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학분야에서의 베이지안 공간시간 모델링: 한국 A형 간염 자료

        최정순,Choi, Jungsoon 한국통계학회 2014 응용통계연구 Vol.27 No.6

        Bayesian spatiotemporal analysis is of considerable interest to epidemiological applications because health data is collected over space-time with complicated dependency structures. A basic concept in spatiotemporal modeling is introduced in this paper to analyze space-time disease data. The paper reviews a range of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s and analyzes Hepatitis A data in Korea. 역학 분야에서 질병 자료들은 종종 시간과 공간에 따라 축적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자료의 시간과 공간 상관성이 복잡한 경우가 존재한다. 이런 공간과 시간의 복잡한 상관구조 때문에, 질병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에 베이지안 공간시간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공간시간 상관성이 있는 질병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공간시간 모델링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을 소개하고, 베이지안 공간시간 모형들에 관해 소개하였다. 그리고, 국내 A형 간염 발생자 자료를 논문에서 소개된 통계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공간시간 모형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방식 탐색

        최정순(Jungsoon Choi),이승연(Seung-Yun L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2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은 교육과정 자체 뿐 아니라 그 교육과정에 반영된 사회 변화에 대한 교육적 대응을 이해하는 자료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 변화 분석과 더불어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기획자 및 설계자들은 차후의 교육과정 기획 및 설계의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미국사회과 교육과정이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도 그 흐름이 유사했던 만큼, 두 국가의 교육 과정을 조사하는 작업은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의 현재의 지평을 이해하고 미래의 방향을 기획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최근 들어 우리나라와 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이 비슷한 시기에 개정되었다는 점을 참고하여 두 나라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사회과 교육의 전반적인 요구사항을 찾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향점을 살펴보고 차후 국가수준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우선 세분화된 주제들과 관련하여 성취기준을 대강화하여 제시하기 보다는, 성취기준 기술 구성요소를 정하고 요소별 균형적 기술을 통해 교육 방향성을 명확히 제시를 해주는 것과 학문 영역의 구분보다는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영역 간 유기적 통합을 통해 내용의 불필요한 반복을 막음으로 사회 현상의 이해에 도움 되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A social studies curriculum reflects its society. An analysis of a social studies curriculum serves as the means of understanding changes in a society. Curriculum developers can use the information to revise and modify the curriculum proper for a changing society. Initially, the American social studies curriculum influenced the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Since then they have been developed separatedly. Interestingly the social studies curricula of countries was revised recently. Considering a social studies curriculum reflects social changes, the exploration of the recently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a of two countries may inform us about the current trends of social studie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how to develop social studies curriculum. Accordingly we compared the revised curricula of Korea and America and fou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m. Based on the results, the suggestions for better social studies curriculum are made. First,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curriculum should contain the component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Second, redundant contents across academic areas should be evaluated.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및 구조 분석

        최정순(Choi, Jungsoon),설규주(Seol, Kyu-J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2

        본 연구는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초·중학교(경제 영역) 성취기준을 텍스트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을 위해 텍스트 분석기법 중 하나인 체계기능언어학적 방법과 Bloom의 신목표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틀을 고안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성취기준의 학습 내용과 서술어와의 관계, 학습 도달점 진술 방식, 학습 내용 구조 및 학습량 등을 분석하여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경제 영역 성취기준의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성취기준 진술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은 사실적 지식이나 개념적 지식을 다루는 경우가 많으며, 서술어의 경우 학교급별로 자주 사용되는 동사가 어느 정도 정해져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성취기준 진술방식이 상이했으며, 학습 환경(언제, 어디서, 어떻게)에 해당하는 부분은 대부분 성취기준에서 생략되어 있었다. 학습 내용을 양적으로 측정하였을 때, 학교급 별로 성취기준 당 2~3개 정도의 학습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였으나, 단원을 기준으로 할 경우 초등학교에서 조금 더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성취기준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의 난이도의 경우 일부 초등학교 성취기준이 중학교 보다 다소 높거나 별 차이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우선 성취기준에서 진술하고 있는 학습 내용의 이해를 돕고, 학생들의 다양한 인지 활동을 담을 수 있도록 동사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진술 방식의 경우 학교급에 상관없이 학업 성취 도달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서술어로 진술될 필요가 있다. 성취수준에서 일반적으로 생략이 되어있는 학습 환경의 경우 교육과정에 문장형태로 기술되어있는 교수·학습방법을 체계화하여 기술해줌으로써 보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급에 맞게 경제 영역의 학습량과 내용 구조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제 영역내용을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내용을 분배하고 순서를 정리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conomics standards described in the 2009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ext analysis, in particular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 analysis and Bloom’s new taxonomy were used to build up a framework for social studies standard analysis. The framework consist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tent knowledge and predicate, description of achievement goal, content structure, and others. Our findings are following. First, the standards include a lot of factual knowledge and concepts and repeatedly use particular verbs. Second, one standard deals with two or three content knowledge in general but per one unit, elementary school deals with more content knowledge than middle school. Even sometimes some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standards is more difficult than middle school’s. Third, the terms related to when, where, and how were rarely included in the standards. Based o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clear statement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standards. First,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verb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what standards say and cover a wide range of cognitive thinking process. Speaking of how to write the standards, it is needed to use positive predicates in the way that students are able to reach the goals. Also, instructional method parts should be modified given that the standards in general do not include the terms related to when, where, and how. Last but not least, it is truly needed to re-evaluate and re-arranged economics’ contents based on appropriateness for students’ level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계획된 행동 이론을 중심으로

        최정순(Choi, Jungsoon),임수연(Yim, Su 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찾아보고 학습 읽기 지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 통제 요인과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에 대한 의도 및 행동과의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342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SPSS 19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과 요인 분석을 하였으며, Amos 19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델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관적 규범과 인지된 행동통제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태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교사가 학습 읽기 지도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더라도 외부의 압력이나 개인의 능력, 외적 자원이 충분하지 못할 때 읽기 학습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 다. 이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를 강화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factors influencing primary school teachers’ behaviour related to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in their social studies classes.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was used as a framework to predict teachers’ behaviour. The main factors of TPB were used in a survey: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ur control, behavioural intention, and behaviour for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classes. Survey responses from 342 primary schools teachers across the nation were used to test relationships of five factors. Principal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19. Confirmatory analysis with Amos 19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of this paper. Findings showed that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ur control were significant factors in influencing teacher’s intention to teach reading strategies in social studies classes. Attitude was not an significant factor in teachers’ intention although they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Perceived behaviour control influenced teachers’ behaviour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e findings imply that there should be systematic support to help teachers implemen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classes.

      • KCI등재

        중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실태 분석 - 인식론적 신념을 바탕으로

        최정순(Choi, Jungsoon),박은아(Park, Eunah)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경기지역 중학교 학생들의 인식론적 신념과 자기주도학습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중학교는 학생들의 인지능력, 판단능력, 문제해결력 등이 급속도로 발달하는 시기로, 자기주도학습의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학교 교육을 통해 형성된 인식론적 신념은 학생들의 학습 경향이나 학습 방법 등에 영향을 주므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설문 분석 결과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중간 정도에 속하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아지고 있으며, 인식론적 신념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권위자나 전문가 지식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을수록 인식론적 신념요소 중 학습노력/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기주도학습의 정도가 중간 집단의 경우 학습노력/과정과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를 통해 학년별·자기주도학습수준별 학습방법을 달리 구성하여 자기주도학습의 질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지식을 바라보는 시각의 다양성을 위해 교수·학습방법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또한 자기주도학습 요소 중 대인관계기술은 인식론적 신념의 구성요소와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주도적 학습과정에서 협업의 기회를 많이 제공하도록 한다. This study explores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in terms of epistemological beliefs using the survey method. Epistemological beliefs (i.e. personal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influence each other in that students tend to adopt learning strategies associated with their epistemological beliefs. In particular, the period of middle school is important to build up the found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because students start to think critically and behave independently. For this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e general patterns of epistemological beliefs, the current status of self-directed lear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relationships of both.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specific traits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high, middle, and low.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research proposed several ways of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 KCI등재

        왜도정규분포 기반의 측정오차모형

        허태영,최정순,박만식,Heo, Tae-Young,Choi, Jungsoon,Park, Man Sik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6

        본 연구에서는 정규분포 기반이 아닌 왜도정규분포 기반의 측정오차모형을 제시하고 단순선형회귀모형에서의 기울기 계수에 대하여 특성을 파악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측정오차모형에서 단순선형회귀모형에서의 기울기 계수의 과소추정 및 감쇠의 정도를 보였다. This study suggests a measurement error model based on skewed normal distribution instead of normal distribution to identify slope parameter properties in a simple liner regression model. We prove that the slope parameter in a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is underestimated.

      • KCI등재

        국내 철도 사상사고 분석 모형 연구

        박만식(Man-Sik Park),엄진기(Jinki Eom),최정순(Jungsoon Choi),허태영(Tae-Young Heo) 한국도시철도학회 2019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7 No.4

        철도 사고는 인명사고로 나타나는 빈도가 매우 낮은 특징이 있으므로 이러한 특징을 고려한 사고분석 모형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2014~2016) 발생한 철도사고 이력 자료를 기반으로 철도 사상사고 관련된 변수 등을 정의하고 사상자 및 사망자를 고려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철도사고는 인명피해를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기대 이상의 과도한 0값이 관측되고 있다. 따라서 영-과잉(zero inflation) 현상을 단순한 형태의 포아송회귀모형 대신 영-과잉 포아송회귀모형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사상자(casualities) 수의 경우 모형선택 기준의 관점에서 영-과잉 포아송회귀모형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사망자(fatalities) 수를 예측하기 위한 모형 비교에서 두 모형 간의 차이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철도사상사고 분석 모형 적용에 있어서 사상자와 사망자를 구분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railway casualities are rarely occurred so that the railway accident modeling needs to consider its low casuali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injuries and fatalities from railway accident record data collected for 3 years from 2014 to 2016. Many cases of the railway accidents with no injuries or fatalities were recorded. We developed the zero-inflated Poisson models to consider the excessive number of zero injury and fatality on many railway accidents. The zero-inflated Poisson models of casualities and fatalities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railway accident such as train type, organization, accident factor, and accident type. Then we addressed the model performance by comparing with the general Poisson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model of casualities is superior to general Poisson regression model, while the model for fatalities has no superiority against general 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railway accident models of casualities and fatalities should be separately developed.

      • KCI우수등재

        공간상관성을 고려한 회귀계수의 베이지안 군집모형을 이용한 국내 당뇨병 유병률 자료 분석

        홍소진(Sojin Hong),강다연(Dayun Kang),최정순(Jungsoon Choi)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8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9 No.3

        공간자료를 이용한 회귀모형에서는 공간적 상관성을 가지는 임의성분 (random component)을 추가하여 공간적 상관구조를 설명하며 회귀계수는 주어진 공간영역 (spatial domain) 내에서 고정되어 있다는 가정을 일반적으로 한다. 이는 비록 종속변수의 공간적 상관성은 설명이 되지만,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변수의 영향력이 지역마다 일정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공간자료의 특성상 회귀계수 자체가 공간상관성을 가질 수도 있고, 더불어 소지역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최근, Lawson 등 (2014)은 이러한 회귀계수에 대해 공간상관성을 고려한 이산 군집모형을 제안하고 암생존 자료에 적용하였다. 이때, 복잡한 공간 상관구조를 고려하기 위하여 베이지안 계층적 모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국내 252개 시군구별 당뇨병 유병률 자료에 대하여 처음으로 공간상관성을 고려한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나아가 회귀계수에 대한 공간상관성을 고려한 이산 군집화 모형을 적합하였다. 공간상관성을 고려하지 않은 모형을 비교모형으로 적합하여 제시한 모형의 성능을 비교분석 하였다. In spatial regression modeling, it is commonly assumed that spatial random components are considered to explain the spatial dependency structures and regression coefficient is constant over the entire spatial domain. However, the regression coefficient may have spatial dependency structures an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regions. Recently, Lawson et al. (2014) proposed Bayesian discrete clustering methods of spatially dependent regression coefficients and applied them to cancer survival dataset. Bayesian hierarchical approach was utilized to explain the complicated spatial dependent structures.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 the diabetes prevalence data for the entire 252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outh Korea in 2014 year using spatially-dependent regression coefficient clustering models.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patial models with the non-spatial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