만 문자 텍스트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고는 매체에 따른 학생과 교수사의 인식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인식도 조사를 통하여 여전히 학생들과 교수자들이 매체에 따른 학습의 차이점에 그다지 주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수자들은 문자와 영상이 주는 인식적 차이를 무시한 채, 내용 파악의 용이함을 매체 활용의 중요한 이유로 생각하고 있는 반면 학생들은 영상을 내용 파악이 용이한 매체로 여기지 않고 있었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교육 현장에서 교수자와 학생의 매체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서 학습 목표와 목적에 맞는 매체의 적절한 활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bout media in the other paper and images are different from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how the research is to look at. Paper text and visual text based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academic research method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set up a research problem involved creating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Sampled were analyzed by SPSS questionnaire were reviewed. University of the classes to target the entire student participants created 266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instructor responsible for teaching 26 people were involv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ersonal experience of paper text and intellectual pleasure, wisdom, maturity, to the personal experience of visual text sensual pleasure, excitement and commitment that you replied to. Paper text and visual text classes have the same goal of seeing that perception was found. If the two classes of the goals in different characters, text lessons expressiveness and imagination improved, literary knowledge acquisition for the class should be, and visual text class visual arts,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life of the lead for the teaching point should be the student replied. And understand the contents and characters in narrative comprehension can better understand the text was the visual text. However, a better exercise of the imagination that the text was paper tex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