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1세기 찬송가』의 "한국화" 연구

        김세완 한국기독교철학회 2014 기독교철학 Vol.18 No.-

        이 글은 『21세기 찬송가』에 나타난 ‘한국화’된 곡을 음악적으로 분석하여 ‘한국화’된 양상을 고찰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동안에 음악적 분석으로 연구된 한국교회음악에 대한 ‘한국화’ 양상은 주로 한국전통음악의 음악적인 요소의 반영에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교회음악에 이루어진 ‘한국화’를 한국전통음악의 요소가 반영된 여부에만 초점 맞추지 않는다.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는 현시대에 진정한 ‘한국화’를 인식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현시대의 진정한 ‘한국화’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진단하는 것이 선행되며 현재적 진단 뒤에 도출되는 의미에 따라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를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된 양상을 살피기 위해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교회음악의 핵심인 찬송가이다. 연구대상으로 삼기에 적합한 찬송가는 현행찬송가인 『21세기 찬송가』이다. 『21세기 찬송가』에는 ‘한국화’된 곡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21세기 찬송가』의 ‘한국화’에 대한 연구는 먼저 ‘한국화’된 곡을 추려낸 다음에 작곡가별로 음악적으로 분석하여 ‘한국화’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작곡가별 분석이 끝난 뒤에는 ‘한국화’ 지수를 매겨 ‘한국화’된 양상을 가시화하였다. 도출된 ‘한국화’ 지수는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에 대한 현재적 상황을 진단하고 현재적 상황에 맞는 한국화를 모색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thesis analyzes the Koreanized Christian church hymns selected from 21th Century Hymnal. It sequentially suggests some practical methods and musical technic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uthentic Koreanized church music in its context. The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ized church music were done only in the perspectives of the past Korean traditional elements. This study, however, develops beyond those traditional components because the true Koreanized music must authentically reflect the current Korean musicality. Thus, it is necessary to correctly define what it means to be a Koreanized church music. This definition will subsequently aid to draw some practical suggestions on how to enhance the Koreanization of church music in the days to com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conducted: Firstly, as samples, several hymn songs with the prominently Koreanized components were selected from 21th Century Hymnal, which is used in the most churches in South Korea today. As the second step, the mus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omposers and their musical patterns and distinctiveness. Thirdly, based on the how Koreanized those songs were, they were systematically categorized with the scale of indexing figures. This study provides the accurate diagnoses and evaluations of the current Koreanization of Christian church songs as well as practical recommendations on development of the future directions.

      • KCI등재후보

        자유 논문 : 개혁 교회와 한국 교회의 기도신학에 관한 연구

        배정도 ( Jeong Do Bae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9 기독교철학 Vol.8 No.-

        오늘날 서구와 북미에서 기독교는 쇠잔하여 가면서 `기독교 이후 시대`(the post christian era)가 도래하였다. 기독교 이후 시대란 기독교가 더 이상 현대사회에서 정신적인 힘과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는 사회상을 말한다. 서구와 북미기독교의 쇠퇴는 기독교가 갖는 영성의 쇠퇴와 무관하지 않다. 후기 현대사회 속에서 서구 기독교는 더 이상 활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세속화되고 말았다. 이 가운데 기독교의 영성은 점점 고갈되면서 서구 교회의 정체성을 상실하기에 이르렀다. 서구의 기독교가 이처럼 쇠퇴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면 교회사에 있어서 한 시대에 부흥이 도래하거나 쇠퇴하는 요인들이 무엇인가?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그것은 기독교적 영성의 쇠퇴이고 그 가운데서도 기도의 쇠퇴를 들 수 있다. 한국교회는 짧은 선교 역사 가운데서 교회사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경이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이제 한국교회가 세계교회 성장의 모델이 되어 연구의 대상이 된 지는 오래다. 이처럼 한국교회가 짧은 역사 가운데서 성장하게 된 원동력이 무엇인가? 신학적인 면이나 선교의 역사를 볼 때 서구 교회와는 비교조차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부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그 중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하나 그것은 바로 `기도`이다. 한국교회는 이러한 기도의 영성이 활성화되어 있는 것이다. 분명코 평양 대부흥을 기발로 하여 일어난 기도의 불길, 열정은 서구 교회가 따라올 수 없을 정도의 열심이 있었다. 교회사를 볼 때 기도가 중요시되고 활성화된 시대와 교회에는 분명 부흥이 있었고 그렇지 못한 시대와 교회에는 쇠락이 있었던 것을 보게 된다. 그리하여 논자는 이 `기도`에 대한 `신학`적 작업에 대한 비전을 가지게 되었다. Today is the post-Christian era as Christianit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has declined. `The post Christian era` represents the social phenomena that Christianity no longer exerts its spiritual power any more. The decline of Christianit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is closely related to that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the post modern society, the Western church does not show its vitality and becomes secular. In this context, the Christian spirituality has disappeared and led to the loss of the identity of the Western church. Why the Western Church has declined? What are the factors of revivals and declines in church history? Among many factors that contributed to revivals and declines, one is the weaken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more importantly the decline of prayer. Korean church has grown so much despite its short history. The Korean church has been a model of church growth and an object of research. What is the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of Korean church in such a short time? The Korean church comes short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church in the West when it comes to the history of mission and theology. How did the Korean church grow against all these odds? Among many factor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s `prayer` itself. In the Korean church, the spirituality of prayer is still very much emphasized. Clearly, the flames of prayer and passion originated from the Pyungyang revival movement cannot be followed by the Western church. In church history, when prayer was emphasized, there was a revival. And when prayer was neglected, the church withered. Based on this observation, the author became interested in a systematic study on `prayer`.

      • KCI등재후보

        자유논문 : 한국교회에 영향을 미친 성장주의에 대한극복 방안 연구

        이명구 ( Myung Ku Lee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9 기독교철학 Vol.9 No.-

        본 논문은 먼저, 한국교회에 성장주의가 태동하게 된 배경을 고찰해보고 있다. 다음은 경제성장과 맞물려 한국교회에 잠재 된 성장주의가 낳은 역기능적인 병폐들을 살펴보고, 그 성장주의에 대한 극복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끝으로 오늘날 한국교회가 올바른 성장을 위해 지향해야 할 한국교회의 모습이 무엇인지 나름대로 작은 소견을 제시하면서 본 논문을 맺고 있다. 교회란 무엇인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는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고,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이시다. 이 교회는 머리되시는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모여들었고, 지금 모여들고 있고, 장차 모여 들게 되는 택함을 받은 모든 사람들로 구성된다"고 정의한다. 이처럼 교회는 "그리스도와 그 지체들 사이에 생명의 유기성"을 가지므로 교회의 성장과 부흥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교회가 어떤 토대위에서 세워지고 어떻게 성장하느냐? 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예수님은 베드로의 명백한 신앙 고백위에 교회를 세우실 것을 말씀하셨는데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교회성장은 분명히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한국교회는 경제성장과 맞물려 급성장을 하였다. 하지만 한국교회의 화려한 성장과 부흥 이면(裏面)에는 기독교의 본질을 병폐시키는 `성장주의`가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0년대 이후 추진된, 경제성장 제일주의 정책은 배고프고 굶주렸던 국민들에게 물질적인 풍요로움과 삶에 여유로움을 주었다. 그러나 여기에는 경제성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비윤리적인 능률과 효율성을 강조하므로, 목적보다는 수단만을 앞세우는 `성장주의`가 태동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성장주의 의식구조는 한국교회 내에도 팽배하게 되었고, 교회는 성장을 위해서라면, 선별하지 않고 이것저것을 수용하고 적용하였다. 그래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그에 따르는 병폐와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과연, 한국교회의 성장 이면에 숨겨있는 병폐는 무엇인가? 그 병폐들을 보면, 첫째는 교회의 세속화이다. 둘째는 맘모니즘의 팽배이다. 셋째는 프로그램중심의 목회이다. 넷째는 개인주의에 빠진 개(個)교회지향적인 목회이다. 다섯째는 성령의 도구화이다. 여섯째는 사역중심의 목회이다. 반면에 한국교회의 역기능적인 성장주의 병폐를 극복하는 대안과 방법으로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는데, 그것은 첫째로 교회의 기독교 본질 회복이다. 둘째는 그리스도의 마음을 품는 목회이다. 셋째는 시장상황원리의 올바른 접목이다. 넷째는 교회의 열린 공동체성 회복이다. 다섯째는 성령과의 인격적인 관계 회복이다. 여섯째는 하나님 중심의 사역이다. 이와 같은 인식을 가지고 목회사역을 할 때, 한국교회의 성장 이면에 숨겨있는 병폐를 치유하고 건강한 교회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오늘날 한국교회가 올바른 성장을 위해 지향해야 할 교회의 모습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 생명의 유기성을 가진다. 그래서 교회는 부흥 성장하여야 한다. 그러나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인위적인 교회성장은 오히려 기독교의 본질을 상실한 채 외형만 큰 공룡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다음과 같이 기독교의 본질에 충실한 교회가 되어야 한다. 첫째로, 한국교회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둘째로, 예수 그리스도가 으뜸이 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셋째로, 성령께서 주도하시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넷째로, 사회에 `참된 도덕성과 공동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정신적이고 영적인 교회이다. 마지막으로, 문화변혁적인 교회이다. 이와 같은 교회가 될 때, 한국교회는 세속적인 문화와 사상에 물들지 않고,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을 분별하며, 하나님의 뜻을 이 땅에 이루어 드리게 될 것이다. 또한 한국교회는 사회적 공신력을 회복하고 선교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This essay, first, tries to research the situational background of the growth-ism which has appeared in the Korean church. Next, in this essay, tries to find the bad influences of the growth-ism which has encroached on the Korean church, mixed with the economic growth. Then, it tries to present the ways to overcome the growth-ism. Finally, this essay tries to propose the alternatives to aspire the right growth of the Korean church` appearance. What is the church? According to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the church is the body of Jesus Christ, Jesus Christ is the head of the church. The church that consists of all people who selected, gathered around of Christ who became the head of the Church, now it is coming, will gather in the future", he has defined. Such the church has "the organic-life between the Christ and christians", so the church`s growth and revival are required necessarily. But the church should be built on top of any foundation and how does it grow? This ques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Jesus Christ spoked to built the church on Peter`s Faith Confession. but the ways and means to break into the right growth of the church can be a big problem definitely. The Korean church was the rapid growth, mixed with economic growth. However, we can see the other side of spectacular growth and revival of the Korean church. it is that the `growth-ism` to corrupt the essence of Christianity. Pursued since the `60s, the economic growth- first policy has given the material richness and relaxation of the life to the hungry people. But this economic growth, to emphasis the unethica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has quickened the `growth-ism` to focus only a means rather than the purpose. Thus, the awareness-structure of the growth-ism was prevailed even just within the Korean church, for the sake of church-growth, that stuff does not selectively applied and accepted. So, the Korean church have achieved remarkable growth, but have followed the considerable stigmas and side effects behind growth. Indeed, what is the hidden stigmas behind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According to the Korean church`s stigmas, the first is the secularization of the church. The second is a prevalence of the Mammon-ism. The third is a program-centered ministry. The fourth is a private-church ministry falling in individualism. The 5th is treated the Holy Spirit as a tool. The sixth is a labor-centered ministry. In contrast, this essay tries to propose the methods and alternatives of the six kinds to overcome the dysfunctional growth-ism of the Korean church. First, it is to recover the essence of the church. The second is the ministry with the Christ` heart. The third is the right graft about the principle of market conditions. Fourth, the church is to recover an open-community. The fifth is to restore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Holy Spirit. The sixth is to restore the God-centered ministry. Thus, When pastors have recognized the right pastoral ministry, the Korean church will are cured from the stigma to hide behind the growth-ism and will be transformed into a healthy church. So, this essay tries to appear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church to aspire for the correct growth, today. The church of Jesus Christ has a body of organic-life. So the church should be revived. However, as discussed above, the artificial church-growth rather will lost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and will make a shape of a big dinosaur. The Korean church, such as the faithful church to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should be. First, the Korean church should give the glory to God. Secondly, Jesus Christ must be the finest in the church. Thirdly, it should be that the church to be led by the Holy Spirit. Fourth, it must be the mental and spiritual church to establish the true morality and community in society. Finally, the Korean church should be the cultural revolution church. When such a church, the Korean church will not be corrupted by the secular cultures and thoughts, will be discerned God`s good and delightful and whole meaning, God`s will on earth will be accomplished wholly. In addition, the Korean church will be restored a social public-confidence and will be a big influence in mission.

      • KCI등재후보

        한국의 기독교철학자 100년(1): 일제강점기의 기독교철학자

        최태연(Choi Taeyon) 한국기독교철학회 2020 기독교철학 Vol.30 No.-

        이 논문은 지난 100년의 세월 동안 한국현대철학사에서 ‘기독교철학자’(Christian philosophers)들이 어떻게 철학을 해왔는지를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철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했거나 대학에서 철학 교수로서 활동한 이들 중에서 개신교(protestant) 신앙을 갖거나 개신교의 영향 아래 철학 활동을 한 모든 이들을 기독교철학자의 범주에 넣는다. 즉, 다음 세 유형의 철학자들 모두가 속한다. (1) 정통적인 기독교 신자로서 철저하게 신앙의 전제 위에서 철학 활동을 한 학자 (2) 정통적인 신앙을 가졌지만 철학적 회의와 비판을 동시에 추구한 학자 (3) 기독교 신앙을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여 타 종교나 일반 철학과 접목을 시도한 학자다. 이 세 유형의 철학자들이 모두 기독교철학자로 불릴 수 있는 이유는 그들이 기독교 신앙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든지 그들의 인간적인 삶뿐만 아니라 철학적 사유의 원천 또는 출발점이 기독교이며 기독교적 테두리를 떠나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필자는 한국에서 기독교 철학의 역사를 1920년대로부터 2020년까지 세 시기로 나눈다. 1기는 <일제 강점기>(1925~1945), 2기는 <해방 후 산업화 시기>(1945~1979), 3기는 <민주화 시기>(1980~2020)이다. 이 시기 구분은 아무래도 임의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1기인 <일제 강점기>(1925~1945)의 기독교철학자 5인 - 채필근, 최현배, 정석해, 한치진, 김기석 –을 다루는데 그쳤다. 채필근은 신학자와 목회자였고 최현배는 한글학자였다. 정석해는 수학과 불어를 가르친 철학자였고 한치진은 철학과 심리학과 사회학과 정치학 저술을 한 철학교수였다. 마지막으로 김기석은 철학으로 시작하여 윤리운동에 매진한 교육학자였다. 그러나 그들에게 있던 공통점은 기독교라는 거대한 정신적 유산이자 신앙 세계였다. 그들은 서로 다른 신학적 입장과 관심사를 가졌지만 기독교를 떠날 수 없었다. 바로 이 점이 이 논문이 우선적으로 밝히려는 철학적 사실이다.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how Christian Philosophers have been doing philosophy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hilosophy over the past 100 years. In this paper, among those who have studied philosophy professionally in Korea or have worked as philosophy professors in universities, all who have Protestant beliefs or have engaged in philosophical activities under the influence of Protestantism are put into the category of Christian philosophers. These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1) A scholar who is an orthodox Christian who has thoroughly engaged in philosophical activities on the premise of faith; (2) a scholar who has orthodox beliefs but has pursued philosophical criticisms at the same time; (3) a scholar who has attempted to connect with other religions or general philosophies by interpreting Christian beliefs in his own way. The reason why all three types of philosophers can be called Christian philosophers is that no matter what attitude they take about Christian faith, they do not leave the Christian foundation. Next, I will divide the history of Christian philosophy in Korea into three periods from the 1920s to 2020. First, <Japapnese colonial era> (1925 to 1945) second, <Industrialization period after liberation,> (1945 to 1979), <Period after democratization> (1980s to 2020) for the 3rd. The distinction between this period is somehow arbitrary. The first period is covered in this paper. Five philosophers - Chae Pil-geun, Jeong Seok-hae, Choi Hyeon-bae, Han Chi-jin, Kim Kiseok - belong here. Chae Pil-geun was a theologian and pastor, while Choi Hyun-bae was a Korean-language scholar. Jeong Seokhae was a philosopher who taught mathmatics and French, and Han Chijin was a philosopher who wrote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psychology, sociology and politics. Finally, Kim Ki-seok was an educator who started with philosophy and focused on ethical movements. What they had in common was the great spiritual legacy of Christianity and the world of faith. They had different theological positions and interests but could not leave Christianity. This is exactly the philosophical fact that this paper is trying to reveal first.

      • KCI등재후보

        기획주제: 현대 기독교철학 : 조나단 에드워즈와 C. S. 루이스의 윤리 사상에 관한 한 탐구 -『참된 미덕의 본질』과 『순진한 기독교』를 중심으로-

        송동민 ( Dong Min So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3 기독교철학 Vol.16 No.-

        기독교 사상가로서 조나단 에드워즈와 C. S. 루이스는 둘 다 기독교적인 윤리에 깊은 관심을 보였을 뿐 아니라, 영국적 사상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런데 에드워즈는 청교도적 칼빈주의의 후예인 반면, C. S. 루이스는 성공회에 속한 평신도로서 좀 더 중세적인 인간관을 드러내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에드워즈의 논문 The Nature of True Virtue와 C. S. 루이스의 주저 Mere Christianity를 중심으로, 두 사상가의 기독교 윤리관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논의해 보았다. 에드워즈의 논문 The Nature of True Virtue에서는 몇 가지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진다. ‘참된 미덕’, ‘2차적 아름다움’, ‘자기애’, ‘자연적 양심’, ‘자연적 본능’ 등이다. 에드워즈에 따르면, ‘참된 미덕’은 곧 존재 전반을 향한 자애( )에서 나타난다. ‘존재전반’은 곧 기독교의 하나님을 뜻하며, 기독교의 하나님을 향한 참된사랑은 1차적인 도덕적 아름다움이 된다. ‘2차적 아름다움’은 자연세계 전체에 존재하는 것으로, 다양한 사물들의 조화와 일치 속에서 나타난다. 단순한 의미에서 ‘자기애’( )는 ‘자신의 행복을 사랑하는 것’이다. 그런데 한 사람이 다른 존재를 존중하지 않고 자신만의 이익을 추구할 때, 그것은 부정적인 의미의 ‘자기애’가 된다. 또 ‘자연적양심’은 두 가지로 구성된다. (1) 자신이 대우받기를 원하는 대로 타인을 대우하는 성향, (2) 모든 미덕과 악에 대해 그에 합당한 몫을 주고자 하는 성향이다. ‘자연적 본능’은 특정 대상에 대해 자연 법칙에 따라 특정한 반응을 보이게끔 하는 성향이다. C. S. 루이스의 Mere Christianity에서 우선적으로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자연법의 실재이다. 루이스는 기독교의 하나님이 인간 본성 속에 항구적인 도덕법을 심어 놓으셨다고 주장한다. 인간은 하나님이 처음 창조하신 상태에서 타락했으며, 그 결과 지속적으로 그 도덕법을 깨뜨리며 산다. 오직 그리스도와의 바른 관계 속에 들어갈 때에만 우리는 하나님과 화목할 수 있으며, 도덕법을 지킬 수 있다. 그리고 루이스는 윤리를 세 부분으로 나눈다. 첫째는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사회적인 부분이다. 둘째는 개인적인 것으로서, 인격 내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일과 관련되어 있다. 셋째는 종교적인 것으로서, 인간 삶의 의미 전체와 관련되는 것이며 창조주와의 관계 속에서 드러난다. 그런데 루이스는 윤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우리가 정말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고 인정받기 위해서는 그리스도를 믿어야만 한다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 에드워즈와 루이스는 기독교 윤리와 일반 윤리가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한 태도에서 본질적인 차이를 보인다는 데에 동의한다. 하지만 그들은 기독교 윤리에서 자연과 은혜의 관계에 대해 다른 생각을 지니고 있다. 에드워즈는 칼빈주의자로서 자연적 도덕성과 기독교적인참된 미덕을 날카롭게 구별한다. 이에 반해 루이스는 중세적인 자연법 사상을 따르면서 신자와 불신자 모두가 동일한 도덕적 능력을 지닌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에드워즈는 기독교 윤리의 하나님 중심적 성격을 강조하는 반면, 루이스는 좀더 인간에게 초점을 맞추는 성향을 보인다. 이를통해 루이스는 기독교를 믿지 않는 사람들이 기독교에 다가갈 수 있는 광범위한 공감대를 형성하지만, 기독교 윤리의 하나님 중심적 성격을 좀더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한편 에드워즈는 기독교 윤리의 본질을 잘 보여 주지만, 그의 사상은 불신자들이 이해하고 따르기가 다소 어려운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As Christian thinkers, Jonathan Edwards and C.S. Lewis have the common characteristics that they both had deep interest in Christian ethics, and inherited the tradition of British thought. However, they shows a difference in the fact that while Edwards was an heir of puritan Calvinism, C.S. Lewis was a layman who belonged to the Anglican church and demonstrated a more medieval view of humanity.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ethical thoughts-focusing upon Edwards`s dissertation The Nature of True Virtue and C.S. Lewis`s book Mere Christianity. In The Nature of True Virtue, Edwards advances his argument by focusing upon several important concepts: ``true virtue,` ``secondary beauty,`` ``self-love,`` ``natural conscience,`` and ``natural instincts.`` According to Edwards, ``true virtue`` is demonstrated by a benevolence toward the being in general. This ``being in general`` means God of Christianity, and a true love towards God of Christianity becomes a primary moral beauty. ``Secondary beauty`` exists in the whole natural world, and demonstrates itself in the harmonies and agreements between various objects. In a simple sense, ``self-love`` means ``loving one``s own happiness.`` However, when a person does not respect others`` well-being and pursues his own interest only, it becomes a ``self-love`` in a negative sense. ``Natural conscience`` is consisted of two things: (1) a disposition which tends to deal with other persons just as a person oneself wants to be dealt with, and (2) a disposition which wants to give its proper due to every acts of virtue and evil. ``Natual instincts`` are the dispositions which make us show particular reactions toward particular objects according to the law of nature. In Mere Christianity, what becomes clear at first is the reality of natural law. Lewis insists that God of Christianity planted a permanent moral law within human nature. Human beings fell down from the original state of creation. As a result, they continuously break the law. Only when they enter into the right relationship with Christ, they can be reconciled with God and keep the moral law. Lewis divides ethics into three areas. First one is the social area, in which the ethics is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Second one is the individual area, and here ethics is related to the matter how can we sustain the inner-personal balance. Third one is the religious area, in which ethics deals with the whole meaning of human lives and demonstrates its essence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our Creator. While Lew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thics, he clearly asserts that in order to be justified before God, we should put our trust in Christ. Edwards and Lewis agree on the fact that Christian ethics and non-Christian ethics show an essential difference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relationship with God. However, they have different idea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grace in Christian ethics. As a firm Calvinist, Edwards sharply distinguishes between natural morality and a true virtue in Christianity. On the other hands, Lewis tends to follow the medieval thought of natural law and regards both believers and non-believers as having the same moral capacities. Also, while Edwards puts stress upon the God-centered character of Christian ethics, Lewis shows a more human-focused point of view. As a result, Lewis succeeds to gain a wide sympathy of unbelievers, but fails to demonstrate the God-centered essence of Christian ethics more clearly. Conversely, while Edwards communicates the nature of Christian ethics properly, his ideas are expressed in a way somewhat difficult for unbelievers to understand and accept.

      • KCI등재후보

        신학과 철학에 있어서 `우시아`의 개념 이해

        이덕중 ( Lee Deok Joo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7 기독교철학 Vol.23 No.-

        우시아`(ουσια)는 철학과 기독교 신학의 역사에서 상이한 개념으로 이해되어 왔다. 철학에 있어서 우시아는 `실체`로서 개개의 독립된 사물로써 규명되는 제일 실체로 불리어졌다. 그러나 기독교의 우시아는 신을 의미하며 사유적 통일성으로서의 `존재`, `본질`로 해석되어 왔다. 이런 우시아가 신학과 철학에서 분리되어 해석됨으로 많은 혼란을 가져왔다. 그것은 초기 기독교 신학이 철학의 옷을 입는 과정에서 해석상의 오해를 낳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우시아의 개념을 철학적 입장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과 플라톤의 개념을 살펴보고, 기독교적 입장에서 우시아를 어떻게 해석하고 수용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시아의 개념이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와서 철학적 입장과 기독교적 입장을 종합하지만, 그러나 기독교의 신약성경의 개념과는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신학과 철학의 근본적 차이는 이성과 계시에 있다. 철학은 신의 지식에 대한 이성적 논의의 결론으로 받아들이지만, 기독교는 결론이 아니라 전제로서 받아들여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why and in what philosophical concept of ousia makes a difference from Christian concept of ousia. Aristoteles made a review on the various questions concerning the concept of ousia in the chapters 7 and 8 of his Metaphysics. These are "What is being?", "What is the universal?", "What is the genus?", and "What is the substrate?" Aristoteles prescribed that ousia is a concrete and individual thing, but that it is an "eternal and unchangeable" thing,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This idea opened `the way toward his discussion on the primary philosophy, namely theology. `I examined how the concept of ousia had been misunderstood, mistranslated and misused in some Christian philosophers from the early stage of Christianity to the Middle Ages. This mis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ousia resulted from failing to set a limitation in an explanation of infinite God. To show their mis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God, I explain the Christian concept of God as Being, namely esse.

      • KCI등재후보

        불이(不二)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와 정토불교의 대화

        손범서 ( Son Beom-suh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7 기독교철학 Vol.24 No.-

        본 논문은 존 캅의 '차이'에 중심을 둔 다원주의적 관점에서 정토불교와 기독교 간의 대화를 시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두 종교 사이의 '차이'는 양자가 서로 대화의 접점이 될수 있는 아미타불의 "인격성"과 예수그리스도의 인격성을 비교하는 가운데 잘 드러난다. 주목할 점은 '구원'과 관련해서 정토불교가 단순히 극락정토에 태어나는 것을 구원의 최종목적으로 이해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불교가 말하는 구원의 궁극적 목적은 정토가 아니라 정각(正覺)이다. 이 부분은 천국에 가는 것이 최종 목적인 기독교와 분명한 '차이'로 인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토불교가 아미타의 타력신앙을 주장하는 이상 기독교로부터 배울 점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신과 인간사이의 교제와 만남을 통한 지속적이고 인격적인 관계 중심의 신앙생활이다. 이것은 불교 입장에서 볼 때도 자신들의 종교전통에 대한 불자들의 신뢰와 위임을 강화시키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가 될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아미타의 타력구원의 본원력이 아미타와 부처의 인격적 행위에 기초한다는 사실을 불교인들이 자각하고 받아들일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여전히 불교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는다. 반면에 기독교는 예수의 십자가의 사건을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원의 완성으로 믿고 고백하지만 이를 단지 초월적 사건으로 받아들일 뿐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 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불교인들의 정각을 삶에 실천적 규범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는 기독교적 회심이 그동안 신자들 스스로의 구원을 향한 궁리(窮理)의 방편으로 이해되기 보다 '구원' 그 자체 또는 "구원의 완성"으로 이해하는 기독교의 과도한‘칭의론’이 양산한 배타성과 편협함에 대한 반성으로서 기독교가 자기성찰의 과제로 삼아야 할 문제이다. 그 동안 교회는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을 자신들의 경험으로 완전히 내면화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기독교가 말하는 '회심'이란 분명 예수그리스도와의 인격적 만남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만남은 '시작'이지 '끝'이 아니다. 아울러 불교의 입장에서는 중생의 내면적 변화를 의미하는 "불교적 회심" 을 아미타의 회향을 매개로한 부처와의 인격적 만남의 관점에서 재조명해 봄으로써 아미타불에 대한 타력신앙을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과 대치하여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바라기는 본 논문을 통해 기독교가 불교로 부터 배울점은 없는지? 또 하나님과의 인격적 교호관계를 강조하는 기독교로부터 불교가 배울 것은 없는지를 살펴보고 두 종교간 대화의 가능성이 더 커지기를 희망해 본다. This paper aims to create a dialogue between Pure Land Buddhism and Christianity from Non-dualistic perspective. For that purpose, three primary scriptures of Pure Land Buddhism, known as Jeong-to-sam-bu-gyung, have been employed as major texts for the research. As a result, it reveals that there exists a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religions while both speak of salvation relying upon others. This difference between the two become even clearer by comparing personality of Amitabha and Jesus Christ. It is noteworthy that Pure Land Buddhism does not understand ultimate goal of salvation as merely to born again in the Land of Happiness (Jeong-to or the Elysian fiel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the Buddhist concept of buddhi (Jeong-gak)― intellectual power to reason out what is right and what is wrong―that is only achievable in the Pure Land but not in reality. Therefore, what Buddhism seeks as an ultimate goal of salvation is not the Pure Land itself but the buddhi that is only possible ‘in’ it. This can be understood as a clear difference from Christianity, which pursues ‘going to heaven’ as its ultimate goal. Nevertheless, as long as Pure Land Buddhism insists on salvation by Amitabha and reliance upon others, there still remains one thing that Buddhism can learn from Christianity; that is, a continuous and personal religious life through divine-human relationship. From Buddhism’s perspective, this relationship-centered religious life can be an essential element to reinforce Buddhists’ trust on their own religious tradition. What becomes a problem is, however, whether Buddhists can realize and accept the fact that the very essence of salvation by Amitabha is actually based on personal action of Buddha. Even to this day, this remains as a problem for Buddhists to solve. On the other hand, Christianity cannot but accept the concept of buddhi as a practical norm for life, in that they have only believed and confessed the Cross of Jesus Christ as a transcendental event but not have endeavored to internalize its true meaning. As Christian conversion has been regarded simply as a salvation itself or as a completion of salvation thus far, due to excessive emphasis on justification by faith, Christianity now needs to take this problem seriously as a task for a self-reflection. Unfortunately, the Church has failed to fully internalize the Crucifixion of Jesus Christ as their own experience because so-called conversion was, in most cases, simply identified with personal encounter with the Christ; however, encounter is beginning not the end of the internalization. Also, from Buddhist’s standpoint, this can be a good chance to contemplate their concept of salvation by Amitabha in a comparison with the ministry of Jesus Christ. By shedding new light on personal encounter with Buddha, Buddhists’ conversion and Amitabha’s transfer of merit, hoe-hyang, could be better understood. Through this paper, it is expected to increase a chance for interreligious dialogue between the two religions as it examines what one could learn from the other.

      • KCI등재후보

        기획 논문 : 유교문화 영향으로 인한 한국교회의 세속화와 목회자 나르시시즘

        원영재 ( Young Jae Won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9 기독교철학 Vol.8 No.-

        피터 버거(Peter L. Berger)는 세속화를 "사회 및 문화의 어떤 영역이 종교의 제도와 상징체계의 지배로부터 벗어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한국교회는 기독교를 수용한 이후 고난과 박해를 이겨내고 경제 발전과 더불어 놀라운 성장을 일구어냈다. 그러나 성장의 이면에 교회는 기독교의 원래 모습을 잃어버리고 인본적인 성향으로 흘러 세속화되어가고 있다. 한국교회의 세속화를 부추긴 요인 중의 하나로 유교문화를 꼽을 수 있다. 기독교가 한국에 들어오기 전부터 우리의 정신을 지배하고 있던 유교사상이 소멸되지 않은 채 기독교 문화에 그대로 스며들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이다. 유교의 가부장적이고 권위주의 문화는 교회의 세속화를 가중시키고 목회자 나르시시즘을 양산하였다. 세속화로 인해 교회는 종교적 기능을 상실하고 성장을 멈춘 채 침체의 위기를 맞이하게 되면서 더 이상의 그리스도의 문화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이다. 목회자의 나르시시즘은 구원자로 오신 예수그리스도를 진정으로 만나야 치유될 수 있다. 한국교회는 그리스도의 섬김과 포용의 정신, 비움의 신학을 성찰하여 통합의 길로 나아가 세속화에 대응하여야 한다. Peter L. Berger defined secularization as the process for a certain area of society and culture to free itself from the control of religious system and symbolic system. After accepting Christianity, Korean churches have overcome the hardship and persecution and grown tremendously along with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on the other side of the growth, Korean churches lost the original form of Christianity and became humanitarian and secularized. Confucian culture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factors causing the secularization of Korean churches. Confucianism that had controlled our mind before Christianity was introduced to Korea did not disappear but penetrated Christian culture and has influenced it. The patriarchal and authoritarian culture of Confucianism aggravated the secularization of churches and brought about the pastoral narcissism. Due to secularization, churches lost its religious function, stopped growth and faced with the crisis of stagnation. It is hard to find the culture of Christ any longer. The pastoral narcissism can be healed only when pastors truly meet Jesus Christ who came as Savior. Korean churches have to confront with the secularization, reflecting the service of Christ, the spirit of tolerance, and the theology of emptying and becoming integrated.

      • KCI등재후보

        기독교예술을 어떻게 정의하고 평가할 것인가

        최태연 ( Choi Tae Yon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9 기독교철학 Vol.27 No.-

        이 글에서 나는 기독교예술의 구체적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기독교예술을 어떻게 정의해야 하며 어떤 예술작품이 좋은 기독교예술인지를 평가하는 기준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말하자면 다분히 기독교미학적인 내용이다. 다시 말해서 제가 이 글에서 다룰 문제는 두 가지이다. 첫째는 기독교예술의 정의의 문제이다. 두 번째로는 기독교예술의 평가에 관한 문제이다. 기독교예술이 무엇인지를 정의하는 일은 기독교미학의 첫 번째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기독교예술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기독교예술의 내용과 범위가 달라지고 더 나아가서 기독교예술을 평가하는 기준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먼저 기독교예술을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겠다. 첫 번째로는 신학자 폴 틸리히(Paul Tillich)가 제안한 ‘상관관계의 방법’(method of correlation)이다. 이 방법은 어떤 예술작품의 작가가 크리스천인지 또는 작품의 주제가 기독교와 직접 관계된 것인지를 따지지 않는다. 틸리히에게 기독교의 내용들은 인간의 역사적이고 실존적인 문제와의 상관관계 속에서만 의미를 얻기 때문이다. 그에게는 비록 비기독교인이 그린 회화라고 할지라도 인간이 경험하는 실재의 ‘심층적 차원’을 표현했다면 그것은 ‘기독교적’ 예술이다. 틸리히는 이런 방식으로 예술을 규정하는 원리를 ‘프로테스탄트적’(protestant)이라고 생각했다. 이에 따라 기독교예술을 정의하면 기독교예술은 그 외연이 매우 넓어진다. 모든 예술작품이 기독교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당연히 이 정의가 내포하는 문제는 기독교와 비기독교의 경계가 없어진다는 점이다. 또 어떤 작품을 ‘심층적’이라고 해야 할지도 주관적일 가능성이 높다. 반면에 이 정의의 장점은 기독교미학이나 예술비평이 다룰 수 있는 예술의 범위가 매우 확장된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는 기독교 예술철학자 캘빈 시어벨트(Calvin Seerveld)가 제시한 정의이다. 그는 기독교예술이 다른 예술작품과 다른 이유가 그 작품에 담긴 기독교 신앙과 세계관의 차이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시어벨트는 기독교예술을 성령에 의해 인도되고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순종의 열매로서 산출된 예술이라고 규정한다. 따라서 시어벨트는 단순히 크리스천 화가에 의해 그려졌다고 해서 기독교예술이 아니라, 작품에 기독교적인 세계관이 담겨 있어야만 진정한 기독교예술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정의의 장점은 기독교예술을 명확하고도 진지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 정의는 기독교예술의 외연을 매우 축소시킨다. 또한 크리스천 예술가가 기독교세계관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작품을 만드는 경우 이 정의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그렇다면 두 가지 대립적인 기독교예술의 정의가운데서 어느 정의를 따를 것인가의 문제가 생겨난다. 여기서 나는 미국의 루터교 학자 진 에드워드 비스(Gene Edward Veith Jr.)가 제안한 방법인 어거스틴의 예술론을 통해 틸리히와 시어벨트를 중재하고자 시도한다. 비스에 따르면 어거스틴은 틸리히와 유사하게 하나님이 모든 미와 진리의 근원이므로 비기독교인 화가들의 작품에서도 기독교적 로고스를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동시에 어거스틴은 기독교신앙과 세계관에 부합되지 않는 문학이나 연극 작품 안에 있는 비기독교적인 요소들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따라서 어거스틴을 따라 기독교예술을 정의한다면 기독교예술 안에 두 가지 평가기준의 공존이 가능해 질 수 있다. 특히 비기독교예술가의 작품의 형식적 측면에서 기독교의 로고스를 찾아낼 수 있으며 기독교예술가의 작품에서는 그 내용과 기독교세계관적 함의를 아울러 평가할 수 있다. 이렇게 기독교예술을 폭넓게 정의한 다음에 나는 어떤 예술이 좋은 기독교예술이고 어떤 예술은 그렇지 않은지를 분간할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좋은 기독교예술 작품은 내용과 형식과 세계관에서 훌륭하며 기독교적이다. 반면에 나쁜, 즉 단지 존재만 하는 기독교예술 작품은 내용, 형식, 세계관에서 빈약하거나 왜곡되어 있다. 이런 나쁜 작품으로는 키치나 이데올로기에 물든 작품을 들 수 있다. 그러면 이 두 주제를 차례대로 검토해 보겠다. 한 가지 고려할 점은 여기서 기독교예술이라고 표현한 예술은 실제로는 ‘기독교미술’을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criteria for how to define Christian art and what works of art are good Christian art. There are two issues of Christian aesthetics. First, there is the definition of Christian art. Depending on how Christian art is defined, the content and scope of Christian art vary. First I compared the "method of correlation" proposed by the theologian Paul Tillich with the definition offered by the Christian art philosopher Calvin Seerveld. Tillich does not question which artist is Christian or whether the subject of the work is directly related to Christianity. For Tillich, even if it is a non-Christian painting, it is a "Christian" art if it expresses the "deep dimension" of the reality that humans experience. The advantage of this definition is that the scope of art that can be handled by Christian aesthetics or art criticism is greatly expanded. On the other hand, Seerveld says that not only is it painted by a Christian artist, but it is only true Christian art if the Christian worldview is contained in the work. The advantage of this definition is that it defines Christian art clearly and seriously. But this definition greatly reduces the appearance of Christian art. I present one alternative definition between these two opposing definitions of Christian art. That is how to mediate Tillich and Seerveld through Augustine's art theory, as suggested by American Lutheran scholar Gene Edward Veith. Augustine saw that, similar to Tillich, God is the source of all beauty and truth, so he could find Christian logos in the works of non-Christian artists. At the same time, Augustine harshly criticized non-Christian elements in literature or theater works, assessing whether the works conform to Christian beliefs and worldviews. Thus, if Christian art is defined along Augustine, there can be two definitions of coexistence within Christian art. Secondly, I presented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which art is good Christian art and which art is not. The evaluation standard of good Christian art is to look at art from as some aspects as possible, looking at form, content and worldview. That is, when the form, content and worldview are well harmonized with each other and integrated, the work can be said to be the best work. On the other hand, it is a bad Christian art when it is poor in form and content, like Kitsch, or influenced by a world view distorted by racial prejudice or ideology.

      • KCI등재후보

        윌리엄 베어드의 네비우스 방법에 의한 교육선교

        김영한 ( Yung Han Kim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1 기독교철학 Vol.12 No.-

        윌리엄 베어드는 네비우스 선교정책이 한국 실정에 맞다고 확신하면서 자전, 자치, 자립의 선교원칙을 한국교회 설립과 선교학교인 숭실운영에 적용하여 성공을 거둔 현장 선교사였다. 베어드는 교육선교에 있어서 에큐메니칼 신학의 선교방법이 아닌, 네비우스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는 사회적 제도와 기구를 통한 기독교 전파라는 방식이 아닌 먼저 토착교회 건립하고 다음에 교회성장에 상응하는 기독교 제도와 기구를 설립하고자 하였다. 베어드는 한국실험 (Korea Experiment)이라고 이름 붙인 한국 선교부의 벤처 프로젝트(venture project)를 한국 선교에 적용함으로써 이웃 중국이나 일본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한국 선교는 네비우스 선교방법의 실험장이었다. 한국 선교의 성공은 네비우스 선교방법의 현장적합성과 보편 적용가능성을 입증하는 것이었다. 그의 말년은 언더우드가 세운 서울의 연희전문과의 갈등으로 평양숭실의 교장직을 사임하는 등 어려움의 시기였다. 그는 숭실의 교육책임자의 직책을 벗어난 후에도 여전히 성경번역 등 교육선교 사업에 여생을 투신한 헌신적 선교사였다. 이러한 그의 위대한 헌신과 교육열과 기도가 오늘날 그가 기초를 닦은 서울의 숭실이 있게 한 것이다. William Baird, convincing that Nevius missionary policy is appropriate for Korean situation, was a field missionary who experienced success,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self-propagation, self-governing, self- independence for setting up the Korean church and Soonsil management. Baird applied not ecumenical method but Nevius method for educational mission. He, differently from the Christian propagation through social system and institute at first, set up the native church, next, Christian system and institute corresponding to it. He applied venture project called Korea Experiment for Korea mission. harvested a remarkable results which are not found in neibouring China and Japan. Korea mission was the experiment place of Nevius method. The success in Korea mission was to demonstrate the filed appropriateness and universal applicability. His late years was a difficult time in which he should resign from the presidency of Soonsil college due to the conflict with Yonhee college, Seoul Underwood founded. He was a dedicated missionary committed to the educational work such as Bible translation after getting out of the responsible positions of Soongsil. His great commitment, educational fever and prayer were what Soongsil today is for that he paved up the b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