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학분야에서의 베이지안 공간시간 모델링: 한국 A형 간염 자료

        최정순,Choi, Jungsoon 한국통계학회 2014 응용통계연구 Vol.27 No.6

        Bayesian spatiotemporal analysis is of considerable interest to epidemiological applications because health data is collected over space-time with complicated dependency structures. A basic concept in spatiotemporal modeling is introduced in this paper to analyze space-time disease data. The paper reviews a range of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s and analyzes Hepatitis A data in Korea. 역학 분야에서 질병 자료들은 종종 시간과 공간에 따라 축적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자료의 시간과 공간 상관성이 복잡한 경우가 존재한다. 이런 공간과 시간의 복잡한 상관구조 때문에, 질병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에 베이지안 공간시간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공간시간 상관성이 있는 질병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공간시간 모델링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을 소개하고, 베이지안 공간시간 모형들에 관해 소개하였다. 그리고, 국내 A형 간염 발생자 자료를 논문에서 소개된 통계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공간시간 모형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간적 연관구조를 고려한 총범죄 자료 분석

        최정순,박만식,원유복,김학열,허태영,Choi, Jung-Soon,Park, Man-Sik,Won, Yu-Bok,Kim, Hag-Yeol,Heo, Tae-Young 한국통계학회 2010 응용통계연구 Vol.23 No.2

        공간자료분석에서 공간적 상관성을 배제한 일반적인 회귀모형을 통한 모수 추정값들은 신뢰성의 문제가 지적 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자료의 상관성을 고려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일변량 조건부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베이지안 기법을 통하여 모수를 추정하고 공간상관성이 고려된 공간 가산자료모형과 고려되지 않은 일반 가산자료모형을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서울시의 25개 행정자치구별 총범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을 통하여 도시계획과 같은 국가 정책의 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Reliability of the estimation is usually damaged in the situation where a linear regression model without spatial dependencies is employed to the spatial data analysis.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 in order to construct spatial association structures and estimate the parameters via the Bayesian approaches. Finally, we compared the performances of the models with spatial effects and the ones without spatial effects. We analyzed the yearly total crime count data measured from each of 25 districts in Seoul, South Korea in 2007.

      • KCI등재

        이변량 조건부자기회귀모형을이용한강력범죄자료분석

        최정순,박만식,원유복,김학열,허태영,Choi, Jung-Soon,Park, Man-Sik,Won, Yu-Bok,Kim, Hag-Yeol,Heo, Tae-Young 한국통계학회 2010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5대 범죄중 사람의 생명과 신체에 심각한 위해를 가하는 강력범죄인 살인과 강도 범죄의 이변량 가산자료에 대해 이변량조건부자기회귀모형을 사용하여 공간상관성을 반영한 강력범죄모형을 제안하였다. 범죄자료와 같은 가산자료에 대한 과대산포 검정을 위해 우도비 검정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과대산포가 유의하지 않음에 따라 공간포아송모형을 이용하였다. 실증예제로 2007년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25개 자치구별 강력범죄자료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강력범죄 발생실태를 시각화하였으며 강력범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considered bivariate 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 taking into account spatial association as well as correlation between the two 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the counts of murder and burglary. We conducted likelihood ratio test for checking over-dispersion issues prior to applying spatial poisson models. For the real application, we used the annual counts of violent crimes at 25 districts of Seoul in 2007. The statistical results are visually illustrated by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 KCI등재

        한국어교재의 중국어 번역 출판, 무엇을 고려해야 하나?

        최정순 ( Choi Jeong Soon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3

        근대적 의미의 한국어교육은 1945년 해방 이후를 시작점으로 보고 있으며, 길지 않은 역사 속에서 한국어교육은 비약적인 발전을 해 왔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교육은 단순히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하나의 교과학으로서 ‘한국어교육학’을 성립시키고, 대학 및 대학원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발전하고 있다. 한국어교육의 발전 속에서 하위 여러 분야들 또한 발전하였지만 특히 교재 분야도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실제 1864년부터 2009년까지 개발 출판된 한국어교재는 3,400여권에 달한다. 다양한 교재들이 국가별로, 목적별로, 시기별로 다양한 특징을 지니면서 개발되고 출판되어 왔는데, 본 발표는 한국어교육용 교재 전반에 관한 것이 아니라 한국에서 한국어로 출판된 한국어교육용 교재의 중국어 번역본에 집중하여 다룰 것이다. 특히 중국어 번역이 제공되는 (혹은 중국어로 번역되어 제공되는) 경우 우리가 고려해야 하거나 지향해야 할 점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밝히고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그간의 한국어 교재 관련 연구사, 중국인 학자에 의한 문법 용어의 번역에 대한 연구사 등을 선행 연구로 정리 제시할 것이다. 특히 중국 현지 한국어교수들을 대상으로 중국 내 한국어 교재 사용에 관한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번역 교재 및 한국 출판 교재들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에 대해서 언급할 것이다. 끝으로 좋은 교재의 조건과 교재 평가의 기준으로서의 번역에 대해 짧게 언급하고, 한국 출판 교재의 중국어 번역 출판 교재의 현황을 조사하여 제시한다. 그리고 주요 번역 교재들의 분석을 통해 교재에서 보이는 어휘적, 문법적, 문화적 측면에서의 번역들에 대한 다양한 예시를 통해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이를 토대로 교재 번역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할 것이다. The modern concep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founded in 1945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Despite its short histor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de such a remarkable development over the years. In the proces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id not simply focus o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to foreigners. Instead, it also established a whole new department in Educational Linguistics Studies, which is being actively studied and developed everyday by researchers and students in college and graduate schools. Among the many successful subdivisions unde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extbooks have made an outstanding growth. From 1864 to 2009, there were more than 3,400 textbooks published. Various different textbooks were published for different purposes, in different countries, and in different languages. For today`s presentation,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Chinese transl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extbooks, which were written and published in Korean. The purpose of this presentation is to define and suggest any significant and preferable points to be considered in translation of Korean into Chinese. For this purpose, I will present the research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inese scholar`s research on translation of Chinese grammatical terms as preceding researches. In addition, I will also present the analysis of surveys given to the professo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on their use of textbooks to introduce their ideas on translated textbooks. Lastly, I will briefly mention about conditions for a good textbook and propose the evaluations of current Chinese translation in Korean textbooks. By using various examples from the major textbooks, I will point out the incorrect translations expressed in linguistic, grammatical, and cultural aspects. Based on these points, I will suggest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translating the textbooks into Chinese.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방식 탐색

        최정순(Jungsoon Choi),이승연(Seung-Yun L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2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은 교육과정 자체 뿐 아니라 그 교육과정에 반영된 사회 변화에 대한 교육적 대응을 이해하는 자료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 변화 분석과 더불어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기획자 및 설계자들은 차후의 교육과정 기획 및 설계의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미국사회과 교육과정이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도 그 흐름이 유사했던 만큼, 두 국가의 교육 과정을 조사하는 작업은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의 현재의 지평을 이해하고 미래의 방향을 기획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최근 들어 우리나라와 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이 비슷한 시기에 개정되었다는 점을 참고하여 두 나라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사회과 교육의 전반적인 요구사항을 찾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향점을 살펴보고 차후 국가수준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우선 세분화된 주제들과 관련하여 성취기준을 대강화하여 제시하기 보다는, 성취기준 기술 구성요소를 정하고 요소별 균형적 기술을 통해 교육 방향성을 명확히 제시를 해주는 것과 학문 영역의 구분보다는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영역 간 유기적 통합을 통해 내용의 불필요한 반복을 막음으로 사회 현상의 이해에 도움 되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A social studies curriculum reflects its society. An analysis of a social studies curriculum serves as the means of understanding changes in a society. Curriculum developers can use the information to revise and modify the curriculum proper for a changing society. Initially, the American social studies curriculum influenced the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Since then they have been developed separatedly. Interestingly the social studies curricula of countries was revised recently. Considering a social studies curriculum reflects social changes, the exploration of the recently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a of two countries may inform us about the current trends of social studie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how to develop social studies curriculum. Accordingly we compared the revised curricula of Korea and America and fou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m. Based on the results, the suggestions for better social studies curriculum are made. First,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curriculum should contain the component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Second, redundant contents across academic areas should be evaluated.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및 구조 분석

        최정순(Choi, Jungsoon),설규주(Seol, Kyu-J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2

        본 연구는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초·중학교(경제 영역) 성취기준을 텍스트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을 위해 텍스트 분석기법 중 하나인 체계기능언어학적 방법과 Bloom의 신목표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틀을 고안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성취기준의 학습 내용과 서술어와의 관계, 학습 도달점 진술 방식, 학습 내용 구조 및 학습량 등을 분석하여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경제 영역 성취기준의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성취기준 진술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은 사실적 지식이나 개념적 지식을 다루는 경우가 많으며, 서술어의 경우 학교급별로 자주 사용되는 동사가 어느 정도 정해져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성취기준 진술방식이 상이했으며, 학습 환경(언제, 어디서, 어떻게)에 해당하는 부분은 대부분 성취기준에서 생략되어 있었다. 학습 내용을 양적으로 측정하였을 때, 학교급 별로 성취기준 당 2~3개 정도의 학습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였으나, 단원을 기준으로 할 경우 초등학교에서 조금 더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성취기준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의 난이도의 경우 일부 초등학교 성취기준이 중학교 보다 다소 높거나 별 차이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우선 성취기준에서 진술하고 있는 학습 내용의 이해를 돕고, 학생들의 다양한 인지 활동을 담을 수 있도록 동사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진술 방식의 경우 학교급에 상관없이 학업 성취 도달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서술어로 진술될 필요가 있다. 성취수준에서 일반적으로 생략이 되어있는 학습 환경의 경우 교육과정에 문장형태로 기술되어있는 교수·학습방법을 체계화하여 기술해줌으로써 보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급에 맞게 경제 영역의 학습량과 내용 구조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제 영역내용을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내용을 분배하고 순서를 정리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conomics standards described in the 2009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ext analysis, in particular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 analysis and Bloom’s new taxonomy were used to build up a framework for social studies standard analysis. The framework consist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tent knowledge and predicate, description of achievement goal, content structure, and others. Our findings are following. First, the standards include a lot of factual knowledge and concepts and repeatedly use particular verbs. Second, one standard deals with two or three content knowledge in general but per one unit, elementary school deals with more content knowledge than middle school. Even sometimes some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standards is more difficult than middle school’s. Third, the terms related to when, where, and how were rarely included in the standards. Based o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clear statement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standards. First,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verb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what standards say and cover a wide range of cognitive thinking process. Speaking of how to write the standards, it is needed to use positive predicates in the way that students are able to reach the goals. Also, instructional method parts should be modified given that the standards in general do not include the terms related to when, where, and how. Last but not least, it is truly needed to re-evaluate and re-arranged economics’ contents based on appropriateness for students’ level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계획된 행동 이론을 중심으로

        최정순(Choi, Jungsoon),임수연(Yim, Su 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찾아보고 학습 읽기 지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 통제 요인과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에 대한 의도 및 행동과의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342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SPSS 19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과 요인 분석을 하였으며, Amos 19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델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관적 규범과 인지된 행동통제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태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교사가 학습 읽기 지도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더라도 외부의 압력이나 개인의 능력, 외적 자원이 충분하지 못할 때 읽기 학습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 다. 이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습 읽기 지도를 강화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factors influencing primary school teachers’ behaviour related to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in their social studies classes.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was used as a framework to predict teachers’ behaviour. The main factors of TPB were used in a survey: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ur control, behavioural intention, and behaviour for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classes. Survey responses from 342 primary schools teachers across the nation were used to test relationships of five factors. Principal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19. Confirmatory analysis with Amos 19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of this paper. Findings showed that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ur control were significant factors in influencing teacher’s intention to teach reading strategies in social studies classes. Attitude was not an significant factor in teachers’ intention although they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Perceived behaviour control influenced teachers’ behaviour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e findings imply that there should be systematic support to help teachers implemen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in social studies classes.

      • KCI등재

        중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실태 분석 - 인식론적 신념을 바탕으로

        최정순(Choi, Jungsoon),박은아(Park, Eunah)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경기지역 중학교 학생들의 인식론적 신념과 자기주도학습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중학교는 학생들의 인지능력, 판단능력, 문제해결력 등이 급속도로 발달하는 시기로, 자기주도학습의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학교 교육을 통해 형성된 인식론적 신념은 학생들의 학습 경향이나 학습 방법 등에 영향을 주므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설문 분석 결과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중간 정도에 속하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아지고 있으며, 인식론적 신념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권위자나 전문가 지식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을수록 인식론적 신념요소 중 학습노력/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기주도학습의 정도가 중간 집단의 경우 학습노력/과정과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를 통해 학년별·자기주도학습수준별 학습방법을 달리 구성하여 자기주도학습의 질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지식을 바라보는 시각의 다양성을 위해 교수·학습방법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또한 자기주도학습 요소 중 대인관계기술은 인식론적 신념의 구성요소와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주도적 학습과정에서 협업의 기회를 많이 제공하도록 한다. This study explores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in terms of epistemological beliefs using the survey method. Epistemological beliefs (i.e. personal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influence each other in that students tend to adopt learning strategies associated with their epistemological beliefs. In particular, the period of middle school is important to build up the found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because students start to think critically and behave independently. For this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e general patterns of epistemological beliefs, the current status of self-directed lear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relationships of both.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specific traits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high, middle, and low.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research proposed several ways of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 KCI등재

        역사 교육에 있어서 주제학습 방법론의 이론과 적용

        최정순 ( Jung Sun Choi ) 역사교육학회 2004 역사교육논집 Vol.32 No.-

        The studying with topics is the method that students can take the lead in class, and can know synthetically the mutual relation of historical facts. Because they can apply fragmentary knowledge to a topic. That method is distinguished from the studying with the theme which is extracted from inclusively, scientifically, and structurally important concepts. It means that students themselves select, and study something with historical value among topics they are interested in. The procedure of the studying with topics is firstly that teachers select a central topic among topics students decided in order to know the general historical feature. Secondly, students compose small topics on the basis of a central topic, and draw up the topic network Thirdly, they form a unit, and make a plan for the studying with topics. The studying with topics is required a close attention in a project. Because it means that together teachers with students should reconstitute a education substance, while subject education means that a education substance is already decided in accordance with units. The lesson hours is not fixed fifty minutes. Teachers should regard the total studying hours for some topics as a unit. They should give notice of a central topic to students before a week Only if it is that way, students can rehearsal. Teachers should inform students of a bibliography, a data, etc. It is effective that students utilize the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slide, movie, video, and OHP. It is desirable that teachers mark continually in class. The standard of an assessment is whether students achieve a subject with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r not. To form the positive self it should be graded and commented positively. To be effective the studying with topics, teachers should know a topic which students are concerned about, and are interested in. And they should research various studying methods, and should have a profound knowledge about all of the history.

      • 측정이 쉬운 센서와 머신러닝을 통한 자동차 주요 부품의 변형률 이력 예측 연구

        장동원(Dong-Won Jang),강종수(Jong-Su Kang),임재용(Jae-Yong Lim)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4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주요 부품의 변형률 이력을 예측하기 위해 측정하기 쉬운 휠포스트렌스듀서의 측정값과 머신 러닝을 이용하였다. 변형률 이력은 피로수명과 잔여수명을 계산하기 위한 중요한 값이다. 이전 연구들[1,2]과 다르게 실차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직접 변형률을 예측하였다. 변형률 이력을 예측하기 위해 8 종류의 성능시험장에서 자동차를 운전하며 변형률과 휠포스트렌스듀서의 값을 측정하였다. 예측을 위해 ANN 과 LSTM 두 가지 신경망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LSTM 이 더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8 종류의 성능 시험장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모두 학습한 인공지능이, 한 종류의 성능 시험장에서 측정된 데이터만 학습하여 특화된 인공지능보다 더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LSTM 은 80 개의 timesteps를 입력으로 받을 때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실제 변형률이 피크에 가까울 때 예측 값과의 오차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피크 값이 실제 데이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적어 적게 학습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험 데이터를 취득할 때 실제 발생하는 피크값보다 더 큰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면, 예측 결과를 더 높일 수 있다. In this study, neural network was trained to predict the strain at severe positions of automotive components with values from wheel force transducers(WFT) which is easy to install on both front wheels. Strain is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fatigue life and remaining useful life in a real environment. Data was measured when the automobile was driven on eight types of PGs. Two types of neural networks, LSTM network and ANN, were used and LSTM showed higher prediction accuracy. 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learned all the data generated from eight PGs showed higher prediction accuracy than the artificial intelligences that learned only specific PG. The accuracy according to the time steps of LSTM tended to be saturated at time steps as 80. When the actual strain is near the peak, the error occurs large, because a value in the range that would not have been learned or would have been learned less can be entered as an input. To prevent this, it is supposed to generate the learning data to have a peak value larger than the range that occurs in a re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