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회혁신의 이론적 고찰 : 개념의 유형화와 함의

        정서화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4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a meta-theoretical investigation to explain the current theoretical landscape of social innovation theories and researches. First of all, this paper makes a typology of social innovation based on concepts and sectors of social innovation. Second, in terms of societal innovation, which it is a kind of social innovation systematic approach, this paper draws some implications for social innovation policy. My key argument is that social innovation could be specified in three different sectors, public innovation, market innovation, and social economy innovation. However, all of them have attention to such as improving a quality of life and making society more sustainable, so it can be argued that those different sectors are structured on social innovation altogether with common goals. Finally, in order to activate the social innovation ecosystem, the government has to play a key role as a facilitator to make sustainable networks and a governance of social innovation that is needed to coordinate between different features and roles of social innovation sectors. 이 연구의 목적은 단편적으로 이루어졌던 사회혁신 연구를 메타적으로 접근해 사회혁신의 이론지형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사회혁신의 개념과 영역에 초점을 맞춘 유형화를 시도하여 이를 사회혁신체제의 관점에서 재해석해 사회혁신 및 관련정책에 있어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에 따르면, 사회혁신은 삶의 질 향상,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변환을 위한 공통의 목표를 중심으로 공공혁신, 시장혁신, 사회적 경제혁신으로 세분화되어 전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혁신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해 사회혁신 영역별 행위자 특성과 역할에 따라 사회혁신 거버넌스를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네트워크 촉진자로서 정부역할의 변화가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 정부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2013>를 바탕으로

        강윤재,정서화,조현석 한국거버넌스학회 2016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3 No.1

        In the coming of technoscience society, the term of risk is mainly meant to be technological risk, that is to say, most risk issues are caused mainly by technologies or technological infrastructures. In the risk governance studies, th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risk has been growing rapidly. If we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al trust and risk perception in full length, we can take a good position to prepare for good risk governance. Firstly, we review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concept of governmental trust and risk perception, and build up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rust and risk perception, and present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Second, we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 between governmental trust and risk perception through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rd, we try to look at the changing pattern between governmental trust and risk perception based on the six science-related risk issues. Finally, we expla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과학기술사회의 도래와 함께 위험의 성격도 크게 변했는데, 기술 위험이라는 용어는 그런 변화를 담아내고 있다. 거버넌스 연구에서도 기술 위험이 차지하는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정부신뢰와 위험인식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효과적 위험거버넌스 방안 마련에서 중요한 지점이다. 이 글에서는 정부신뢰와 위험인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섯 가지 기술 위험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정부신뢰의 수준에 따라 개별 이슈들의 위험인식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향적으로 정부신뢰 수준에 따라 위험인식의 변화폭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위험 이슈에 따른 위험거버넌스 전략의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글은 먼저, 신뢰와 위험인식의 관계를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면서 정부신뢰와 위험인식의 개념적 틀을 도출하고, 이러한 이론틀에 기초하여 이 논문의 연구 질문과 가설을 제시한다. 둘째,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정부신뢰와 위험인식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여섯 가지 위험 이슈들을 대상으로 정부신뢰의변화에 따른 위험인식의 변화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분석이 던져주는 의미를해석하고, 그로부터 유의미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 있다.

      • KCI등재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에서의리빙랩 적용 사례 분석

        성지은,정서화,한규영 한국과학기술학회 2018 과학기술학연구 Vol.18 No.1

        이 글은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에서 진행된 리빙랩 활동을 검토하고 그 의의와과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사례는 2014년에서 2015년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한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 중 대표 사례인 ‘안저카메라 기술개발’과 ‘보행자 자동감지 시스템 개발’ 을 대상으로 한다. 분석 결과 두 사례 모두 리빙랩방법론을 활용하여 기술개발부터 실용화 단계까지 사용자 참여형 연구개발 구조로 설계되었다. 즉 리빙랩은 최종 사용자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최종 수요를 구체화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실증할 수 있는 있는 하부구조로 기술-제품-서비스를 진화시키는시스템으로 작동하였다. 1차 시도된 단계이나, 그 과정에서 최종 수혜자인 국민의 관점을반영하면서 R&D 성과를 확산시키고 새롭게 일하는 방식을 만드는 계기를 만들어내고 있다. 향후 리빙랩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명확한 문제 인식과 일하는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최종사용자, 매개사용자, 기업, 시민사회 등 관련 주체의적극적인 참여 및 조직화를 필요로 한다. 현재 리빙랩 활동은 소수의 전문가가 의제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리빙랩 실험과 함께 시행착오를 통한 학습 체계의 구축이 중요한 과제이다. 또한 현장지향성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일반시민·담당 공무원을 포함한 과학기술자, 정책 전문가, 현장 활동가 등을 포함하는 다학제·초학제 연구팀의 구성과 운영이 필수적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ase of living lab applied in the R&D initiatives for solving societal problems and challenges. It discusses how to use the living lab in national R&D projects. The analyzed cases are ‘Develop portable fundus camera for eye disease screening test to resolve health inequalities’ and ‘Auto-sensing integrated system development in rural pedestrian crosswal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cases were designed as a user participatory R&D structure by utilizing living lab. In other words, living lab has operated as a system that evolves technology-products-services into an infrastructure. It can realize final demand specification, product, service improvement and demonstration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 of end user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the following policy tasks can be derived. First, living lab is a new concept and it is in the early stage of implementation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nitor and evaluate living lab experiments and build suitable models for Korean society by sharing cases and achievements. Second, the strategic niche management are necessary for the introduction of living lab. Third, living lab can be used as a tool to transform the existing technology acquisition centered innovation policy to the policy for customer needs and problem solving. Fourth, there is a need for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in strategy and system to correct errors that appear in the living lab processes.

      • 협력적 혁신을 위한 정책랩 구축과 운영: 실천적 정책연구자의 새로운 역할

        조세현,정서화,차세영,김준형 한국정책학회 2021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본 논문은 복잡성이 높고 다양한 행위자가 연관되어 있는 정책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정책 연구자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정책문제의 속성, 정책 행위자의 다양성, 그리고 정책과정에서 정책 연구자의 활동에 대한 기존 이론을 검토하고, 정책문제에 대한 프레임의 (재)구성, 네트워크 구축, 상호학습 등 세 가지 정책연구자의 활동 유형을 도출한다. 이러한 유형을 활용하여 협력적 정책과정 혁신 사례라고 할 수 있는 한국행정연구원 열린 정책랩 운영 사례를 분석한다. 또한 정책 연구자들이 다양한 참여자와 함께 공동으로 정책 의제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수행한 활동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분석가, 경계확장자, 퍼실리테이터, 지식 연계자, 정책문제 구조 설계자를 정책 연구자 역할의 이념형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리빙랩을 활용한 공공연구개발의 사업화 모델 도출

        송위진(Wichin Song),정서화(Seohwa Jeong),한규영(Kyu-young Han),성지은(Jieun Seong),김종선(Jongseon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2

        이 글에서는 공공연구개발사업의 기술사업화 모델로 리빙랩 방식을 제안한다. 리빙랩은 최종 사용자가 살고 있는 공간을 실험실로 설정해서 최종 사용자와 기업, 연구기관, 공공기관이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실험・실증하는 모델이다. 기업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 사업화 모델과 달리 리빙랩 모델은 최종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업화를 논의한다. 리빙랩 일반 모델을 바탕으로 3가지 유형의 기술사업화 모델을 제시한다. 프로젝트형 리빙랩인 수요탐색형 리빙랩 및 문제해결형 리빙랩, 그리고 리빙랩 플랫폼을 다루었는데 프로젝트형 리빙랩은 연구개발과제를 추진할 때 모듈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리빙랩 플랫폼은 수요지향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기관, 기업, 지자체에게 리빙랩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부구조이다. This article suggests Living Lab approach as a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of public research a nd development (R&D) projects. Living Lab is a m odel for end-users, p rivate companies, research institutes, and public organizations to develop technology in a living space which works as a laboratory. Unlike the dominan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which focuses on private enterprises, a new living lab model discusses end-user centered commercialization. Based on general living lab model, three typ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are suggested. The ‘Demand exploring type living lab’ and the ‘Problem solving type living lab’ are project-based living lab. The other type of living lab is ‘Living lab platform’. The projectbased living lab can be utilized as modules when promoting R&D projects. On the other hand, the living lab platform is infrastructure to provide living labs services to companies, public institutes and municipa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