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외한인연구의 동향과 과제

        윤인진 在外韓人學會 2010 在外韓人硏究 Vol.21 No.-

        본 논문은 국내에서 출판되었거나 간행되었던 재외한인 관련 문헌들을 검색하고 분석하여 재외한인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기존 연구의 문제점 또는 한계점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 (www.riss4u.net)에 등록된 석박사 학위논문들과 전문학술지 논문들을 대상으로 재외한인 관련 검색어를 사용해서 검색하고, 출판연도, 학문분야, 주제어, 동포집단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통계분석과 내용분석을 통해 재외한인연구의 특성과 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외한인연구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나 1990 년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활성화되었다. 1960~1970년대에는 재일한인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고, 1980년대에는 재미한인에 관한 연구가 활발했고, 1990년대부터는 조선족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었다. 특히 국내에 체류하는 조선족에 대한 연구는 다문화연구의 시각에서도 진행되어 재외한인연구의 경계를 확장하였다. 하지만 중앙아시아와 러시아, 유럽, 남미, 오대양 지역의 재외한인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미하여 지역 간 불균형이 심하다. 앞으로 재외한인 연구가 발전하려면 선행연구가 미진한 지역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활동이 필요하며, 다양한 분야의 재외한인연구자들 간의 소통과 학제 간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교육, 신학, 문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재외한인연구의 영역을 끌어들이는 ‘아웃리치’(outreach)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and analyzing the literature on Koreans abroad published in South Korea, finding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studies of Koreans abroad, diagnosing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and exploring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I reviewed dissertation theses and articles of professional journals on Koreans abroad listed in the database of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www.riss4u.net) and examined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studies of Koreans abroad by using statistical analyses and content analyses. Results show that studies of Koreans abroad began in the 1960s and began to flourish in the 1990s. Koreans in Japan were the main target of research focus in the 1960-70s,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received big attention in the 1980s, and Koreans in China, commonly called Chosunjok, began to be studied extensively in the 1990s. Expecially the Chosunjok in South Korea in South Korea are studied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studies, expanding the boundary of studies of Koreans abroad. Studies on Koreans in Central Asia and Russia, Europe, Latin America, and Oceania, however, are very limited and thus the regional imbalance in research outcomes is serious. To develop studies of Koreans abroad further, we need to conduct active research on Koreans abroad in regions that have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invigorate communication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among scholars in various research fields, and expand the outreach to scholars in fields of education, theological and mission studies, and literature who have not been active members of studies of Koreans abroad.

      • KCI등재후보

        사회조사방법을 통한 재외한인연구

        윤인진 在外韓人學會 2004 在外韓人硏究 Vol.16 No.-

        The study of overseas Koreans is a systematic and empirical scholarly study about overseas Koreans. Because of its comprehensive and multi-disciplinary nature, it requires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thus an integrated approach that synthesizes qual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is desirable. The study of overseas Koreans can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but in this article I focus on social research methods, especially survey methods, as a useful methodology for the study of overseas Koreans. As I review critically existing literature of overseas Koreans, I find that current research methods have the problems of the low degree of representation of research findings due to the use of non-probability samples, the low level of comparability of research findings, the lack of standardized measurements and indices, the low level of analysis that remains at a level of descriptive statistics, the use of improper question items, and the intervention of a researcher's values in his or her study. To ameliorate these problems, we need to collect scientific and probabilistic samples, conduct comparable inter-country surveys by using the same research tools, develop value-neutral and reliable and valid question items, integrat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o use reliable secondary data of government and private research institutions of foreign countries. 재외한인연구는 해외에 거주하는 한인에 관한 체계적이고 경험적인 학술연구이다. 재외한인연구는 학문 특성상 종합적이고 다 학문적 접근을 필요로 하고 방법론적으로 현지연구와 비교연구의 특성을 갖는다. 이런 이유로 재외한인연구를 위한 연구방법은 특정연구방법에 편중하기보다는 다양한 연구방법들을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는 열린 자세가 필요하다. 재외한인연구는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적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사회조사방법, 특히 서베이조사를 통한 재외한인연구 방법론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기존의 재외한인 관련 사회조사방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 대체로 비 확률표본 사용에 의한 대표성 결여, 비교 가능성 결여, 표준화된 척도 부재, 기술통계 수준의 분석, 부적절한 질문 문항 연구자들의 주관적 가치관 개입 등의 문제들을 안고 있다. 이런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과학적, 확률표집을 시도하고, 국제간 비교 가능한 서베이조사를 실시하고, 표준화된 척도를 개발하고, 가치중립적이고 신뢰도와 타당도 높은 질문 문항을 개발하고,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통합을 추구하고, 외국의 공신력 있는 정부 또는 민간기관의 2차 자료를 적극 활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호주한인동포 : 그 역사와 정체성

        양명득 在外韓人學會 2005 在外韓人硏究 Vol.17 No.-

        올해 2006년 초 호주 시드니한인회를 중심으로 호주한인이민사 편찬위원회가 발족되어 본격적인 집필 작업에 들어갔다. 과거에도 호주한인이민사를 정리하려는 시도가 몇 번 있었지만 결과가 없던 차에 이번에는 내년 중순 발간을 목표로 각 집필자들이 주어진 분야에 따라 자료수집과 글 쓰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호주 한인사를 쓰려고 할 때 제일 먼저 편찬위원회에 당면한 질문은 언제부터 한인동포가 호주에 살기 시작했느냐는 시기설정이다. 한국에서 처음 호주를 방문한 한국인을 기준으로 포괄적인 역사를 쓴다면 '호주한인사'가 되겠고, 한국에서 정식 이민비자를 받아 영주목적으로 호주로 이주한 한인을 기준으로 하면 '호주한인이민사로' 말할 수 있겠다. 사실 지난 2004년 시드니의 한 예술단체가 '호주이민30년기념공연회' 를 오페라하우스에 개최하였는데 이민30년이란 타이틀이 한인사회 내에 여러 논쟁을 야기 시켰다. 시드니에 첫 한인교회가 세워진 년도를 기준으로 30년이란 숫자가 산술되었지만 그 전에 호주에 온 한인들을 고려하지 못한데서 온 결과였다. 결국 그 공연은 '이민30년'이란 타이틀이 빠진 상태로 진행되었었다. 이 글은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호주 한인사를 염두에 두고 호주한인사회의 주요한 연도와 사건을 간략하게 기술하고, 그 정착과정을 통해 한인들의 정체성이 어떻게 유지되거나 형성되어 왔는가를 다루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사회통합과 재외동포, 이원화된 정책과 인식

        김영란 재외한인학회 2013 在外韓人硏究 Vol.31 No.-

        In the 21st century, each nation has been competing for attracting outstanding foreign work force and their oversea nationals. Korea has been attempting to invite foreign workers as well as oversea Koreans by enacting Overseas Korean Act in 1999 and Working Visit Act in 2007. The number of oversea Koreans are estimated to be 185,000 in 2004 and increased up to 544,455 in 2013. Oversea Koreans live in different regions and are under different labor conditions depending on their migration period. Under Overseas Korean Act, oversea Koreans from advanced countries such as USA or Canada are able to enter and depart Korea without restrictions and the rate of employment in specialized professions is high. Under the Working Visit Act, oversea Koreans from China or from the former Soviet bloc nations are subject to restrictions in entry and departure and the rate of employment in low-paid jobs such as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service industry is high in order to protect domestic labor market. Every oversea Korean, therefore, do not have equal status and legal rights. 21세기 각 국가들은 외국우수인력을 유치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여왔는데, 이와 더불어 해외에 거주하는 동포들도 유입시키기 시작하였다. 한국도 외국의 인력유치와 함께 1999년 재외동포법, 2007년 방문취업제 등 재외동포 관련법을 제정하였고 이에 따라 재외동포를 유입시키기 시작하였다. 현재 재외동포는 2004년 185,000명에서 2013년 544,455명에 이른다. 한국의 재외동포는 이주시기에 따라 거주지역이 다르며 노동의 위치도 다른 상황에 있다. 즉 미국, 캐나다 등 선진국 거주 출신의 동포는 재외동포법이 적용되어 출입국이 자유롭고 국내에서 전문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다. 반면 방문취업제에 따라야 하는, 중국 및 구소련지역 출신 동포들은 단순노무인력 특히 제조업, 건설업, 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은데다가 국내노동시장보호라는 명목으로 출입국에 제한을 받고 있다. 이렇듯 실제로 모든 재외동포가 한국에서 동등한 권리와 지위를 갖는 것은 아니다. 또 내국국민도 재외동포의 거주국에 따라 차별적인 태도를 보이는 등, 이러한 이중적인 태도는 중국 및 구소련지역 재외동포들이 모국사회에 적응하는 데 커다란 장애요인이 되며, 재외동포에 대한 차별화된 정책은 사회통합에 역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 주요한 인력으로서 재외동포에 대한 모국사회에서의 적응도와 사회통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우선 재외동포 관련 정책과 법을 통해 재외동포 간 차별화된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내국국민의 재외동포에 대한 이중적인 인식 및 태도를 분석하고 재외동포의 모국사회에 대한 인식을 고찰한 후, 이를 기반으로 향후 재외동포의 적응과 사회통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 KCI등재후보

        ‘재외동포기본법’ 제정에 관한 연구

        이승우 재외한인학회 2022 在外韓人硏究 Vol.58 No.-

        Since ‘the Foundation Act on Overseas Koreans’ in 1997, the relevant laws have been enacted and revised, and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have been engaged in many activities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overseas Koreans. The government plans to expand Korean language,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strengthen Korean network by region, field, and generation, improve domestic employment and investment support systems for high-tech future industries, and strengthen ties with overseas adoptee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basic direction of the overseas Koreans policy in the existing legislation of ‘the Basic Act on Overseas Koreans’ by ruling and opposition lawmakers, so there will be no difficulty in enacting ‘the Basic Act on Overseas Koreans’. With the current law alone, there is a limit to the promotion of overseas Korean policies to promote rights and stability in overseas Korean residents and in the Republic of Korea.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verseas Koreans-related polic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Overseas Koreans office" dedicated to overseas Koreans-related affairs, and to unify and manage the rights and stability of overseas Koreans and other efficient overseas Koreans 1997년 「재외동포재단법」에 의하여 재외동포재단이 설립된 이후 관련법이 제정되고 개정되면서 정부와 민간이 재외동포들의 권익보호를 위하여 많은 활동을 해왔으나 소관 행정 각부 사무의 중복과 충돌, 정부 예산 중복투자로 인한 비효율성, 위탁 사무에 의한 관리 등이 문제되어 왔다. 정부는 재외동포정책으로 ‘재외동포 권익 신장을 위한 실질적 정책 추진’을 위하여 재외동포의 한국어, 국사, 문화 교육을 확대하고 지역·분야·세대별 한민족네트워크를 강화하며, 첨단 미래산업 분야에 대한 재외동포의 국내 취업 및 투자지원 관련 제도 정비 그리고 해외 입양 동포의 모국과의 유대 강화 등을 주요 사업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는 기존 여야 의원의 ‘재외동포기본법’ 입법안의 재외동포정책의 기본방향과 일치한다. 재외동포들은 현행 법률과 제도 만으로는 재외동포거주국과 대한민국 내에서의 권익증진과 안정적 정착을 위한 재외동포정책의 추진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재외동포 관련 정책수행의 한계를 타파하기 위하여 관련 법제를 개선해야 한다. 보다 효율적인 재외동포 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재외동포 관련 사무를전담하는 ‘재외동포청’을 신설하고, 각종 재외동포 관련 법과 제도개선을 위한 특별법의 근간이 되는 기본원칙, 재외동포의 권익증진과 생활안정 및 기타 효율적인재외동포정책을 통일되게 추진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재외동포기본법’ 제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재외한인의 재외선거 참여 활성화에 관한 연구

        김재기 재외한인학회 2020 在外韓人硏究 Vol.50 No.-

        This paper seeks to promote participation in overseas elections. A high abstention rate in the 90 percent range is because the political suffrage, which is a nature right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s a citizen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complicated as institutional, political and personal factors. It conducted a survey of overseas voters who abstained from the last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2016 on how to boost their participation in overseas elections.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voting system should be brought in overseas elections. Second, the postal ballot should be introduced. Third, the expansion of overseas polling stations is needed. Fourth, short-term residents, who are not permanent residents, should be required to participate in parliamentary elections in their constituencies along with proportional representation votes since they have their addresses in Korea. Fifth, the law on national referendums, which is unconstitutional, should be swiftly revised to ensure the voting rights of overseas Koreans in important matters of the country, including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 is planned for April 15, 2020. The 21st National Assembly should promote to revitalize overseas elections by reforming laws and institutions. 이 논문은 재외선거 ‘기권요인’에 대한 연구(2018) 이후 후속 논문으로, 재외한인들의 기권요인 분석을 토대로 재외선거 참여 활성화를 모색해 보고자 하는 논문이다. 재외선거권은 거주국의 시민권자를 제외한 영주권을 갖은 재외국민과 단기체류자에게 헌법상 부여된 참정권이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헌법이 보장한 고유한 권리인 정치적 참정권이 제도적 정치적 개인적 정치지향점 들이 복잡하게 얽혀 90%대의 높은 기권율을 보이고있다. 지금까지 4회에 걸쳐 실시된 재외선거 참여율이 낮다고 이 제도를 폐지할 수는 없다. 이 연구는 지난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기권한 북미지역 유권자 174명을 대상으로 재외선거 참여 활성화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설문조사 결과는 첫째, 재외선거에 인터넷투표를 허용하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우편투표제를 도입하기 바란다. 셋째, 투표소의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영주권자가 아닌 단기체류자들은 한국에 주소가 있기때문에 비례대표 투표와 함께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위헌상태인 국민투표법을 신속하게 개정하여 헌법 개정 등 국가의 중요한 일에 대해 재외국민들의 투표권을 보장해야 한다. 2020년 4월 15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가 예정되어 있다. 제21대 국회에서 재외선거 관련법과 제도를 개선하려면 높은 등록률과 투표율이 요구된다. 제21대 국회에서 법과 제도 개선을 통해 재외선거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일본정부의 재일외국인정책과 재일한인청소년의 민족적 정체성의 변화에 관한 고찰 : 1990년대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태기 在外韓人學會 2007 在外韓人硏究 Vol.18 No.-

        한국정부의 무관심, 민족단체의 분열, 동포 간 교류 부족, 일본사회의 차별 등에 의해 재일한인청소년의 재일한인사회로부터의 이탈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재일한인청소년은 여전히 정체성의 확립에 혼란을 겪고 있다.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 문제가 제기 되었던 재일한인의 민족적 정체성이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물론 1990년대 이후 일본사회의 재일한인에 대한 시각이 많이 변화하였다. 또한 그간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올라가고 사회도 많이 발전하였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재일한인 청소년은 각자가 활동하는 범주에서 각자의 민족적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가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 정부 및 일본사회는 여전히 재일한인에 대하여 차별적이며, 과거 억압의 역사에 대한 반성도 부족한 상황이다. 즉 평등한 공존을 추구하기에는 여전히 일본사회는 민족적으로 폐쇄적이다. 한국정부와 사회도 많이 변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재일한인의 역사와 현실에 대하여 모른다. 재일한인의 민족단체도 재일한인의 구심점으로서 역할을 해야하는 중요한 시기이나, 여전히 분열되어 있다. 재일한인 청소년이 어떠한 정체성을 가지고 사느냐 하는 것은 그들이 선택하는 것이고 또한 그들의 권리이다. 하지만 정체성의 혼란으로 한민족의 외연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일본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재일한인 청소년의 정체성의 확립에는 민족교육과 다양한 동포 간 네트워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재일한인청소년은 한국의 또래 청소년과 다양한 교류를 희망하고 있다. 이들 과제에 대한 관심을 보다 심각하게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사회의 재일한인에 대한 이해도 시급한 과제이다. 일본의 다수민족인 일본인도 이(異)민족인 한인과의 건전한 공생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일본이라는 국가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억압의 역사에 대한 진정한 반성을 통해 평등한 공생관계를 유지하기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desertion of Korean juveniles living in Japan from Korean society in Japan are being accelerated due to the disinterest of Korean government, the disunion of national organizations, the lack of exchanges among Korean residents and discrimination of Japanese society. In this situation, Korean juveniles in Japan are being confused to establish their identities. The problem regarding national identity of Korean residents living in Japan, which has been a serious problem since mid 1970s, is still remaining as a problem.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thoughts of Japanese society towards Korean residents living in Japan after 1990s.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rise in international standing of Korea and society has developed as well. In this change of society, Korean juveniles living in Japan are trying to live with national identities in their range of activities. However, Japanese government and society are still discriminating Korean residents and they lack historical remorse about their history of oppression. That is, Japanese society is still closed in a national aspect as to pursue an equal coexistence. The Korean government and society have changed a lot but they still do not know about the history and real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Mutual understanding cannot exist in such circumstances. It is time for national organization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o play a pivotal role but they are still being disunited. The national identity with which Korean juveniles in Japan live is totally up to their decisions and it is their rights. However, it is not advisable for the extension of a nation to be shortened due to the confusion in national identity. This is also not desirable for the Japanese society to be developed in a sound manner. The establishment of identities of Korean juveniles living in Japan significantly depends on national education and various networks between Korean residents. The Korean juveniles in Japan are hoping to have diverse exchanges with Korean juveniles at their ages. It is important to take a serious look at these tasks. Moreover, Korean society's understanding about Korean residents in Japan is also an imminent task. Japanese people which are the major ethnic group in Japan are aware tha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sound relationship with Koreans for national development of Japan. To do so, it is necessary for them to feel serious remorse for their history of oppression and try to maintain an equal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