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1 Receptor-mediated Protection against Amyloid Beta-induced Injury in Human Neuroglioma Cells

        조용운,정현주,김용근,우재석 대한약리학회 2007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Vol.11 No.2

        Adenosine has been reported to provide cytoprotec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s as well as myocardium by activating cell surface adenosine receptors. However, the exact target and mechanism of its action still remain controversial.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adenosine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Aβ-induced injury in neuroglial cells. The astrocyte-derived human neuroglioma cell line, A172 cells, and Aβ25~35 were employed to produce an experimental Aβ-induced glial cell injury model. Adenosine significantly prevented Aβ-induced apoptotic cell death. Studies using various nucleotide receptor agonists and antagonists suggested that the protection was mediated by A1 receptors. Adenosine attenuated Aβ-induced impairment in mitochondrial functional integrity as estimated by cellular ATP level and MTT reduction ability. In addition, adenosine prevented Aβ-induced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cytosol and subsequent activation of caspase-9. The protective effect of adenosine disappeared when cells were pretreated with 5-hydroxydecanoate, a selective blocker of the mitochondrial ATP-sensitive K+ channel. In conclus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adenosine exerts protective effect against Aβ-induced cell death of A172 cells, and that the underlying mechanism of the protection may be attributed to preservation of mitochondrial functional integrity through opening of the mitochondrial ATP-sensitive K+ channels.

      • KCI등재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에서 후낭절개술군과 대조군의 전방깊이와 굴절력 변화

        조용운,이동우,김병선,유웅선,김성재,서성욱,정인영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9

        Purpose: To compare the effect on changes in anterior chamber depth (ACD) and refractive error between subjects after combined phacovitrectomy with posterior capsulotomy using a vitrectomy probe and control subjects after combined phacovitrectomy without posterior capsulotomy. Methods: A total of 20 eyes of 20 subjects who underwent combined phacovitrectomy with posterior capsulotomy using a vitrectomy probe were compared with 20 eyes of 20 control subjects who underwent only phacovitrectomy without posterior capsulotomy. The ACD was measured with Scheimpflug imaging (Pentacam®; OCULUS Optikgeräte GmbH, Wetzlar, Germany) before and after surgery. Also the preoperative desired refraction and postoperative refraction were compared using an auto keratorefractometor. Results: The preoperative ACD of subjects with posterior capsulotomy was 2.56 ± 0.233 mm. The ACD was 3.54 ± 0.366 mm and 3.71 ± 0.424 mm at one and three months after surgery in subjects with posterior capsulotomy. The preoperative ACD of subjects without posterior capsulotomy was 2.53 ± 0.204 mm. The ACD was 3.09 ± 0.197 mm and 2.95 ± 0.295 mm at one and three months after surgery in subjects without posterior capsulotom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preoperative ACD, but ACD at one and three months after surger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desired refractory error was -0.32 ± 0.124 D in subjects with posterior capsulotomy, and -0.33 ± 0.142 D in the control group. The postoperative refraction was -0.62 ± 0.132 D in patients who underwent phacovitrectomy with posterior capsulotomy, and -0.91 ± 0.292 D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fraction three months after the surgery. Conclusions: Combined phacovitrectomy with posterior capsulotomy using a vitrectomy probe may be a useful way to prevent myopic change caused by anterior migration of an intraocular lens compared with control subjects, without posterior capsulotomy, for three months after surgery. 목적: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 시 유리체절단침을 이용하여 후낭절개술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와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전방깊이 및 굴절력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 시 유리체절단침을 이용한 후낭절개술을 받은 20명 20안, 병합수술은 시행하고 후낭절개술은 시행하지 않은 환자 20명 20안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술 전, 술 후의 전방의 깊이는 샤임플러그 사진기(Pentacam®)를이용하였으며, 술 후 굴절력은 자동각막굴절측정기를 이용하여 예측한 굴절력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후낭절개술을 시행한 군에서 술 전 전방깊이는 2.56 ± 0.233 mm, 술 후 1개월째 3.54 ± 0.366 mm, 3개월째 3.71 ± 0.424 mm로 측정되었다. 대조군에서는 술 전 2.53 ± 0.204 mm였으며, 술 후 1개월 3.09 ± 0.197 mm, 3개월째 2.95 ± 0.295 mm로 측정되었다. 술 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술 후 1, 3개월째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후낭절개술은 시행한 군에서 예측굴절력은 -0.32 ± 0.124 diopters (D)였고, 술 후 3개월째 -0.62 ± 0.132 D로 측정되었으며 대조군에서는 예측 굴절력은 -0.33 ± 0.142 D였고, 술 후 3개월째 -0.91 ± 0.292 D로 측정되었고 3개월째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병합수술 시 유리체절단침을 이용한 후낭절개술은 술 후 3개월까지 대조군과 비교해 볼 때 근시화 및 인공수정체의 전방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Treatment of Neglected Proximal Interphalangeal Fracture Dislocation Using a Traction Device - A Case Report -

        조용운,박재형,박세진,이인규,김유진 대한골절학회 2019 대한골절학회지 Vol.32 No.4

        This paper reports the use of a tractio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neglected proximal interphalangeal fracture dislocations. A 44-year-old man with a fracture dislocation of a right ring finger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was admitted 17 days after the injury.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were performed using a dynamic traction device and C-arm under a brachial plexus block. Passive range of motion exercise was started after two weeks postoperatively and active range of motion exercise was started after three weeks. The traction device was removed after five weeks. No infection occurred during the traction period. No subluxation or displacement was observed on the X-ray taken two months postoperatively. The active range of motion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was 90°.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functional result of the treatment with the traction device. The dynamic traction device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neglected fracture dislocations of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of a finger.

      • 이슈 : 민영간병보험의 발전방향

        조용운,김미화 보험연구원 2013 KIRI Weekly(주간포커스) Vol.253 No.-

        인구 고령화에 따른 보험산업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민영간병보험은 이에 부응하여 보장범위를 확대시켜 나가고 있음. 민영간병보험은 치매 및 일상생활장애상태 혹은 활동불능상태 보장은 물론 최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장대상자에게 간병비를 보장하는 상품을 개발하여 보장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음. 현재 감독자는 노후의료비보장을 위한 제도 도입을 추진하면서 간병 관련 부분을 포함시키고자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음. 그러나 민영간병보험은 여러 위험요인에 직면해 있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장대상자에 대해 보험금을 지급하는 상품은 제도변화에 따라 예상하지 못한 보험금 지급의 증가가 예상됨. 치매를 보장하는 상품은 최근 유병률이 증가추세에 있으므로 기대 밖의 보험금 지급이 예상됨. 일상생활장애상태 혹은 활동불능상태의 발생가능성도 증가하고 있음. 민영간병보험은 아직 보장이 다양하지 못하여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움.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은 치매에 못지않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나 주로 치매 보장에 집중되어 있고 1회성 보험금 지급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 일상생활장애상태 혹은 활동불능상태의 경우 사실상 상당히 진척된 중증상태만을 보장하고 있음. 민영간병보험은 위험요인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보장의 다양화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장대상자에 대해 보험금을 지급하는 상품은 개발에 신중해야할 것임. 치매 보장은 추세율을 보험료에 반영할 필요가 있고 시간에 따라 보험료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 뇌졸중·심장질환 등의 주요 노인성 만성질환에 대해서도 일정기간 연금형태로 보장하는 상품을 개발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며 이를 통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급여대상자 수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임. 만성질환에 대한 보장은 1회성 지급보다는 실질적 도움을 위해 일정기간 동안 일정액으로 지급하는 상품이 적절할 것으로 봄.

      • 이슈 : 노인의료비 보장 사각지대 완화방안

        조용운 보험연구원 2012 KIRI Weekly(주간포커스) Vol.177 No.-

        국민건강보험과 민영실손의료보험의 경우 65세 이상 인구에 대한 의료비 보장이 미흡한 상황임. 국민건강보험은 2008년 65세 이상 인구에게 8조 1천 21억 원을 지급하여 65세 이상 인구가 지출한 총의료비의 57.5%를 보장하였음. 실손의료보험 가입자중 60세 이상은 60세 이상 인구의 11.8%에 불과함. -65세 이상은 1% 미만일 것으로 추정됨. 65세 이상의 의료비를 보장하는 제도의 실효성이 부족하여 노인의료비 보장의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됨. 65세 이상 총의료비의 42.5%는 65세 이상이 본인부담하고 있음. 개인은 65세 이후에 전체 생애 본인부담 의료비의 64.1%(4,080만 원)를 지출함. 보험산업은 노부모, 1세대 후손, 소득자 본인의 통합위험률을 적용하는「3세대통합의료비보장보험」도입을 통해 노인의료비 보장의 사각지대를 완화하는데 노력할 필요가 있음. 개인이 아니라 가족단위의 가입이므로 사업비 절감이 가능하여 자원이용의 효율성이 제고되고 보험료 할인 등이 가능할 것임. 실손의료보험 가입률을 고려할 때 단기적인 판매 전략 보다는 중장기적인 판매 전략이 주효할 것으로 봄. 고령화와 노인의료비 증가 추세를 볼 때 연간 보장한도의 설정 등을 통하여 과도한 보험료 인상 요인을 제거할 필요가 있음.

      • 자주색 광합성 세균의 수소 생성

        趙鏞雲 진주산업대학교 농업기술연구소 1992 農業技術硏究所報 Vol.5 No.-

        1989년도 미국 중북부의 Wisconsin주 Millwaukee주변 호수에서 채취분리한 혐기성 자주색광합성 세균중에서 수소 개스를 생성하고 whey폐수중에서 생육하여 정화에 이용할 수 있는 균주를 얻을 목적으로 실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리균주인 AT, A10, D22, 및 F12가 maleic acid, glucose를 함유한 배지에서는 생육하였고 lactose에서는 생육하지 않았다. 2) 생육조건으로 무기염을 필요로 하였으며, pH 6.8, 30℃에서 생육 상태가 양호하였다. 3) Glutamic acid를 함유한 경우가 개스를 많이 생성하였다. 4) AT균주가 생성한 개스 성분에서 수소가 47%이었다. In order to obtain the strains that produces hydrogen and can be used to clarify the whey-waste water of anaerobic purple photosynthetic bacteria, we picked and selected in lake of Milwaukee in Wisconsin state of U.S.A. in 1989.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Selected strains, such as AT, A10, D22 and F12, grew well in maleic acid and glucose contained OMGEL medium but did not grow in lactose contained the medium. 2. Selected strains needed inorganic salts, and their growth conditions were good in pH 6.8 and 30℃. 3. Production of gas was much in addition of glutamic acid than controlled. 4. The hydrogen was 47% of produced gases in AT strain.

      • Thermus sp. Sa-15에 의한 耐熱性 Lactate Dehydrogenase의 特性

        趙鏞雲,崔相道,奇宇京 진주산업대학교 농업기술연구소 1988 農業技術硏究所報 Vol.1 No.-

        두엄등 비교적 자연조건이 고온으로 유지되는 곳에서 균원시료를 채취하여 열안정성의 lactate dehydrogenase를 생성하는 한 균주를 분리하였다. 선정된 균주는 고온생육의 호기성이며 gram 음성의 무포자 장간균이고 비운동성인 Thermus속이었다. 처리한 항생물질에 모두 감수성이고, 균의 생육온도는 45˚∼75℃이며 최적 생육온도는 60℃이고, lactate dehydrogenase 활성도는 생균체 g당 15.6unit이었다. 그리고 본 부분정제효소의 최적 pH는 8.0이며 최적 활성온도는 정반응이 70℃이었다. 또한 60℃에서 130분동안 처리시 안정하고 80℃에서는 20분동안 50%가 실활하였다. A bacterium which produced thermostable lactate dehydrgenase(EC 1. 1. 1. 27) was isolated from the compost.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rmus sp. strain was aerobic, non-motile, Gram-negative and 0.8-1.0×7-10㎛ in size and was sensitive to several antibiotics tested. Temprature range for growth of the strain was 45∼75℃, optimum was 60℃. Optimum pH for partial purified enzyme reaction was 8.0 and optimum temperature was 70℃ at pyruvate reduction. For pyruvate reduction, the enzyme was stable for 130 min. at 60℃, and its residual activity was 50% for 20 min. at 80℃.

      • 호염성 Bacillus s p.가 생성하는 α -amylase 특성

        조용운,조수정,홍수영,김홍출 진주산업대학교 2001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8

        양질의 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서 재래식 간장으로부터 α -amylase를 분비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Soluble starch를 넣어 GPY배지를 이용하여 투명환을 크게 나타내는 균주들을 분리 선정하였다. 1. 분리균 중에서 전분 분해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선정하여 각종 생리 및 생화학적 검사, BiologTM system을 통해 이 균주가 Bacillus sp.임을 확인하고 Bacillus sp.라고 명명하였다. 2. 이 균의 생육 최적 온도는 30℃이었으며 5% NaCl 첨가 배지에서 가장 생육도가 높은 호염성균이었다. 3. 균의 크기는 0.8∼1.0×2.5∼3㎛의 단간균으로서 flagella가 있다. 4. α -amylase의 활성은 균체내 효소인 경우 pH5.4, 50℃에서 최대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균체외 효소인 경우는 pH 6, 6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5. Starch-SDS-PAGE 방법에 의하여 α -amylase로 추정되는 3개의 활성 밴드를 확인하였는데 분자량은 각각 97KD 이상, 66KD, 55KD이었다. A bacterial strain which produced α -amylase was isolated from soy- souce, identified to B acillus sp. by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analysis. For efficient selection of α -amylase producers, microorganisms which used it in the presense of soluble starch were isolated.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 of B acillus sp. was 30℃ and pH7. The strain grew at the medium include 2∼10% concentration of NaCl. The α -amylase activity of the extracellular and intracellular enzyme were shown the highest level at pH 6, 60℃ and pH 5.4, 50℃. The molecular weight of α -amylase was estimated to be over 97KD, 66KD and 55KD by Starch-SDS-PAGE.

      • KCI등재

        급성망막괴사와 유사한 거대세포바이러스 면역회복망막염

        조용운,홍채민,최유진,유웅선,정인영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5

        목적: 면역회복 단계의 후전성면역결핍증후군 환자에서 급성망막괴사와 유사한 거대세포바이러스 면역회복망막염을 치험하고 결과를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7세 후천면역결핍증후군 남자 환자가 내원 1주 전부터 발생한 우안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세극등현미경검사상안내 심한 염증반응과 안저검사상 주변망막 하이측에서 경계가 분명한 회백색 망막병변이 관찰되었다. 항바이러스 및 스테로이드치료를 시작하였고 혈액검사상 CD4+ T-세포수가 222/μL 측정되었고 전방천자를 통한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에서 양성의 결과가 나왔다. 임상양상으로는 급성망막괴사를 의심하였으나 환자 상태 및 검사상 면역회복 단계의 거대세포바이러스망막염으로 최종 진단하였다. 치료 시작 1개월 뒤 망막박리 소견이 관찰되어 수술 치료를 시행하였고, 이후 3년 동안 재발은 없었으며안정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결론: 면역회복 단계에서는 염증을 동반한 비특이적인 거대세포바이러스망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안저 소견으로는 급성망막괴사와유사한 모습으로 발생할 수 있다. 드물게 발생하는 거대세포바이러스 면역회복망막염을 전신 약물 치료와 수술을 통하여 정상 시력을회복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