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미술의 개념 확장과 교육적 의미

        진영은(Chin Young Eun),강성원(Kang Sung Won)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3

        오늘날의 미술은 과거와 달리 주제ㆍ기법ㆍ매체의 사용에 있어서 그 범위가 크게 확장되었다. 더불어 표현에 있어서도 표현 이전의 사고의 과정까지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미술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이전의 미술 형식이 단일화되었던 것과는 달리 조형예술영역은 다원화 양상을 띠고 있으며, 그것은 미술 자체의 내부적 변화에 기인한 것이라기보다는 시대적 흐름에 따른 전반적인 사회ㆍ문화적 변화와 맞물려서 전개된 것이다. 현대미술의 특성인 사고(idea)의 중시, 예술 영역간의 상호교류, 매체 수용의 다양화, 다양한 주제와 기법의 수용 등의 확장된 개념은 교육적으로 시각문화교육, 창의적 인지작용, 통합적 접근으로의 미술교육을 의미하고 있다. 미술교육은 지식 교육으로서 전문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삶의 양식으로서 자기표현의 한 방법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Unlike the past concept of art, contemporary art has expanded in a usage of theme, technique and material. In the way of expression, it has also expanded by including the process of thinking. Previously, art had a simplified and unified form but today forms are being diversified. The change reflects the changes in overall trends in social and cultural trends. Importance of idea. transactions between different areas of art, various materials, wide variety of themes and techniques,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lead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creative recognition process and integrative approach in art education.

      • KCI등재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 연구동향 및 과제

        안효영(Ahn Hyo young),진영은(Chin Young e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직접 당사자인 가해자, 피해자 보다 주변인인 일반 학생이 다수를 차지한다. 주변인 연구는 이러한 다수의 역할행동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또래괴롭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을 다룬 국내의 학술지 논문, 석ㆍ박사학위논문 총 57편을 분석하였다. 국내 연구의 대부분은 주변인의 역할을 유형별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주변인은 동조자, 강화자, 방어자, 방관자의 역할유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방어자는 대부분의 특성이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동조자와 강화자는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동조자 및 방관자는 방어자와 대조되는 경향이 있다. 주변인의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개인특성, 학교환경 및 사회적 인지, 가족환경, 도덕변인으로 나누어 개관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에 따라 또래괴롭힘 상황에 있는 주변인들은 다른 역할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특성과 학교환경은 주변인의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또래괴롭힘 감소를 위한 실천적인 과제로 주변인 역할의 사회생태관점에서의 이해, 주변인 역할의 변화 가능성에 초점 맞추기, 방어자 역할을 하도록 하는 교육과 환경 조성, 질적연구의 확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변인 역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또래괴롭힘 감소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role of bystanders in bullying situations. In any general student population, there are many more bystanders than there are bullies and victims directly associated with bullying. Bystanders research starts from the idea that to reduce bullying one must understand role behaviors. For this, a total of 57 papers of domestic theses and dissertations were analyzed that researched the role of bystanders in dealing with bullying situations. Most of the domestic research studied divided the bystander roles into assistants, reinforcers, defenders, and outsiders. When analyzing these roles, defenders showed the most positive characteristics. Assistants showed similar properties with reinforcers. And, assistants and outsiders contrasted with the defenders. This study survey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 environment, family environment, and moral variables as factors that affect the role behaviors of bystanders. Depending on these factors, bystanders' role behaviors in bullying situations exhibited differenc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environment, in particular, had a major influence on bystanders' role behaviors. This paper suggests practical tasks to be made based on the research of bystanders' roles to help reduce bullying. The tasks are understanding the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 of the role of bystanders,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changing bystanders' roles, to educate and create a positive atmosphere for a defenders actions, and the expansion of qualitative research. The broadening of the understanding of bystander's roles throughout this study was done to contribute to a reduction of bullying.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연구 동향 및 과제

        박정식 ( Jeong Sik Park ),진영은 ( Young Eun Chi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석사 및 박사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연구보고서 총 62편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포괄적으로 조망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탐색하였다.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연구 동향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 교육과정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 방법의 다양화가 요구되었다. 둘째, 기본 교육과정 개발과 개정에 연구가 집중되었으며, 기본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연구는 미흡했다. 셋째, 기본 교육과정 구성의 관점에 대한 진전된 논의는 있었으나 기본 교육과정의 적합성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었다. 넷째, 학교의 실정에 맞게 기본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있으나 학교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서 교사들의 참여는 제한적이었다. 다섯째, 기본 교육과정 재구성과 실행에 관한 교사들의 높아진 관심은 교육과정 주체자로서 교사의 적극적인 역할에 대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본 교육과정 재구성과 실행에 관한 체계적인 논의는 부족하였다. 마지막으로, 보편적 차원의 평가 프로그램을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관한 향후 연구 과제로는 기본 교육과정 연구방법의 다양화, 기본 교육과정 적합성 문제에 관한 연구, 그리고 기본교육과정 실행 특성과 체계에 관한 연구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in the domestic research on the basic curriculum. A total of 62 research papers wer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were review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e basic curriculum research trend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oretical and quantitative research. Second, the studies focused on the basic curriculum revision and development. Third, discussions on the types of access to the basic curriculum have been making progress, but the tasks related to the appropriateness of the basic curriculum are yet to be accomplished. Fourth,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the curriculum decision-making processes was found to be limited. Fifth, the studies on the systematic discussion of the basic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are limited. Finally, the studies revealed that it is needed to find ways of adjusting the evaluation program of the universal dimensio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tudents in implementing the basic curriculum. For the future research, the following topics are recommended: diversification of the basic curriculum study method,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basic curriculum, and a study on the basic curriculum implementation systems.

      • KCI등재

        일반고등학교 학생 대상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탐구 - 참여 동기와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이형민(Lee Hyoung Mean),진영은(Chin Young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등학교 학생들이 왜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지와 그곳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를 확인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내러티브(narrative) 탐구방법에 근거하여 일반고등학교 학생들의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와 그곳에서 겪은 인상 깊었던 학습 경험을 이야기하도록 하여 그 이야기를 수집하고 이야기를 통해 생성되는 의미, 즉 이야기된 지식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는, 다양한 미술 활동 경험과 진로 선택에 도움을 받고자 하는 것이었다. 또한, 참여 활동 내용이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됨으로써 진학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으며 사교육비를 절감하고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다양한 미술 학습경험을 통해, 미술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확대하고 몰입을 통한 성취감과 함께 스트레스에 대한 자기 치유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미술에 대해 스스로 깨우치며 자기 효능감과 자기 주도성을 가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다양한 경험이 미술에 있어서 창의적 발상과 표현력 향상 방법을 스스로 터득하게 하는 내적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진로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나타낸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and understand why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 in the gifted and talented art education program and what they experience there. This study focused on collecting the high school students stories by having them tell their motivations to participate in the gifted and talented art education program and impressive learning experiences that they had there, and examining the meanings created by the stories, i.e., storied knowledge on the basis of narrative inqui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stude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gifted and talented art education program was intending to receive help in various art activity experiences and career choice. Besides, as the contents of participation activities were entered in the school life records, they expected that it would be helpful in going on to the next stage of their education. And it was shown that they participated so as to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t was found that, through various arts learning experiences, students expanded awareness and experience of arts and underwent a process of self-healing against stress together with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immersion, and awakened to arts by themselves, and had self-efficacy and self-initiative. The above results show that various experiences provide an opportunity of inner growth that allows them to learn a method of improving the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and creative ideas in arts by themselves, and have an effect on career decision.

      • SCOPUSKCI등재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약용식물 성분의 선택적 추출

        최영해,박은정,김영림,진영,전성호,정승남,유기풍,김진웅,Choi, Young-Hae,Park, Eun-Jung,Kim, Young-Leem,Chin, Young-Won,Jeon, Seong-Ho,Joung, Seung-Nam,Yoo, Ki-Pung,Kim, Jin-Woong 한국생약학회 1999 생약학회지 Vol.30 No.1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technique was applied to extract cytotoxic substances from five medicinal plants including Angelica gigas, Angelica acutiloba, Aralia cordata, Spirodela polyrhiza, Bupleurum falcatum, and Acanthopanax sessiliflorus. The cytotoxicities against P388, A549, and HL-60 cell lines were determined for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s of five plant materials employed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extracts such as n-hexane, $CHCl_{3}$, and MeOH to evaluate the SFE as an alternative method to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extraction. In most cases, the SFE extracts of plant materials showed enhanced cytotoxicities when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organic solvent extracts. In addition,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ressure of SFE for extraction of the cytotoxic substances were largely affected by both the plant species and the cell lines test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FE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method for the selective extraction of cytotoxic compounds from plants.

      • KCI등재후보

        학생반응으로 살펴본 문제바탕학습 교육과정의 질적 평가

        김주희(Ju-Hui Kim),김지영(Ji Young Kim),손희정(Hee Jung Son),최윤호(Yoon-Ho Choi),홍경표(Kyung-Pyo Hong),안병헌(Byung-Heon Ahn),엄대용(Dae-Yong Uhm),진영은(Young Eun Chin),서정돈(Jung-Don Seo) 한국의학교육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6 No.2

        Purpose: Recently established in 1997,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was the first medical school in Korea to adopt problem-based learning (PBL) as a core curriculum from the very begi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BL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the medica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approach to underst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positive aspects of PBL. A total of 22 second-year medical students at Sungkynkwan medical school were surveyed. Student perceptions were obtained from questionnaire and face-to-face interviews. The interview was designed to evoke more personal and in-depth responses. Results: Students perceptions of the effects of PBL were found to be very favorable. Most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on the issues of more active learning attitude, self-directed learning, motivation to study, improved problem solving, and integrated learn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tudents had a good understanding of PBL and experienced its positive aspects of PBL approach. It might be concluded that PBL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into the curriculum and specific and expected effects of PBL accomplished.

      • KCI등재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 탐색

        변문경(Byun Moon kyoung),서향희(Seo Hyang Hee),진영은(Chin Young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 과학교과의 2단원 ‘물질의 구성’을 중심으로 스토 리텔링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탐색 함으로써 효율적인 스토리텔링 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각매개의 부재(不在)상황은 학생들의 구체적 상상을 어렵게 하는 것으로 서 지식의 구조화 과정에 대한 어려움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또한 서로 다른 수준의 과학적 담화, 부적절한 은유(metaphor), 수업 안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대한 이해의 부족은 커머그니티브(commognitive) 갈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소통의 걸림돌을 의미하였다. 과학적 개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없는 상황에서 교과 간 통합적 플 롯의 구성은 학생들의 경험을 정리해 주는 기본 구조의 부재를 의미는 것이며, 내러 티브의 토대로 작용하여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기억의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스 토리텔링 과학 수업의 평가 자료 부족, 스토리텔링 수업에 대한 동료 과학 교사와 학부모들의 인식 부족은 산출물 평가 기준의 부재로 인한 평가의 어려움을 의미하 였다. 이러한 교사의 어려움을 토대로 소양지향의 과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로서 중 학교 과학교과에서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교사 중심의 실천적 개혁이 지속적으로 필 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to educational scenes in the science study in the qualitative way by exploring difficulties that are experienced by teachers in science classes with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Mr. Kim, a science teacher from Geumran Middle School, which is located in Gyeonggi-do, and 6 students (3 male and 3 female students) in the scientific creativity class from the same school. We carried out a total of 28 sessions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deep interviews including 3 preliminary observation sessions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13. As a result of the study, included the difficulty in helping students’ specific imaginations due to lack of visual media, and the difficulty in imagination means the difficulty in perception and at the same time, in the capability of structuring, which is a general ability of mind. Also, scientific discourses at different levels, inadequate metaphors,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used in the discourses turn up as commognitive conflicts, and hence mean ‘hindrance to communication.’In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no basic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the composition of an integrated plot among subjects means the absence of a basic structure, and works as the basis of narratives so that it could not provide students with a significant structure of memories. Included the difficulty due to lack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roducts of storytelling science classes and with lack of recognition of storytelling classes by fellow science teachers and parents causes difficulties in assessment. Based on such difficulties among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arious approaches and efforts are necessary which apply storytelling to the middle school science subject for the ultimate purpose of aptitude-oriented science education.

      • KCI등재후보

        문제 발견 하위 요인의 상관 및 상호 영향 분석

        오대연(Dea Youn O),하주현(Ju Hyun Hah),진영은(Young Eun Chi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발견이 순환적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이론과 모델을 중심으로, 문제발견능력을 하위 요인별로 나누어 각각의 상관과 영향력을 연구하는 것이다. 대학생 총 11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문제발견의 순환적 과정 중 '문제 생성' 능력의 하위 요인을 유창성과 융통성으로, '문제의 질 평가' 능력의 하위 요인을 독창성으로, '문제의 재구성' 능력의 하위 요인을 재구조화 능력으로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유창성은 창의적 문제발견 검사를 통해 반응의 수로 측정되었고 융통성은 반응 범주의 전환 개수로 측정되었다. 독창성은 유창성 측정을 위해 사용된 검사를 활용하여 반응의 빈도로 측정하였다. 재구조화 능력 측정을 위해 한국판-재구조화 연합검사(K-RAT)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관련 변인 간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 분석결과 문제발견에서 유창성은 독창성과 재구조화 능력 각각과 상관이 있음이 나타났다. 독창성과 재구조화 능력은 낮은 상관이 나타났다. 회귀 분석 결과 각 하위 요인은 다른 하위 능력들로부터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문제발견능력을 평가하는 과정에 있어서 과정별로 문제발견능력을 구분하여 측정하고 평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 and the influences of sub-factors in a problem finding. This is based on the problem finding model which says that 5 steps can be omitted, repeated and recycled in a whole process. It is composed of idea-sensibility, producing new problem, evaluating the quality of the problem, reformulating the problem, and elaborating the problem. In order to evaluate the abilities of 'producing new problem', 'valuating the quality of the problem' and 'reformulating the problem', fluency, originality and restructuring-thinking were measured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following : (1) The correlation between fluency and originality was positive. Similarly the correlation between fluency and restructuring-thinking was positive.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originality and restructuring-thinking was low positive. (2)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each facto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from 20% up to 30 % by the others. It suggested that we must have a more integrated approach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ability of a problem finding.

      • KCI등재
      • KCI등재

        교육과정 연구에서의 문화기술법

        진영은 한국교육과정학회 1996 교육과정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limitations and the problems of technological approach curriculum research and to make some applications and implications of ethnography in curriculum research. The concept of curriculum as technology has started early in the beginning of twentieth century and has been continued through Charters and other people. The concept of curriculum as technology was reflected in Tyler's rationale in 1949 and has influenced much on curriculum theories and practices through recent years. This systematic and quantitative approach is narrow and it limits our thought. When we approach to curriculum systematically and quantitatively, many problems follow. The curriculum researcher must free himself from his self-confining schemas.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systematic and quantitative approach method, educators including curriculum researchers tr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ey see the school as a culture and try to study not only manifest curriculum but also hidden curriculum and null curriculum. They also have investigated schools and classrooms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stability and change. They have focused on interactional dynamics in schools and classrooms. Ethnography in curriculum research has conducted the research according to the methods of anthropology,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echnological approach and illuminated the reality of the school curriculum. Ethnography in the process of edu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research in curriculum and education, but it has been restricted by the limitation of the methodology. So it is needs for researchers to make more efforts to develop the methodology of ethnography in curriculum research. Ethnography in curriculum research will contribute to solve many present education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