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요작물의 한발저항성에 관한 연구 제2보 맥류 유묘기의 수분부족이 질산환원효소 및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변화와 유리 Proline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

        최원열,민경수 한국작물학회 1982 한국작물학회지 Vol.27 No.1

        맥류의 한발저항성 반응과 정도 그리고 저항생리적 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발아후 10일된 유묘기(본엽 3매시)에 8일간 단수처리를 하여 질산환원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변화 그리고 proline축적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품종의 평균 감소율은 질산환원효소의 활성이 42%이였으며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은 73%였으며, 이에 반하여 proline은 대조구에 비하여 단수구가 무려 10배나 증가하였다. 2. 질산환원효소의 활성감소율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호맥 < 대맥 < 2조대맥ㆍ과맥의 순으로 소맥이 가장 낮았다. 3.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감소율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호맥 < 이조대맥 < 대맥 < 과맥의 순으로 소맥이 높고 과맥이 가장 낮았다. 4. 단수구의 proline의 축적색대량을 맥종별로 보면 소맥 < 대맥 < 호맥 < 과맥 < 이조대맥의 순으로 소맥과 대맥이 높았으며, 대조구에 대한 단수구의 증가비는 호맥(13배) > 소맥ㆍ대맥(11배) > 과맥(9배) > 이조대맥(7배)의 순으로 호맥이 가장 높았다. 5. 한발저항성 과정에서 효소적 및 생리적 대사작용의 관점에서 볼 때 소맥 > 호맥 > 대맥 > 과맥 > 이조대맥의 순으로 한발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In order to observe the degree and response of drought-resistance and its physiological mechanism in barley and wheat seedling stage, 5 species (16 cultivars) were tested for the changes of nitrate reductase and protease activity and the accumulation of free proline, by being subjected to water stress by withholding watering for 8 days at 10 days (at the 3rd leaf stage) after emergence and by imposing water stress to the excised first leaf by polyethyleneglycol solution (osmotic potential, -20 bars) for 48 hours. The average rate of decrease of all cultivars was 42% in nitrate reductase activity and 73% in protease activity. But proline content in water stress was increased 10 folds more than that of control. The decrease4 rate of nitrate reductase activity in 5 species was in the order of wheat < rye < covered barley < naked barley < two-row barley: wheat being the lowest. The decreased rate of protease activity in 5 species was in the order of wheat > rye > two-row barley > covered barley > naked barley: wheat being the" heighest. The accumulated amount of free proline in 5 species by water stress was in the order of wheat > covered barley > rye > naked barley > two-row barley. And the increased ratio (folds) of free proline of water stress to control was in the order of rye(13) > wheat. covered barley(11) > naked barley(99) > two-row barley(7): rye being the highest. In terms of the enzymatic activity and the physiotically adaptive metabolism during the processing leading to drought-resistance, the degree of drought-resistance of 5 species to water stress at seedling stage was shown to be in the order of wheat > rye > covered barley > naked barley > two-row barley.

      • KCI등재후보

        폐자로를 형성한 마이크로 플럭스게이트 자기 센서

        최원열,황준식,강명삼,최상언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2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9 No.3

        본 논문은 인쇄회로 기판 (PCB)에 내장된 마이크로 플럭스게이트 자기센서 (micro fluxgate magnetic sensor)에 대한 것으로써, 센서의 제작과 폐자로 형성에 따른 자계 검출 특성 변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자성 코아를 사각링 형태와 두개의 바 (bar)형태로 각각 구현하였다. 제작을 위해 모두 5층의 기판을 적층하였으며, 가운데 (3번째) 기판을 자성체 코아로, 자성체 코아 외부 (2번째와 4번째) 기판을 여자코일로, 최외부 (1번째와 5번째) 기판을 검출코일로 제작하였다. 연자성 코아로는 약 100,000의 큰 DC 투자율 (permeability)을 갖는 코발트 (Co)가 주성분인 아몰퍼스 재료를 사용하였으며, 여자코일과 검출코일은 구리를 사용하였다. 제작된 자기센서는 여자조건이 360 KHz, $3V_{p-p}$의 구형파일 경우에 사각링 형태의 연자성 코아를 갖는 자기센서에서는 540V/T로 매우 우수한 감도를 보이고 있으며, -100 $\mu$T~+100 $\mu$T 영역에서 매우 우수한 선형특성을 보이고 있다. 자기 센서의 크기는 $7.3 \times 5.7\textrm{mm}^2$ 이며, 소비전력은 약 8 mW이다. 이런 초소형 자기센서는 휴대용 navigation 시스템, telematics, VR 게임기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micro fluxgate magnetic sensor in printed circuit board (PCB).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the closed magnetic path, the magnetic cores of rectangular-ring and two bars were each fabricated. Each fluxgate sensor consists of five PCB stack layers including one layer magnetic core and four layers of excitation and pick-up coils. The center layer as a magnetic core is made of a Co-based amorphous magnetic ribbon with extremely high DC permeability of ~100,000. Four outer layers as an excitation and pick-up coils have a planar solenoid and are made of copper foil. In case of the fluxgate sensor having the rectangular-ring shaped core, excellent linear response over the range of -100 $\mu$T to + 100 $\mu$T is obtained with 540 V/Tsensitivity at excitation square wave of 3 $V_{p-p}$ and 360 KHz. The chip size of the fabricated sensing element is $7.3 \times 5.7\textrm{mm}^2$. The very low power consumption of ~8 mW was measured. This magnetic sensor is very useful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portable navigation systems, telematics, VR game and so on.n.

      • 南部地方 春作馬鈴著栽培에 있어서 B995處理가 生育 및 收量에 미치는 影響

        崔元烈 全南大學校 農漁村開發硏究所 1975 農業科學技術硏究 Vol.9 No.-

        生育期間이 比較的 짧은 南部平野地帶에서의 春作馬鈴薯栽培에 있어서 矮化劑 B995 處理가 馬鈴薯의 生育 및 塊??收量 等에 미치는 影響을 究明하고자 本 實驗을 實施하였던 바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莖長은 B995 無撒布區(37.3cm)보다 B995 撒布區가 4.7∼14.7cm(13∼39%) 短縮되었다. 2. 主莖葉數는 B995 無撒布區와 B995 撒布區가 差異가 없었다. 3. 莖葉重은 B995 無撒布區에 比하여 B995 撒布區는 8∼23%가 적어 地上部 生育抑制에 效果的이었다. 4. B995 無撒布區의 T/R率(57%)보다 B995 撒布區의 T/R率(44∼50%)이 顯著히 낮았다. 5. 地下部 및 地上部의 總生産量은 B995 無撒布區와 B995 撒布區가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生育初期인 發芽 2週 後 B995 撒布區만이 6∼9%가 減少하였다. 結果的으로 B995 撒布가 總生産量에 크게 影響을 주지 못하였다. 6. 株當塊莖數는 B995 無撒布區(10.3倜) 보다 B995 撒布區가 9∼37% 많았다. 7. 塊莖重은 B995 無撒布區(2,107kg/10a)에 比하여 發芽 4週 後 B995 2,000ppm 撒布區가 10%增收되었다. 8. 塊莖의 크기는 B995 無撒布區보다 B995 撒布區가 大塊莖率이 낮고 中型 또는 中小型 塊莖率은 훨씬 높기 때문에 種薯生産을 爲한 栽培에 有效하리라고 思料된다. 9. 南部地方의 春作馬鈴薯栽培에 있어서 生育과 塊莖의 大小 및 塊莖收量面에서 볼 때 矮化劑 B995의 撒布適期는 發芽 後 4週頃이며 適定撒布溫度는 2,000ppm이 效果的이라고 思料된다. 끝으로 本 試驗을 遂行함에 있어서 始終 指導하여 주신 全南大學校 農科大學 尹象鉉 敎授任께 深甚한 謝意를 表하는 바이다. The effect of Growth Retardant, B995(Succinic acid 2,2-dimethyl hydrazide) on the growth and yield of potato cultivated in spring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wher the period suitable for tuber development is not so long as in the northern mountain region, was investigated. This experiment was carried ?? on the experiment farm of Agricultural Colleg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uring 1974.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B995 application was effective to reduce the stem length by 4.7-14.7cm (13-39%) compared with control(37.3cm). 2. The number of leaves per main stem was not influenced by B995 treatment. 3. B995 was so effective to retard the above-ground part growth that the fresh weight of stem and leaves was reduced by 8-23 per c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4. Top to root ratio(57%) of plants sprayed with B99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44-50%). 5. In general, there was no difference in total weight of whole plant between the treated and untreated, except the plants treated with B995 2 weeks after emergence where the total weight was decreased by 6-9 per cent. 6. Number of tubers per plant was increased by 9-37 per cent compared with the control(10.3). 7. Application of 2,000ppm B995 4 weeks after emergence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 total yield of tubers by 10 per c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8. The distribution of tuber size was concetrated around the medium size by B995 treatment, therefore, B995-spraying is considered especially desirable in seed potato production. 9. Taking the plant growth and tuber size together with total yield of tubers into account, the optimum time and concentration for B995 spraying to potato grown in spring in southern part of Korea, are 4 weeks after emergence and 2,000ppm respectively.

      • KCI등재

        대 . 소맥에 있어서 저온 및 수분부족에 의한 유리 Prolie의 축적

        최원열,아스피날돈,Won-Yul Choi,Don Aspinall 한국작물학회 1979 한국작물학회지 Vol.24 No.1

        대.소맥에 대한 유리 Proline 축적의 온도범위, 장기저온처리의 경향, 저온과 수분부족에 있어서 광의재생의 여부 및 수종의 식물에 대한 종간 및 종내의 변이 등 일련의 반응생리와 축적기작에 대한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맥은 8$^{\circ}C$나 그 이하의 온도에서 축적되나 소맥은 12$^{\circ}C$나 그 이하의 온도에서 Proline을 축적하였다. 2. 대.소맥에 있어서 신장억제온도와 Proline을 축적하기 시작하는 온도는 거의 일치하였다. 3. 엽절편을 5$^{\circ}C$의 저온에 둔 것은 29일 생존하였으며 그동안 Proline을 축적하였으나 2$0^{\circ}C$에 둔 것은 13일 밖에 생존하지 못하였으며 그 동안 축적은 없었다. 4. 완전식물체엽과 엽절편 공히 5$^{\circ}C$의 저온에 서의 축적은 광의재생이였다. 5. 광의재생은 Proline의 생합성을 위한 전구물질의 급여로는 대체될 수 없었다. 6. 수분부족에 의한 Proline 축적은 2$0^{\circ}C$에서는 광의재생이 아니였으나 5$^{\circ}C$에서는 광의재생이였다. 7. 저온과 수분부족에 대한 종간 및 종내의 축적변이는 높은 편이였다. 그러나 수분부족이 저온에 대한 변이보다 높았다. 8. 저온과 수분부족에 의한 Proline 축적의 기작은 상당히 상이한 것 같다. In order to find the physiology of responess In order to find the physiology of responses and mechanisms of the actumlation of free proline at low temperatures and water stress. the temperature range, the effect of prolonged exposure to low temperatures, the light-dependence of proline accumulation in barl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wheat. Proline accumulation at 5\circ C without water stress was shown to be light-dependent. Proline accumulation by water stress was not light-dependent at 2$0^{\circ}C$ but at 5$^{\circ}C$.

      • KCI등재

        대맥한발저항성 기작에 관한 생리적 및 생화학적 연구

        최원열,김용환 한국작물학회 1983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28 No.4

        영업생장말기, 수잉기, 출수개화기, 그리고 등숙초기의 네가지 주요한 생육기에 처리한 수분부족이 상위 3엽의 엽록소, 단백질유리 Proline과 상대팽압도의 변화와 몇가지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과맥품종인 백동을 공시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분부족처리에서 엽위별로 보면 지엽하위 1엽이 가장 높은 상대팽압도를 유지하여 엽록소와 단백질이 함량이 많았고, 유리Proline의 축적은 가장 적었다. 또한 생육기별로 보면 엽록소는 출수개화기에, 단백질은 수일기의 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유리Proline은 수잉기의 처리에서 그 축적이 가장 낮았다. 2. 간장, 수장, 수당입수는 수잉기의 수분부족처리에서 감소영향이 가장 컸으며 천립중은 등숙초기에서, 그리고 종실의 크기는 수잉기와 그 이후 처리에서 가장 많이 감소되었다. 3. 종실의 단백질함량은 수분부족에 의해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등숙초기에서 약간 감소한 경향이었다. 4. 불임율은 또한 수잉기와 출수개화기의 수분부족에서 심한 증가현상을 나타냈다. 5. 전반적으로 볼 때 생육단계별로는 수잉기에서, 그리고 엽위별로는 지엽 > 지엽하위 1엽 > 지엽하위 2엽의 순으로 수분부족의 영향이 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 of the drought on the changes of chlorophyll, protein and proline content of upper three leaves, and the grain yield components of barley plant (CV. baegdong) subjected to water stress at four stages: late vegetative, boot, anthesis early grain filling. 1. In comparison with leaf posititions in water stress, the first leaf below flag leaf maintained the highest relative turgidity, chlorophyll and protein content and showed the least proline accumulation. And, in terms of growth stages in water stress, chlorophyll was shown to be highest at anthesis stage, protein being highest at boot stage and proline being least at boot stage. 2. In boot stages, culm and spike length, and Number of grains per spike were remarkably decreased. And the weight of 1000 grains was at least level in the early grain filling stage, and also the grain size was comparatively decreased at boot and two following stages. 3. The protein content of grain by water stress, apart from early grain filling stage,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water stress at different growth stages. 4. The rate of sterility was particularly increased at boot and anthesis stages. 5. It was eventually concluded that the boot stage among four growth stages, and the flag leaf in 3 leaf positions were mostly damaged by water stress at reproductive growth stage.

      • KCI등재

        건조열 처리가 녹두종피의 불투수성 타파에 미치는 영향

        최원열,백형진,이야성,박금룡,윤문섭,김행훈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1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3 No.3

        건조열 처리에 의한 종피불투수성 타파의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해 남평녹두, 금성녹두, 전남5호 등 3가지 녹두품종을 공시하여 종피의 불투수성 타파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처리온도와 시간에 따른 수분함량의 변화는 1시간 처리에서는 수분함량이 10%내외였으나, 8시간 처리에서는 6∼9%이고 24시간 처리에서는 4∼6%로 유지 되었다. 2. 공시재료의 경실종자의 비율은 대조구에서 20∼40%였으나 60℃, 70℃, 80℃처리에서 모두 종실의 불투수성이 타파되었으나 온도가 상승할수록 비정상 유묘의 비율과 발아하지 않는 종자의 비율이 급격히 상승하여 고온처리에서는 발아에 지장들 초래하였다. 3. 발아율은 침지후 32시간이전까지는 대조구가 처리구에 비해 발아율이 높으나 그 이후에는 처리구에서 발아율이 월등히 높았다. 4. 발아되지 않는 종자의 비율은 60℃와 70℃에서는 낮으나 80℃에서는 급격히 증가하였고 처리시간에 따른 발아는 1시간과 8시간처리에서는 발아되지 않는 종자의 비율이 낮으나 24시간 처리에서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5. 발아에 소요되는 평균 발아기간은 60℃, 1시간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단축되고 8시간, 24시간 처리에서는 지연되며 70℃, 80℃처리에서도 지연되었으며 발아속도계수도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 KCI등재

        대맥 개화기의 수분부족이 생장 및 등숙에 미치는 영향

        崔元烈 韓國作物學會 1980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25 No.3

        대맥(Hordeum distichum L., cv. Prior)을 자연상태에서 Pot 재배하여 개화전에 Growth Chamber에 옮긴 직후 계속관수한 것(적정수분)과 7 일간 단수후 재관수한 것(일시적 수분부족)을 7일 간격으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의 단수에서 경중과 근중은 모두 계속관수보다 심히 감소하였고 경중보다는 근중의 감소가 더욱 심하게 나타났다. 2. 개화기의 단수에서 일수당입중은 개화기 7~14일 사이에서는 계속관수보다 증가하나 등숙말기에서는 계속관수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개화기의 단수에서 제기관의 상대평가도는 종실을 제외한 다른 기관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수분손실의 정도는 상위절간 > 지엽신 > 수 > 종실의 순으로 컸다. 4. 개화기의 단수한 구에서 제2절간의 건물중은 상위절간보다 훨씬 감소하였다. 5. 개화기의 단수는 각 기관 공히 진정광합성이 감소하였다. 재관수의한 진정광합성의 회복상태를 보면 지엽신과 상위절은 등숙말기까지도 계속관수의 수준에 미달하였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water stress at anthesis on the grain maturation and to interpret the immediate and resulting growth response in barley. The dry weight of root, stem, internode, flag leaf and grain under water stress was remarkably more reduced than that under no-water stress, respectively. Water stressed plants had heavier grain dry weight during 7.14 days after water stress than that under no-water stress, but this early response was reversed significantly in the later period. The relative turgidity of organs except grain under water stress was severely lowered than that under no-water stress. The net photosynthsis by rewatering after water stress had been kept at the lower level than that under no-water stress ti1l the late maturation.

      • KCI등재

        PCB 기판에 내장된 마이크로 플럭스게이트 센서

        최원열,황준식,강명삼,최상언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5 No.8

        This paper presents a micro fluxgate sensor in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fluxgate sensor consists of five PCB stack layers including one layer magnetic core and four layers of excitation and pick-up coils. The center layer as a magnetic core is made of a micro patterned amorphous magnetic ribbon and the core has a rectangular-ring shape. The amorphous magnetic core is easily saturated due to the low coercive field and closed magnetic path for the excitation field. Four outer layers as an excitation and pick-up coils have a planar solenoid structure. The chip size of the fabricated sensing element is 7.3$\times$5.7$\textrm{mm}^2$. Excellent linear response over the range of -100$\mu$T to +100$\mu$T is obtained with 540V/T sensitivity at excitation square wave of 3 $V_{p-p}$ and 360kHz. The very low power consumption of ~8mW was measured. This magnetic sensing element, which measures the lower fields than 50$\mu$T, is very useful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portable navigation systems, military research, medical research, and space research.h.

      • KCI등재

        보리 출수기 염처리가 수량 및 지잎의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최원열,김영민,박종환 韓國作物學會 2002 한국작물학회지 Vol.47 No.6

        본 시험에서는 원형 포트에 재배한 맥류(피맥 2품종, 과맥 2품종)의 염(NaCl, MgSO4 )을 도별(0, 60, 120, 180mM)로 출수기에 10일 동안 처리하여 출수기의 내염성 정도와 이에 수반된 몇 가지 대사물질의 변화와 수량구성요소의 변이를 조사하여 재배법개선, 그리고 내염성이 큰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염류간의 비교에서 수수, 간장, 일수립수, 그리고 수량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건경중과 천립중에서는 염종류간 차이가 있어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MgSO4 보다 NaCl에서 높았다. 지엽의 조사에서는 엽록소와 유리 proline이 유의성이 있었는데, 엽록소는 NaCl 보다 MgSO4 에서 높았으나 유리 proline 축적은 MgSO4 보다 NaCl에서 높았다. 농도간 비교에서는 모든 조사항목이 유의성이 있어서 농도간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중실수량을 포함한 모든 항목이 전반적으로 저농도에서 높고 고농도일수록 낮았다. 지엽의 조사항목에서도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농도증가에 따라 생건비는 증가하는 경향이지만 상대팽압도와 엽록소는 상당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유리 proline 함량은 대조적으로 농도증가에 따라 축적량이 증가되었는데 대조에 비하여 많으면 10배까지 증가되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생식생장기의 생육단계에서 유리 proline축적이 많으며 수량구성요소와 종실수량의 감소가 적은 백동이나 동보리1호가 상대적으로 내염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출수기의 염 stress는 생육장해가 커 수량감소를 초래하므로 이시기의 관리가 중요하다고 하겠다포장 출수기, 성숙기는 결빙방지 단백질의 농도, 광합성의 광저해에 대한 내성, 포장 내동성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등숙기간은 각 형질들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was "glossy and smooth" in all cases and preference about the texture was high. The Doenjang with added P. japonica Powder had a saltier taste and the Doenjang with P. japonica Powder had the least sweet taste. In th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the Doenjang with P. japonica powder was the lowestEX>로 측정되었고, 계사내 지붕의 표면 온도는 최고 29℃ 가 측정되었다. 계사 내 표면 온도 및 닭의 표면 온도는 계사내 공기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ill in a good agreement with those predicted by Rohsenow's formula, which was based on nucleate boiling. For the condenser, the wall temperatures were practically uniform, and the measured values of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were 1.7 times higher than the predicted values obtained from Nusselt's film condensation theory on tilt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on salt injury and different responses among cultivars in winter barley (Hordeum vulgare L.). Salts did not affect yield components including number of panicles, stem length, grain number per ear and grain yield while reduced stem dry weight and thousand seed weight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salt from 60 to 180 mM. NaCl had less injury effect on barley straw dry weight and thousand seed weight than did MgSO4 . Chlorophyll content and relative turgidity in flag leaf were reduced when treated with both salts, while free proline in the salt-treated leaf was increased. Content of proline in salt-treated barley was about 10 folds compared to the control. Based on yield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traits of flag leaf, the tolerance to salt injury was the greatest in Baegdong, followed by Dongbori#1, Mogpo#55, and Gangbori. The results suggested that salt- stressed barley at reproductive stage had higher free proline content, and that special management in this stage must be considered because salt stress at heading stage affect flag leaf growth as well as yield components Harmfu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