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 난수성 에디의 장기간 지속에 관하여

        진현근,박영규,박균도,김영호,JIN, HYUNKEUN,PARK, YOUNG-GYU,PAK, GYUNDO,KIM, YOUNG HO 한국해양학회 2019 바다 Vol.24 No.2

        HYCOM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동해에서 2003년과 2014년에 장기간 지속되었던 두 개의 난수성 에디를 선정하여 각각 WE03과 WE14로 명명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두 난수성 에디가 형성되는 시기는 동한난류가 평년에 비해 북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난수성 에디는 동한난류와 아한대전선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대적으로 수심이 얕은 한국대지 해역에서 생성되었다. 겨울철 연직 혼합에 의해서 난수성 에디의 중심부는 수심 150 m까지 $13^{\circ}C$, 34.1 psu 가량의 균질한 특성을 보였다. WE03이 생성된 후 이듬해인 2004년에 대한해협 서수도를 통해 동해로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평년에 비해 많았으나 WE14가 생성된 후 이듬해인 2015년에는 대한해협 서수도를 통해 동해로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평년에 비해 많지 않았다. 이에서 대마난류가 난수성 에디에 열과 염을 공급하지만, 난수성 에디의 장기 지속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두 난수성 에디는 울릉도 부근에서 1년 6개월 이상 유지되었는데, 두 에디의 이동경로에 있어 특별한 공통점은 보이지 않았다. 울릉분지 부근에서는 동한난류의 사행 등으로 크고 작은 에디가 계속 생성된다. 장기간 존속하는 난수성 에디는 특별한 외적 요인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동한난류 또는 동한난류가 사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에디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동한난류가 평년에 비해 북상했던 시기에 장기간 지속된 난수성 에디가 항상 발생하지는 않았다는 점이 위와 같은 결론을 뒷받침한다. In this study, comparative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long-term persisted warm eddies that were generated in 2003 (WE03) and in 2014 (WE14) over the East Sea using the HYCOM reanalysis data. The overshooting of the East Korea Warm Current (EKWC) was appeared during the formation period of those warm eddies. The warm eddies were produced in the shallow Korea Plateau region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EKWC and the sub-polar front. In the interior of the both warm eddies, a homogeneous water mass of about $13^{\circ}C$ and 34.1 psu were generated over the upper 150 m depth by the winter mixing. In 2004, the next year of the generation of the WE03, the amount of the inflow through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was larger, while the inflow was lesser than its climatology during 2015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WE14.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heat and salt are supplied in the warm eddies through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however the amount of the inflow through the Korea Strait has negligible impact on the long-term persistency of the warm eddies. Both of the warm eddies were maintained more than 18 months near Ulleung island, while they have no common feature on the pathways. In the vicinity of the Ulleung basin, large and small eddies are continuously created due to the meandering of the EKWC. The long-term persisted warm eddies in the Ulleung Island seem to be the resul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existed eddies located south of the sub-polar front and fresh eddies induced by the meanderings of the EKWC. The conclusion is also in line with the fact that the long-term persisted warm eddies were not always created when the overshooting of the EKWC was appeared.

      • KCI등재

        셰일가스 개발에 따른 주요 환경문제와 그 대안

        오재호,진현근,선민아,장지연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2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지금까지의 미래 에너지 시장은 원자력 발 전과 신재생에너지가 주도해왔다. 하지만 2011년 일본 후쿠시마에서 발생한 원자력발전소의 폭발사고는 원자력 발전의 역할에 대해 불신이 증가되고 계기가 되었다. 또한, 장기간 이어진 경기침체로 인해, 신재생 에너지 기술 개발에 대한 지원이 위축되었다. 셰일가스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잠재적 인 매장량이 기존의 전통식 천연가스와 비슷한 규모로 추산된다. 이러한 셰일가스 분포특성상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세대 에너지 공급원으로써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첨단 채굴기술의 개발로 인하여,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셰일가스가 대량으로 공급되어 다른 화석연료에 비해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거래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석탄에 비해 연소 시에 온실가스 배출이 적기 때문에 석탄을 대신하여 저가의 전력공급 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셰일가스 개발이 긍정적인 면만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셰일가스 개발과정에서 각종 환경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은 주로 셰일가스 채굴과정에서 비롯된다. 현재 대부분의 셰일가 스 개발에 활용되고 있는 수압파쇄공법에는 엄청난 양의 수자원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 을 다량 첨가된다. 이로 인해 촉발되는 수자원 낭비 및 수자원 오염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또한 셰일가스 채 굴 및 운송과정에서 다량의 온실가스가 누출되고 있으며, 심지어 셰일가스 개발지역을 중심으로 지반침하 현상 및 약한 지진이 보고되고 있다. 아직 셰일가스 발굴 기술이 최근에야 개발되어 이 세일가스 개발이 환경에 미치 는 보편적인 평가는 아직 속단하여 결론 내리기 어려운 상황이다. 셰일가스 개발이 미치는 환경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지만 이 시점에서는 기존에 소개된 환경평가를 정리하였다. 이 논문에서 소개된 셰일가스 개발이 초래하는 환경 영향은 대부분 직접적인 영향에 국한하였으며, 분명히 존재하는 간접적인 영향은 향후 숙제로 남겨 놓았다.

      • KCI등재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Earth System Model and Its Simulation Characteristics

        박균도,노의근,이명인,예상욱,김대현,김상엽,이준리,이호진,현승훤,이광연,이재학,박영규,진현근,박혁민,김영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21 Ocean science journal Vol.56 No.1

        We document the performance of a new earth system model developed at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called the KIOST-ESM, based on a low-resolution (~ 200 km for the atmosphere, ~ 100 km for the ocean) version of the Geophysical Fluid Dynamics Laboratory Climate Model 2.5. The main changes made to the base model include adopting a unified convection scheme for cumulus convection and an ocean mixed layer parameterization considering Langmuir circulation, which improve the model fidelity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KIOST-ESM adopts a new soil respiration scheme in the dynamic vegetation process of its land component. The performance of the KIOST-ESM was assessed in pre-industrial and historical simulations that are made as part of its participation in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6 (CMIP6). The response of the earth system to increasing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was analyzed in the ScenarioMIP simulations. An abrupt quadrupling of CO2 experiment suggests that the equilibrium climate sensitivity of KIOST-ESM is 3.36 K—very close to the averaged one obtained from CMIP5 simulations. Although the KIOST-ESM showed a notable cold bias in the Northern Hemisphere and the double 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 bias, the KIOST-ESM outperforms the base model in simulating the mean sea surface temperature over the Southern Ocean and over the cold tongue in the tropical Pacific. The KIOST-ESM can also simulate the dominant tropical variability in intraseasonal (Madden–Julian Oscillation) and interannual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timescales more realis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