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정보공개 정책네트워크의 변화 분석

        최선향(Choi, Sun Hyang),류민영(Ryu Min-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교육주체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두고 교육정보공개 정책네트워크가 어떻게 변화 하는지 그 구성원, 통합성, 자원, 권력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 ‘교 육정보공개’키워드로 검색된 11년간의 주요 10대 일간지 신문기사 11,018건 중 직접 관련된 기사 1,754건을 수집하여 상호작용이 드러난 기사 820건을 최종 분석하였고 그 결과 학교교 육의 절대적인 교육주체라 할 수 있는 학부모와 교사는 정책네트워크 참여 행위가 극히 미약 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성원수가 다수이며 통합성이 높은 2007년~2008년, 2010년에도 중심참 여주체 5순위내에 해당하지 못하였고, 통합성이 매우 낮은 2013년에도 구조적틈새에 위치한 5순위내에 해당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선행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학부모와 교사의 의견수렴을 통하여 시차적인 공개 정보 적용으로 교육정보공개 정책평가 및 환류시스템이 작 동되어야 하겠다. "Special legislation regarding the disclosure of relevant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is suggested by Li Juho Senator has reached the current with conflict and cooperation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on April 30, 2007. This study focuses on educational subjects' interaction and looks into its changing of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policy networks through its members, integrity, resources and powers. From 2005 to 2015, out of the 1,574 articles I analyzed, 820 cases had interaction, which is founded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on the 11,018 articles of the 10 major daily newspapers. The result is below parents and teachers who are called absolute education leaders had a very weak participation on the policy network activity. In 2007, 2008 and 2010 many members that have high interaction didn't rank 5 on central participation subject. Furthermore in 2013 people that have low interaction and structural gap didn't rank 5 either. As the pre institute result support,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policy evaluation system and exchanged system will be operated through their opinion collecting and Information disclosure application gradually.

      • KCI등재

        맞춤식보육의 제공 실태와 개선방안

        최선화(Choi Sun-Wha),고순생(Ko Soon-Sae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7

        맞춤식보육이란 보육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에 맞추어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에는 이를 ‘취약보육’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맞춤식 복지정책’을 표방하고 있는 이명박 정부에서는 기존의 취약보육 형태를 ‘맞춤식보육’이라고 재명명하여 부르고 있으며, 최근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맞춤식보육을 더욱 더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 보육현장에서 제공되고 있는 맞춤식보육서비스는 여성의 사회?경제적 활동 지원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에 초점을 맞추다보니 실제적으로 보육의 일차적 수요자인 아동의 복지는 간과하고, 여성과 양육자의 편의에 초점이 맞추어져 실시되고 있어 ‘아동복지 최우선’이라는 아동권리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맞춤식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시간 연장보육시설과 장애통합보육시설 및 영아보육시설에 대한 심층조사와 보육시설 종사자, 아동 보호자에 대한 면접 및 설문조사 실시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맞춤식보육서비스 제공 실태의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The Customized Child Care Program is to offer child care service to meet diverse needs of child, "the client". Currently there are Extended-hour Child Care Program, 24-hour Child Care Program and the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popularized customized Child Care Program. But this Customized Child Care Program served in Child Care field in reality has overlooked the welfare of the primary user, child. On the contrary, it has focused on the convenience of the secondary user, mothers and rearers. Given in view of child's right, the priority of child's well-being, it includes various problem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find out child care status and the problems in operating childcare facilities and to research the improvement and the revitalization method through the in-depth survey and the interview with child care workers.

      • 마이스터고의 비교과 영역(동아리) 운영사례

        최선한(Sun han Choi)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1

        학교내에서 진행되는 동아리 활동은 크게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와 자율동아리로 나뉜다. 이 중 본교에서 자율동아리를 운영 하는 방법인 전공동아리의 운영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마이스터고는 일반학교와 달리 대학진학이 아닌 취업 100%를 목표로 하는 학교이기에 운영방침은 입시를 위한 자율동아리가 아닌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것으로 중심을 잡아 진행하고 있다. 이에 1년에 한 개의 자율동아리만 기재할 수 있는 생활기록부 규칙을 벗어나 생활기록부 기록중심이 아닌 원하는 전공에 따라 자유롭게 결성 및 해체가 가능한 자율동아리 운영시스템을 만들었으며 이 규칙에 따라 1년간 15개의 동아리들이 운영되었다. 각 전공동아리는 크게 게임개발 프로그래밍, 게임 리소스(그림, 음악) 제작, 게임기획의 3가지 분야로 개설되었으며 추가적으로 이 모든 것을 하나의 동아리에서 진행하는 게임개발 관련 동아리도 개설하였다. 전공동아리는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운영되었다. 첫째. 학년 구분없이 전공동아리를 결성하도록 하였으며 구심점이 되는 동아리의 기장학생이 함께 학습하길 원하는 주제를 설정하고 학생을 모집함. 둘째. 모든 동아리는 분기별로 평가를 받으며 평가 결과에 따라 우수할 때 시상을 하고 미흡할때는 전공동아리를 해체함. 해체 후 전공동아리에 들어가지 못한 학생들의 경우는 자율전공동아리에 편성 후 개인별 학습을 제공함으로서 낙오되는 학생이 없도록 조치함. 셋째. 만들어진 결과물들은 외부 기업에 평가를 요청하여 학생들의 홍보와 전문성 평가를 동시에 이뤄냄. 본 발표는 위의 내용들을 소개하면서 진행된 어려움들과 갈등 사례들을 소개하며 마이스터고에서 전공역량을 키우기 위한 자율동아리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음.

      • KCI등재
      • KCI등재

        스테비올 및 그 유도체의 세포연접 관련 클라우딘 8 발현 조절을 통한 세포이동 저해효과

        최선경 ( Sun Kyung Choi ),조남준 ( Nam Joon Cho ),조욱민 ( Uk Min Cho ),심중현 ( Joong Hyun Shim ),김기광 ( Kee K. Kim ),황형서 ( Hyung Seo Hwang ) 대한화장품학회 201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2 No.4

        밀착연접(tight junction, TJ)은 인접하는 표피 세포 사이를 서로 연결 및 접합하여 전해질과 수분의 이동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세포 내 신호를 전달하고 세포분열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TJ 관련 단백질들의 비정상적 발현은 암 발생 및 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TJ 구성 단백질의 발현 조절은 피부 장벽 강화 및 보습 조절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 장벽 조절을 통해 피부 보습 조절에 관여하는 새로운 화장품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여러가지 소재들에 대한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 이 중 인공 감미료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스테비올 및 당 유도체(스테비오사이드)의 미백 및 주름 개선 등의 효능에 대한 기존 보고에 따라, 이들에 의한 TJ 조절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세포 활성 기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MTS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스테비올은 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세포에 250 μM 까지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Quantitative real-time PCR을 이용한 TJ 관련 단백질들의 mRNA 발현 변화를 통하여 스테비올에 의한 TJ 조절 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스테비올은 TJ 관련 단백질 중 특이적으로 claudin 8을 대조군 대비 30%수준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이동에 의한 영향을 관찰한 결과 스테비올 처리에 의해 세포이동이 현저히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 장벽의 투과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표피세포 피부저항(transepithelial electric resistance, TEER) 분석 결과 스테비올에 의한 세포투과성(cell permeability) 또한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에 반해, 스테비올 유도체(스테비오사이드, 리바우디오사이드)에서는 1000 μ M까지 세포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claudin 8 발현 억제 및 세포이동 저해현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스테비올은 HaCaT 세포의 세포 독성, claudin 8 발현 억제, 그리고 세포 이동의 저해효과를 보이는 반면 스테비올 당 유도체인 스테비오사이드, 리바우디오사이드는 세포 독성 및 세포이동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 결과들은 스테비올 당 유도체가 향후 화장품 원료로써 스테비올보다 적합한 소재임을 시사한다. The tight junction, one of Intercellular junctions, performs a variety of biological functions by bonding adjacent cells, including the barrier function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electrolyte and water. Recent studies have revealed that unusual expression of tight junction-related genes have been shown to be related in cance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Recently, there are many reports that control of tight junction proteins express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skin moisture. In this study, we are focusing on the regulating mechanism of tight junction-associated genes by the steviol and its derivatives. Steviol, used as a sweetner, is known to chemical compound isolated from stevia plant. The MTS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 assay was carried out in HaCaT cells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in order to determine the cytotoxicity. As a result, while steviol showing cytotoxicity from 250 μM, steviol derivatives are not cytotoxic more than 250 μM concentration. We have observed a change in the tight junction protein via quantitative real-time PCR. Claudin 8 among tight junction proteins is only significantly reduced up to 30% in the presence of steviol. In addition, cell migration was inhibited by steviol, not by stevioside and rebaudioside. Finally, we could observe that steviol, not stevioside and rebaudioside, is able to increase the skin barrier permeability through the transepithelial electric resistance (TEER) measure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eviol and its derivatives are specifically acts on the tight junction related gene expression, but steviol derivatives are more suitable as a cosmetic material.

      • KCI등재

        고린도전서 11:17-34에 나타난 주의 만찬의 성서적 근거와 교회 전승

        최선범(Choi, Sun-Bum J.) 한국신약학회 2020 신약논단 Vol.27 No.1

        본 논문은 고린도전서 11:17-34에 나타난 주의 만찬의 성서적 근거를 찾음으로 신약시대에 거행되었던 주의 만찬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후대 교회들이 서로 다른 전승의 발전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필자는 고린도 교인들이 “떡을 떼는 형식, 또는 애찬의 형식, 또는 떡과 포도주를 강조하는 형식을 포함한 포괄적인 주의 만찬을 시행하였다고 전제한다. 고린도교회 안에 발생한 부한 자들과 가난한 자들 간의 계층갈등이 주의 만찬 과정에 표면화되자, 바울은 질서 있게 주의 만찬을 진행하기 위하여 최후의 만찬에서 선언된 예수의 제정명령의 전승을 전달하는 동시에 새로운 시행령을 첨부하여 정형화된 주의 만찬을 만들었다. 그는 떡과 포도주에 집중하여 그리스도의 죽음과 연결되는 주의 만찬의 시행령을 통해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그리스도인들 간의 연합을 나타내는 주의 만찬의 의미를 강조했다(고전 10:21; 11:23-27). 바울 이전의 만찬이 떡을 떼는 것과 애찬의 형식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주의 만찬이었다면 바울이 새롭게 제정하여 시행한 주의 만찬은 과거의 그리스도의 죽음 사건을 기념하고 미래에 그리스도의 종말론적 왕국을 기대하는 이중적 구조로 구성했다. 후대 교회 역사를 살펴보면, 서방교회 전통이 바울 전승에 기초한 떡과 포도주에 집중한 그리스도의 죽음을 강조했다면, 동방교회 전통은 바울 이전에 포괄적으로 시행되었던 주의 만찬 전승의 한 부류를 전승으로 받아들여 그리스도의 부활과 종말론적 소망을 담은 축제로서의 주의 만찬을 시행했다. In this paper, I focus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in the New Testament and its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different traditions by finding its Biblical basis in 1 Corinthians 11:17-34. I presuppose that the Corinthian church had a comprehensive celebration of the Lord’s Supper, including “breaking the bread, the form of agape meal, or the emphasis on bread and wine.” When the conflict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the Corinthian church surfaced in the process of the Lord’s Supper, Paul utilized the enactment order of Jesus declared at the Last Supper. Paul established a new ordinance of the Lord’s supper in order to set up the process of Christian worship in orderly manner. He emphasized the meaning of the Lord’s Supper in order to express the unity with the Christ and the unity of Christians by focusing on bread and wine, which is connected to Christ’s death (1 Cor. 10:21; 11:23-27). Before Paul formalized the Lord’s Supper, it was performed variously including the breaking of bread and the form of agape meal. But Paul set up the Lord’s supper focusing on a double-minded celebration of Christ’s death in the past and anticipation of Christ’s eschatological kingdom in the future. In later church history, the Western church emphasized Christ’s death focusing on bread and wine based on Paul’s tradition, while the Eastern church was a type of the Lord’s Supper tradition that was comprehensively carried out before Paul.

      • KCI등재

        高陽 祥雲寺 木造阿彌陀三尊佛坐像과 彫刻僧 進悅

        최선일(Choi Sun-il) 한국미술사학회 2004 美術史學硏究 Vol.- No.244

        본 논문은 경기도 고양시 祥雲寺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을 제작한 進悅비구에 관한 연구이다. 이 불상은 1999년에 대한불교조계종 조사단에 의하여 발원문이 처음으로 조사되어 조선후기 불상연구에 기준 작으로 활용되는 중요한 작품이다. 발원문에 의하면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 1713년에 노적사에 봉안하기 위하여 천기대사가 증명을 맡고, 지섬이 化主가 되어 진열, 영희, 태원 등이 제작하였다. 證明을 맡은 천기대사는 17세기에 전라도에서 활동한 碧嚴 覺性(1575-1660)의 제자로, 色難이 1684년에 전라남도 강진 정수사나한전에 제작한 불상의 발원문을 쓴 승려이다. 그러고 조각승 진열은 1695년에 전라북도 전주 서고사 〈목조나한상〉(부안 백련사 조성) 조성에 참여하고, 1706년에 전라남도 곡성 서산사 〈목조관음 보살좌상〉(곡성 관음사 대은암 조성)과 1713년에 경기도 고양 상운사〈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노적사 조성) 조성에 首畵僧으로 등장하였으며, 1719년에 전라남도 목포 달성사 〈목조지장보살상〉을 개금한 후, 1722년에 부산 범어사 비로전 〈비로자나불〉 개금과 관음전 〈목조관음보살좌상〉을 조성 하였다. 이러한 작업현황은 진열을 비롯한 조각승들이 18세기 전반 여러 지역의 사찰에 불상을 조성하거나 17세기에 제작된 불상의 중수ㆍ개금을 주로 하였음을 알려준다. 지금까지 알려진 발원문과 사적기를 중심으로 진열은 1670년을 전후한 시기에 태어나 1690년을 전후하여 佛像製作의 수련기를 보냈던 것으로 추정된다. 1700年代에는 전라남도 곡성과 경기도 고양, 전라남도 목포, 경상도 부산 등의 寺刹에서 활동하였는데, 진열이 제작한 불상의 특징은 17세기 후반에 제작된 불상에 비하여 어깨가 좁아져 얼굴이 강조되고, 오른쪽 어깨에 걸친 대의자락이 가슴까지 긴 물방울처럼 U자형으로 늘어져 있으며, 하반신을 덮은 대의의 안쪽 자락이 S자로 펼쳐져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불상은 경기도 고양시 흥국사, 강원도 태백 장명사, 부안 내소사 지장암 등에 봉안되어 있어 진열을 위주로 한 彫刻僧들이 18세기 전반에 全羅道 地域을 중심으로 전국에 걸쳐 활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그의 弟子인 太元이 1726년에 강원도 춘천 청평사 불상조성에 首畵僧으로 언급된 것을 보면, 진열로부터 독립했거나 진열이 이미 사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그가 속한 조각승 계보는 性沈→進悅(1695-1722 활동)→太元(1706-1748 활동)→尙淨(1748-1771 활동)→戒初(1748-1790 활동)로 이어진다. 또한 진열이 제작한 불상의 양식적 특징이 상정과 계초가 제작한 불상에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18세기 후반 진열의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이 경기도 남양주 흥국사, 서울 봉은사 등에 남아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진열과 그 계보의 조각승들이 18세기 불교조각사에서 가장 중요한 하나의 계보를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a seated wooden triad of Amitabha in Sangunsa. Goyang, Gyeonggi province. The triad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piece in the study of Buddhist sculp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particularly for a dedicative inscription placed inside the image, which was discovered in 1999. The inscription tells that the creation of the triad was supervised by the master Cheongi and conducted by such monks as Jinyeol Yeonghui and Taewon and that it was installed in Nojeoksa in 1713. The master Cheongi is a disciple of Gakseong (1575-1660),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Buddhist community in the Jeolla province during the 17th century. He also wrote a dedicative inscription for a Buddhist statue made by a famous monk-sculptor Saengnan in 1684 for an arhat hall in Jeongsusa, Gangjin. Jinyeol made a number of Buddhist images: images of K??yapa, ?nanda and sixteen arhats in Seogosa, Jeonju (1695) : a seated wooden Avalokite?vara in Seosansa. Gokseong (1706) : a seated wooden Amitabha triad in Sangunsa (1713) : a seated wooden Avalokite?vara in Beomeosa, Busan (1722). He also engaged in the regilding of a wooden K?itigarbha in Dalseongsa, Mok-po in 1719 and a Vairocana in Beomeosa in 1722. A group of monk-scupltors headed by Jinyeol actively conducted the creation or repair of Buddhist images in diverse regions during the early 18th century. Dedicative inscriptions and other records suggest that Jinyeol was born around 1670 and went through apprenticeship around 1690. Buddhist images created by him exhibi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narrow shoulders. whim give emphasis to a face: the lower part of the garment draped around the right shoulder hanging down about the chest forming a U-shaped pattern: its inner part covering the lower half of the body falling in an S-shaped pattern. Judging from the fact that his disciple Taewon was referred to as the head craftsman in a dedicative inscription for a Buddhist statue installed in Cheongpyeongsa. Chuncheon in 1726. it can be presumed that by this time Taewon worked independently or Jinyeol was already dead. The lineage of monk. - sculptors initiated by Jinyeol' s teacher. Seongsim. seems to have continued from Jinyeol (actively engaged in 1695-1722) to Taewon (in 1706-1748), then to Sangjeong (in 1748-1771) and Gyecho (in 1748-1790). Statues attributable to Jinyeol's successors are found in Heungguksa in Namyangju and Bongeunsa in Seo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