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peroxyacetic acid mixture as a green chemical and screening for novel phytopathogens from ornamental succulent plants

        조혜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Succulent plants are one of the most popular gardening plants because they are easy to grow and need tiny place. In spite of the increasing economic importance of the succulent plants business, information on their diseases is very limited. Phytopathogens causing diseases in succulent plants were cultured and isolated from succulent leaves and/or tissues displaying disease symptoms. To identify the causal agents, I perform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with primers specific for the fungal ribosomal 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After sequence analysis of them, the pathogen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Cladosporium spp., Alternaria spp., Fusarium spp., and Colletotrichum spp. For the fulfillment of Koch’s postulates, I tested whether the fungal isolates pathogenicity test. Pure cultures of the isolates were inoculated on leaves of succulent plants, including hybrid of Echeveria and Sedum ‘Blue Elf’, by a sterilized needle and disease symptoms were observed for the incubation days. A combined sequence analysis of the ITS, partial actin (ACT), an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TEF) revealed that the Cladosporium isolates belonged to a group of authentic strains, Cladosporium tenuissimum (C. tenuissimum). PCR amplification and Alternaria alternata (A. alternata), Fusarium oxysporum (F. oxysporum), and Colletotrichum spp. were amplified using only ITS primer set. Taken together, I identified novel phytopathogens, C. tenuissimum, A. alternata, F. oxysporum, and Colletotrichum, causing diseases in succulent plants. Peroxyacetic acid mixture produced by a reaction between acetic acid and hydrogen peroxide has been used as a disinfectant of low environmental impact. Peroxyacetic acid mixture has been considered as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ound, because it is very reactive and quickly decomposes to acetic acid, oxygen, and water.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whether the commercial peroxyacetic acid mixture, Perosan, can be applied as a green chemical to control plant pathogens,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Xoo) and Rhizoctonia solani. Phytotoxicity of Perosan was examined on fully expanded rice leaves. Leaves dipped in 50 ml tube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Perosan and higher than 3% concentration of the Perosan displayed discoloration caused by phytotoxicity. The paper discs carrying 20 μl of 10 or 25% Perosan attached on detached rice leaves also developed chlorosis as a result of phytotoxicity. I quantified the phytotoxicity of the Perosan measuring the ionic conductivity. Ion leakage caused by phytotoxicity was observed at 1% and higher concentration of Perosan. The pH change by Perosan was not substantial up to 0.07%. At the analysis of growth of Perosan-treated rice seedling in the hydroponic system, the seedlings were affected by 0.001% of Perosan. For the paper disc diffusion method for antibacterial activity of Perosan, Xoo was spread on peptone sucrose agar (PSA) media and paper discs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 of Perosan were placed on the agar surface. The paper disc containing higher than 1% of Perosan developed significant clear zone. In broth dilution method using optical density measurements, 0.003% of Perosa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Xoo growth. Colony counting test displayed that significantly low numbers of Xoo were survived after 0.0004% of Perosan treatment. Perosan was sprayed at the rice leaves inoculated with Xoo and I measured the lesion lengths. 2% of Perosan inhibited lesion length. In agar dilution method for antifungal activity, fungal growth inhibition of R. solani observed at 0.05% of Perosan. When suspension of R. solani were spread on potato dextrose agar (PDA) plates, clear zone was detected at the paper discs containing 40 μl of 2% Perosan. In vivo antifungal activity of Perosan against, the agar disc of R. solani were attached on the detached rice leaves. 0.5% of Perosan sprayed on the leaves inoculated with agar disc of R. solani and 15 ml of Perosan was more effective than 5 ml on inhibited lesion developments. 아세트산 (C2H4O2)과 과산화수소 (H2O2) 반응으로 생성된 과산화초산 (Peroxyacetic acid, peracetic acid, C2H4O3)은 환경에 비교적 영향을 덜 미치는 화합물로써 비교적 최근까지 소독제로 사용되어왔다. 또한 과산화초산 혼합물 (peroxyacetic acid mixture)은 아세트산 (acetic acid), 산소, 물로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화합물로 간주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과산화초산 제품인 페로산 (Perosan)이 친환경 농약으로서 벼의 병원균들을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을 위한 벼의 병원균으로는 대표 세균성 병원균인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Xoo) 와 곰팡이성 병원균인 Rhizoctonia solani를 사용 하였다. 페로산의 식물 약해 (phytotoxicity)를 알아보기 위해 다 자란 벼 잎을 서로 다른 농도의 페로산이 담긴 50 ml 튜브에 넣었을 때, 3% 이상의 페로산에서 백화현상이 나타났다. 페로산을 적신 종이 디스크를 벼 잎에 올려 놓았을 때, 10% 또는 25%에서 디스크를 놓은 위치에서 백화현상이 나타났다. 페로산의 식물 약해 정도를 정량화 하기 위해 이온전도도 (ion conductivity)를 측정하였는데 벼 잎 조각을 띄운 상태에서 페로산에 의한 이온 누출은 1% 이상에서 관찰되었다. 실제 벼를 키우는 환경을 따라 만들어진 환경에서 관수 된 물에 페로산을 첨가하였을 때 0.07%까지는 pH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페로산이 벼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벼의 유묘 (seedlings)를 수경재배 하며 페로산을 첨가하였다. 0.001%의 페로산부터 유묘 성장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Xoo에 대한 페로산의 항균 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디스크 확산법 (paper disc diffusion)을 사용하였다. Xoo가 도말 된 peptone sucrose agar (PSA) 배지에 페로산이 함유된 종이 디스크를 올려 두었을 때 1% 이상의 페로산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Xoo 성장이 억제 된 것이 보였다. 액체 배지 희석법 (broth dilution method)을 사용하여 페로산이 Xoo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지 실험을 하였을 때, 0.003%에서부터 Xoo의 성장 억제가 관찰되었다. 페로산을 포함하는 Xoo 현탁액을 희석하여 PSA배지에 키워 colony counting method 으로 살아있는 Xoo의 콜로니 수를 세어 보았을 때 0.0004%에서 페로산의 항진균 효과가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실제 Xoo에 감염된 벼에서 페로산이 Xoo를 방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Xoo가 접종된 벼의 잎에 페로산을 분무하였을 때, 2%의 페로산부터 병징이 줄어들었다. 페로산의 항진균 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고체 배지 희석법 (agar dilution method)을 사용하였다. 0.05%의 페로산에서 R. solani의 균사 성장이 억제된 것이 나타났다. R. solani 현탁액을 potato dextrose agar (PDA) 배지에 도말한 후 페로산을 함유한 종이 디스크를 올렸을 때, 2% 부터 곰팡이 성장이 억제된 것이 관찰되었다. 실제 R. solani가 접종된 벼의 잎에 0.5%의 페로산을 각각 1회와 3회 분무하여 비교해 보았을 때, 3회 분무한 실험군에서 R. solani 성장이 조금 더 억제되는 것으로 보아 반복 살포에 의해 더 높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최근 들어서 다육식물 (Succulent plants, Succulents)은 재배하기가 쉽고 작은 크기 때문에 가장 인기 있고 많이 거래되는 원예 식물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우리 나라는 이런 세계적인 추세에 맞추어 점점 그 수출량을 늘려가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들 식물의 질병에 대한 식물병리학적 연구와 그 원인 병원균에 대한 연구는 세계적으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인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 되고 있는 다육식물 농가를 방문하고 발병하고 있는 병을 조사하고, 그 원인 병원균을 분자생물학적으로 진단하였다. 우선 다육식물에서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들이 병징을 보인 다육식물의 잎이나 조직으로 분리 및 배양 되였다. 병원균을 동정하기 위해서 곰팡이에 특이적인 리보솜 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지역의 프라이머를 사용해 중합효소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하였다. 병원균들의 ITS 지역의 DNA염기서열을 분석한 후에, 병원균들은 잠정적으로 Cladosporium spp., Alternaria spp., Fusarium spp., Colletotrichum spp. 으로 판명되었다. 이런 잠정적인 병원균들이 실제 다육식물에 병원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코흐의 원칙 (Koch's postulates)을 이용한 병원성 검사 (pathogenicity test)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순수 분리된 (pure culture) 병원균들을 멸균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가장 대중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대표적인 다육식물인 Echeveria와 Sedum의 하이브리드 종인’Blue elf'의 잎에 접종 되었다. Cladosporium의 경우, ITS, actin (ACT), 및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TEF)의 염기서열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고 근연관계를 계통도에서 조사한 결과 Cladosporium tenuissimum으로 최종 동정 되었다. Alternaria는 ITS,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pd) 부분을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으며 이는 Alternaria alternata로 밝혀졌다. 보존되어 있는 ITS 프라이머만을 사용한 중합효소연쇄반응에서 Fusarium oxysporum과 Colletotrichum spp. 으로 최종 동정하였다. 이로써 다육식물에서 병을 일으키는 새로운 병원균들로 Cladosporium tenuissimum, Alternaria alternate, Fusarium oxysporum, Colletotrichum spp. 을 보고한다.

      • 중국 신규화학물질 환경관리법의 WTO 합치성에 관한 연구 : 신고제도와 등록제도를 중심으로

        조혜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은 미국 다음으로 많은 양의 화학물질을 수입하였다. 중국에서 신규화학물질의 사용 및 관리를 규제하는 법안으로 “신규화학물질환경관리법”이 2003년 제정되었으나 화학물질과 관련된 논의가 계속되고, ‘송화강 유역 화학물질 유출 사건’과 같은 환경 문제가 잇따라 발생하자 중국은 2010년 동 법안을 개정하였다. 화학물질의 사용이 환경에 미치는 심각성에 비해서 화학물질을 관리하고 규제하는 법안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개정 전 후 신화법의 신고제도와 등록제도를 검토하여 개정 후 신화법의 발전 방향을 분석하고, 두 제도의 WTO협정과의 합치성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화법의 신고제도는 신고자가 제조. 수입하는 양에 따라 각각 일반신고, 간이신고 또는 연구개발신고로 나뉜다. 개정 전 신화법의 신고제도보다 개정 후 그 적용 범위가 확대 되었고, 신고자에게 신고하려는 화학물질의 양에 따라 각각 다른 절차를 준수하도록 규정함으로 절차상의 투명성과 객관성이 확보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신화법과 관련된 WTO협정 중 GATT 제III조 4항, GATT 제XX조 (g)호, (b)호 그리고 TBT협정의 기본원칙들을 GATT/WTO판례의 해석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둘째, 제2장에서 검토한 WTO협정의 해석을 바탕으로 신고제도가 GATT III조 제4항과 합치하는지를 검토하고 GATT 제XX조에 따른 정당화 가능성을 논의한다. 또한 신고제도가 TBT협정의 기본원칙 중 비차별원칙과 무역장애 금지원칙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신화법 개정 전과 후의 등록제도를 비교·분석하여 등록제도가 제2장에서 검토한 TBT협정과 합치하는지에 대해 검토한 후, GATT 제III조 4항과의 합치성을 해석하여 GATT 제XX조 (b)호에 의해 정당화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 졸겔법으로 합성한 다공성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분말의 특성 및 흡착 연구

        조혜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분말은 (1) 공침법 및 (2) two-step sol-gel법 두 가지 다른 합성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합성된 모든 분말은 XRD, FE-SEM, FT-IR, BET, porosimeter, zetasizer 등 다양한 기술로 특성평가 하였다. 합성된 알루미늄 실리케이 트 분말의 입자 형상은 합성법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공침에 의해 합성된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분말은 비표면적(158 m2/g)이 낮고, 입자가 유리처럼 날카로운 모서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two-step sol-gel법에 의해 합성된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분말은 메조포러스 구조이며, 큰 비표면적(430 m2/g)을 가졌다. 흡착제로써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분말은 흡착실험에서 수행된 수용액에서 Pb(II) 이온 및 메틸렌블루에 대한 흡착 거동을 특징으로 하였다. two-step sol-gel법 분말에 대한 Pb(II) 이온과 메틸렌블루의 최대 흡착 용량은 공침 분말에 비해 각각 4배 이상, 7배 이상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암모니아를 이용한 two-step sol-gel법으로 합성된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분말이 수용액에서 중금속 이온과 유기 염료를 제거하기 위한 잠재적인 흡착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그로테스크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한 SNS의 다중성 표현 연구

        조혜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그로테스크 일러스트레이션을 이용하여 SNS의 문제점을 이야기한다. 그로테스크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강하게 말해주는 이점을 지니고 있지만 기괴하고 징그러운 이미지로 인하여 천박하거나 비주류로 취급을 받는다. 이러한 그로테스크가 어떻게 사람들의 시선을 끌어당기며 그로테스크에만 존재하는 매력이 무엇인지 연구하고자 했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하여 그로테스크의 어원과 역사, 문학과 미술에서 말하는 그로테스크의 미에 관련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현대에 들어 두드러지게 나타난 그로테스크 일러스트레이터들을 조사하고 그들의 표현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자는 비주류인 그로테스크의 이점과 기능을 분석하고 최근 문제 되고 있는 SNS의 다중성을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시각화하였다. SNS는 사람들이 쉽게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 등장하였다.사회의 모든면을 가지고 공간의 제약이 없는 소통의 장으로, 세계 각국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계속 커져가고 있다. SNS 안에서는 우리의 모습을 내비쳐야 하는 의무는 없다. 예명과 익명을 사용하고 사용자들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지니고 활동한다.ᅠ이처럼 기술적 진보에 의해 획득한 가상의 공간에서는 자기의 생각과 의도를 솔직하게 드러내고 싶은 양면적이며 동시적인 인간형을 목도하게 되는데 이러한 표현의 욕구에 있어서 양면성과 동시성이 현존하는 현대인의 내면적 자아를 ‘다중성’이라는 단어로 설명한다. 본 연구는 SNS를 통해 본 세상 속 사건들과 분산된 아이덴티티에 관한 문제들을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보여준다. 인간관계에 관한 이야기와 정서적 관계에서 드러나는 가면들 일깨우며 현시대는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지에 주안점을 둔다. 그 안에서 쾌락과 불확실한 현상에 집착하고 삶의 의미와 자신의 존재에 관해 무관심한 현대인들의 모습을 키워드로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작품에서 검은색과 파란색을 기본으로 그로테스크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만들었다. 거친 느낌을 주기 위해 얇은 펜을 이용하여 작업하였고, 애니메이션은 반복적인 움직임을 통해 이야기하는 사건들이 뫼비우스의 띠처럼 반복되는 일상으로 표현하였다.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은 관객이 관찰하고 간접적으로 메시지가 전달되는 것에 목적으로 한다. This essay uses grotesque illustration to discuss the problems of SNS. Grotesque illustration has the benefit of delivering messages assertively. However, it is regarded non-mainstream and vulgar for its abnormal and violent images. We wanted to research how this illustration technique is perceived by individuals and the uniqueness of it. First, a pre-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the origin, history, literature, and art of grotesque illustration. Furthermore, we also researched the reasons behind the rise of this technique in the current era and the different ways of expression. The researcher has visualized the merits and effects of grotesque illustration to discuss issues surrounding SNS redundancy. SNS gained popularity as an easy channel of communication. It is an open forum which people can debate about socio-economic issues without restrictions of their whereabout. The number of users are still growing worldwide. There is no obligation for those in this sphere to show their true identity. Thus, people often use an alias or anonymous profile depending on their intentions and needs within the virtual space of SNS. It can be said that people’s desire of free expression of their emotions and thoughts and the reluctance of revealing their true identity coexist on SNS today. This study uses illustrations to visualise the scattered identity of individuals in the real and virtual world. It addresses the different masks people put on in their 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ir emotional expressions. This research has selected the coexistence of pleasure of freely expressing thoughts and emotions and the obsession of their virtual status on SNS as key word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 grotesque illustration piece using black and blue was created. A thin-point pen was used to make it rough and coarse look. The repetitive movements on the animation was used as a metaphor of a repetitive daily life. The purpose of this illustration piece is to imply these messages to those observing it.

      • 시각신호 훈련방법과 청각신호 훈련방법이 태권도 돌려차기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조혜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지 시각신호 훈련방법과 청각신호 훈련방법이 태권도 돌려차기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he Reaction Time of Tuning Kick in Taekwondo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Dynamic Auditory Sense Training and Dynamic Visuality Training 조 혜 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스포츠과학과 본 연구는 시각신호와 청각신호 훈련방법이 우수 집단과 비우수집단의 태권도 뒷발 몸통 돌려차기 반응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 8주간의 훈련을 통해 시각정보와 청각정보의 유무에 따른 돌려차기 반응시간의 차이를 밝혀 실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각방법이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 차기 기술의 효율적인 수행과 실제 태권도 경기 상황에 부합되는 훈련방법을 제시하여 경기력향상에 필요한 기본 자료로써 활용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재학 중인 남자 태권도 선수들을 피험자로 선정하였으며, 우수 집단과 비우수 집단으로 구분하여 시각신호집단과 청각신호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별로 5명씩, 총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8주간, 주 5회 1일 60분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또한, 국기원 태권도 교본을 참고하여 준비운동, 본 운동, 정리운동으로 상위 5가지 범주아래 세부 13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작성하여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선택 반응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앞발 얼굴 돌려차기, 앞발 몸통 돌려차기, 뒷발 몸통 돌려차기에 대한 자극을 무작위로 제시하여 뒷발 몸통 돌려차기에 대한 반응시간만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통계적인 차이검증을 위해 IBM사의 Window SPSS Statistics V. 21을 이용하여 모든 자료의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였으며, 우수집단과 비우수집단의 시각신호 훈련 집단과 청각신호 훈련집단 간 돌려차기 반응시간의 차이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우수 집단과 비우수집단의 집단 내 훈련 효과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우수 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와 청각신호 집단 간 훈련 전·후 왼발 몸통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1), 가설 1)은 채택되었다. 2. 우수 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와 청각신호 집단 간 훈련 전·후 오른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5), 가설 1)는 채택되었다. 3. 비우수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와 청각신호 집단 간 훈련 전·후 왼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 <.001), 가설 2)은 채택되었다. 4. 비우수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와 청각신호 집단 간 훈련 전·후 오른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 <.001), 가설 2)은 채택되었다. 5. 우수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왼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1), 가설 3)는 채택되었다. 6. 우수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오른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보다 훈련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1), 가설 3)은 채택되었다. 7. 비우수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왼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으며(p>.05), 가설 4)은 기각되었다. 8. 비우수집단의 8주간 시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오른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5), 가설 4)은 기각되었다. 9. 우수집단의 8주간 청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왼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5), 가설 5)는 기각되었다. 10. 우수집단의 8주간 청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오른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5), 가설 5)은 기각되었다. 11. 비우수집단의 8주간 청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왼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가설 6)은 채택되었다. 12. 비우수집단의 8주간 청각신호 훈련 전·후 집단 내 오른발 돌려차기 반응시간 변화에서 훈련 전과 훈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가설 6)은 채택되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8주간 시각신호 훈련방법과 청각신호 훈련방법을 실시한 결과 시각신호 집단이 청각신호집단에 비해 우수집단의 경우, 비주발(undominated leg)의 왼발은 반응시간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주발(dominated leg)의 경우도 매우 유의미한 반응시간을 미친 것으로 판정됬으며, 비우수 집단인 경우는 반대로 비주발, 주발 모두 시각신호집단에 비해 청각신호집단이 더욱 유의미한 반응시간을 이끌었다고 판정되었다.

      • 초기 청소년의 모애착, 또래애착 및 자기개념에 따른 자기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

        조혜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describe developmental difference of the self-critical and dependent depression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 and peer attachment and self-concept in early adolescents on their development. Mother attachment was classified based on mother attachment style and mother attachment security scor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44 boys and girls ranging from 5th grade to 8th grad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girl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self-critical and dependent depression than boys did. For boys,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8th grade for self-critical and dependent depression. Whereas self-critical depression rose considerably from 7th grade and dependent depression rose significantly from 6th grade in girls. Second, mother attachment was lower in older students than in younger students and gradually decreased from 6th grade in boys and from 7th grade in girls respectively. As for peer attachment, grade differences was not significant. Furthermore, gender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when examining mother attachment but peer attachment was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Self-concept was lower in older students than in younger students, gradually decreasing from 6th grade in girls while rapidly decreasing in 8th grade in boys. In addition, self-concept was significantly lower in girls than in boy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ot only depression is developed sooner in girls by 1-2 years than in boys but also the development of psychosocial factors are faster in girls. These differences are thought to be attributed to the related to puberty that girls grow faster than boys. Third, self-critical and dependent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DI; however, CDI was more strongly related to self-critical depression than dependent depression. Those who were high in self-critical depression scored higher in CDI than those who were high in dependent depression. However, among the depression factors of CDI, only dysphoric mood symptoms were affected by the dependent depression. Fourth, when we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self-critical and dependent depression in relation to mother attachment style, security attachment styl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unstable attachment styles. Preoccupied and fearful attachment sty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ecurity attachment style in dependent depression. Fearful attachment style in both self-critical and dependent depression was the highest. Fifth, when mother attachment and self-concept were low, self-critical and dependent depression were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which indicates that girls are vulnerable to depression than boys are. Also, in lower grades, the gap in self-critical depression was much wider between those who were high in peer attachment and those who were not, whereas in higher grades, the gap was much narrower, which means that grades have relation with self-critical depression. Sixth, furthermore, self-critical and dependent depression were both significantly high when mother attachment was low and peer attachment was high rather than when mother attachment was high and peer attachment was low. Thus it appears that mother attachment has relation with depression than peer attachment. In addition, early adolescents, who have low mother attachment and high self-concept, have lower self-critical and dependent depression than early adolescents with high mother attachment and low self-concept. Therefore, the strong effect of self-concept on depression was reaffirmed. In short, this study examines the usefulness of differentiating self-critical and dependent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and proceeds to provide some information necessary for depression reduction and preventive interv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사회적 변화가 급격하게 나타나는 초기 청소년기의 자기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의 성과 연령에 따른 발달적 차이를 알아보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모애착, 또래애착 및 자기개념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모애착은 애착유형과 애착안정성수준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모애착, 또래애착 및 자기개념과 자기비판적 우울 및 의존적 우울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까지 1,244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 모두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남학생은 자기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 모두 중학교 2학년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반면 여학생의 자기비판적 우울은 중학교 1학년 때, 의존적 우울은 초등학교 6학년부터 높아졌다. 둘째, 모애착은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낮았으며 남학생은 초등학교 6학년이후 점진적으로 낮았고, 여학생은 중학교1 학년이후 낮아졌다. 또래애착에는 학년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모애착에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또래애착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 남학생은 초등학교 5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에 걸쳐 모애착이 또래애착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여학생은 중학교때 모애착이 낮아지고 또래애착이 높아지면서, 모애착과 또래애착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자기개념도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낮았으며, 여학생은 초등학교 6학년부터 점진적으로 낮았지만, 남학생은 중학교 2학년때 급격하게 낮아졌다. 또한 여학생의 자기개념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우울뿐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심리사회적 변인들의 발달이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약 1-2년정도 더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가 단순한 성차라기보다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빠른 사춘기의 발달적 차이때문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자기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은 우울증상(CDI)과 상관이 나타났으며 의존적 우울보다 자기비판적 우울과의 상관이 더 높았다. 또한 자기비판적 우울이 높은 집단은 CDI가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나 의존적 우울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모애착유형에 따른 자기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의 차이를 살펴보면, 자기비판적 우울은 안정형애착이 다른 세 가지 불안정애착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의존적 우울은 안정형애착이 몰입형과 두려움형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두려움 애착유형의 자기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모애착과 자기개념이 낮을 때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자기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이 더 높아지는 패턴을 보여 여학생이 우울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모애착이 낮고 또래애착이 높은 초기청소년은 자기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이 높았다. 따라서 또래애착보다는 모애착이 우울에 더 영향력이 있었다. 또한 모애착이 낮고 자기개념이 높은 초기청소년은 모애착이 높고 자기개념이 낮은 초기청소년보다 자기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이 모두 낮았다. 따라서 우울과 자기개념과의 높은 상관을 재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초기 청소년기 우울을 자기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로 구분하는 것의 유용성을 검토하고 우울을 감소시키거나 예방적 개입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로미오와 줄리엣』의 영화와 희곡텍스트의 번역전환 연구

        조혜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we are living in contact with various video media. Particularly, foreign video clips become easier to view, interest and expectation for video translation is growing. When you look at foreign videos, literature is often made into video.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genre of literature into a new genre of video. The Shakespeare’s Romeo and Juliet was applied to Roman Jacobson's translation theory and analyzed in two main aspects. First, analyzed the aspect of intersemiotic translation, which focused on the process of translating literary genre into a new genre of film. It is not easy to translate literature into film because it is impossible to translate the same from literature language to film language. In this respect, the film of Baz Luhrmann’s William Shakespeare's Romeo + Juliet revealed the translator’s distinctive character during translation, while retaining the original essence of the original. Film director tried to translate used symbols, and effectively conveyed the features and themes of the works through symbols not mentioned in the literary works. The Symbols translated in the work were divid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as water, costume, cross, and conflict. In terms of intersemiotic translation it is important not only to transfer the line as it is, but also how the director(translator) expresses it in his own way of translation. Secondly, both literary works and film works came to Korea, compared the translated versions of each other which was translated from English into Korean. Because of the video translation’s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he characteristics that stand out in the subtitles of the movie were found when comparing the film subtitles of Luhrmann with the translations of Romeo + Juliet. The Economy of language, the fidelity to target language, and cultural translation have shown up in movie subtitl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literary translation and subtitle translation has become clear in translating the poetic characteristics of Shakespeare's works. Although this study is a very limited study of Shakespeare's Romeo and Juliet, it goes beyond the comparative study of existing literature and film, it has value that the process of transforming literature into film has been studied in terms of intersemiotic translation and interlinguistic translation. 최근 우리는 다양한 영상매체를 접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특히 외국영상물 시청이 용이해지면서 영상번역에 대한 관심과 기대 또한 점점 커지고 있다. 외국영상물들을 살펴보면 문학 작품이 영상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문학이라는 장르가 영상이라는 새로운 장르로 전환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셰익스피어의 작품 『로미오와 줄리엣』을 로만 야콥슨의 번역이론에 적용하여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문학이라는 장르가 영화라는 새로운 장르로 번역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기호간 번역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문학 언어에서 영화 언어로 동일하게 번역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문학을 영상으로 번역하여 담아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즈 루어만의 영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로미오 + 줄리엣은 원작이 가지고 있던 고유한 본질을 유지하면서도 번역되는 과정에서 번역가의 개성이 잘 드러난 작품이라 할 수 있었다. 기호 간 번역을 시도하여 문학작품에서 언급 되지 않은 기호를 통해 작품의 주제와 인물들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작품에서 번역되어 나타나는 기호들은 물, 의상, 십자가 그리고 대립구도로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기호 간 번역의 측면에서 대사를 그대로 옮기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감독이 어떻게 자신의 번역 방식으로 영화 속에 나타내는지가 중요하다. 두 번째로 문학작품과 영화작품이 모두 국내에 들어오면서 영어에서 한국어로 번역되어 언어 간 번역이 이루어진 번역본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문학번역에 비해 영상번역은 시·공간적 제약이 명백하기 때문에 루어만의 영화자막과 『로미오와 줄리엣』의 출판번역본들을 비교하여 분석하였을 때 영화자막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언어의 경제성, 도착언어에 대한 충실도, 문화번역의 측면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셰익스피어 작품이 가지고 있는 시적 특성을 번역하는데 있어서도 문학번역과 자막번역의 차이점이 극명하게 드러났다.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이라는 한정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연구이기는 하지만 기존의 문학과 영상의 비교연구에서 나아가 문학이 영상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번역 전략과 그 과정을 거치고 난 후 각각의 번역본들을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