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연화(年畵)의 형성과정

        우영숙(Woo Young-Sook)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6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4 No.-

        이 논문은 중국연화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중국 연화의 형성과정을 규명하는 작업은 동아시아 민화의 역사를 밝히는 준거 틀을 마련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까지 남아있는 자료들은 19세기 후반 근대의 작품들이 대부분이므로, 문헌자료와 궁중회화, 사대부회화를 통해서 연화의 확산과 전이,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연화는 중국의 일반대중에게 가장 유행했던 민간미술형식이다. 원시종교와 민간신앙이 결합된 초기단계의 예술 활동으로서의 민간연화는 세화의 소재인 ‘문신’에서 출발한다. 이후 문신화는 유ㆍ불ㆍ도 3교의 종교적 색채를 수용하여 현실적인 색채를 띠게 되고, 송대에 이르면 독립된 화종으로 자리 잡는다. 이 시기는 연화의 주요한 주제인 벽사와 길상이라는 구성요소와 예술성을 갖춘 길상화가 제작되어 유통되었고, 군중의 심미관과 정취에 적합한 연화형식의 예술작품이 전통회화와 더불어 도시 시민의 생활 안에서 크게 성장한다. 명대는 궁중에서의 연화제작과 사용, 사대부의 적극적인 수용 그리고 목판인쇄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일반대중에게까지 확산된다. 신년에 새로운 그림을 걸고 장식하며 길상을 기원하던 풍속은 매 해의 절기마다 축제와 제사의 성격을 지닌 풍속으로 완전히 자리매김한다. 청대에는 여러 가지 폭넓은 주제와 형식, 풍부한 제재와 다양한 소비계층의 수요에 힘입어 궁정에서부터 대도시, 농촌지역에 이르기까지 전국 각지에서 연화의 제작은 최고의 황금기를 이룩한다. 이처럼 연화는 새해의 희망을 기원하는 도구에서부터 생활환경을 장식하는 미술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1,000여년을 이어오며 절기마다 연화를 사용하며 길상을 추구하는 풍속은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제반 여건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대중들의 생활미술로 정착하였다. 중국은 과거 동아시아 문화의 중심부역할을 담당하였으며, 동아시아와 주변국의 민간회화는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 중에서 한국과 중국은 한자문화권이라는 공통적인 보편성과 고유의 심미관과 문화적 특징에 따라 민간회화가 형성되고 발전했다. 따라서 중국연화의 형성과정을 밝히는 것은 궁극적으로 조선민화의 역사를 세우는 중요한 작업이 될 것 이라고 기대해본다.

      • 한국 현대 초등미술교육 변천 연구

        고관희(Ko, Koan Hee)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4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3 No.-

        이 논문은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에 실린 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기간은 해방 이후부터 2007년까지 약 70년에 걸친 시기로, 총 9회의 교육 과정기별로 1~6학년 미술교과서 61종에 수록된 819점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향은 해방 이후부터 2007년까지 교육 과정의 변천을 겪으면서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런 변화는 미술사학의 발전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작품 선정과 정치적 상황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교육 과정의 변화 주기는 일반적으로 정권 교체기와 함께 이루어졌다. 따라서 감상 작품의 변화 과정을 살피는 일은 각 정권의 성격이 미술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고,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는 일이 될 것이다. 분석 방법은 각 작품을 장르와 시대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미술사학계의 발달에 따라 교과서에 실린 감상 작품의 선정과 작품 설명이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교육 과정 초기의 감상 작품은 시대와 장르별 편중이 심하였고, 작품에 대한 설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정확한 작품명과 시대, 작가 등을 알 수 없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미술사학과의 대학 학부 개설과 미술사 관련 연구회의 활발한 활동으로 미술사 연구가 심화되자 교과서에 수록된 감상 작품도 시대별, 장르별로 균형있게 선별되었고, 그에 대한 설명도 명확해졌다. 이것은 미술사학자들이 교과서 편집에 관여했는지의 여부를 떠나 사회 전반적인 미술사 인식이 변화, 발전하였음을 보여준다. 둘째, 정치 권력에 따라 감상 작품의 선정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1973년에서 1987년에 이르는 시기는 ‘민족중흥’의 슬로건을 내건 3~4차 교육과정기이다. 국민교육헌장의 이념에 따라 ‘민족주체’ 의식을 강조했고 유신 체제를 수용하게 하였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에 따라 교과서의 감상 작품에도 전쟁을 주제로 하는 ‘민족기록화’나 새마을 운동을 알리는 홍보용 포스터가 등장하였고 나중에는 전직 대통령인 박정희의 친필 현판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셋째, 사회 현상과 문화 정책에 따라 감상 작품의 내용이 심화,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1980년대 후반에서부터 1990년대에 이르는 민중미술 시대에는 벽화와 판화 작품이 교과서에 수록되었고, 국민정부 시대에는 민중 미술가인 오윤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이러한 작품 선정의 변화는 사회적인 변화가 동반되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21세기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는 시지각 문화의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미술 교과의 목적을 단순한 표현 활동과 지식 습득에서 한걸음 나아가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미술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게 하였다. 따라서 현대 미술사 조를 이해하기 위해 국내외 다양한 장르의 미술 작품이 소개되고, 미국이나 유럽뿐만 아니라 아시아, 아프리카 등 제3세계 미술작품도 소개하게 되었다. 미술 교과서에 실린 감상 작품은 미술사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때로는 표현 활동을 돕기 위한 참고 도구로 쓰일 것이며, 때로는 감상 활동을 통해서 사회 의식과 미의식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객관적이고도 공정한 잣대로 미술 작품을 선정함으로써 배우는 학생들이 올바른 미술사관과 미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 석노(石魯, 1919-1982)의 생애와 작품세계 연구

        김지현(Kim, Ji Hyun)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7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6 No.-

        石魯(1919-1982)는 중국 20세기 근·현대기를 살며, 자신만의 변화무쌍한 수묵화풍을 화폭에 담은 화가이다. 그는 자신의 파란만장한 삶을 예술로 승화시킨 화가로써, 수묵을 사용하여 산수화 뿐 아니라 인물, 영모, 화훼화 등 다양한 작품에서 개성적 예술세계를 개척했다. 석노작품의 변모과정을 살펴보면 당시 중국의 사회, 정치 상황 등이 깊이 드리워져 있다. 이 논문은 석노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시기별로 분석하여, 어떠한 과정을 통해 그가 대가의 반열에 올랐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 20세기 중국 근·현대 화가로써 석노의 입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석노의 작품세계는 화풍의 큰 변화에 따라 전기(1919-1948), 중기(1949-1959), 후기(1960-1965), 말기(1966-1982)로 나누고, 그의 작품은 판화, 인물화, 산수화, 영모화, 화훼화로 세부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기별 작품분류는 석노 예술의 변모양상을 상세히 보여 준다. 전기(1919-1948)는 석노 예술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였다. 1937년 이전 전문적인 미술교육을 받은 석노는, 동·서양 회화의 기초를 익혔다. 중·일 전쟁과 내전시기 그림재료 구하기가 어려워지자 자신이 직접 종이와 연필을 만들어, 延安 남녀노소의 생활모습을 사실적으로 소묘했다. 또 내전의 상황을 고발하는 주제로 판화도 제작하였는데, 조형표현에서 소련식판화의 영향이 나타난다. 즉, 전기는 석노가 소련식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기초로 한 예술양식을 모색하는 과정이 되었다. 중기(1949-1959) 석노는 전통수묵화풍으로 변모를 시도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설립이후 석노는 수묵화가로 회귀했다. 이 시기 인물화는 1950년대 초기 모택동의 《문예좌담회(文藝座談會)》에 입각한 화풍으로, 인민과 소수민족 등을 사생했다. 인도, 이집트를 방문이후인 1950년대 중반부터 석노는, 인물의 사실표현과 전통수묵묘사의 절충을 시도했다. 1956년에 이러러 百花齋放, 百家爭鳴의 시대가 열리자, 석노는 전통수묵화풍으로 산수화를 그렸다. 후기(1960-1965) 석노는 전통수묵화풍을 기반으로, 자신만의 예술화풍을 추구했다. 인물화는 노동하는 인민을 주제를 사실적으로 그렸고, ‘傳神寫照’와 같은 중국전통의 인물화 창작개념도 반영하였다. 이 시기 산수화는 長安지방의 산수풍광을 주제 삼아 전통준법과 구도로 산수를 표현하면서, 세부묘사는 사실적으로 나타냈다. 영모, 화훼화는 사의적으로 그렸는데, 전통수묵화풍의 소재와 구도 등을 답습했다. 한편 이 시기 영모, 화훼화의 제시는 대상을 보고 느낀 개인적 감정을 드러냈다. 말기(1966-1982) 석노는 자신만의 완숙한 개성화풍을 완성했다. 이 시기는 10년여의 문화대혁명기간으로 작품의 수량이 적으며, 엄중한 문예 감찰로 인해 작품의 상세표현은 간소화되었다. 하지만 산수화, 인물화, 영모화, 화훼화 등에서 완숙한 개성화풍을 보여주며, 작품의 제시에는 문화대혁명시기 자신의 감정과 상황 등을 은유적으로 나타냈다. 1970년대 석노는 정신질환의 악화로, 1950년대의 인도, 이집트 사생인물화에 독특한 장식문양을 덧그렸다. 이와 같은 인물 장식표현의 경향은 정신질환이 회복 된 이후까지 이어져, 인물화의 사실성보다 장식적 표현을 강조했다. 산수화는 중국의 五岳 중 하나인 華山을 전통산수준법의 변용으로 그려졌고, 두터운 먹만으로 비장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이 시기 산수화는 대상의 특징을 추상적인 형태로도 묘사했다. 영모, 화훼화는 기존의 전통수묵화풍의 사의적 묘사에서 나아가 건필의 개성적 화풍이 나타난다. 또 대상은 사실적 표현에서 추상적인 까지 그렸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석노의 작품은 중국을 넘어 해외 미술계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석노의 명성에 비해 국내외 연구는, 특정시기 석노의 일부 작품만을 단편적으로 연구된 것이 주를 이뤘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석노의 전 생애에 걸쳐 제작된 작품을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어떠한 과정을 통해 석노가 대가의 반열에 오랐는지를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석노의 작품이 널리 소개되어 보다 입체적으로 규명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고려시대 사천 보안암석굴과 매향비로의 접근

        이경화(Lee Kyung Hwa)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6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5 No.-

        이 글은 경남 사천의 보안암석굴과 1387년 사천매향비를 통해 고려시대 사천 지역 불교문화의 일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두 유물은 인공축조석굴 연구에서, 한국의 독특한 매향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보안암석굴은 희소한 고려시대 인공 축조 석굴로 알려져 있으며 석실고분처럼 보인다. 보안암 석불은 고려중기 이래의 전통적 요소들을 가지고 있으며 원 간섭기로 인한 불상의 특징은 보이지 않는다. 『서봉사사적』을 살펴보면 용화세계에 태어나기를 원하여 조각한 미륵석상으로 인식되었다. 조선말기에도 수도도량으로 중수되었고, 삼매에 들어 도솔천에 태어난 후 극락에 이르는 관불삼매의 수행이 실천되었다. 매향은 고려말 조선초에 집중되며 해안 지역에서 향촌공동체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진 불교문화의 산물이다. 사천매향비는 불교사상적 내용이 풍부하며 4,100명이 참여하였다. 대규모의 결사에 관료의 참여가 드러나지 않고 고려국왕의 강녕과 나라의 안정, 백성의 평안을 기원하였다. 사천매향비는 침향을 획득하려는 바램보다 고려말 혼란기에 지역 공동체의 종교적, 사회적 역할에 더 큰 의미를 두었다고 여겨진다. 보안암석굴과 사천매향비는 미륵신앙의 경계에서 살펴볼 여지가 있다. 미륵신앙의 특성으로 보건대 각각은 미래시간에 지상에서 미륵불과의 만남을 기대하며 용화세계로 가는 방법을 제시한다. 보안암석굴은 개인의 수행으로 용화세계에 이르고자 하였다. 사천매향비는 공동체의 힘으로 그 세계에 가기를 기원하였고 그것은 곧 고려 국가의 안녕과 유지에 대한 바램이다. 이러한 고려시대 유산을 통하여 사천지역 불교전통을 살필 수 있었다. This article aimed to explore Koryeo Buddhist culture through Bo-An cave temple and Maehyang monument located in Sa-cheon. Sa-cheon’s provincial status was promoted to Sa-ju to designate it as a King’s birth town during King Hyun-Jong’s reign in the mid Koryeo Dynasty. Bo-An cave temple, like a stone chamber tomb, is a man-made cave which is rarely seen during the Koryeo dynasty period. Bo-An cave temple, did show some elements of mid-Koryeo traditions. The Mongol Yuan dynasty’s influence was not found. According to ‘Seobongsa Sa-jug’, stone statues of Maitreya represented the wish for rebirth in the Buddhist world of harmony. It was re-built as a monastic temple in the late Chosun period. Maehyang is a product of Buddhist culture concerning village community activities. It appeared in coastal villages the late Koryeo/early Chosun period. The purpose of Maehyang was to get incense for Buddhist offerings. The Maehyang monument in Sa-cheon contained rich Buddhist thoughts and 4,100 people were involved in the ritual. Wishes in the monument were well wishes for the King, the stabilization of the country, and peace for people. As such, in the chaotic period of the late Koryeo period, it served for the local community’s religious and social roles, rather than the purpose of getting incense itself. The Sa-cheon’s Buddhist remains, Bo-An cave temple and Maehyang monument, can be seen in relation to Maitreya belief. In view from Maitreya belief, both indicate a way to the Buddhist world of harmony. Individual Buddhist training in Bo-An cave temple would lead to the Buddhist world. The Maehyang monument represents the community’s wish for the Buddhist world (country’s stabilization).

      • 조선후기 회화식 지도와 회화

        김성희(Kim Sung-hee)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6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5 No.-

        고지도(古地圖)는 오늘날 우리가 보는 지도와는 사뭇 다르다. 지리 정보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그것을 나타내는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다. 현대 지도는 과학적 측량에 의한 정확한 정보가 중요하다면 고지도는 자연 지형과 지역의 주요한 장소를 알려 주는 개념도의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고지도의 표현에서 시점은 부감법(俯瞰法)을 취하고 산과 강, 읍치를 중심으로 한 관청 등의 중심 건물이 지도의 핵심적 내용으로 드러난다. 고지도의 이러한 표현 방식은 회화 분야에서 실경산수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도와 회화는 인간의 삶터를 대상으로 선, 형, 색 등의 조형 요소를 사용하여 3차원의 공간을 2차원의 평면에 구현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동양에서 자연 경관을 그린 그림은 삼원법(三遠法)을 사용한 다원적 시점으로 물리적 공간이 심리적 공간으로 표현된다. 우리의 옛 지도에는 이 같은 산수화 시점이 최대로 구현되었다. 고지도에는 당시를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삶터에 대한 인문요소와 자연환경이 묘사되었고 도화서(圖畵署) 화원(畵員)들에 의해 제작된 지도는 그 자체로도 아름다운 예술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지방의 고을이나 특정 지역에 대한 지리정보를 그림처럼 자세하게 그린 회화식 군현지도는 실경을 지면에 옮기는 방식으로 표현된다. 묘사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서 회화기법이 적극적으로 구사되었고 회화성이 강조된 지도는 한 폭의 산수화처럼 제작되었다. 산수화법으로 감상의 기능이 추가된 회화식 군현지도에는 당시의 화풍이 반영되었으며 17~18세기 조선화단에서 실경(實景)을 바탕으로 조선의 산천을 표현했던 실경산수화와 진경산수화가 성행하면서 같은 시기에 회화식 군현지도는 전성기를 이루게 된다. 조선 후기에는 지방의 실정을 파악하기 위한 군현지도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전국 또는 도 단위의 국가적 사업으로 군현지도집의 제작이 증가하게 된다. 이 가운데 회화식 군현지도집은 대부분 지역의 규모와 상관없이 군현의 모습을 동일한 크기로 그리고 장책(粧冊)하였다. 군현마다 방위나 거리, 면적 등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객관적인 지리정보 전달의 정확성은 떨어지지만 이해하기 쉽게 그림으로 그려진 지도는 회화성이 강조되었다. 특히 조선후기에 회화식 군현지도가 발달하는 것은 18세기 이후 경기도를 제외한 모든 도의 감영과 군영에 도화서 화원을 군관으로 파견한 화사군관(畵師軍官)제도와 관련이 있다. 화사군관으로 파견된 화원들은 파견된 지역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지도제작에도 관여하였으며 지방 화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회화식 군현지도의 제작방식은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輿地圖書)』를 시작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1872년 군현지도』의 제작까지 그 계통이 이어졌다. Old map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maps we see today. They are the same in that they contain geographic information, but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way they display it. Whlie precise information, based on scientific survey, is important for modern maps, old maps ate more like conceptual maps showing the topographic features and important locations. They take a bird’s-eye view, and mountains, rivers, and government building constitute essentail elements in the description. Hence old maps evolved in close connection with actual-view landscape paintings. They also reflect the subjective views of the producers, taking into account the elements of nature and civilization of the sites where people at that time lived. And the method of captur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on a two-dimensional surface is closely related to painting. Therefore old maps combine the utility of communicat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artistic beauty in themselves. Showing provincial towns or villages, county maps are even more in the style of painting by applying the techniques of painting in more concrete and illustrative ways. The painting-style county map, with the added function of artistic appreciation, came to b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Painters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map as it was customary at that time, and the painting-style county maps came to their heights when jingyeong sansuhwa was popular. Starting with the maps produced in the techniques of jingyeong sansuhwa in the eighteenth century, many painting-style county maps were produced in the ninteenth century, especially in provincial towns and villages. The took the frome of large format folding screen and folk painting for the purposes of documentation and artistic appreciation. Examples of old maps that combine geographic information and artistic beauty include:Jeonjujido, a map of the walled city of Jeonju and its surrounding landscape; Giseogjeondo, a map of the walled city of Pyeongyang; and Jinjuseongdo, a folding screen of the walled city of Jinju. County maps came to be considered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actual circumstances in the provinc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any volumes of county maps were produced and compiled through projects initiated by both the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s. Examples of such painting-style county atlases include: Yeojidoseo in the possession of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Yeojido, in the possess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부적을 만나다: 조선불교에서의 안산(安産)부적

        김수정(Kim, Sujung)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22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10 No.-

        부적이 가진 역사적, 종교적, 의료적, 사회문화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부적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이해는 미진하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부적의 연구사를 살펴보고 또 논의를 좁혀 무엇이 불교 부적인지를 논의한 다음, 불교의 치병 부적을 예로 들어 부적 연구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자 한다. 현존 최고의 부적은 고려시대의 부적으로, 조선시대 말까지 부적은 여러 종교와 민간 신앙, 물질문화 전반에 다양하게 수용, 발전되었다. 이 논문은 당시 크게 유행한 안산 부적을 살펴서 부적의 언어가 갖는 기호작용(semiosis)과 기술성(technicality)이 어떻게 오랜 기간 동안 의약의 대체제가 아닌, 총체적 의례를 통해 구현되는 치유(healing) 그 자체였다는 점을 보인다. 본 논문은 3장으로 구성되어있다. 첫 장에서는 먼저 한국 부적의 연구 현황을 살피고, 그 후, 불교 부적에 대한 개관을 한다. 일제시대부터 부적의 자료가 모아지기 시작했으며, 국내 학자의 연구로는 김민기의 80년대 연구가 가장 최초의 연구물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장 최근 발표된 김영자의 민속학적 부적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핀다. 두번째 장에서는 논의를 조선시대로 좁혀 13세기 『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 속에 처음 나타나는 ‘비자인(秘字印)’ 부적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판본까지 두루 살피며, 안산 부적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또한 당나라 의서, 돈황 사본 등에 나타나는 부적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불정심다라니경』에 수록되어 있는 안산 부적은 관음신앙을 바탕으로 한 부적으로, 8세기 중국 당나라 의서에서 사용된 부적이 변용과 변형의 과정을 거쳐 조선시대의 안산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을 살펴본다. 마지막 장에서는 결론을 대신하여 부적 연구의 중요성, 그리고 방법론상의 재고가 필요함을 지적하고, 부적 연구가 갖는 의의에 대해서 종교 연구에 있어서의 물질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This study problematizes the lack of the scholarly attentions on the study of talismans whose legacy left strong marks in history, religion, medicine, and social history. The paper, thus, starts with surveying scholarly reviews on Korean talismans. The discussion continues with contextualizing what Buddhist talismans are in the Korean religions.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talismans begins in the Koryŏ period and throughout the Chosŏn period, talismans thrived. Focusing on the Chosŏn, the paper showcases a talisman popularly used for a safe delivery. By analyzing the language of talismans, its semosis and technicality,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talismans did not simply function as a substitute. Rather, the holistic nature of its ritual helped talismans to be materialized and medicalized. The paper consists of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outlines the review of the scholarship on Korean talismans. Then, it moves onto the question of what “Buddhist” talismans are. The earliest academic approach to Korean talismans beg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it was not until the 1980s that “academic” studies on Korean talismans emerged. Works by Kim Yŏngja should be the most comprehensive although her folkloristic approaches present some limitations as well. The second section analyzes a safe-delivery talisman, known as the pija-in(秘字印) talisman that is included in the Great Dhāraṇī Sūtra of the Heart of the Buddha Crown[Uṣṇ īṣ a]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Foding xin Guanshiyin pusa da tuoluoni jing 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 whose oldest known edition comes from the thirteenth century in Korea. Comparing it with the later editions published in Chosŏn and other Tang medical texts and talismans from Dunhuang documents, the section demonstrates that the talisman in question, which became extremely popular throughout the Chosŏn period, is very possibly originated from the Tang medical text from the eight century. The last section concludes with several reflections such a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ies on talismans, methodological issues for the study of talisman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e material culture in the study of religion.

      • 조선 전기 한글 명문이 있는 자기(瓷器)의 특징과 의미

        박정민(Park Jung Min)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2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1 No.-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다음부터 조선 사람들의 문자생활에는 일대의 변혁이 일어났고, 새로운 글자를 통해 조선인들은 자신들의 생각과 의견을 보다 능동적으로 교환할 수 있게 되었다. 한문교육을 받지 못한 계층들도 한글을 통해 각자의 뜻을 표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견지에서 한글은 상대적으로 신분이 낮은 계층에게 그 파급효과가 더욱 컷을 것이다.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가 가지는 역사적, 국문학적인 의미 및 중요성은 누차 강조할 필요가 없다. 한글의 막대한 역량은 역사학과 국문학 분야를 넘어 조선 사회경제사뿐만 아니라 문화사와 미술사적인 부분에까지 투영된다. 한국도자사의 연구에서도 한글은 도자기의 편년관계 및 생산·소비과정을 보다 입체적으로 규명해 줄 단서들을 제공한다. 한글은 그 창제와 반포 시점이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고, 그 단어의 변화상과 서체의 흐름이 시기적으로 구분되는 만큼 도자기들에 시문된 한글 명문들의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도자기들의 편년 구분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시에 비록 단편적이기는 하나 한글 명문이 있는 자기들을 통해 상대적으로 남아있는 자료가 부족한 조선 전기의 한글자료들을 보다 풍성하게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불어 조선 전기에 제작된 자기들이 실제 사용되는 과정에서 부가된 명문들의 내용을 통해 당시 주요한 소비재로써 자기들의 소비양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조선의 백성들에게 한글은 언로(言路)의 확대라는 거창한 개념보다는 실생활에서의 편리성이라는 측면으로 부각되었을 것이다. 한글이 반포되기 이전, 한자(漢字)를 모르는 일반 백성들에게 자기들의 개별적인 소유관계를 증명하기 위한 명문은 주로 부호와 수결의 형태였다. 개별적으로 표시된 단순한 형태의 부호들은 같은 모양이 서로 중복될 수 있는 소지도 있었고 추가, 변용되어 원래의 모습이 바뀌어 버린다면 소유권을 주장할 근거로서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반포된 한글을 이용한 구체적인 명문들은 그릇의 소유자 및 출납관계를 명시할 수 있었다. 조선 전기에 제작된 자기들에 시문된 한글 명문들의 몇 가지 특징과 의미들을 살펴보았다. 우선 점각기법으로 새겨진 한글 명문들은 내용에 따라서 그릇의 용도, 소비처, 관리자 등으로 구분되며, 주로 그릇의 전체가 시유된 갑번(匣燔) 혹은 예번(例燔)으로 번조된 백자들에서 확인된다. 묵서기법으로 쓰인 한글 명문들은 주로 성명들이며 상번(常燔)으로 번조된 죽절굽 백자의 굽 안쪽에 시문된다. 한글 묵서명이 시문된 백자류들은 그 상한이 1446년 이전으로 올라갈 수 없으므로 상대적인 편년을 확보하는 데도 참고가 된다. 최근에 한양도성 안에서 출토된 묵서명 한글 명문들의 서체는 주로 언해본체의 틀 안에 해당하며, 반시옷 혹은 여인시옷으로 지칭되는 반치음 ‘ㅿ’과 ‘ㅸ’이 사라진 16세기 전반 이후에 주로 시문되었다. 최근 이루어진 한양도성 내의 청진동 발굴조사를 기준하면, 한글 명문이 새겨진 백자들은 대부분 16세기의 문화층에서 출토되었다. 이는 한글 명문이 새겨진 분청자들의 제작시기와도 일치한다. The invention of Hangul in 1443 helped the common people express their ideas and concerns. The official character in the Joseon dynasty was Chinese ‘Hanja’ which was very difficult to learn. But the social classes with no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could easily learn Hangul and express their thoughts. Therefore, Hangul was very rapidly spread into the public. The superior influence of Hangul is proved in the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y, Literature, Cultural history, Art history and Social-economics as well. In the field of Ceramics history, Hangul provides clues to prove ceramics chronology, proces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eramics in the Joseon dynasty. The precise information on invention and proclamation of Hangul is written on the official documents. The used words and handwriting styles on the ceramics changed over time. Therefore, through research of Hangul, carved or written on the Joseon ceramics,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eramics as a commodity. It also provides the effective method to investigate ceramics chronology. Moreover, the ceramics with Hangul inscription will be good materials to study Hangul in early Joseon dynasty under the lack of source. Hangul is accepted to Joseon people as a communication medium and a convenient tool. Before the invention of Hangul, the common people engraved marks or signs on ceramics as a symbol of ownership. But the addition and alteration in signs and marks could be done easily so that they were not appropriate to prove ownerships. By usage of Hangul, the confusions were reduced and the written inscription clarified the ownership and trading process of ceramics.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tions of Hangul shown on Joseon ceramics differed by the periods.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 Hangul inscription stippled mainly on the glazed surface of white porcelains and demonstrated the purpose of certain ceramics usage and the consumers and administrators of ceramics. Secondly, inscriptions written in ink were mostly names of the ceramics owners and found on un-glazed surface of inside of ceramics sole. Hangul inscriptions could not be shown before 1446, the year Hangul proclaimed, and they have became criteria to determine the relative chronology of ceramics.

      • 20세기 초 성 오틸리엔 베네딕도회 선교사들의 한국 진출과 노르베르트 베버의 『수도사와 금강산』 연구

        홍미숙(Hong, Misuk)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7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6 No.-

        이 논문은 20세기 초 한국에 파견된 성 오틸리엔 베네딕도회 선교사들의 한국문화 연구 활동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노르베르트 베베(Norbert Weber, 1870~1956)가 1927년 출간한 『수도사와 금강산 In den Diamantbergen Koreas』에 기록된 불교문화 유물들과 현존하는 기록과 연구 자료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여 중점적으로 논했다. 우선 성 오틸리엔 수도회 선교사들의 한국 파견된 과정을 살펴보았다. 1909년부터 한국에 파견된 선교사들은 백동수도원에서 기술학교인 숭공학교와 사범학교인 숭신학교에서 교육활동을 펼치며 한국학 연구 활동도 하였다. 성 오틸리엔 베네딕도회 총원장인 베버는 금강산 방문 후 1927년 『수도사와 금강산』을 출간하였다. 논문은 『수도사와 금강산』의 구성과 저서에 서술된 금강산 불교문화 유물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베버 저서에 삽입되어 있는 겸재정선의 그림도 조명하였다. 미술학자 유준영이 성 오틸리엔 베네딕도회 선교박물관에 소장된 《겸재정선화첩》의 발견 과정을 알아보았다. 베버는 정선의 그림 구입 과정을 저서에 자세히 기록하였고 베버의 기록은 미술 분야 연구자들에게 20세기 초 한국미술시장의 한 면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필자는 『수도사와 금강산』에 기록된 불교 유물 중 장안사에 안치되었던 세조(世祖, 재위 1455-1468), 성종(成宗, 재위 1469-1494)과 예종(睿宗, 재위 1468-1469)의 어진과 1916년 고든여사(E.A. Gordon)가 네스토리우스파(Nestorianism) 교리를 새겨 장안사 입구에 세워놓은 비석, 상감기법으로 만들어진 표훈사의 향로, 정양사 약사전 석조여래좌상과 대좌와 유점사의 인목대비(仁穆大妃, 1584~1632) 『아미타경(阿彌陀經)』필사본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유는 해당 유물들이 미술사 분야에서 부분적으로만 연구 되어있는 것에 주목하고 유물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도사와 금강산』에 서술된 유물들의 성겨과 특징을 『조선왕조실록』,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박물관이 촬영한 유적과 유물 자료를 모아 한국국립중앙박물관이 2014년에 출간한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의 불교미술』, 대한불교진흥원에서 2009년도에 발행한 『북한의 사찰』기록, 1999년 금강산을 방문하고 출간한 이태호의 『조선미술사 기행 1-금강산·천년의 문화유산을 찾아서』, 김종민의 박사논문 「朝鮮時代 寫經 硏究」, 제임스 게일(James Gale)의 기행문 「금강산 The Diamond Mountains」등의 자료를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베버가 서술하였던 불교 유물들이 현존하는 기록에서 누락 된 것을 찾아내었다. 또한 베버가 실견하고 기록한 불교 유물이 그동안 미술사 분야에서 조명을 받지 못한 것에도 주목하고 이 연구를 통하여 베버 기록의 중요성을 미술사 분야에서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다. 향후 현존하는 기록에 누락된 베버의 불료 유물 대하여 깊이 있는 연구와 논의를 거친 후 금강산 불교유물 목록에 포함되어야한다고 주장한다. This is a study on the Catholic missionaries sent to Korea by the Benedictines of the St. Ottilien Congregation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in Korean studies and art history. In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study of Norbert Webers(1870-1956) work, In den Diamantbergen Koreas or At the Diamond Mountain, Korea to the surviving Buddhist arts and other existing records. The process of dispatching of the missionaries is examined in this study. The missionaries sent in 1909 have taught at the Baek-dong Monastery, Soonggong the Vocational School and Soongshin the School for the Teachers while pursuing Korean studies. After his visit to Mount Geumgang in 1925, Weber published In den Diamantbergen Koreas or At the Diamond Mountain, Korea. This thesis examines the overall organization and the Buddhist artifacts introduced. Also, this thesis analyzes the discovery of the Album of Jeong Seon by the art historian Yoo, Joon Young and infer the Korean art market during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through Weber’s documentation of the purchasing process. Of the Buddhist artifacts, pieces such as the portraits of King Sejo(r. 1455-1468), King Seongjong(r. 1469-1494), and King Yejong(r. 1468-1469) enshrined at the Jangan-sa Temple, the stele at the entranced of the Jangan-sa inscribed of Nestorian dogma by E. A. Gordon in 1916, incense burner made with the Korean inlaid techniques at the Pyohun-sa Temple, Hall of Bhaisaiyaguru(the Healing) Buddha, the Seated Buddha and a Pedestal at the Jeongyang-sa Temple, and the copy of Amitabha Sutra by the Queen Inmok(1584-1632) at the Yujeom-sa Temple are examined in-depth, as they had been researched in partial in previous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artifacts studied by Weber’s In den Diamantbergen Koreas or At the Diamond Mountain, Korea are compared to the records of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Buddhist Art of North Korea: Documentation in Gelatin Dry Plates publish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Temples in North Korea published in 2009 by the Korea Buddhism Promotion Foundation, Traveling through Josen Art History 1 - Mount Geumgang by Lee, Tae Ho written after his visit to Mount Geumgang in 1999, PhD dissertation by Kim, Jong Min Buddhist manuscript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Diamond Mountains by James Gale. It has been discovered that some of the Buddhist artifacts Weber documented had been omitted from the current lists of Buddhist artifacts. It is also noted that the Buddhist artifacts Weber witnessed and documented have not received the deserving recognition for his dedi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art history. Therefore this thesis provides a new opportunity to re-visit the depth of Weber’s records and understand his influence on studying Korean art history. Furthermore, it is advised that the artifacts Weber documented to be added to the list of collection of Buddhist artifacts on the Mount Geumgang.

      • 박성환(1919~2001) 회화 연구 : 한국적 구상화의 도전과 과제

        리우식(Rhee, Woo-shik)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20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9 No.-

        서양화가 박성환(朴成煥 1919~2001)은 장장 60여 년에 달하는 긴 화력(畵歷) 동안 일제강점기 지방화단과 세계대전시기 일본 동경화단, 해방 후 북한 미술계와 6·25전쟁기 종군 미술계, 남한의 서양화단 등 한국근현대미술사의 굵직한 순간 모두에 참여하였다. 해주고등보통학교 시절부터 서양화에 입문한 그는 식민지 조선 최고 권위의 《선전》에 입선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문화학원에서 수학하며 3회 연속 《이과전》에 입선한다. 그의 초기 회화는 사생에 기반한 인상주의 풍경화가 주를 이룬다. 해방 후 고향 황해도 해주로 돌아온 그는 해주미술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해방기념종합전람회에서 1등상을 수상하는 등 이북 지역에서 최고 수준의 화가로 회화적 기량을 뽐내었다. 공산당과의 사상적 불화로 월남한 후, 박성환은 6·25전쟁기 동안 종군화가로 활동하게 된다. 이 시기 그는 전쟁기록화로 국방부장관상을 수상하는 등 아카데미즘적 사실주의 역량을 보여주었다. 휴전 이후 박성환은 《국전》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서양화단에 참여하였으며, 1959년에 국전 서양화부 추천작가로 이름을 올리게 된다. 당시 서양화단은 구상과 추상으로 양분되어 소모적인 대립을 그치지 않았다. 박성환은 앵포르멜 계열의 추상주의를 시도하면서도 사실주의 계열인 목우회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구상전 결성 주도에서 확인되듯이, 박성환은 사실주의와 추상주의 양극단에 치우치지 않는 예술적 다양성과 창의성을 추구하였다. 박성환의 작품은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한국적인 테마와 아름다움을 집중적으로 탐구하였다. 그는 한국 실경 산수를 인상주의적으로 재현함과 동시에 풍요와 결실이 깃든 농가의 모습을 낭만적으로 구현하는 작업도 병행하였다. 박성환의 한국성 탐구는 이후 농무 연작작업으로 이어졌다. 박성환의 농무연작은 한국 전통의 오방색을 거의 원색 그대로 사용하고, 동양화 필법의 율동적 필치를 응용하는 등 독특하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As a Western style painter, Sunghwan Park (朴成煥, 1919∼2001) dedicated his life to a period of 60 years as a historical figure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art. Throughout his life, he created ar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1910∼1945), the Korean War (1950∼1953), and throughout the time of the Republic of Korea. Park began his artistic career as a student painter of Haeju Gongnip Godeung Botonghakgyo (海州公立高等普通學, Haeju First Higher Common School). In 1937, he was honored to submit his painting to the Joseon Misul Jeollamhoe (朝鮮美術展覽會, Joseon Art Exhibition), which was the most influential art fair during the colonial era. After his graduation, Park traveled to Japan to further study Western style paintings. He enrolled to the Bunka Gakuin (文化學院, Culture Institute) in Tokyo and studied natural scenes in the open air. He submittedhis paintings to Nika-ten (二科展, Second Division Exhibition) for three consecutive years from 1941 to 1943. After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Park returnedto his hometown in Haeju, and took the lead in establishing the Haeju Art School. He also won first prize at the Liberation Memorial Exhibition in North Korea. Due to an ideological disagreement with the North Korean Communist Party, Park defected from the North to the South to avoid arrest. In South Korea, he worked as a military painter in the time of the Korea War. During this period, he demonstrated his prominent academic realism abilities and achieved theMinistry of Defense Award at the Korean War Commemorative Art Exhibition in 1954. After the Korean War, Park participated in createdKorean contemporary Western-style paintings, mainly in Daehanminguk Misul Jeollamhoe (大韓民國美術展覽會,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as known as the mostprestigious and influential annual art competition held by the Korean government. He studied various styles of abstract art such as Informalism, geometric abstraction,and monochromatic abstraction. Despite his artistic interest in abstract art, Park then began collaborating with Mokwoohoe (木友會, Friends in Wood), a major group of senior artists who stand for representative art against the arising challenge of young abstract artists. In 1967, he led as a prominent founding member of Gusangjeon (具象展, Figurative Art Exhibition). The Gusangjeon explored modern figurative art that rejects both the extreme ways of realistic representation and pure abstraction. For most of his life, Park focused his artistic themes on local and idyllic scenes of rural locations throughout Korea. His main painting subjects are groups of peaceful farmers returning home together with the joy of harvest. Since the 1970s, Park actively developed and focused on the subject of Nongmu (農舞, Farmer’s Dance) to add more dynamic rhythms and vivid colors to his paintings. He applied brilliant colors ofstrikingly bright red, yellow, and blue, which were inspired by traditional fashion designs and religious artworks in Korea. Park not only studied various techniques of western oil painting, but he also crafted traditional ink wash paintings to express the rhythmic power of Korean dance.

      • 조선후기 백자연적의 유행과 조형 특징

        최정민(Choi Jung Min)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9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8 No.-

        현존하는 백자연적은 조선후기에 제작된 것이 다수여서 당시 유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조선후기 백자연적의 유행 배경과 조형을 고찰하여 18, 19세기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8, 19세기는 한양의 인구와 경제가 성장하고 상업이 발달하여 도시문화가 한층 발전했다. 조선후기에는 백자의 사번이 빈번하게 이루어졌고 국외 수입품과 시장유통이 활발해지면서 백자연적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들이 크게 늘었을 것이다. 17세기부터 관련한 담론들이 늘어나던 관물론을 통해 수요자들의 취향이 접목된 다양한 기형과 화려한 문양의 자기가 유행하게 된다. 조선후기 화원 화가들의 작품에서도 고동서화 수집 열기와 취미를 반영한 작품들이 이러한 당시 취향을 방증한다. 완상물에 대한 수집 열기는 백자연적을 소유하기 위해 관요에서 장인이 제품을 완성하기까지 기다리던 사대부들의 기록을 통해서도 잘 나타난다. 조선후기 백자연적은 절대편년을 확인 할 수 있는 편년유물이 많지 않아 정확한 제작시기를 구분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조선 후기에 대한 도자사분야의 선행연구와 사회경제사적 연구 접근들을 중심으로 작품의 시기를 18세기(1701~1800년), 19세기(1801~1883년) 두 시기로 나누어 백자연적의 유행과 시기별 특징을 파악하였다. 숙종 23년(1697)에 관요에서 제작되던 백자의 사번이 허용되었다. 그 때부터 관요백자를 사용할 수 있는 계층이 현저하게 증가했을 것이다. 도성의 상인이나 하급관료를 포함한 중인층 또한 관요백자를 적극 소비했을 것이다. 조선후기 연행을 통해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화보(畵譜)로 백자에 소상팔경문이 시문되거나 장수와 복을 상징하는 길상문의 시문이 증가했다. 이 시기 제작된 백자연적에 부착된 굽은 조선후기 목가구와 유사하게 제작되어 조선후기 다양한 공예품들이 세부 특징을 공유했음을 알 수 있다. 19세기 백자연적은 김경선(金景善, 1788~1853)의 연행록인 『연원직지(燕轅直指)』에서 “문방에 쓰이는 기물은 모두 우리나라 사람들이 익숙히 보는 바이다.”라는 대목으로 조선에 수입된 청나라 연적과 유사하게 제작된 조선 관요백자 연적이 시장에서 판매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 시기 백자연적은 필가나 필세와 기능이 혼합되거나 제작시점이 명문이 기입되는 특징이 나타난다. 조선후기 백자연적은 생활품이자 수집품으로 소비층의 취향을 가미하여 다양한 형태와 문양으로 제작했다. The existing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was manufactu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helps us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feature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by examining the fashion background and shape of the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population and economy of Hanyang grew and commerce developed, thus further developing urban cultur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number of White Porcelains would have been frequent and the number of people who could use the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would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brisk foreign imports and market distribution. The observation of things theory(觀物論) theyve been talking about since the 17th century has led to the prevalence of potteries of various deformities and colorful patterns that are combined with the tastes of consumers. In the works of pain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orks reflecting the passion and hobby of collecting Ko Dong So Hwas collection offer a glimpse into these tastes. The collection fever for the finished product is also illustrated by records of the four masters who had waited to complete the product in Gwan-yo(官窯) to own the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There are not many artifact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at can confirm the absolute time of nature,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exact production time. Therefore, we will take a look at the prior research in the field of potty history and the approaches to social, economic and historical research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e period of the work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18th century (1701-1800) and the 19th century (1801-1883), to identify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The 18th century white water dropper was allowed to SaBun(私燔) in the 23 years of King Sukjongs reign(1697). From then on, there would have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layers that could use the Gwan-yo(官窯) white porcelain. The middle class, including the citys merchants and low-ranking officials, would also have actively consumed the Gwan-yo white porcelain. Due to the pictorials from China in the late Joseon Dynasty, Sosang-palgyeongmun (瀟湘八景紋) and Gil-Sangmun (吉祥紋), symbolizing the blessing, began to appear in Joseon white porcelain. Similar to the curved wooden furniture attached to the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produced during this period, it can be seen that various artifacts from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shared detailed In the 19th century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Yeon-wonjigji, a circulation chart of Kim Kyungsun (1788 ~ 1853), Koreans are familiar with the things used for stationer.. This section shows that the Gwan-Yo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of Joseon, which was made similar to the Qing Dynastys rivals imported to Joseon, was sold in the market. The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was mixed with a writing-brush rack(筆架) and a stroke of the brush(筆洗), or a memorable date was written on i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reflecting personal taste was pro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