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韓國人 糖尿病患者의 疫學的 硏究 : -서울大醫大附屬病院의 1,010 例를 中心으로-

        崔佑吉 서울大學校 保健大學院 1969 公衆保健雜誌 Vol.6 No.1

        An Epidemiological study was carried on diabetic patients registered in "Diabetic Clinic"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1956~1957. In conjuction of distribution, dynamics and laboratory findings was investigated toward the cases. The study disclosed the following facts: 1. Sex ratio was 221(M) : 100(F). 2. The average age of registered cases was 49.2±10.9 yea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exes. 3. The average age of the onset was 46.5±10.3 years and there was no obvious difference between two sexes. 4. Average duration from the onset to registration was 3 years. 5. Most cases registered were born in Seoul and the others had birth-place throughout the nation. 6. 57.6% of the cases lived in Seoul at the time of registration, and in 63.6% they inhabited in the area of Chongno-ku, Sungbuk-ku, Dongdaemun-ku and Songdong-ku. 7. Most cases had occupation which needed less physical activity. Female cases had no occupation in 61.7%. 8. 14.7% of the cases had history of pulmonary tuberculosis, 14.5% of typhoid fever, 12.3% of steroids abuse. 9. 22.6% of the cases had been treated before registration. 10. The maximum body weight of the cases before the onset was overweighted as 18.4% of the ideal body weight and as 24.2% of the body weight at the time of registration in males, and as 15.6% and 13.0% in females(p<0.003) 11. It was state by the patients that 10.1% of cases had diabetic blood-relatives. 12. Etiologically contributing factors stated were obsity, heredity, abuse of steroids, in 27.4%, 10.1% and 5.6%. It was impossible, however, to identify contributing factors in 49.3% of the cases. 13. 61.6% of the cases dignosed within 6 months after initial subjective symptoms. 14. Early subjective symptoms were thrist, neuralgia and sensory changes, general weakness and fatigue, polyphagia and polyuria, in 62.6%, 41.3%, 33.5% and 30.5% 15. The frequent complications were dental disese in 17.6%, retinopathy in 12.7%, and pulmonary tuberculosis in 12.0%, 16. 17.4% of the cases had no symptoms at the time of diagnosis. 17. The hospital incidence of diabetes mellitu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as 2.2 per 1,000 regiestered patients during the study period. 18. Sensitively of ?? was 63.7% in fasting state and 99.6% in 2 hours postprandial urine sugar. 19. The blood-sugar level showed increasing tendency along the age(unimodal pattern) and it revealed obvious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r=0.124, p<0.0027)

      • Building ‘Northeast Asian Community’: Some Proposals of NGOs of Korean Diaspora

        최우길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06 평화학연구 Vol.7 No.2

        This paper is not designed to study on Korean diaspora in major countries, but to introduce the emergence of new identity among some Koreans in Japan and in China. Some NGOs, which are mainly organized by overseas Koreans or work for them, propose a new suggestion of ‘Northeast Asian Community.’ This paper focuses on searching for schemes to building Northeast Asian Community of NGOs of Korean Diaspora in Northeast Asia. Following this, it discusses on Northeast Asian Community and Korean Diaspora and analyzes not only the Common House of Northeast Asia by Japanese Intellectuals but also the experiences of Korean minority in China. Moreover, it emphasizes that Korea and China and Japan will write how to make a common history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schemes to building Northeast Asian Community as follows. First, 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for instance, to systemize or regularize the 6 party talks) is urgently needed. Second, a common understanding of history is recommended. Third, the process of economic cooperation (such as establishing FTA) must be accelerated. Fourth, not only the cooperation of national and governmental levels, but also the coordination of civil society of each country (such as NGOs) are necessary. This paper is not designed to study on Korean diaspora in major countries, but to introduce the emergence of new identity among some Koreans in Japan and in China. Some NGOs, which are mainly organized by overseas Koreans or work for them, propose a new suggestion of ‘Northeast Asian Community.’ This paper focuses on searching for schemes to building Northeast Asian Community of NGOs of Korean Diaspora in Northeast Asia. Following this, it discusses on Northeast Asian Community and Korean Diaspora and analyzes not only the Common House of Northeast Asia by Japanese Intellectuals but also the experiences of Korean minority in China. Moreover, it emphasizes that Korea and China and Japan will write how to make a common history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schemes to building Northeast Asian Community as follows. First, 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for instance, to systemize or regularize the 6 party talks) is urgently needed. Second, a common understanding of history is recommended. Third, the process of economic cooperation (such as establishing FTA) must be accelerated. Fourth, not only the cooperation of national and governmental levels, but also the coordination of civil society of each country (such as NGOs) are necessary.

      • KCI등재후보

        제6장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 통일환경의 변화에 따른 통일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최우길,윤황 한국통일전략학회 2010 통일전략 Vol.10 No.3

        This thesis is designed to find out desirable direc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in changing environment after the embarkment of Lee Myung Bak's government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phase of tough confrontation and that of moderate groping have come to appear alternately. The periods of March 2008 to March 2009, November 2009, March 2010 to mid-September 2010, and mid-November 2010 to these days are defined as the phase of tough confrontation. The periods of April to December 2009, mid-September to mid-November 2010 are estimated as the phase of moderate groping.. Secondly,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in East Asia are fluctuating with many factors such as history and territorial conflicts between China and Japan, unification issues of two Koreas and Chinas, and northern(North Korea-China-R ussia) and southern(South Korea-Japan-U.S.A.) triangle conflictual relations. One of the major problem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is region is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recognition of nuclear status of North Korea turns out to be one of the most disputing problems in this region. As the unpredictability of recent political situation in North Korea is on the rise, it becomes a hot issue how to manage the changeable condition in the northern half of Korean Peninsula. To make things worse, the competing structure of two superpowers of U.S.A. and China put higher the unstability of this region and arms race are aggravating. Thirdly,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Lee Myung Bak's government should put emphasis on peaceful unification and division overcoming based on the principles of national integration and completion of unified Korea.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be characterized to be non-partisan in its direction and interdisciplinary in its contents.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peaceful, division-overcoming and national integra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would comprise all aspects of human activitie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instruction, psychology, arts, athletics, and religion. In conclusion, National unifi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reconcilia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including overseas Koreans' cooperation. Unification education of South Korea should not put stress on differences, but search for commonalities of different governments. 이 글의 연구목적은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 통일환경의 변화에 따른 통일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의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한반도와 동북아 및 세계 차원에서 통일환경의 변화를 고찰하고, 그에 기초하여 이명박 정부의 통일교육에 관한 내용체계와 관련된 통일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요약ㆍ정리된다. 첫째, 한반도 차원의 통일환경 변화에서 남북관계는 김대중-노무현 정부에 비해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 전반적으로 ‘화해협력’보다 ‘강경대결’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동북아 및 세계 차원의 통일환경 변화에서는 일본과 중국의 역사분쟁과 영토분쟁문제, 중국과 남ㆍ북한의 분단문제, 한-미-일 남방 3각 대(對) 북-중-러(소) 북방 3각의 대립구도문제, 미해결된 북한 핵문제와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여부문제, 북한의 예측불가능한 정세 변화문제와 북한의 관리여부문제, 미국과 중국의 세계패권 경쟁구도문제, 동북아의 군비경쟁문제 등이 불안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이런 통일환경의 급변에 따라 우리 정부의 통일교육에 대한 기본방향은 민족통합, 통일코리아 달성의 교육목표 하에 평화통일교육과 분단극복교육의 내용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기본방향 하에 한국정부의 통일교육은 어느 한 정권과 정파의 이해관계를 떠나 기본적으로 평화통일교육과 분단극복교육의 민족통합교육으로 나아가는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체계를 갖고 학제적 접근(interdisciplinary approach)의 교육방향성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셋째, 결론적으로 우리 정부는 통일환경의 변화에 따라 효과적인 통일교육의 방향을 체제우위적 접근에서 평화공존적 접근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화된 남북정상회담 이후의 방향성에 기초하여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보았다. 즉 통일교육은 과거 정부와의 차별성보다 공통성을 발전시켜 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결론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노트> 청진(淸津) 개항과 일본인의 활동 : 아사오카 시게키(淺岡重喜)의 삶을 중심으로

        최우길 한일관계사학회 2022 한일관계사연구 Vol.78 No.-

        이 글의 주인공은 아사오카 시게키(淺岡重喜, 1879~1940)이다. 아사오카는 기후현(岐阜縣) 출신으로, 1901년 부산에 진출하여 무역업을 하다가, 1904년 러일전쟁 종군기자로 참전하였고, 1906년 12월 북선(北鮮)의 개발에 착안하여 청진으로 진출하였다. 이 글은 아사오카 시게키의 자서전 『사적 불평(私的不平)』을 세밀히 읽으면서, ‘제국의 브로커’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아사오카는 청진에 이주하여, 개항운동을 진행하면서 신문사를 설립하고 일본인회를 조직하여 회장을 역임하는 한편, 경성의 총독부와 도쿄 제국의회를 찾아다니면서 일본해항로개설운동 등을 전개하였다. 또한 청진에서 전기 및 운송사업, 토지구입 및 부동산 사업 등에 종사하였다. 그는 유곽이전을 둘러싼 개발 사업을 둘러싸고 헌병대 및 검찰과의 시비에 휘말려 1년 가까이 옥고를 치른 후 청진생활을 정리하고, 경성(京城)에서 회사생활을 하다가, 1916년 8월 일본으로 귀국, 종교인이 되었다. 이 연구는, 아사오카라는 일본인 사업가가 청진에서의 경험을 쓴 『사적 불평(私的不平)』을 통해, 청진의 개항과 식민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아사오카는 일본의 조선 진출 초기 대표적인 ‘제국의 브로커’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아사오카의 경험을 통해, 조선에 진출한 일본인 사회 모습의 단면, 지방 헌병대와 민간사업가의 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임오군란 직후 淸종군인사들의 조선 내정 개혁안 새 자료 『三籌合存』독해를 중심으로

        최우길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39 No.-

        『三籌合存』은 1882년 7월 임오군란 당시 영접관이었던 石菱 金昌熙(1844∼ 1890)가 엮은 책이다. 『三籌合存』는 이제까지 그 제목만 알려져 있고 그 구체적 인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던, 장건의 「조선선후육책」과 이연호의 「조선부강팔의」를 담고 있다. 『삼주합존』에는 또한 장건과 이연호의 취지에 따라, 김창희가 지은 「善 後六策補」, 「富强八議補」, 「六策八議再補」가 함께 실려 있다. 이 논문은 새 자 료인 장건의 「조선선후육책(六策)」과 이연호의 「조선부강팔의(八議)」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삼주합존』은 임오군란이라는 변란의 와중에서, 조선의 젊은 관리 김창희가, 청의 지사인 장건과 이연호를 만나 나눈 정책적 대화록이다. 장건과 이연호는 공 히 조선의 內修自强을 충고하고 있다. 장건은 조선의 시급책으로 인심소통, 인재 등용, 청렴관리, 재정확보, 군제개혁, 국방강화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연호는 재 정확충, 광산개발, 개간사업, 시장발전, 해군강화, 군제정비, 교육강화, 인재양성 등을 조언하고 있다. 두 사람의 제언에 따라 작성된 김창희의 경세책이 현실정치 에서는 적용되지 못하였다. 동아시아 격동기, 세계관 충돌의 시기에, 양국의 젊은 지식인들이 글로 나눈 정치적 대화는 그 자체로 큰 의미가 있다. 『Samjoohabjon』 was a book of collected papers edited by Kim Changhee(1844∼ 1890), a governmental official of Chosun Dynasty, who was responsible for receiving the army of Qing Dynasty during Imogunran period in 1882. 『Samjoohabjon』includes 「Six Policies for Chosun Dynasty(朝鮮善後六策)」 of Zhang Jian(張謇) and 「Eight Suggestions for a rich and powerful Chosun(朝鮮富强八議)」 of Li Yan Hu(李延祜). These two thesis were known just by their titles, not by their contents. This article is designed to introduce their detailed contents for the first time in public. Samjoohabjon is a recollection of conversation record between Kim Chang-hee, a young and conscious bureaucrat of Chosun, and Zhan Jian and Li Yan Hu, two major responsible officials of the Qing army in Korea. Zhang and Li suggested domestic reformation and strenuous effort for regeneration. Zhang proposed getting public support, appointing competent persons, rectifying bureaucrats, securing finance, reforming army system, and strengthening national defence. Li suggested securing finance, developing mines, reclaiming land, progressing market, building up navy, rectifying army system, reforming education, and fostering talented youth. Kim Chang-hee made out a reformation plan, but could not apply it to the tough reality of the late Chosun. The policy conversation of conscious officials of two dynasties has significant meaning in itself.

      • KCI등재

        디아스포라의 자아인식과 글쓰기 -중국조선족 작가 김용식, 허련순, 금희를 중심으로-

        최우길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5 No.-

        This article is designed to understand some approaches of writing on one's trouble of identity among Korean novelists in China. The three authors treated are Kim Yongsik, Hoe Ryunsoon, and Kumhee. In his history novels, Kim has tried to find out some examples of harmonious relations between China and Korea to justify his own existence in-between. Hoe describes the conflictual feelings of Korean Chinese (Joseonjok) who have visited South Korea in 1990s. Kumhee, as one of the young eminent author in her generation, depicts complicated and sophisticated sentiments of nomadic Joseonjok in the wave of urbaniz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ir community. Three writers succeeded in describing their worry and meaning of existence as Joseonjok in different ways. 이 글은 중국 조선족의 작가, 김용식, 허련순, 금화를 통하여 두 세계의 만남을 고찰하였다. 김용식은 역사소설을 통하여 중국과 한국의 밀접한 관계를 이야기하였다. 조선족이라는 중간자로서 두 세계의 관계가 순조롭기를 바라는 바람이 있었을 것이다. 그는 한반도의 역사를 중국 조선족의 상상력으로 재해석하였는데, 나름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허련순은 조선족의 정체성을 다룬 세 편의 장편소설을 통해 1990년대 이후 두 세계의 만남, 파탄과 비극, 갈등과 화해를 그리고 있다. 결국 자신의 고통을 객관화하고 타자에 대한 이해와 관용의 자세를 가지는 것이 자기 자신, 그리고 두 세계를 화해로 이끄는 길임을 제시하고 있다. 금화는 한국 북한 중국 조선족 등 다양한 개인 및 집단들의 관계, 중국 동북 농촌사회 및 풍경과 삶의 격변, 복합적인 정체성의 등장, 사회주의 시장경제 및 자본주의 물결에 휩쓸리는 노마드 군상 등 다양한 주제들을 세련된 한글로 형상화하고 있다. 중국 조선족 작가들은 디아스포라로서 자신이 처한 시대와 환경에 따라, 스스로의 모습과 느낌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중국과 한반도, 그리고 지금은 동아시아와 세계에 유랑하고 정착하면서 독특한 감정의 세계를 구축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중관계와 조선족 문제 : 최근 중국에서의 논의와 한국정부의 선택을 중심으로

        최우길 在外韓人學會 2003 在外韓人硏究 Vol.13 No.1

        조선족문제는 한·중관계에서 가히 '뜨거운 감자' 라 부를 만하다. 이 글은 조선족문제의 내용을 서술하면서, 한국 정부의 대응을 논의하였다. 조선족은 한국과 관계를 맺으면서, '중국의 조선족'으로 자기정체성을 확인하게 된다. 조선족 사회가 겪고 있는 위기와 정체성에 대한 의문은 상당 부분 '한국바람' 의 영향이었다. 한국 정부의 정책적 혼선이 그 위기를 방조한 측면이 있다. 이른바 재외동포법 논란은 한국정부의 재외동포에 대한 인식부족과 전략부재를 보여주었다. 중국정부는 최근 '중화민족' 을 내세우면서, 소수민족에 대한 '중국에의 일체감'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2002년 이후 연변에서 '3관교양사업' (올바른 조국관·민족관·역사관)으로 나타나고 있다. 조선족이 한반도와 연결되는 민속적 감정을 유지하면서 중국의 공민으로서 한반도와 중국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한국은 '새로운 세기, 동북아 공동의 집' 을 건설하는 데, 조선족 사회가 건강한 매개자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한국 정부는 조선족 문제와 관련, 중국 정부와 상호이해를 도모하면서,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정책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understand the problem of Korean minority in China in the context of the Sino-Korean relations. From Chinese perspective, Korean minority are 'Chinese citizen and Zhonghua minzu (Chinese people).1 In Korean viewpoint, they are the main part of 'overseas Koreans.' The Korean minority in China has developed a dual identity as both ethnic Koreans and Chinese nationals. Since the normalization of Sino-Korean foreign relations in 1992,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worried about the appearance of Korean nationalism or pro-South Korean sentiments among the Korean community in China. However, the South Korean impact on the Korean Chinese has reinforced their identity as a Korean minority and Chinese nationals. The fluctuations of Korean policy towards them and the dispute over 'the law concerning overseas Koreans' in Korea has alienated Korean Chinese from South Korea. Today, the issue of Korean minority in China seems to a 'hot potato' between the two governments. It would be advisable for China and South Korea to understand each other, exchange their viewpoints, and find a better way concerning the issue of Korean minority in Chin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