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와 사상으로서의 ‘아프리카’ - 혼일의 세계상과 탈중화의 주체성, 사상과제로서의 아프리카

        차선일 ( Cha Sun-il ),유정완 ( Yu Jung-wa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46

        이 글은 1402년에 조선이 그린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에 나타난 세계상과 ‘아프리카’의 의미를 고찰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강리도>가 보여주는 세계의 상상적 ‘조작’과 ‘왜곡’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그것이 보여주는 지리적 세계의 확장과 ‘세계’ 개념의 전환을 살펴본다. <강리도>는 실제 세계를 설명하는 ‘세계의 텍스트’이면서, 조선이 지향하는 세계상을 말해주는 ‘세계에 관한 텍스트’이기도 하다. 즉 <강리도>는 이제 막 건국한 15세기 조선이 지향하고자 했던 세계상(world image)을 말해주는 텍스트이며, ‘아프리카’는 새로운 세계상의 구축에 필요한 타자 표상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강리도>는 조선이 지향했던 이상적인 세계상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성리학에 기반한 조선적 문명 중화의 세계였다. 중국과 중화 세계를 동일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강리도>는 탈중화주의를 선언하는 텍스트이다. 또한 중화와 이적의 경계나 구분 자체가 없는, 모든 지역이나 민족이 평등한 문명사회이자 문명국이라는 인식에 기초한 세계질서를 기획하는 담론이라고 할 수 있다. 보편적이고 다원적인 중화 문명의 세계, 그것이 <강리도>를 제작한 조선의 사상적 야심이었다. <강리도>의 ‘아프리카’는 조선이 꿈꾼 혼일의 세계 지평과 문명 중화의 세계를 보증하는 타자 표상이다. 실정적인 측면에서 조선인에게 ‘아프리카’는 미지의 장소이며, 교류할 수 없는 상상의 나라와 다르지 않았다. <강리도> 속 ‘아프리카’는 구대륙의 모든 영토를 지배한 몽골의 세계제국이 구축했던 문화교류와 문물교역의 거대한 네트워크를 증명하는 유산이다. 세계제국의 변방에 위치한 조선은 분명 제국의 세계지도를 보고 ‘혼일’의 세계정신을 물려받았으며, ‘아프리카’는 세계제국의 광대한 세계지도가 개시한 사상적 유산을 이어받음으로써 상상할 수 있었던 세계상, 즉 혼일의 지평과 조선적 문명 중화의 세계를 완성하는 상징적 타자였다. 이 연구는 아프리카의 이미지와 표상, 개념과 이데올로기가 한국문학에 수용되는 양상 연구에 대한 시론으로서, 한국의 역사와 문학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의미와 위상을 고찰하고 나아가 사유의 대상으로서 아프리카를 논의하기 위한 입론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ld image and the meaning of “Africa” in the < Honil gangni yeokdae gukdo jido > a world map drawn by Choson in 1402. Specifically, the study actively interprets the imaginative “manipulation” and “distortion” of the world shown by < Gangnido >, looking at the expansion of the geographical world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world.” < Gangnido > is the text of the world that describes the real world and also the text of the world that Choson aims for. In other words, < Gangnido > is a text that tells the world image that Choson, which was just founded in the 15th century, wanted to pursue, and ‘Africa’ is meaningful as a typeface needed to build a new world. < Gangnido > contains the ideal world image that Choson was aiming for. Specifically, it was a world of neutralization of Choson civilization based on Neo-Confucianism. < Gangnido > is a text declaring de-Chineseism in that it did not identify China and the Chinese world. It is also a discourse that plans the world order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all regions and peoples are equal civilized societies and civilized countries, with no boundary or distinction between neutralization and transfer. The universal and pluralistic world of Chinese civilization, it was Choson’s ideological ambition to produce < Gangnido > “Africa” in < Gangnido > is a typist’s symbol that guarantees the world of marriage and civilization neutralization that Choson dreamed of. In practical terms, for Koreans, ‘Africa’ was an unknown place, and it was no different from an imaginary country where they could not interact. “Africa” in < Gangnido > is a heritage that proves the huge network of cultural exchanges and cultural exchanges established by the Mongol world empire that ruled all the territories of the Old Continent. Choson, located on the periphery of the world empire, clearly inherited the spirit of “Honil” by looking at the world map of the empire, and Africa was a symbolic type of world image that could have been imagined by inheriting the ideological legacy initiated by the vast world map of the world, namely, the horizon of marriage and the neutralization of Choson civilization. This study is a poetic theory on the aspects of African images, representations, concepts and ideologies accepted in Korean literature, and is an introduction to consider the meaning and status of Africa in Korean history and literature and further discuss Africa as a subject of private reasons.

      • 한국문학에 나타난 눈[雪] 이미지 고찰

        차선일(Cha Sun Il)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4 아시아강원민속 Vol.28 No.-

        이 논문은 한국문학과 눈[雪]의 상관성, 눈의 문학으로서 한국문화의 미적 특질을 살펴보고 있다. 고전문학 속 눈의 이미지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순수와 천상의 이미지고, 다른 하나는 고난과 시련의 이미지다. 순수와 천상의 존재로서 눈은 눈이 지닌 속성에서 비롯된 은유들이다. 반면 고난과 시련의 이미지로서의 눈은 겨울과 환유적 관계로 결합될 때 나타난다. 현대문학에 나타난 눈의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순수와 고난의 이미지를 계승하고 있지만, 고전문학에 비해 정형화된 이미지를 탈피하려는 경향이 강하며 현대적 감성으로 새롭게 갱신하고 있다. 현대문학은 눈에 관한 개성적이고 독자적인 이미지를 보여준다. 눈은 그리움을 상징하거나 모성적 존재, 삶과 죽음의 경계를 드러내는 철학적 매개물 등으로 나타난다. 김광섭, 김광균, 서정주, 고은 등의 시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김춘수와 김수영의 시에서는 새로운 눈의 이미지를 발명하는 실험적 시도를 확인하고 그 의미를 논의했다. 현대소설에서 눈의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고난과 역경을 의미한다. 이는 서사장르의 특성상 눈과 계절적 배경이 분리될 수 없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황석영과 방영웅의 소설에서 고난과 역경을 상징하는 눈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서정인과 박상우의 단편에서는 구체적이고 독자적인 눈의 이미지와 상징성이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이청준의 「눈길」을 분석하며 눈의 이미지가 사랑의 상징을 획득하는 탁월한 사례라는 점을 논의하고 있다. This paper aimed at investigat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the snow[雪], and the esthetic property of Korean literature as the literature of snow. The image of snow in the classical literature is largely divided into two. One is the image of the purity and the heaven, another is hardship and ordeal. The snow as the existence of purity and the heaven is the metaphor which came from the property of the snow. On the contrary, the snow as the image of hardship and ordeal appears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winter with metonymic relation. Image of snow in modern literature basically succeeds the image of purity and hardship, however there’s a strong tendency to escape from the stereotypical image compared to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is renewed newly with modern sensitivity. Modern literature shows individual and independent image in regard of snow. The snow symbolizes longing or appears as philosophical medium, etc. which reveals maternal existence, and boundary between the life and the death. This could be confirmed in the poem of Kim, gwangseob, Kim gwanggyun, Seo, jeongju, Go eun, etc. On the other hand, Kim, chunsu and Kim, suyeong’s poem confirmed the experimental attempt to invent a new image of snow and discussed the meaning thereof. In modern novel, the image of snow generally means hardship and ordeal, This is caused by the point that snow and the seasonal background cannot be divi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narration genr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image of snow which symbolized hardship and ordeal in Hwang, seokyeong and Bang, yeongwoong’s novel. And the researcher analyzed that concrete and independent image and symbolization of snow appeared in Seo, jeong-in and Park, sangwoo’s short stories. Lastly, the researcher discussed that the image of snow was an excellent case to achieve the symbolization of love by analyzing Lee, cheongjun’s 「The Snowy Road」, and evaluated it as the work which prov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the snow.

      • KCI등재

        탈식민기 세계여행기 개관 - 단행본 세계여행기와 시기별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차선일(Cha, Sun-Il)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9 No.-

        이 논문은 탈식민기(1950~1980)에 생산된 단행본 세계여행기의 흐름과 양상을 일별하여, 시기별 특징적인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연구는 탈식민기 세계여행기의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를 위한 기초작업 으로, 단행본 세계여행기의 전반적인 흐름과 양상을 개관하여 본격적인 후속 연구의 밑거름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탈식민기 세계여행기는 두 가지 점에서 특징을 지닌다. 하나는 세계에 관한 지식을 전달하는 계몽적 매체라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순수한 개인적 글쓰기로서 미학적인 매체라는 점이다. 전자는 1950~60년대 세계 여행기의 특징이고, 후자는 1970년대 세계여행기의 주된 양상이다. 모든 세계여행이 국가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고 또 통제되는 1945-50년대 세계여행기는 국가의 외교 업무와 대외 사업을 수행하는 공무에 관한 기록으로서 시찰기에 가까웠다. 1960년대 세계여행기의 주목할 텍스트는 김찬삼의 세계여행기다. 김찬삼의 ‘세계일주기’는 세계여행기의 분야에서 정전으로서의 지위를 누리는 텍스트로, 그의 등장은 탈식민기 세계여행기의 역사를 그 전과 후로 나누는 분기점이다. 그의 세계여행기는 기본적으로 세계 지역에 대한 백과사전적 지식의 보고였다. 또한 김찬삼의 세계여행기는 미국과 유럽의 서술 비중이 적다는 점에서 표면상 서구중심주의적 시각에서 상당히 벗어나 있다. 김찬삼 이후 세계여행기는 탈정치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천경자와 최인호의 여행기 등은 공적 책무 없이 자유롭게 세계 각국을 돌아다니며 여행에서 느낀 주관적인 감회와 여행담을 적었다. 1960-70년대 세계여 행기는 구미중심의 지역적 편중에서 벗어나 ‘세계’의 영역을 확장했다. 내용면에서도 정치 담론이나 교양으로서의 성격에서 벗어난 순수한 여행담이 등장하며 여행기들이 다채롭게 분화했다. This paper wanted to examine the trend and aspect of the travel period of the world book produced in the post-colonial period (1950-1980). This study is a basic work for systematic analysis and study of the post-colonial world travel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utline the overall flow and aspects of the world travel period in book series to lay the foundation for further study. The post-colonial world travel season is characterized in two ways. O ne is that it is an enlightened medium for conveying knowledge about the world and the other is aesthetic for purely personal writing. The former is the hallmark of the 1950s and 60s world travel, and the latter is the main aspect of the 1970s world travel. In the 1945-50 century, when all world travel was almost wholly dependent and controlled on the state, the World Travel Period was more like an inspection period, a record of the nation s diplomatic and foreign operations. The notable text of the 1960s world travel season is Kim s world travel period. Kim Chan-sam s ‘World Day of the Day’ is a text that enjoys a blackout status in the field of world travel, and his appearance is a turning point that divides the history of post-colonial world travel. His world travel journal was basically a repository of encyclopedic knowledge of the world. Also, Kim Chan-sam s global travel journal is apparently far away from the Westernized view in that it has little narrative interest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fter Kim Chan-sam, the world s tourist plane has been deliberated. Chun Gyeong-ja and Choi In-ho s travel tours freely travel around the world without any official responsibility, recording the subjective feelings and stories of their trips. In the 1960s and 1970s, the world travel era expanded its ‘world’ territory away from the regional bias in the center of Europe and America. In terms of contents, travel periods diversified in various ways, with stories about politics and pure travel beyond the nature of culture.

      • KCI등재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구

        차선일(Cha, Sun Il) 구보학회 2007 구보학보 Vol.2 No.-

        박태원의 「小說家 仇甫씨의 一日」은 1930년대 식민지 도시 경성에서 살아가는 예술가의 존재방식과 문학의 자율성을 미학적 자의식의 방법을 통해 성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문학과 사회의 새로운 관계정립을 모색하고 있는 작품이다. ‘仇甫’는 박태원의 분신으로 동일시되는 한편 차이를 지닌 가공의 인물로, ‘仇甫’를 통해 박태원은 자신을 대상화하는 한편 자율적인 문학 장의 존재방식을 반성적으로 관찰하는 거리를 확보하게 된다. 「小說家 仇甫씨의 一日」은 이러한 ‘仇甫’의 하루 여정, 특히 ‘거리’와 ‘茶房’을 반복적으로 오가는 행로를 쫓아가면서, 세속적 욕망과 예술가적 욕망 사이에서의 ‘仇甫’의 갈등, 예술가들만의 이상적 공동체(미적 자율성)를 실현할 수 없는 식민지 현실에 대해 자각하는 ‘仇甫’의 사유를 서술한다. 일상인의 생활과 예술가의 삶 사이의 조화로운 화해와 결합을 추구하는 ‘仇甫’의 사유는 ‘연애’의 문제로 집약된다. ‘仇甫’는 아름다운 여인과의 연애/결혼이 식민지 현실에서 진정한 행복을 보장할 수 있는지 회의하며, 이를 바탕으로 식민지의 가난한 여인들에 대한 연민과 동정의 윤리학을 요청하며 이후의 리얼리즘적 사유로 나아가는 단초를 마련한다. ‘A Day of Gu-Bo, Novelist’ written by Park Tae-Won seeks to form a new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by examining a form of the existence of the artists living in the colonized city, Kyung-Sung in the 1930’s as well as autonomy of the literature through a method of aesthetic self-consciousness. A writter, Park Tae-Won is able to compensating himself and further secure a distance of observing a form of the existence of the autonomic literature field through his chacter ‘Gu-Bo’, which is considered his other self and artificial figure different from himself. ‘A Day of Gu-Bo, Novelist’ demonstrates complication between secular desire and artist desire, realize about colony reality that can’t found ideal group of only artists (aesthetic autonomy) by following a day of ‘Gu-Bo’, specially a path coming and going between ‘street’ and ‘a tea room’. ‘Gu-Bo’s’ thinking dreaming a harmonized reconciliation and combination between living of the normal people and a life of the artist is integrated into a matter of ‘Loving’. ‘Gu-Bo’ doubts whether or not cloving/marrying a beautiful woman can secure real happiness in a reality of the colony, thereby demanding ethics of compassion of poor women of colony, and finally preparing a foundation going toward later thinking of the realism.

      • KCI등재

        `프란츠 파농 담론`의 한국적 수용 양상 연구

        차선일 ( Cha Sun-il ),고인환 ( Ko In-hwan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4

        이 글은 일차적으로 프란츠 파농의 사상이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수용되는 과정을 역사적으로 되돌아봄으로써, `파농 담론`이 수용된 사회적 맥락을 구체화하고 파농을 어떻게 전유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고유한 역사적 국면 속에서 살아있는 파농을 구제하고 현재적 사상가로서의 파농의 가치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나아가 한국의 현실이 요구하는 `파농`을 새롭게 창조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제3세계의 민족해방운동의 이론적 공급원 중 하나였던 비서구 출신의 실천적인 사상가 파농이 국내 학계와 문화계에 유입되는 과정은 몇 단계의 굴곡과 우회를 포함하고 있다. `파농 담론`이 실질적으로 받아들여진 1971년 이후의 수용사를 되돌아보면, 전반적으로 동시대 파농 해석의 국제적 조류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국내의 특수한 사회문화적 상황과 맞물려 특징적인 양상이 빚어진다. 1970~80년대에 군부독재권력에 저항하는 민주화 운동의 맥락에서 파농의 사상이 민주주의 이론으로 재해석되었던 것이 단적인 예다. 한편1990년대 일시적인 공백기를 지난 이후 2000년대의 `파농 담론`은 제1세계에서 탈정치적으로 해석된 파농에 대한 비판적 접근이라는 동시대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파농의 정치성을 복권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파농의 탈서구화와 정치화를 주장하는 목소리는 비판적 담론 이상의 구체적 · 실천적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결과적으로 제1세계로부터 파농을 구출하려는 바로 그 안건에 비판적으로 함축된 서구중심주의를 탈피하지 못했다. `파농 담론`의 수용사에서 반성적으로 되물어봐야 할 것은, 파농이라는 제3세계 출신의 흑인사상가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우리의 시각이 은연중에 서구중심주의와 식민주의, 인종주의 등에 감염되어 있거나 암묵적으로 동조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점이다. 파농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파농의 텍스트를 올바르게 독해하는 것도 파농을 현실적 상황에 적합하게 이용하는 것만도 아니다. 그것은 근본적으로 우리의 역사와 내면에 뿌리내린 서구중심주의를 비판적으로 해부하고 성찰하는 것에 달려 있다. 더불어 이러한 노력은 학제간의 장벽을 넘어서는 상호적 노력을 통해 성취되며, 한국문학과 외국문학, 나아가 비서구문학과의 소통과 연대를 위한 토대 구축의 논의와 맞물려야 한다. 파농을 읽는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지평 속에서 읽는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cceptance aspect of `Frantz Fanon discourse.` Since `Fanon discourse` first started to be accepted in 1971, it has continued to be the center of attention and a matter of discussion until now, passing through a short hiatus period in the 1990s.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accepting `Fanon discourse` in the 1970s~1980s can be summarized into the image of `Fanon as a democracy fighter.` As reflection on violence was made a subject of discussion among various discussions about Fanon, a viewpoint of Fanon`s idea as the theory of democracy rose as influential discussion. This aspect means that `Fanon discourse` was accepted as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resistance against military dictatorship in those days. On the other hand, in the 1990s, `Fanon discourse` met a temporary lull. As post-ideological era has come, a sociocultural interest in politically interpreted Fanon has sharply decreased. However, the name of Fanon was reinstated as postcolonialism theory rose in postmodernism trends. In the 2000s, `Fanon discourse` explosively increased. And in that time,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accepting `Fanon discourse` was to be brought into relief as critical rival horse against occidentalized postcolonialism theory. However, this image as a critic is also following the contemporary discussion in the West in exactly the same way. And this point of view may be also regarded as occident-centric result. The fact that there is no case `Fanon discourse` is used as a theoretical tool of interpreting and intervening in sociocultural situation in Korea is a supporting evidence for that. The reason why `Fanon discourse` has lost a link to be grafted on realities since the 1990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Fanon is a `black thinker.` In particular,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Fanon`s image as a thinker of violent struggle stuck to him, and it was impossible to accept `Fanon discourse` inside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among discussions about Fanon, a discussion about criticism on racism was relatively rough, and so on. Finally, the acceptance of `Fanon discourse` born outside the West from an occident-centric viewpoint is the Korean situation of discours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