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북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양상 연구 -이응준의 『국가의 사생활』과 강희진의 『유령』을 중심으로-

        고인환 ( In Hwan Ko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39 No.-

        본고에서는 이응준의 『국가의 사생활』과 강희진의 『유령』에 나타난 탈북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트의 서사 구조를 표면적 층위와 심층적 층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대중 장르의 서사 규범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표층적 층위의 서사는 기존의 분단문학이 지닌 진지함과 엄숙함을 상대화하며 분단체제에 기생해온 지배담론의 허구성을 경쾌하고 발랄하게 탈주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한편 그 이면에 작동하고 있는 심층적 구조는 절망과 환멸로 얼룩진 분단체제의 현실을 정체성 탐색의 서사로 관통함으로써 탈북 디아스포라들의 현존을 적나라하게 파헤치는데 효과적으로 기능하고 있다. 『국가의 사생활』과 『유령』은 분단 현실을 형상화하는 젊은 세대들의 새로운 감수성을 표출하고 있다. 이념과 체제를 넘어선 이들의 서사적 자의식은 기존의 분단소설이 지닌 엄숙함과 당위적 외침을 넘어 탈분단 문학을 향한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장르의 서사 양식을 작품 속에 수용하여 분단체제의 모순에 적극적으로 응전하고 있다는 점은 강조할 만하다. 탈북 디아스포라를 서술의 주체로 등장시키고 있다는 점 또한 주목을 요한다. 지금까지 탈북자의 삶을 형상화한 작품들은 탈북자를 바라보는 관찰자의 시선을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이응준과 강희진의 작품에서 비로소 탈북자는 스스로의 주체적 시선을 획득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리/그들`` 사이의 경계를 ``그들``의 시선으로 심문하고 있다는 사실은 탈북 디아스포라 문학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들이 그들의 목소리로 북한의 냉혹한 현실을, 그리고 남한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증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위의 두 작품은 궁극적으로 ``통일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혹은 ``바람직한 통일을 성취하기 위해 우리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를 심문하는 탈분단 지향의 텍스트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new aspects of North Korea defection Diaspora literature that appeared in Lee Eung-Jun`s 『Private Life of a Nation』 and Kang Hui-Jin`s 『Phantom』. For that, the descriptive structure of text was divided into a surface layer and a in-depth layer and analyzed. The narration of a surface layer which positively accepts descriptive norms of the popular genre relativizes the seriousness and solemnity, contributing to escaping freely and cheerfully from the fic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parasitic on the separated system. In the meanwhile, the in-depth structure working on the other side effectively acts in frankly looking into the existence of North Korea defection by penetrating the reality of the separated system imbued with despair and disillusionment through epic of identity search. 『Private Life of a Nation』and 『Phantom』 represents new sensitivity of young generations who figure the separated reality. Their narrative sense of identity escaping from the ideology and system goes over the solemnity and fair cry represented in the existing country-separated novels appropriate and implies new possibility going beyond country-separated literature. Especially, it is notable that they accepted a variety of genres of descriptive forms in their literary works and positively cope with the contradiction of the separated system. Also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oint that they appear North Korea defection Diaspora as the subject of description. Up to now, the works that figured the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s were described centering around viewpoints of the observers. It can be sai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got to obtain their own subjective eyes in Lee Eung-Jun`s and Kang Hui-Jin`s works. The fact that the boundary between ``we/they`` is strictly evaluated through their eyes and viewpoints can be said to be one of important turning points in North Korea defection Diaspora literature. Because they give testimony of the strict reality of North Korea in their voice, and also the aspects of corruption of South Korea capitalism. The above two works ultimately can be said to be text toward escaping from the separated system, which search an answer to ``How we should prepare for re-unification?``, or ``How we should change to achieve the desirable re-unification?``. look into real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김사량의 <노마만리> 연구

        고인환(In-hwan, Ko) 어문연구학회 2009 어문연구 Vol.59 No.-

        This study analyse the Noma manri mainly concerns the changes of reality in the text. And the study examines closely interior consciousness of Kim Sa-Ryang who changed from a writer to a revolutionist. Kim Sa-Ryang wrote this work three times. So there are three types version of Noma-manri. Firstly, YeonAn Mangmyeonggi-Sanchaegi(Exile report to YeonAn) was published as subhead 󰡔Jongi sodong(Paper Disturbance)󰡕 and Dambaewa Bul(Cigarette and Fire). These works are constructed as episode. I examined literary self-conscious that is continuous with 'paper' and private desire that is continuous with 'cigarette/fire' in this chapter. This way shows interior consciousness of Kim Sa-Ryang who changed from a writer to a revolutionist. Second, Noma manri-YeonAn Mangmyeonggi is the work that is reported full-scale itinerary over episode construction. Kim Sa-Ryang rewroted lively the itinerary from the morning that he left his homeland in. I considered 'the things that he didn't want to expose' through direction of narration. Third, Noma manri is a complete text that include itinerary from PyungYang to NamJang town, TaeHang Mountain where is anti-Japan's base region. I studied that 'the things that he didn't want to expose' is retrenched and deleted on purpose. This fact shows that social-ego overwhelm private desire. The course of text as YeonAn Mangmyeonggi-Sanchaegi → Noma manri-YeonAn Mangmyeonggi → Noma manri indicates writer consciousness that retains past memory and distance. This expresses writer's private desire that is caused by detailed tension from 'something to want to tell' to 'something not to want to tell'. This means that social-ego overcomes private-ego.

      • KCI등재

        탈북 디아스포라 고려인 소설 연구

        고인환 ( Ko In-hwan ),이정선 ( Lee Jung-sun ) 국제어문학회 2016 국제어문 Vol.0 No.70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 중에서 북한출신 작가들의 소설 작품에 대한 분석이다. 이들은 대부분 한국전쟁 때 국비로 소련에 유학하던 중에, 김일성 우상 화에 반대하여 망명을 선택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어느 시기 이후에는 고려인 문 단에서 중추의 역할을 맡게 되었다. 탈북 고려인 문인들의 작품은 다른 고려인들의 작품과 일정한 차이를 보인다. 첫째, 한국전쟁을 다루면서 전쟁을 일으킨 자에 대한 비판과 남북의 군사들이 고용병의 처지일 뿐임을 깨닫는 정체성의 각성에 따른 염증을 강조한다. 또한 부적절한 전쟁에 대한 비판의식을 적극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인물들을 형상화하고 있다. 둘째, 북한 사회에 대해 예민한 비판의식을 드러낸다. 억압적인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비효율성과 김일성 우상화를 비판하고, 그로 인해 사소한 실수에도 두려워할 수밖에 없는 불행한 삶을 그리고 있다. 셋째, 중앙아시아에서의 삶의 어두운 면을 포착한다. 다른 고려인 작가들의 작품이 고려인들이 이룬 성취에 주로 집중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강제이주를 형상화하는 것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부당한 정책에 대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고려인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고향에 묻힐 수 없는 존재로서 고려인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드러난다. 탈북 고려인 작가들은 자신들이 거부했던 북한과 비슷한 상황의 소련에서, 쉽게 동화될 수 없었을 것이고, 그로 인해 다른 고려인들과도 거리감을 느꼈을 것 이다. 그들은 다른 한민족 디아스포라 작가들과 달리 모국과도 의식적으로 괴리 된 상태에 놓여 있음으로 인해 이중의 경계인이 된다. 그런 특성 때문에 북한과 소련의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작품들을 산출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novels of North Korean writers among the Korean literature in Central Asia. Although there are not many of them, they have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since a certain period of time. Most of them are those who chose exile instead of returning to home country while studying in the Soviet Union on government scholarships during the Korean War in opposition to the idolization of Kim Il Sung in North Korea. Though they released literature works right after exile, it seems that their works began to be published in general collection of works in the 1980s. In this aspect, it is deemed that their works were not initially accepted favorably in the Korean literature circle. The works of North Korean defector writers show a certain level of differences from other works by Koreans. First, they capture the dark side of life in Central Asia. This is contrary to other writers` works that kept silence or mentioned just ambiguously about the forced deportation process or miserable post-deportation predicaments while focusing mainly on the successful achievements after being a hero thanks to a lot of efforts. Second, the Korean War is a very unique material that can be deal with only by North Korean defector writers. In dealing with the Korean War, they criticize those who caused the war and emphasize the disillusion about soldiers participating in the war, who realized their identity as nothing more a hired soldier. They also give a shape to characters who put into practice critical thoughts about inappropriate war. Third, they show sensitive criticism against doctrinaire distorted and suppressive society. Forth, their works show differences in shaping the forced deportation process. They portrait the kind of Korean people who act proactively against unfair policies and reveal their awareness on the identity of Koreans as a being who cannot be buried in their home soil. North Korean defector writers might be hardly assimilated to the Soviet Union which was similar to North Korea they had refused to accept. And for this reason, they also might have felt distanced from other Korean people. Unlike other Korean diaspora writers, they were consciously distanced from those in their home country to become doubly marginalized subjects. For this characteristic, they produced literature works revealing active critical thoughts about the reality in North Korea and Soviet Union.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소설 속의 아프리카 -『인샬라』, 『아프리카의 별』,『아프리카의 뿔』을 중심으로

        고인환 ( In Hwan Ko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9 No.-

        본고에서는 아프리카를 본격적으로 수용하면서 한국문학의 영역을 아프리카까지 확장하고 있는 『인샬라』, 『아프리카의 별』, 『아프리카 의 뿔』 등을 중심으로 한국 소설의 아프리카 수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권현숙의 『인샬라』는 알제리를 배경으로 남북 청춘 남녀의 ‘금지된 사랑’을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 우리 문학에 아프리카가 본격적으로 수용 된 최초의 사례이자 분단문학의 영역을 아프리카까지 확장한 문제적인 경우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에서 알제리는 소재적 차원의 이국적 풍경 혹 은 우리의 현실을 유추하는 상징적 알레고리 차원을 넘어 남북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비추는 거울의 기능을 하고 있다 정미경의 『아프리카의 별』은 ‘검은 황홀의 땅’ 모로코를 떠도는 다양 한 인물 군상들의 삶을 통해 돈과 아름다움에 중독된 인간의 탐욕을 성찰 하고 있다. 이 작품은 아프리카에서 한국으로 귀향하는 구조, 즉 ‘서울 → 모로코(아프리카) → 서울’의 여행서사의 형식을 취하지 않는다. 오히려 아프리카 본연의 목소리(바바)로, 아프리카를 왜곡된 방식으로 전유하려 한 인물들(K와 승의 아내, 로랑, 승)의 삶의 태도를 질타하는 성찰의 서사 라 할 수 있다.하상훈의 『아프리카의 뿔』은 소말리아 해적단의 한 청년을 초점화자로 내세워 소말리아의 참담한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함과 동시에 신자유 주의의 논리가 지배하는 냉혹한 지구촌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있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바라보는 자’의 시선으로 아프리카의 현실을 드러내는 차원을 넘어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우리의 삶’을 성찰하려는 문제적인 시도를 하고 있다. 이상의 텍스트들은 아프리카 본연의 목소리를 통해, 왜곡된 방식으로 아프리카를 전유하는 기존의 관점들을 심문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현실을 되돌아보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많 이 알려진 마그레브 지역이나 T.V.와 언론에 자주 보도되는 소말리아 지 역에 한정된 아프리카를 다루고 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른바 흑아프리카 지역, 즉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가 우리 문학 속으로 수용되 는 장면을 기대해 보기로 한다. Despite the constant interest in the African Continent, the reality of Africa has been seldom directly talked about in texts of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how Korean novels have been dealing with Africa so far, they have been accepting the continent only partially as some fragmentary image from an aspect of materials, as a symbolic device to represent main ideas or topics and as this simple tool to allegorize our own reality. In the light of that, this study as a research most willing to accept Africa aims to discuss how Korean literature has been accepting the continent as focusing on these novels 『Inch``Allah』,『The Star of Africa』 and 『The Horn of Africa』 that are expanding the scope of Korean literature even out to Africa. 『Inch``Allah』by KWON Hyun-sook is a novel to ask questions about this special circumstance of the Korean Peninsula, in other words, the division of the country into north and south, through these other situations of Algeria in North Africa. In addition, 『The Star of Africa』of JEONGMi-kyeong is a story of lives of these various characters who have been wandering Morocco, ``the land of black fantasies``, and it talks about the greed of humans addicted to money and beauty. In the meantime, in 『The Horn of Africa』by HA Sang-hoon, this young man from Somali pirates is selected as a focalizer and, he delivers a graphic story about the horrible reality of Somalia. Add to that, at the same time, the novel by HA Sang-hoon is critically examining this harsh reality of the global village conquered by a logic of neo-liberalism. As far as this study understands, the texts presented above provide us with a valuable chance to look back upon our own reality as borrowing the original voice of Africa to ask us questions about our distorted ways of monopolizing Africa.

      • KCI등재

        홍석중의 〈황진이〉 연구 - 주인공의 현실인식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고인환(Ko In-Hwan) 한국문학회 2008 韓國文學論叢 Vol.48 No.-

          〈Hwang Jin-Yi〉 by Hong Seok-Jung contains important meaning on inner change of North Korea"s literature and literary exchange of South and North Korea. This novel has the strong power to attract the readers of South Korea though it is reflected the idea of North Korea appropriately. The main driving forces of this novel are individual love in question and to pursuit happiness although it has strong voice of criticism of irrational social reality. It is a meaningful change which compares with the existing North Korea"s novels are captured with the logic of socialism However, it"s clearly exposed the critical points of various researches because of the prejudice of North Korea"s novel. The mistakes which evaluate the novels with the circumference context rather than concrete text analysis. But, now the inductive method is required for see the change aspect of North Korea"s literature with analysis of the work itself. In this paper, therefore, focuses on the change of reality recognition of "Hwang Jin-Yi(heroin in the novel)" and analyze the concrete meaning of this novel. 〈Hwang Jin-Yi〉 searches for the change procedures of reality recognition of main character in actual life realized, with these steps, writer reflects the era of "Hwang Jin-Yi" lived and our reality.<BR>  In this novel, "Hwang Jin-Yi" is a vivid woman who has self-consciousness. She goes through many social positions - "the only daughter among many sons in noble Hwang"s family → Gi-Saeng(singing and dancing girl who is cultured in ancient Korea / it"s neutral position between ruling class and lower class) → freeman" - and her reality recognition had changed according to her social positions.<BR>  "Hwang Jin-Yi" who is the only daughter among many sons in noble Hwang"s family has romantic and abstract reality recognition. Especially, the eyes of writer who catches delicately the internal desire of "Hwang Jin-Yi" has universality which union the difference ideal gap of South and North Korea.<BR>  The reality recognition of "Hwang Jin-Yi" as Gi-Saeng is expressed as division; she satirizes the noble"s hypocritical desire and despairs herself with social position as Gi-Saeng. Such crack are sutured as love with "Nomi(hero in this novel". The tragic and pure love between "Nomi" and "Hwang Jin-Yi" is compared with the hypocritical love and doesn"t have the meaning of revolutionary love as ideal concept. Like this, individual love and desire are rarely reveal in North Korea"s novels which forbid the inside and desire of existence, so this novel is very meaningful to look for communication South and North literature.<BR>  "Hwang Jin-Yi" as a freeman who lefts the human society doesn"t mean of escape from reality but rises above the world after doing her duties in her life. It"s impossible to overcome the hypocrisy and falsity of noble class as Gi-Saeng. It"s a transcendence beyond the dichotomy like as" good vs evil", "truth vs false" and "ruling class vs lower class".<BR>  "Hwang Jin-Yi" doesn"t overcome the contradiction of her era. But it doesn"t matter. It can become a signal of new era because "Hwang Jin-Yi" considers her problem as periodic meaning in her era. Probably, the significance of literature which captures the state of tension between existence and real world is to reflect the real life"s meaning. Such a point, 〈Hwang Jin-Yi〉 by Hong Seok-Jung asks us who lives in real world which the capital logic governs what is the meaning of life, with heroin "Hwang Jin-Yi" who tries to overcome the periodic dominant concepts though she couldn"t escape the false era.

      • KCI등재

        식민지 시대 재만 조선인 디아스포라의 발화 전략 - 최서해와 강경애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

        고인환 ( Ko In Hwan ),정성규 ( Jang Sung Kyu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6 No.-

        본고에서는 최서해와 강경애 문학에 나타난 환상성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우선 이들이 실제 생활의 근거지로서 만주를 체험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다음으로, 최서해와 강경애가 모두 당대 문학장의 주변부에 위치해 있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이 전통적인 엘리트 문인이 아니라는 사실에 관심을 가졌다. 최서해의 만주체험은 체험과 픽션의 혼종이라는 그만의 독특한 내러티브 형식으로 형상화되며, 이 과정에서 주류적인 담론 이면의 리얼리티의 발화를 위해 환상성이 주된 소설적 장치로 사용된다. 최서해가 보여주는 이와 같은 디아스포라적 정체성의 발화는 당대 소재적 층위의 만주체험을 넘어 하위주체의 발화형식으로서의 비주류적 내러티브의 모색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될 수 있다. 강경애의 환상성은 만주체험에 기반한 작품에서 두드러진다. 이는 그녀 의 선험적인 사회주의적 인식론으로 포획되지 않는 만주의 하위주체의 목 소리를 복원시키고자 한 의식적 노력의 소산이다. 이를 통해 강경애는 하 위주체의 목소리를 복원시킬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환상성은 지배적인 내러티브 이면의 다른 ‘현실’을 복원하기 위한 유력한 기제로 사용되었다. 조선에서도, 만주에서도 주변에 위치 지어진 이들의 디아스포라적 정체성이 주류적인 발화형식과는 다른 하위주체의 목소리를 복원하기 위한 환상의 형식을 요구했던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fantastic meaning represented in literature of Choi Seohae and Gang Gyeongae. First of all, the fact that they experienced Manchuria as the basis for real life was noted. Next, the fact that both Choi Seohae and Gang Gyeongae worked on the periphery of the current literature was noted. Lastly, attention was paid to the fact that they were not traditional elite writers. Choi Seohae’s experience in Manchuria is figured in his peculiar narrative type as a mixture of experience and fiction. In this process, fantasy is used as main fictional devices for giving a speech of reality behind the main discourse. Such a speech of diaspora identity as Choi Seohae shows can be highly evaluated in that, escaping from Manchuria experience which is the current materialistic stratigraphy, it is connected to seeking anti-mainstream narrative as speech type of subordinate subjects. Gang Gyeongae’s fantastic nature is noticeable in pieces of work based on Manchuria experiences. This is the result of the conscious efforts for recovering the voices of subordinate subjects of Manchuria which can not be obtained through her transcendental social epistemology. Through this, Gang Gyeongae was able to restore voices of subordinate subjects, and in this process, the fantastic nature was used as powerful materials for restoring other reality than dominating narrative. Both colonial Chosun and Manchuria required fantastic types for restoring voices of subordinate subjects different from the speech type diaspora identity of the people residing in the surrounding areas.

      • KCI등재

        `프란츠 파농 담론`의 한국적 수용 양상 연구

        차선일 ( Cha Sun-il ),고인환 ( Ko In-hwan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4

        이 글은 일차적으로 프란츠 파농의 사상이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수용되는 과정을 역사적으로 되돌아봄으로써, `파농 담론`이 수용된 사회적 맥락을 구체화하고 파농을 어떻게 전유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고유한 역사적 국면 속에서 살아있는 파농을 구제하고 현재적 사상가로서의 파농의 가치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나아가 한국의 현실이 요구하는 `파농`을 새롭게 창조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제3세계의 민족해방운동의 이론적 공급원 중 하나였던 비서구 출신의 실천적인 사상가 파농이 국내 학계와 문화계에 유입되는 과정은 몇 단계의 굴곡과 우회를 포함하고 있다. `파농 담론`이 실질적으로 받아들여진 1971년 이후의 수용사를 되돌아보면, 전반적으로 동시대 파농 해석의 국제적 조류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국내의 특수한 사회문화적 상황과 맞물려 특징적인 양상이 빚어진다. 1970~80년대에 군부독재권력에 저항하는 민주화 운동의 맥락에서 파농의 사상이 민주주의 이론으로 재해석되었던 것이 단적인 예다. 한편1990년대 일시적인 공백기를 지난 이후 2000년대의 `파농 담론`은 제1세계에서 탈정치적으로 해석된 파농에 대한 비판적 접근이라는 동시대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파농의 정치성을 복권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파농의 탈서구화와 정치화를 주장하는 목소리는 비판적 담론 이상의 구체적 · 실천적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결과적으로 제1세계로부터 파농을 구출하려는 바로 그 안건에 비판적으로 함축된 서구중심주의를 탈피하지 못했다. `파농 담론`의 수용사에서 반성적으로 되물어봐야 할 것은, 파농이라는 제3세계 출신의 흑인사상가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우리의 시각이 은연중에 서구중심주의와 식민주의, 인종주의 등에 감염되어 있거나 암묵적으로 동조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점이다. 파농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파농의 텍스트를 올바르게 독해하는 것도 파농을 현실적 상황에 적합하게 이용하는 것만도 아니다. 그것은 근본적으로 우리의 역사와 내면에 뿌리내린 서구중심주의를 비판적으로 해부하고 성찰하는 것에 달려 있다. 더불어 이러한 노력은 학제간의 장벽을 넘어서는 상호적 노력을 통해 성취되며, 한국문학과 외국문학, 나아가 비서구문학과의 소통과 연대를 위한 토대 구축의 논의와 맞물려야 한다. 파농을 읽는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지평 속에서 읽는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cceptance aspect of `Frantz Fanon discourse.` Since `Fanon discourse` first started to be accepted in 1971, it has continued to be the center of attention and a matter of discussion until now, passing through a short hiatus period in the 1990s.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accepting `Fanon discourse` in the 1970s~1980s can be summarized into the image of `Fanon as a democracy fighter.` As reflection on violence was made a subject of discussion among various discussions about Fanon, a viewpoint of Fanon`s idea as the theory of democracy rose as influential discussion. This aspect means that `Fanon discourse` was accepted as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resistance against military dictatorship in those days. On the other hand, in the 1990s, `Fanon discourse` met a temporary lull. As post-ideological era has come, a sociocultural interest in politically interpreted Fanon has sharply decreased. However, the name of Fanon was reinstated as postcolonialism theory rose in postmodernism trends. In the 2000s, `Fanon discourse` explosively increased. And in that time,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accepting `Fanon discourse` was to be brought into relief as critical rival horse against occidentalized postcolonialism theory. However, this image as a critic is also following the contemporary discussion in the West in exactly the same way. And this point of view may be also regarded as occident-centric result. The fact that there is no case `Fanon discourse` is used as a theoretical tool of interpreting and intervening in sociocultural situation in Korea is a supporting evidence for that. The reason why `Fanon discourse` has lost a link to be grafted on realities since the 1990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Fanon is a `black thinker.` In particular,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Fanon`s image as a thinker of violent struggle stuck to him, and it was impossible to accept `Fanon discourse` inside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among discussions about Fanon, a discussion about criticism on racism was relatively rough, and so on. Finally, the acceptance of `Fanon discourse` born outside the West from an occident-centric viewpoint is the Korean situation of discourse.

      • KCI등재

        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한 가능성

        고인환(Ko, In-Hwan)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5 No.-

        김학철의 <20세기의 신화>는 중국의 '반우파투쟁' 및 '대약진운동' 시기를 배경으로 조선족 자치주 지식인의 비참한 삶을 조선족의 시각으로 형상화한 소설이다. 이 작품은 중국의 일방적인 정책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이자 주류민족의 영향 하에 살아가는 소수민족의 삶에 대한 문제의식을 함축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북한의 체제 및 역사에 대한 비판 또한 강력하게 전개하고 있다. 작가가 체험한 조선의용군 투쟁사의 복원과 맞물린 역사인식은 중국 및 남.북의 현실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조선의용군의 역사 복원은 남한에 있어 잃어버린 역사 복원을 통한 온전한 민족사 구성의 계기가 될 수 있으며, 북한에는 김일성 중심의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 역할을 하고 있다. 나아가 중국의 경우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에 바탕한 민족주의적 연대를 환기함으로써 소수민족을 억압하는 폐쇄적 민족주의를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이처럼 조선의용군 체험은 교조적 공산주의를 넘어서 인간적 공산주의를 지향하는 김학철 문학의 원형질이 되고 있다. 김학철은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를 염원하며 세계시민에게 말을 걸고 있는 셈이다. 그의 작품이 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하는 지점은 바로 여기이다. 더불어 <20세기의 신화>에 드러나는 휴머니즘 지향성은 인간의 존재 조건에 대한 근원적 문제제기의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이데올로기 차원의 비판을 넘어선다. 인간의 존엄성을 뿌리째 뒤흔드는 억압적 사회주의 체제에 대한 비판인 것이다. 여기에서 김학철이 추구하는 휴머니즘의 진면목이 드러나는데, 이는 체제와 이데올로기, 민족과 국가의 차이를 넘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정서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계문학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보편적 인간애는 이념의 영역을 넘어선 참다운 공산주의자의 형상을 창조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우리는, 한민족이되 한국인일 수 없고 중국인이되 중국민족일 수 없는 '모순과 분열'의 정체성, 더 구체적으로는 우리 민족의 수난사를 온몸으로 체현한 김학철의 삶과 문학을 통해 한국문학의 외연을 확장하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엿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의 삶과 문학 자체에 이질적인 민족, 국가, 문화, 역사의 목소리가 공명하며 살아 숨 쉬고 있기 때문이다. <The Myth of 20th century> by Kim Hak-Cheol presents miserable life of ethnic Korean intellectual living in China with 'Great Leap Forward'. The work completely criticize unilaterally China policy and comprehends life of a minority race. Moreover, the work criticize North Korean history and regime. Kim Hak-Cheol experience Chosun volunteer army. So, he wants to restoration of Chosun volunteer army's history. The work means restoration of lost history to South Korea and straightening up of distortion history to North Korea. And the work criticize closed China nationalism too. Because the work arouses nationalism solidarity based on a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Hence, experience of Chosun volunteer army is an archetype in literature of Kim Hak-Cheol that overcome a doctrinaire communism and head for a human communism. He talks to global citizens with 'socialism in human face'. So his work has possiblity of diaspora literature by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Humanism in <The Myth of 20th century> overcome ideological criticism. Because the work raises a basic question to repressive socialism regime. This means his literature has the capacity to be a world literature. Because his work basis of common sympathy that surpass regime or ideology and nation or state. So that makes a true communist who isn't bound by principle. We can see a new possibilit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through the life and literature by Kim Hak-Cheol. Because he is ethnic of Korea but isn't to be Korean, also he is Chinese but isn't to be ethnic of China. So his life and literature involves so many kind of nation, state, culture and history alread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