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한국 가톨릭 교회음악의 토착화에 관한 연구 :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을 중심으로

        이건희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7

        1980년 3월 차인현 신부가 주축이 되어 62명의 가톨릭 교회음악인들이 명동 사도회관 1층, 7평의 사무실에 모여 「가톨릭 음악인 협의회」를 창립하였다. 이들은 곧바로 이듬해(1981년 1월 1일) 종교음악연구소를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교회음악가 양성에 들어갔다. 이후 10여 년의 활동과정을 거쳐 1993년 11월 14일, 마침내 한국 가톨릭교회 최초로 전문연주홀을 갖춘 가톨릭음악원으로 거듭났다. 이로부터 정확히 10년 뒤 2003년 3월 교육부 인가를 받아 현재의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으로 개원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이 논문은 1965년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본격적으로 공론화하기 시작한 교회음악 토착화에 대한 것이다. 특별히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발전을 위해서 견인차 역할을 해온 교회음악가의 여러 대내외적 학술, 교육, 연주 활동들을 토착화 관점에서 살펴본다. 또한, 이들 교회음악가의 한국전통음악에 대한 의견과 주장을 알아보고 교회음악 토착화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정체성 발현의 과정인 토착화는 결국 서로 다른 두 문화의 깊이 있는 연구와 이를 통한 상호 간의 올바른 이해, 그리고 상호존중과 배려를 통해서 이행되는 것이다. 때로는 한발 물러서서 양보하고 때로는 한발 앞서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서로 다른 두 문화의 이상적인 융합과정은 성음악을 한층 발전시키는 것은 물론,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는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며, 교회음악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In march 1980, 62 Catholic musicians gathered at the small office (only 23㎡) in Myeong-dong. The following year, they established the religious music institute (January 1, 1981) to foster Catholic musicians. After more than a decade of activities, the Catholic music institute has finally become the first Catholic Music Center in Korea to have a concert hall. Ten years lat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pproved the Center and it opened as the current Catholic University of Korea's School of Music. This paper is about the inculturation of church music that began to be discussed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in 1965. In particular, examines the various activities, performances, education, and composing activities of church musicians who have been the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Graduate School of Church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inculturation. We will also discuss church musicians' opinions and claim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Discuss the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church music inculturation. Church musicians have made many musical attempts to make Korean Gregorian chants, and For the inculturation of church music, it performed various academic research and composed many Korean traditional music. Five church musicians gave different opinions and argu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Korea traditional music and the convergence methodology of Western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culturation, the process of expressing identity, is to be implemented through the in-depth study of two different cultures, mutual 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The ideal inculturation process of these two different cultures will not only beco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church music but also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creating new culture.

      • 가톨릭 대학의 교육과정을 통한 종교적 정체성 구현에 관한 연구 : 세 가톨릭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진영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7

        가톨릭 대학은 그 탄생부터 교회에 그 모태를 두고 있으며, 가톨릭 대학의 종교적 정체성이란 가톨릭 특성(catholic characteristics) 혹은 가톨릭 학교 들의 설립 이념과 근본적 교육목표를 규정하는 가톨릭의 성격(catholicity)을 의미한다. 가톨릭 대학은 교회적 성격에서 나오는 ‘복음화’ 사명과 함께 학교적 성격에서 유래하는 ‘전인 교육’의 사명도 동시에 갖고 있으며, 복음화와 전인 교육은 가톨릭 대학의 두 축을 이루는 핵심사명이다. 가톨릭 대학이 가톨릭 대학으로서의 수월성과 명성을 동시에 획득하는 길은 가톨릭 정체성 (identity), 이념(idea), 사명(mission)을 제도뿐만이 아니라 그리스도교 인간 관에 적합한 가톨릭 교육과정을 수행할 때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대학교에 관한 교황령」 (Ex Corde Ecclesiae), 교회문헌,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가톨릭 대학의 종 교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한국 가톨릭 대학 중 가톨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서강대학교를 사례로 가톨릭 대 학의 가톨릭적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가톨릭 대학의 가톨릭 교육과정 현황을 통해 Tyler 교육과정 모형 기반 가톨릭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이론적·실증적으로 모델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대학은 본질적으 로 진리추구, 진리전달, 진리적용의 ‘일반적’ 성격 외에, 교육, 연구, 봉사 의 기능을 수행할 ‘교회적’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 가톨릭 정체성을 구현 할 수 있는 가톨릭 교육과정은 가톨릭 인간관을 중심으로 하여 가톨릭 대 학의 교육이념, 교육목표, 학문 과정, 교육내용, 교육 방법 등을 주요 요소 로 하고 있다. 둘째, 가톨릭 대학은 교육이념에 진리・사랑・봉사, 인간존중, 공동선의 실현 등 가톨릭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학부, 대학원 학위 과정에 가톨 릭 이념 반영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교원, 직원, 학생들을 위해 복 음화 차원에서 성사활동(세례, 견진)을 통해 신자들을 배출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신앙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교직원 및 학생들의 신앙을 증진시켰다. 이와 함께,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외국어 강좌 운영, 국가, 지역, 국제 수 준의 상호협력을 통해 국제화 및 복음화 가치를 실현하고 있었다. 셋째, 세 가톨릭 대학의 인간관, 교육이념, 교육목표, 학문 과정, 교육내 용, 교육 방법 등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Tyler 모형 기반 가톨 릭 교육과정 모형에 적용하여 가톨릭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교회문헌과 선 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가톨릭 특성의 핵심 요소 외에 개개인의 전인적 양 성 도모, 참인간을 양성하려는 인성교육, 지행일치의 삶 추구 등이 가톨릭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있었다. 교육 방법으로 거룩한 체험 교육(수도원 체 험, 기도, 피정), 학생 개인에 대한 돌봄(cura personalis), 봉사 교육 방법 론, 비판적 성찰 방법론 등이 가톨릭 특성을 지닌 수업에서 사용되었으며, 학문 과정에 있어서는 전통학문 이외에 ESG경영,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진로와 취업 등 새로운 학문들이 철학, 심리학, 신학과 융합되어 가톨릭 특성을 지닌 교과목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가톨릭 대학 의 교육과정을 통한 종교적 정체성 구현을 모델링하였다. 가톨릭 대학은 가톨릭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가톨릭 인간관을 가지고 교육목표 설정 시 전인 교육을 위하여 학습자, 사회, 교과, 영성의 요구파악이 필요하며, 인 간영성을 개발하는 것이 일반대학과 틀린 가톨릭 교육과정의 핵심적 특징 이라 할 수 있다. 잠정적 가톨릭 교육목표 설정에 있어서 가톨릭적 인재 양성, 가톨릭적 가치 추구, 인류 발전에 기여하는 교육이념과 가톨릭적 융 합 교육, 가톨릭적 인간교육, 가톨릭적 탐구 증진을 교육목표로 하여야 하 며, 왜(why) 교육하는가, 어떻게(how) 가르치고 배울것인가를 고려해야 한 다. 또한 진리에 부합하는가를 검토할 수 있는 신학은 가톨릭 교육과정 개 발에 있어서 핵심적 특징으로 볼 수 있으며, 교육내용 선정, 교육방법 선정, 교육평가 선정 등의 각 단계별로 가톨릭 교육과정을 구성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톨릭 대학의 본질 회복을 위해 가톨릭 대학이 노력해 야 할 종교적 구현의 실천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양 교 육 위주의 종교교육에서 전공 교육으로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인성과 영성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수월성 추구를 위한 가톨릭 교육 방법 의 다양화 모색이 필요하다. 넷째, 교목 활동 강화를 통한 가톨릭적 분위 기 형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가톨릭 대학 및 가톨릭 교육 기관과의 연대 및 공동교육체계 구축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국제화 강화를 통해 다문화 이해, 국제협력 증진, 복음 선교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가톨릭 대학은 그 구성원들인 교수, 직원, 학생들이 가톨릭 교육 패러다임 안에서 가톨릭 인간관에 적합한 가치를 가지고 가톨릭 문 화 형성 및 정체성 구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때 가톨릭 대학으로서의 본질과 사명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Catholic universities have been rooted in the Church since their birth, and the religious identity of Catholic universities refers to Catholic characteristics or Catholic characteristics that define the founding ideology and fundamental educational goals of Catholic schools. Catholic universities have a mission of ‘evangelization’ that comes from their ecclesiastical nature, as well as a mission of ‘holistic education’ that comes from their school nature. Evangelization and holistic education are the core missions that form the two axes of Catholic universities. The way for a Catholic university to simultaneously achieve excellence and reputation as a Catholic university will be possible when it implements not only a system of Catholic identity, ideology, and mission, but also a Catholic curriculum that is suitable for the Christian view of huma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religious identity of Catholic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Papal Decree on Catholic Universities”(Ex Corde Ecclesiae), church documents, and previous research. Second,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urricula that reflect the Catholic characteristics of Catholic universities, us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aegu Catholic University, and Sogang University as examples. Third, we attempted to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model the Catholic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based on the Tyler curriculum model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the Catholic curriculum at Catholic universitie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tholic universities inherently have an ‘ecclesiastical’ character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f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in addition to the ‘general’ character of pursuing truth, conveying truth, and applying truth. The Catholic curriculum that can embody Catholic identity is centered on the Catholic view of humanity and has as its main elements the educational philosophy, educational goals, academic courses,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of Catholic universities. Second, Catholic universities have Catholic characteristics such as truth, love, service, respect for humanity, and realization of the common good in their educational ideologies, and they operate curricula that reflect Catholic ideology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degree courses. In order to evangelize faculty, staff, and students, it was producing believers through sacramental activities(baptism, confirmation), and operating various faith programs to promote the faith of faculty, staff, and students. In addition, the values ​​of internationalization and evangelization were being realized through the operation of foreign language courses for foreign students and mutual cooperation at the nation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Third, we looked at the curriculum status of the three Catholic universities, including their views on humanity, educational ideology, educational goals, academic courses,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and applied this to the Catholic curriculum model based on the Tyler model to investigate Cathol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core elements of Catholic characteristics derived through church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the promotion of holistic formation of each individual, character education to cultivate true human beings, and pursuit of a life consistent with knowledge and actions were reflected in the Catholic curriculum. As educational methods, sacred experiential education(monastery experience, prayer, retreat), care for individual students (cura personalis), service education methodology, and critical reflection methodology were used in classes with Catholic characteristics, and in the academic process, in addition to traditional studies, New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ESG management, media communication, career path and employment, etc. were combined with philosophy, psychology, and theology and were operated as subjects with Catholic characteristics. In modeling the implementation of religious identity through the curriculum of a Catholic university,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yler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When developing Catholic curriculum, Catholic universities need to understand the needs of learners, society, subjects, and spirituality for holistic education with a Catholic view of humanity when setting educational goals. Developing human spirituality is a key aspect of the Catholic curriculum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universities. It can be said to be a feature. In setting provisional Catholic education goals, the educational goals should be nurturing Catholic talent, pursuing Catholic values, educational philosophy that contributes to human development, Catholic convergence education, Catholic human education, and promotion of Catholic inquiry, and why. We must consider whether to educate and how to teach and learn. In addition, theology, which can be reviewed for conformity to the truth, can be seen as a key feature in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curriculum, and the Catholic curriculum must be structured in each stage, such as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selection of educational method, and selection of educational evaluation.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following religious implementation measures that Catholic universities should strive for in order to restore their essence. First, there is a need to expand from religious education centered on liberal arts education to major education. Seco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character and spiritual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diversification of Catholic education methods to pursue excellence. Fourth,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atholic atmosphere through strengthening chaplaincy activities.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revitalize solidarity and joint education systems with Catholic universities and Catholic educational institutions. Sixth, through strengthening internationalizati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promo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vangelism are necessary. In this way, a Catholic university will be able to practice its essence and mission as a Catholic university when its members, professors, staff, and students, continue their efforts to form Catholic culture and realize identity with values ​​appropriate to the Catholic view of humanity within the Catholic education paradigm.

      •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

        조민환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71

        국 문 초 록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실천신학 전공 <지도 : 이 경 상 교수> 조 민 환 제 삼천 년 기에 들어선 지금, 대한민국 공교육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입시라는 굴레와 사교육의 확대 속에 학교교육은 그 고유의 본질적 목적과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아울러 일부 사립학교의 교육 부조리나 재단 내의 경영상 횡포로 인한 사립학교법 개정은 가톨릭 학교와 같이 모범적인 사학의 건학이념을 가로막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안에서 본 소고는 가톨릭 학교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가톨릭교회의 노력을 고찰하고자 했다. 그런데 학교교육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노력은 교회 내 학교 당국 및 관계자들에게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다. 이는 지역교회 구성원 모두의 몫이고 결국 그 지역교회를 돌보는 교구장 주교의 의무이자 책임으로 이어진다고 하겠다. 필자가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로 논제(論題)를 선택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본고는 ‘교회법’이라는 학문의 범주 아래에서 “가톨릭 학교교육과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대한 고찰을 하고 있으므로, 그 내용을 전개하기 위한 방식은 ‘교회법’이 지닌 3가지의 고유한 연구 방법론-연대적 분석(Chronological Analysis), 이론적 접근(Theoretical Approach), 사목적 제언(Pastoral Proposal)-을 택하였다. 본문은 Ⅰ부와 Ⅱ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Ⅰ부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시했다. 제1장에서는 『1917년도 교회법전』의 교육과 관련된 법령들을 ‘교육의 중요성’, ‘가톨릭 대학교와 학위’, ‘학교 감독에 관한 주교의 권리’라는 주제로 알아보았다. 제2장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의 「그리스도인 교육에 관한 선언」을 필자가 ‘교육의 원리와 목적’, ‘교육의 의무와 책임’, 그리고 ‘가톨릭 학교’라는 주제로 분류한 후, 공의회가 선언하는 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1983년도 교회법전』을 ‘교육의 책임’과 ‘교육의 수단’이라는 주제로 나누어 ‘교육의 책임’에서는 <부모>와 <국가> 그리고 <교회>라는 소제목으로 살펴보았고, ‘교육의 수단’에서는 법전이 제시하는 학교에 대한 조항들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가톨릭 교육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들 가운데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 「학교 내의 가톨릭 평신도 :신앙의 증인들」, 「제삼천년기의 문턱에 서 있는 가톨릭 학교」, 「가톨릭 대학교에 관한 교황령」을 살펴봄으로써, 가톨릭 학교교육과 관련된 교구장 주교의 역할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Ⅱ부의 제1장은 본격적으로 교구장 주교의 법적 책임과 권리에 대해 1983년도 법전을 근간으로 논하며, ‘학교의 설립’과 ‘감독과 시찰’ 그리고 ‘가톨릭 학교에 관한 명명권과 인재양성’이라는 주제에 따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미국과 독일의 가톨릭 학교교육 실황을 제시하면서, 외국의 선험 사례를 참고로 하여 가톨릭교회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학교교육을 개선시켜야 되는지를 모색했다. 제3장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의 사명에 위배되는 한국의 공교육 현실의 배경인 여러 사회적 문제들 중 중추적이고 대표적인 문제인 ‘사학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특히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사학의 공공성과 자주성’에 대하여 고찰했다. 그리고 사립학교법이 현장에서 어떠한 양태로 드러나는지 ‘사립학교법의 현실’에 관한 제목으로 ‘학교 운영권에 대한 제한’과 ‘종교교과목에 대한 제한’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을 위한 교회의 노력과 대응들에 대해서, 먼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교육에 대한 권리를 ‘천부적 권리’라는 제목으로 간략히 설명하고, 한국 교회의 대응책을 공시적 접근과 통시적 접근으로 강구해보았다. 이어서 한국에서 가톨릭교회가 시행하고 있는 몇 가지 노력들을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 헌장’과 ‘가톨릭 학교교육 포럼’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현실의 제도가 가톨릭 학교교육의 영성을 막고 있다면, 교구장 주교의 힘 있는 발언과 교회 내의 신자들이 힘을 모아, 그 제도를 가톨릭 학교교육의 영성을 실현하는 쪽으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바로 제도적 투신으로 가톨릭적 입법들을 제시하고 그러한 법률들을 발판삼아 본질적 의미에서의 가톨릭 학교교육을 구현하자는 것이다. 아울러 “장학금 제도”를 통하여, ‘가난하고 소외된 어린이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함’이라는 가톨릭 학교의 본질적 목적을 이행하고 귀족교육의 한정성을 경계하자고 언급하였다. 그 결과, 가톨릭 학교교육이 이 사회의 학교교육에 정향(正向)을 제시하고, 공교육의 모범적 사례로 본(本)을 보여줌으로써 이 사회에서 계속 벌어지는 양극화 현상의 극복에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A Study on the Role of a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Cho, Min-Hwan Department of Practical Theology, Graduate Schoo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irector : Prof. Lee, Kyung-Sang> At the entrance of the third millenium, people show a high degree of concern about Korean public education. The school education seems to be losing its own essential purpose and identity, with the pressure of entrance exams and increasing private education for students. Moreover, irregularities and injustice in running of some private schools has caused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s law, which obstructs the establishment of exemplary private school with appropriate foundation including Catholic schools.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thesis studies the Catholic church's efforts to realize the ultimate goals of Catholic school education. Such efforts, however, are not a matter limited to the school authorities. These efforts should be responsibility of all members of a parish church and eventually, of the diocesan in charge of the diocese. This opinion has named this thesis as "the role of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This thesis explores the Catholic schooling and a diocesan's role in it under the discipline of Canon Law. Therefore, three characteristic methodologies of Canon Law are used to develop the content: chronological analysis, theoretical approach, and pastoral proposal. The body of the text consists of Part I and II. In Part I, the legal foundation of Catholic schooling is presented. Chapter one examines the laws related to education in The code of Canon Law(BenedictⅩⅤ )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and degree' and 'a bishop's right to supervise schools.' Chapter two studies Documents of the Vatican Council Ⅱ - Declaration on Christian Education, Gravissimum Educationos under the headings of 'the principle and purpose of education,' 'the duty and responsibility of education,' and 'the Catholic school' and points out the basic facts of education strategy declared by the Council. Chapter three explores The code of Canon Law (John PaulⅡ) under the two subjects: one is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 where the discussion develops through the headings of 'parents,' 'nation,' and 'church'; the other is the 'means of education,' which examines legal articles from the Code mention Catholic schooling. Chapter four refers to such documents as The Catholic School, Lay Catholics in Schools : Witnesses to Faith, The Catholic School on the Threshold of the Third Millennium, and Apostolic Constitution of the Supreme Pontiff John PaulⅡ on Catholic Universities, among the various instructions of church on Catholic education, to learn the role of a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Based on The code of Canon Law (BenedictⅩⅤ ), c hapter one of Part II discusses the legal responsibility and right of a diocesan in depth, under the subjects of 'foundation of a school,' 'supervision and inspection,' and 'right to name Catholic schools and nurturing of human resource.' Chapter two provides the reality of American and German Catholic school education and searches for the right direction for our Catholic church to improve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precedents of other countries. Chapter three shows how the fundamentals of "private schools law" is against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ing, and how such laws generate various social problems within i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n particular, this thesis focuses on both public and independent nature of private schools, sometimes referred to be a double-edged sword. In addition, this chapter examines restrictions on school administration and religious subjects under the subtitle of 'the reality of private schools law' in order to demonstrate how the current law reveals its weakness. Finally, chapter four discusses the church's effort and counterplan to improve Catholic school education. Chapter begins with brief explanation of the human rights to be educated as 'God-given rights' and deliberated the counterplan of Korean church through synchronic and diachronic approaches. Subsequently, it presents ‘Charter of The Korea Catholic school Education’ and ‘Catholic School Education Forum’ as examples of the efforts made by Korean Catholic church. In conclusion, the author argues that if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hinders spirituality of Catholic school education, the system should be redirected to fulfill the spirituality through voicing enthusiastic opinions of the diocesan bishop and all church members. This effort can be done by offering Catholic legislation as institutional countermeasures and stepping-stone; such legislation will guide the church to accomplish the fundamental sense of Catholic education. Furthermore, the author suggests that Catholic schools should enlarge scholarship to persue its essential goal of 'offering educational opportunity to poor, neglected children' and stay wary of the limitations of aristocratic education. As a result, the author hopes Catholic school education would become a solution to alleviate the increasing socioeconomic polarization by providing the right direction of education and setting an outstanding example for public education in this society.

      • 교회 일치운동의 관점에서 본 세례 유효성 연구

        김현재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At the heart of the Gospel of Christianity, there lies the words of Jesus, such as or through the love there lies concordant requests such as. However, do Christians answer those Gospel requests today? Christianity cannot help but regret the fact that we have aimed division rather than unity, or fights than love since schism of the church in 16th century. Divided churches cannot help but confess that they have been only emphasizing their own theology, creating different types of theology to confront other theology, darkness and pain, rather than being in chaotic situations. Since 20th century, when Ecumenical Movement was developped to aim unified church between Catholicism and Protestanism, concordant way is started to be created through various ways. However, Catholicism and diverse denominations in Protestanism, which all have their own theology and faith, started to have difficulties to unify their religion. Especially, although baptism is the most important theological starting point in Ecumenical Movement, the definition and value of the baptism was changed in each denomination. Thereofe, the necessity of research for mutual validity in baptism, which forms the foundation of Ecumenical Movement between Catholicism and Protestanism who experienced exclusive theology due to denominationalism and conflictual theology, can arise. Based upon this reas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theologically study the meaning of baptism, which is common heritage in Christianity by following Paul the Apostle, to assure brotherhood in faith through baptism,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rue Ecumenical Movement, to establish foundation of genuine Christian unity by commonly understanding the validity of baptism, and to examine the theological problems about the validity of baptism and collaborative groundwork for Ecumenical Movement by studying justifiability of Ecumenical Movement, efforts for unity by Catholic churches, definition of baptism in each denomination, theological disputes about baptism, Catholicism and various denominations in Protestantism. Catholic churches have been admitting baptism as ‘Introduction to be a child of God’ and ‘The String of Unity’ since early age, which have been changed in the history of baptism by following churches’ situations. This is also same phenomenon in Protestantism. Baptism emphasizes the value and definition of unified churches, reveals brotherhood connection in all Christians, and contributes to abundant and complete unity by following God’s favor. Therefore, the importance of baptism lies in the meaning as the starting point of Ecumenical Movement and advance as religious brothers. However, baptism has become problems to interrupt the unity between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The problem is ‘the validity of baptism’. If someone who got baptism in other denomination doubts the validity of baptism, Catholic churches suggest to get ‘conditional baptism’, which might cause limits due to its designation. This points out that baptism itself is based on respect and admiration to religious ceremony, not the consideration for other denomination’s baptism. In realit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4 denominations and Catholicism in terms of the way, the condition, or the validity of baptism. However, doubt for validity still lies in the problem that how priests give baptism, the effect and grace of baptism, and the substance or shape of baptism. Solution for baptism problems should be pursued by mutually understanding each other’s faith between all denominations. In other words, Ecumenical Movement should be based on fundamental trust to Christ, achievement as ‘abundant communio’, and Christ as common root for all denominations. Moreover, we should understand the Ecumenical side between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through ‘the unity in diversity’ by acknowledging each denomination’s baptism. This is not combination of all denominations or monolithic unity, but seeking “the sole church to learn Christ together” as Christians by mutually respecting each other’s denomination through baptism. Furthermore, genuine Christian treasures which can be found among divided brothers should also be admitted and be respected due to their common heritage root. In addition, although Korean Catholic churches have been practicing ‘unity ceremony’ to believers who once followed Protestantism, many priests have lack of knowledge in ‘unity ceremony’. Therefore, churches should educate priests by accurate guidelines for ‘the validity of baptism’. 그리스도교 복음의 중심에는 예수께서 하신 말씀, 곧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요한 15,12)라는 말씀과 이 사랑을 통하여 “그들이 모두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요한 17,21)라는 기도를 통한 일치의 요청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이 복음적 요청에 응답하고 있는가? 16세기 교회분열 이후 그리스도교는 일치보다는 분열을, 사랑보다는 다툼을 지향하면서 살아온 것은 아닌지 반성하지 않을 수 없다. 분열된 교회는 자신들만의 신학을 주장하고, 그 신학에 대립하여 또 다른 신학을 만들고, 서로 엇갈리는 상황 속에서 ‘세상의 빛과 소금’(마태 5,13-14)가 되기보다는 어둠과 아픔만을 남기고 살아왔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20세기 이후 가톨릭교회와 개신교 사이에 하나의 교회를 지향하는 교회일치운동이 전개되고, 여러 방면에서 일치의 길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고유한 신학과 신앙을 지니게 된 가톨릭교회와 개신교의 각 교파들은 신앙내용에서의 일치를 위한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특히 세례가 교회일치운동의 중요한 신학적인 출발점임에도 불구하고, 이 세례가 각 교파에서 갖는 의미와 가치가 서로 달라졌다. 따라서 오늘날 각 교파주의와 대립 신학의 영향으로 배타적 신학화의 과정을 겪은 가톨릭교회와 개신교 교파들간 일치 운동의 기초가 되는 세례의 상호 유효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적은 “주님도 한 분이시고 믿음도 하나고 세례도 하나”(에페 4,4-5)라는 바오로 사도의 말씀에 따라 교회일치를 위한 그리스도교 공동 신앙의 유산인 세례의 의미를 신학적으로 고찰하고, 참된 교회일치의 출발점인 세례성사를 통한 신앙의 형제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며, 세례 유효성에 대한 공동 이해를 통하여 참된 그리스도인 일치의 기점을 마련하고자 하며, 교회일치운동의 관점에서 본 세례 유효성에 대한 이해를 위해 교회일치의 당위성과 가톨릭교회의 일치의 노력, 각 교파간 세례의 의미와 세례에 대한 신학적 논쟁들, 그리고 가톨릭교회와 개신교 4개 교파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세례 유효성에 대한 신학적 문제점, 교회일치를 위한 공동기반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톨릭교회는 초대 교회부터 세례를 ‘하느님의 자녀가 되는 입문성사’이고, 교회의 ‘일치의 끈’으로 인정해왔다, 또한 세례의 예식의 역사 안에서 교회의 상황에 따라 변화되어왔다. 이는 종교개혁자들의 세례 이해 또한 마찬가지이다. 세례는 교회가 하나라는 가치와 의미를 부각시키며, 모든 그리스도인 사이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형제적 결합을 드러내게 하며, 하느님의 호의에 따라 충만하고 완전한 일치에 이바지한다. 그러므로 세례의 일치에 대한 필요성은 교회일치의 출발점인 신앙의 형제로서 나아가는 데 의미를 둔다. 그러나 세례는 지금 가톨릭교회와 개신교 교파간의 사이에서 일치를 방해하고 현실적으로 부딪히는 문제가 되었다. 일치를 방해하는 세례의 문제점은 바로 ‘세례의 유효성’ 이다. 타 교파에서 받은 세례에 대한 유효성에 의문이 남을 경우 ‘조건부 세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는 가톨릭교회의 ‘조건부 세례’라는 명칭은 한계점을 지닌다. 이는 타 교파의 공동체에서 베푼 세례에 대한 배려나 존중의 문제가 아닌 성사 자체에 대한 존중과 존경의 문제라는 것을 일깨워 주고 있다. 실제로, 본 논문에서 연구한 4개 교파와 가톨릭교회와의 세례의 형식, 조건 등 그 유효성의 차이는 크게 다름이 없다. 그러나 유효성의 의심이 가는 문제는 세례를 주는 방법으로 세례의 효과와 은총, 세례의 질료와 형상에 대한 문제이다. 세례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교회는 신앙의 공동 이해를 추구해야 한다. 곧 교회일치가 신앙 안에 그리스도께 대한 근본적인 신뢰이자 항상 그리스도께서 원하신 충만한 통교(communio)를 달성하는 것이며, 모든 그리스도인은 각 교파마다 신앙의 공통적 뿌리로 지니고 있는 ‘그리스도’를 바탕으로 일치를 실현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교회의 세례를 인정하는 것으로, ‘다양성 안에서의 일치’를 통해 개신교와의 교회 일치적인 면을 이해하여야한다. 이는 개별 교파들의 통합이나 획일적 일치가 아니라, 각 교파들의 고유한 신앙을 상호 존중하면서 세례를 통하여 그리스도를 믿는 이들로서, “함께 그리스도를 배우기 위해 하나의 교회”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갈라진 형제들에게서 발견되는 참된 그리스도교적 보화들은 공동 유산에서 나온 것이기에 우리는 기꺼이 인정하고 존중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 한국 가톨릭교회의 특성상 개신교에서 회심하여 돌아오는 이들에게 ‘일치 예식’을 거행하는 예식을 실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본당 사제들이 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일치 예식’의 거행 자체 또한 문제점으로 본다. 그러므로 교회는 ‘세례 유효성’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어떠한 지침을 통해서 교육시켜야 한다. 위와 같은 세례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교회는 신앙의 공동 이해를 추구해야

      • 신자유주의와 가톨릭교회

        김회인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Every nations around the world are preparing for the challenge that will change every aspects of the world after the economy crisis brought about superficially by collapsing of the Subprime mortgage buble and fundamentally by the failure of the neoliberalism. Under this era, I am focusing on the situation that Korea's common economy is getting worse while macro-economic indicators of neo-liberalized society stabilized for several years. Many problems containing Increase of a temporary job and a part-time job stress the flexibility of work, youth unemployment, living debt, crime of the poor, and deepening of social conflict caused by sticked polarization are appeared through the whole Korean society. This tendency reveals the characteristic that in neo-liberalism formation, a capital cannot but be fetishes as a necessity. The neoliberalism that imposes over competition makes human descend to a tool of production and it causes overproduction and overaccumulation of capital so that makes either overconsume on specific goods or imbalance on trade caused by consume decreasing among the countries, in the end, the gap became serious. The hope, distributed unfairly, the disparity between upper class and bottom class is increased. the fetishism caused by neoliberalism makes not only dilute the main purpose that it is serve to human but also retrogress it. In the neoliberalism of Korean society, the man's work are considered as a tool of capital. In addition, the capital which is only the one factor of economics, rather being accepted to fundamental aim of economic works. The attitude of this phenomena of the Catholic is strong. By the mercy of God and the love of God, the Catholic point out the vice on principalness neoliberalism and ask whole people to do the public profit to the poor primarily with the fellowship and aid. So, I'm looking for the Catholic's solution following the paragraph. First at all, general believer who works at business field follow the God's love, and the Catholics should consider them to manage the corporation in the state of respecting the Human's dignity. Furthermore, the Catholic lead political and economical elite who draft and execute the policy of the neoliberalism to prepare the will power of doing public profit. For that the business man, political-financial elite themselves have mind to execute the God's love. So Catholic social teaching for general believer CEO, political-financial elite is essential. Of course, in the society which is full of fetishism and lack of human right, spreading the gospel for the indeed execution that what the real value is to every christian is important. By this, all the christians should have interested in social problem and take a role as the assist actor. So Catholic social teaching for whole christian is also essential. 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between catholicism and civil society solidarity should be solid. For this, I suggest 'Catholic-Basic community'. Basic community can be a rink between catholicism and civil society solidarity. Catholicism should not pass on these roles to basic community and find the structure that can lead the relationship with the civil society solidarity. and finally, reflect it to catholic organization. 2007년 후반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사태는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가져왔고, 실물 경제의 본격적인 위기로까지 확산되었다. 이는 신자유주의적인 세계화의 모험이 실패로 돌아가고 있다는 반증이 되어, 현재 세계 각 국은 신자유주의 이후에 도래할 대변화의 시기를 대비하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 아래에서, 신자유주의 물결이 거셌던 한국사회에서의 거시 경제지표가 지난 수년간 안정적이었던 데 반해, 한국사회의 서민경제가 악화되어왔음을 주목한다. 노동의 유연성을 강조한 임시직·계약직의 증가, 청년실업 증가, 가계부채 증가, 고착화된 양극화로 인한 사회적 갈등의 심화, 빈곤층 범죄증가 등의 문제가 한국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던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신자유주의 체제 안에서 ‘자본’이 필연적으로 물신화될 수밖에 없다는 특성을 그대로 드러낸다. 지나친 경쟁을 강요하는 신자유주의는 인간을 생산의 도구로 전락시키고 만다. 과잉생산과 자본의 과잉축적 등을 일으키고, 동시에 특정 상품에 대한 과잉소비 또는 소비감소를 일으켜 국가 간 무역불균형을 양산하고 국가 내 양극화를 심화시킨다. 결국 ‘희망’마저 불균형하게 분배되어, 하위계급과 상위계급이 고착화되기에 이른다. 곧 신자유주의로 인한 물신화는 인간에게 봉사해야 한다는 경제의 근본 목적을 희석시킬 뿐 아니라 퇴보시킨다. 실제로 신자유주의 체제에 놓인 한국사회에서 인간의 노동은 자본을 위한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고, 경제의 한 요소에 불과한 자본은 오히려 경제활동의 근본적인 목적인 냥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대하여 가톨릭교회의 목소리는 완곡하다. 하느님의 자비, 그리스도의 사랑을 바탕으로 원칙 없는 신자유주의의 폐단을 조목조목 지적한다. 그리고 그리스도인을 비롯한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연대성, 보조성의 원칙을 토대로 가난한 이들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공동선을 실현해 나가기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가톨릭교회의 대응을 모색하여 본다. 우선 평신도 기업인들이 그리스도의 사랑을 본받고, 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하는 상태에서 기업을 경영하도록 가톨릭교회의 배려가 있어야 한다. 나아가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하는 정치·경제엘리트들 역시 그리스도교의 가치관을 가지고 공동선을 실천할 의지를 갖추도록 유도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업인, 정치·경제 엘리트들 스스로 그리스도의 사랑을 온전히 실천하려는 자세를 갖춰야 한다. 따라서 평신도 기업인, 정치·경제엘리트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교리교육이 절실하다. 물론 인간성이 상실되고, 물신화가 팽배한 사회에서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지를 그리스도인들 몸소 실행해 옮길 수 있도록 모든 그리스도인들의 복음화 또한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사회문제에 부단한 관심을 갖고, 가톨릭교회가 사회의 보조자로서의 역할을 실천해야 할 것이다. 이에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교리교육 역시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으로 가톨릭교회가 형성해왔던 시민사회단체와의 네트워크를 더욱 공고히 하고, 그들과의 연대를 강화해야 한다. 필자는 이의 단초로서 본당 기초공동체를 제시한다. 기초공동체는 시민사회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는 만큼 가톨릭교회와 시민사회단체와의 탄탄한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 가톨릭교회는 이러한 역할수행을 기초공동체의 몫으로만 돌리지 말고, 기초공동체 스스로 시민사회와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이루어 나갈 수 있는 교회 내 구조를 모색하여, 본당 조직에 반영해야한다.

      • 가톨릭 여성복지조직의 조직간 관계와 조직효과성

        이민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가톨릭 여성복지조직들을 대상으로 조직간 관계의 구조적 특성과 조직효과성을 알아보고 이들 두 변수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톨릭 여성복지조직들의 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조직간 관계가 조직이 필요로 하는 자원확보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개방체계적 관점에서 볼 때, 복잡하고 예측이 어려운 환경변화 속에서 조직이 유지, 발전해 가기 위해서는 외부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대처해야만 한다. 그 중에서도 개별조직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른 조직들과의 관계는 조직이 필요로 하는 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직이 유지, 발전하기 위해서 조직간 관계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을 기본전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가톨릭 여성복지조직의 조직간 관계는 조직관리자가 맺고 있는 조직간 관계의 빈도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조직간 관계의 내용에는 조직간 협의, 자금 및 물적자원 동원 그리고 클라이언트 의뢰가 포함된다. 조직효과성은 체계-자원 접근법에 입각하여, 자원확보능력으로 개념정의 하였다. 측정될 자원은 재정 및 정보, 인력 그리고 클라이언트로 규정하여 각 조직 및 가톨릭 여성복지조직의 전체적인 자원확보능력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의 29개소 가톨릭 여성복지조직들을 대상으로, 1999년 3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 전화 및 면접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조직간 관계는 관계의 내용에 따라 관계의 빈도를 조사하도록 구성한 이현주(1998)의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조사된 내용은 UCINET Ⅳ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관계망분석을 하였다. 조직효과성은 정진영(1986)의 척도를 총 20문항으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이상의 논의와 연구방법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간 관계를 관계망분석하여 관계망의 밀도, 집단다선중심성, 집단매개중심성을 조사한 결과, 가톨릭 여성복지조직들간에는 관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데 반해, 외부조직들과는 다소 관계가 저조하였다. 또, 활발한 조직간 관계를 맺고 있는 조직과 그렇지 못한 조직간에 관계정도의 차이가 큰 편이었으나 특정조직을 중심으로만 관계가 이루어지는 경향은 낮은 편이었다. 또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 대상층이 많고 특히, 사회적, 정책적인 지원이 마련되었거나 대중의 인식이 향상된 분야의 조직들이 활발한 조직간 관계를 맺고 있었다. 둘째, 가톨릭 여성복지조직들의 자원확보능력은 평균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그 중에서 클라이언트 부분이 가장 높았다. 재정 및 정보 부분의 편차가 가장 컸고 클라이언트 부분의 편차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즉, 클라이언트에 관한 인식, 증가여부, 클라이언트 확보를 위한 노력성 등은 조직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다. 셋째, 조직간 관계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조직간 관계가 활발한 조직은 자원확보능력도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카톨릭 여성복지조직이 유지,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는 데에 있어서, 조직간 관계가 매우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사회복지 전문가들은 서비스 제공과 조직발전에 요구되는 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외부조직들과 좀 더 적극적이고 활발한 관계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이 때, 지역내 조직들과의 연계 뿐 아니라 지역에 관계없이 업무가 유사한 조직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직간 관계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들도 정책이나 사회적 관심과 같은 일반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활동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IOR)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atholic Women's Welfare Organizations(CWWOs). This study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R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WWO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s about IOR that can be utilized to establish service delivery system of CWWOs; and 2) to prove that IOR is important factor for acquiring the organizations' needed resources. According to Open System Theory, organizations have to adjust and cope with unexpectable changes of their environment.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welfare organizations mainta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organizations in their task environment, which would contribute to both the managerial and service effectiveness of their organizations. Based on this theoretical perspectives, the main preliminary of this study is that CWWOs have to expand their IOR with other organizations in order to survive and improve the operation of such organizations. For a purpose of finding out IOR among CWWO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umber of having a relationship with other organizations among managers of each CWWOs. Reviewing the previous study, the contents of IOR in this study were identified: conference with other organizations, mobilization of financial and material resources, and client referral.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defined as the ability to acquire resources, assessed by using theoretical framework of system Resource Approach. Based on the approach, there were three indicators of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nances and informations, manpower, and client resources- which were all investigated in this study. Research for this study was administered between March 20, 1999 and April 30, 1999.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telephone and personal interviews with managers of 29 CWWOs in Korea (one manager for each CWWO)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restructured based on Yi Hyon-Joo's questionnaire(1998) and Chung Jin Young's Scale(1986), for examining the IOR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spectively.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OR among manager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R and the effectiveness of CWWO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structural features of networks, which include network density, group degree centrality, and group betweenness centrality, of IOR among CWWOs, this study found that the IOR among CWWOs was active, while the IOR with non-CWWOs was weak. There is some difference in degre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e organizations with haying many IOR and the less-active organizations with having less IOR. CWWOs did not tend to engage in relation exclusively with a specific organization in network. The research shows that the organizations tend to have active IOR when they provide various services, work with different service client population, obtain supports from society and government, and deal with problems recognized by the public. 2)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WWOs, the ability to acquire their needed resource -finances and informations, manpower, and client- was higher than mean. The ability to acquire client resource was the highest among three indicated resource categories. 3)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R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WWO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found: the more the organization engage in relation with other organizations, the more the organization increase the ability to acquire needed resources. Accordingl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IOR is very important to acquire the resources that are needed for survival and growth of CWWOs in Korea.

      • 남명 조식의 ‘경의敬義’사상과 가톨릭 사회정의와의 비교고찰

        이진효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author explores how Confucianism, among many Eastern religions, can engage in dialogue and communication with the Catholic Church. Discovering the life of Nammyeong Jo-Sik, centered on 敬 (respect) and 義 (righteousness), the author draws parallels with the social justice of the Catholic Church. The paper extensively compares and analyzes Jo-Sik's efforts to control his mind, judge right from wrong, and demonstrates how Jo-Sik's principles of 敬 and 義 can contribute to realizing justice in today's Catholic Church. In Chapter 1, the author briefly covers Jo-Sik's life. Jo-Sik, known for his straightforward personality and early passion for studies, showed interest in practical and diverse fields, including non-mainstream studies. Choosing a scholarly life over official examinations in his youth, Jo-Sik built Sanhaejeong the age of 30, dedicating himself to studies. For 15 years, Jo-Sik delved into the ideas of 敬 and 義 at Sanhaejeong Pavilion. Subsequently, Gyebudang and Raeryongjeong Pavilion were constructed, completing the Gyeongui Geology with his disciples. Despite his interest in the nation and its people, Jo-Sik criticized officials prioritizing personal interests over national affairs. He advocated that kings should cultivate respect, righteousness, and character to pave the way for a righteous rule. Despite receiving several offers from the king, Jo-Sik declined and built a mountain retreat, spending the rest of his life teaching his disciples 敬 and 義. Chapter 2 explores Jo-Sik's ideas of 敬 and 義. Influenced by Zhu-Za and Zheng-Yi, Jo-Sik considered 敬 as unifying the mind and 義 as clearly judging right and wrong with a bright heart to express social justice in life. Jo-Sik, practicing both 敬 and 義, sought to reach a state of Zen meditation, emphasizing benevolence and wisdom towards others. Speaking truthfully to the king based on 義 about the country's situation, Jo-Sik judged people not by social status but by their character and decency. Sharing the wisdom gained through practice with his disciples, Jo-Sik applied 敬 and 義 to both learning and realizing justice in life. Chapter 3 delves into the social justice of the Catholic Church. Rooted in the essence of God and Jesus, the Catholic Church, starting with Leo XIII's "New Situation" in 1891, views society as an object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without separation. Despite changes in focus, the papal decrees on social justice share commonalities in respecting the role of members in social activities, protecting their rights, and emphasizing the role of the state. The common good, deeply connected to social justice, aims for a state where individuals can achieve self-realization through solidarity and assistance. The righteousness of Jesus, protecting the socially weak and comforting sinners and the sick, evangelizes God's love and peace. The Catholic Church's goal is to guide those uncared for, like God's justice, toward personal maturity in God with interest and help from others. In Chapter 4, Jo-Sik's ideas of 敬 and 義 are compared with social justice in the Catholic Church, suggesting ways for today's Christians to practice justice. Jo-Sik, a practical scholar contributing to the nation's development through virtue cultivated via mental and physical discipline, aligns with the common good's intention to restore the original good and benefit others rather than oneself. Jo-Sik, striving for virtue and personal realization, engaged in social practice, resembling the mission of Christians to dedicate themselves and help those without guaranteed dignity and rights. The Church, dedicated to others and realizing God's kingdom on earth, aligns its heart with God's will through the practice of 敬 that unites hearts. The Catholic Church should judge 義 from wrong according to God's will and practice love for the poor. The exemplary life of Jo-Sik serves as a model for the kind of justice that Christians should embody. The Church believes in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social structure according to circumstances. Jo-Sik, too, sought to reform political reality by changing the social system, serving as an example of justice for Christian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connecting human minds through social movements to realize social justice. The Catholic Church believes that human-to-human hearts are possible when society members collaborate to establish social peace and achieve harmony. As the saying goes, 'Peace is a work of justice,' peace becomes the fruit of love beyond what justice can offer. Such earthly peace can be restored and strengthened by living harmoniously in the order set by God. Jo-Sik lived to reveal the peace and love of society as a whole through practicing human propriety in relationships. If Jo-Sik combines the benevolent attitude he sought to recover through the practice of 敬, the Catholic Church will greatly help realize God's love and peace.

      • 대중매체가 젊은이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가톨릭 교회의 대응방안 연구 : 전주교구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김상기 광주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현대 사회의 문화를 심층적으로 들여다보면, 권력을 가진 기업이나 정부가 문화를 지배하면서 교양 문화가 몰락하고 쾌락적이고 상업적인 문화 이른바 ‘죽음의 문화’가 화려하게 확산되고 있다. 특별히 텔레비전으로 대표되는 영상매체와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디지털매체는 젊은이들의 생활과 문화를 악의 구렁텅이로까지 몰아넣고 있다. 대중매체가 왜곡된 성의식과 소비 개념을 젊은이들에게 무의식적으로 주입한 결과, 현재 우리 젊은이들의 사회가 대중매체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가톨릭 교회의 복음적 가르침과 교리교육은 세속적 가치관에 물든 젊은이들에게 흥미를 끌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심지어 몇몇 가톨릭 젊은이들은 고리타분한 교리교육보다 재미있는 요소들이 많은 대중매체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많은 가톨릭 젊은이들이 신앙의 방향을 제시해주고 지탱해주는 하느님을 교회 안에서 만나지 못한 채 신앙으로부터 멀어지고, 결국 교회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대중매체가 젊은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먼저, 대중매체와 젊은이들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정의와 특성에 대해 서술한다. 대중매체는 젊은이들이 좋아하는 신속성, 오락성 등을 가지고 있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젊은이들의 관심을 끌어들인 대중매체는 선정성, 폭력성, 상업성을 젊은이들이 인식하지 못한 채 빠져들도록 교묘하게 전달하고 있다는 사실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젊은이들이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지적, 영적으로 변하는 시점에서 그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 대중매체임을 알게 된다. 다음으로 대중매체가 젊은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술한다. 특별히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젊은이들이 좋아하는 아이돌을 이용하여 잘못된 성문화를 가르치고 있다는 사실과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과는 정반대로 성의식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심지어 젊은이들은 이러한 잘못된 가르침을 모른 채 따라하고 있다는 충격적인 사실도 찾아볼 수 있다. 젊은이들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서 좋은 정보를 스스로 찾아보기 보다는 본래의 목적과는 다르게 재미있는 것 위주로 이용하고 있고, 그에 따른 문제가 젊은이들 사이에서 종종 생겨나고 있음을 알아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전주교구 젊은이 89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젊은이들이 대중매체를 어떻게 이용하고, 생각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설문조사를 토대로 젊은이들이 대중매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분석한 결과, 젊은이들은 대중매체 이용시간과 횟수가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과 정보를 얻기 위해서보다는 재미나 또래 친구들 때문에 대중매체를 자주 이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젊은이들이 대중매체가 자신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는 사실과 그저 재미있는 특징을 지닌 도구라고 인식한다는 사실도 찾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톨릭 교회의 대응 방안으로 ‘대중매체 올바로 보기’ 교육을 제시한다. 대중매체를 활용하여 교육할 때에는 각 대중매체의 특성에 맞게 ‘대중매체 올바로 보기’ 교육을 해야 한다는 것과 교회 지도자, 부모, 대중매체 이용자, 대중매체 제작자들에게도 각기 다른 관점에서 ‘대중매체 올바로 보기’ 교육을 실시해야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알아본다. 또한 주일학교와 신앙학교, 신자 재교육 때에도 ‘대중매체 올바로 보기’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과 교구 차원에서 기관을 설립하고, 자료를 만들고, 가톨릭 학교에서도 ‘대중매체 올바로 보기’ 교육이 실시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그런 다음, 가톨릭 교회가 ‘대중매체 올바로 보기’ 교육을 신학적으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교회론적으로, 사목적으로, 영성적으로, 윤리적으로 나누어 고찰해 본다.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대중매체를 가장 많이 그리고 가장 자주 이용하는 집단은 바로 젊은이들이다. 젊은이들의 특징을 잘 이용한 대중매체 제작자들은 그들의 시선을 빼앗기 위해 좀 더 자극적이고, 좀 더 재미있게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다. 그래서 대중매체는 선정적이고 폭력적이며 상업적인 요소들을 교묘하게 숨겨 놓고 젊은이들을 접근하고 있다. 그러므로 가톨릭 교회에서는 대중매체가 젊은이들에게 잘못된 문화를 가르치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려주어야만 한다. 대중매체가 지배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젊은이들에 대한 ‘대중매체 올바로 보기’ 교육은 가톨릭 교회가 무조건적으로 제공해야 할 새로운 구원의 사도직이며, 하느님과 세상을 화해시키고 젊은이들을 보호할 수 있는 길이 될 것이다. 가톨릭 교회가 세상에 대해 쓴 소리를 마다하지 않을 때, 복음적 가치를 스스로 깨달은 젊은이들이 교회로 다시 돌아와 악하고 비뚤어진 세상을 하느님 보시기에 좋은 모습으로 변화시켜 나갈 것이다. Taking an in-depth look into contemporary culture, one may see that the values of education in modern culture has been dissipating; and the lustful and capitalistic culture, so-called ‘culture of death’ is on the rise. In particular, images presented by televisions and digital media, accessible by smartphones, are sending lives of young people and their culture into the depths of evil. Our youth today are being controlled by the mass media as it overloads them misguided sexual perceptions and materialism. However, today's Catholic Church's evangelical teaching and doctrine does not connect with today's young people with secular values. And to make matters worse, some young Catholics turn their eyes to secular fun-filled mass media rather than mundane traditional gospel teachings. For that reason, plenty of the young Catholics who give up meeting together with God as their spiritual leader and supporter end up leaving the Church. Thus, I began this research of the media's influence on the youth and sever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defined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to understand the minds of the young generation and the media. The media provides immediacy and entertainment which appeals to the youth, thus making it highly to all audience. It is also noted that the media deceptively feeds the addiction of young people to lasciviousness, violence and commercialism. Furthermore, the media brings young people instant gratification as they change physically, emotionally, socially, intellectually, and spiritually. Secondly, the researcher describes the influence of the mass media on young people. Especially, with the teen idol images on TV, the media promotes misguided sexual perceptions which contradict the Catholic church teaching. The study also indicates young viewers unconsciously follow this distorted trend. Instead of using internet and smartphones for original purpose of research and beneficial information, they use them more for entertainment and socialization, which enhances conflicts among young people. Next, I took a survey on 892 young people in Jeonju diocese to find how the youth utilize the media and what they thing about it. The survey shows that they consume the media far more frequently and longer than expected, and they often use the media for socializing and pleasure rather than retrieving useful information. The researcher also includes the fact they think the media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m and that they consider the media as mere tools with the entertaining values. Lastly, the researcher suggests “Better Understanding the Mass Media” education as a countermeasure for the Catholic Church. When the media is utilized for education for education, the attributes for respective categories of the media should be underlin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recognizes that “Better Understanding the Mass Media” education is most effective to church leaders, parents, media users and media producers when adjusted for their individual perspectives. The study also emphasizes that there should be “Better Understanding the Mass Media” education during Sunday school, religious academia and re-education for Catholics. Also the diocese should establish an institution and develop corrective materials, and the Catholic school should conduct “Better Understanding the Mass Media” education. And then, the research discusses how Catholic Church can apply “Better Understanding the Mass Media” in theology via ecclesiological, pastoral, spiritual, and moral ways. It is the youth who dominate and most often use the mass media, a modern-day necessity. Media producers, who capitaliz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make programs more sensual and entertaining to catch their attention. That is how the media commercialism lurking in it Therefore, the Catholic Church should inform the young public that the mass media is misleading them. In a media-dominated modern society, “Better Understanding the Mass Media” education should be offered by the Catholic Church as a new apostolic salvation approach to protect the youth and, furthermore, to reconcile the world and God. In conclusion, the Catholic Church should not hesitate to give candid and solemn advices to the world; the young people who have acknowledged the evangelical values will return to the church and transform the evil and perverted world into a pleasant one before the eyes of God.

      • 대한가톨릭학생회를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가톨릭교회의 사회참여 고찰

        박홍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가톨릭교회는 자신의 본래 사명인 ‘복음선포’를 세상 안에서 생동적이고 역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하느님의 백성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특히 평신도의 협력 중에 가톨릭 지성인인 학생들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교회는 학생들에 대한 깊은 이해와 관심으로 학생들을 배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들이야말로 교회의 미래이면서 동시에 사회의 변화를 폭 넓게 수용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는 그리스도의 일꾼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연 교회가 학생들을 진정으로 교회 사명 수행의 주체요 협력자로 인식하고 있는지 의문을 제기해 보지 않을 수가 없다. 학생 신자들이야말로 교회의 희망이며 미래라는 말은 자주 언급되고 있지만, 그 희망과 미래를 위해 교회가 진지하게 숙고하고 실천하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물음 앞에 과연 오늘의 교회가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을까? 나날이 새로워지는 한국사회 속에서 학생들은 세상에 대한 교회의 사명 외에도 그들이 처한 사회현실 앞에서 고뇌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럴 때 만약 교회가 적극적이고 구체적으로 그들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보여 주지 않는다면 결국 학생들은 교회 안에서 스스로 허탈함과 소외감만을 가진 채 다른 곳에서 그 답을 찾기 위해 떠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교회가 사회참여를 하기 이전에 자신에 대한 자성을 통한 쇄신을 이뤄야 하며, 협력자인 가톨릭학생회에 대한 인식을 점검해 보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한가톨릭학생회의 1972년 해체까지 활동을 중심으로 세상을 향한 한국교회의 사회참여가 대한가톨릭학생회를 통하여 어떻게 이루어져 왔으며, 앞으로 제2차 바티칸 공의회(Concilium Vaticanum Secundum, 1962~1965년)의 정신을 따르려 노력하는 한국교회의 자세가 어떠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특별히 본 논문은 한국 가톨릭 학생운동사 안에서 대한가톨릭학생회의 활동을 결산하고 평가해 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 가톨릭 학생운동을 대표할 수 있는 대한가톨릭학생회의 활동이 시작된 지 50여 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특별히 연구 논문 하나 없다는 사실에, 이 논문을 통해 자료를 정리 평가하고, 앞으로 교회를 통한 학생들의 사회참여에 대한 모습을 고찰하고자 했다. 본 논문의 취지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서 논문의 내용을 크게 3장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제1장에서는 대한가톨릭학생회의 약사(略史)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대표적으로 대한가톨릭학생회의 창립 준비과정과 활동시기, 전국대회를 중심으로 한 발전기, 그리고 교회와 갈등 속에 있던 대한가톨릭학생회의 해체기를 역사적으로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1962년 열린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회참여의 의미를 되새기며 대한가톨릭학생회의 평가와 반성을 하였다. 특히 「사목헌장(Gaudium et Spes)」과 「평신도 교령(Apostolicam Actuositatem)」을 살펴보면서 가톨릭 학생운동의 이론적인 틀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공의회는 교회의 사회참여에 대해서 어떻게 언급하고 있으며, 그 가르침에 따른 가톨릭 학생운동은 어떠해야 하는 것인가를 고찰하였다. 더불어 공의회적 시각으로 1972년 대한가톨릭학생회의 해체 원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지배 이념과의 갈등, 교회와의 갈등 그리고 학생회의 정체성 갈등을 살펴보고, 당시 대한가톨릭학생회의 사회참여의 강점과 약점을 고찰해 보면서 학생들의 사회참여의 어려움과 한계점이 무엇인지를 진단해 보았다. 제3장에서는 제2장에서 살핀 평가와 반성을 전제로 하여 가톨릭학생회의 사회참여를 전망해 보았다. 여기에 공의회의 「교회헌장(Lumen Gentium, 1964년)」에 나타난 교회의 ‘인격들의 모임’을 바탕으로 오늘날 학생들이 평신도로서, 하느님의 백성으로서 교회의 이해는 어떠해야 하고, 사회참여에 앞서 교회는 이들을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각장에서 고찰한 것들을 바탕으로 부족하나마 2000년대 교회를 통한 학생들의 사회참여에 도움이 될 방안들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담당 주교 체제를 통해 교회와 학생간의 유기적인 소통과 이해를 강구해 보았다, 그 모델로서 미국의 ‘전국가톨릭학생연합회 (NCSC, The National Catholic Student Coalition)’를 소개하면서 가톨릭 학생운동의 미래상을 제시해 보았다. 이 논문은 1972년 대한가톨릭학생회의 해체라는 한정적인 범위 내에서 연구를 시도하였다. 한국 가톨릭 학생운동에 관해서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이기에 아직도 연구할 영역이 많은 게 사실이다. 1972년 대한가톨릭학생회 해체 이후에 교회와 가톨릭 학생들은 나름대로 사회참여를 통해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체 이후 현재까지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해서는 제대로 살펴보지 못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가톨릭 학생운동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준비하면서 제기할 수 있는 문제점은 가톨릭 학생운동에 관한 자료의 부족이었다. 이것은 가톨릭 학생운동 연구의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학생운동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에 앞서 체계적인 자료정리와 자료집 발간이 선행되어야 하지 않을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