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 실험 비교: 지역 기반의 녹색전환을 중심으로

        성지은,조예진,Seong, Jieun,Cho, Yejin 기술경영경제학회 2014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2 No.2

        네덜란드 등 많은 유럽 국가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지속가능한 사회 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대 들어 "저탄소 녹색성장", "창조경제" 등을 새로운 국가발전 패러다임으로 제시하고, 경제 사회 혁신 전반과 관련된 시스템 전환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시스템 전환을 시도하는 많은 국가들은 공통적으로 다양한 소규모의 전환 실험을 통해 성공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확산시켜 나가는 전략적 니치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전환 실험의 공간으로서 도시 지역 마을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사회 기술시스템을 위한 국내외 전환 실험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국외 사례로는 MUSIC 프로젝트를, 국내 사례로는 저탄소 녹색마을과 서울시 햇빛발전을 살펴보았다. 이들 3개 사업의 내용과 전환 과정, 그 의의와 평가를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외 전환 실험 사례는 지향 가치 비전 목표는 유사하나 실제 전환 내용 및 과정은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각 국가 및 도시가 가진 제도적 특성과 사회적 경제적 맥락의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MUSIC 프로젝트의 경우 정부와 민간 간의 협력뿐만 아니라 사회주체들의 활발한 연계 협력을 통해 전환의 추동성을 확보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내 외 사례 모두 시스템 전환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위로부터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 아래로부터의 인식 전환과 신뢰 구축뿐만 아니라 실험 학습을 이끌어낼 수 있는 관련 주체 간의 개방적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Sustainability has already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nnovation policy agendas in many countries. Korea has tried to emulate this global trend in various forms, unfortunately with little success. A very strong tradition of centralized administration in Korea has meant that local communities and municipalities have remained more or less passive in tackling their own sustainability issues and problems. In recent years, with the impetus of huge democratization attempts in Korea since the late 1980s, there have been some local attempts to remedy these imbalances since the early 2000s. A series of local experiments to try and test green alternatives against the very hostile environment have been implemented, with varying degrees of success. This study analyzed cases of transition experiment to sustainable socio-technical system such as MUSIC project, Low Carbon Green Village and Citizens' Sunlight Power Stations. To draw politic meanings for sustainable socio-technical system, these content, process of conversion and feature were examined.

      • KCI등재후보

        연구개발사업의 사회적 파급효과 분석 가능성과 과제

        성지은(Jieun Seong),김미(Mee Kim),임홍탁(Hong-Tak Lim),김은정(Eun Jeong Kim) 한국과학기술학회 2014 과학기술학연구 Vol.14 No.2

        연구개발사업 평가에서 ?사회적 파급효과?가 중요한 가치로 등장하고 있다.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에서는 연구개발사업 평가 항목에 ?사회적 상호작용?, ?연구결과의 사회적 영향? 등의 정성적 지표를 포함하여 이를 오래 전부터 강조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도 논문 피인용, 기술이전 등 정량적 지표 위주의 평가체계에 대한 반성과 함께 연구활동의 파급효과에 대해 관심이 커지고 있다. 올해부터는 추적평가를 본격 도입, 사업종료 후 연구성과의 파급 경로 등을 추적하여 해당 사업으로 인한 과학기술적, 경제사회적 파급 효과 측면의 효과성을 평가한다. 본 연구는 연구개발사업 성과의 파급효과 분석 가능성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을 도출한다. 연구개발사업 성과의 파급효과를 실시하고 있는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Social-impact is getting more emphasized for the R&D program evaluation. Qualitative indicators such as ?Productive-interactions? and ?Social-impact of R&D? have been included for the evaluation criteria in USA, UK and Netherlands. Recently, Korean government also realizes importance of the social-impact, so ?Follow-up evalution? is launched in order to evaluate not only technical-impact but also social-impact. In this paper,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social-impact analysis are reviewed. Furthermore, successful cases from the leading overseas countries are benchmarked to have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Current Status and Tasks of the Korean Living Labs as Field & Citizen-driven Innovation Activities

        Jieun Seong(성지은) 적정기술학회 2018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4 No.2

        최근 사용자 참여와 현장지향성을 강조하는 리빙랩이 변화를 이끌어내는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 리빙랩은 ‘살아있는 실험실’이라는 뜻으로, 특정지역의 생활공간을 설정하여 공공-민간-시민 간의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자 방식이다. 한국에서도 중앙정부 주도의 하향적 정책추진, 기술 공급자 중심의 연구개발, 대기업과 경제성장 중심의 산업혁신이 가지는 한계를 넘어 새로운 혁신 및 문제 해결의 수단으로서 리빙랩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리빙랩 현황을 추진 주체인 중앙정부, 중간지원조직, 대학, 주민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사례를 분석하고 정책 과제를 제시하였다.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는 리빙랩이 사회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일하는 방식의 변화, 플랫폼 구축에 대한 전망, 공익성을 지닌 똑똑한 최종 사용자의 조직화 등이 중요한 과제이다. The main task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and evaluat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domestic living lab currently being promoted and to draw up policy issues to be solved in the future. Living Lab is still in the policy experiment stage in Korea. Considering thi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expanding the living lab as a means and a way to derive the success model through sharing experience and achievement of living lab and to innovate R&D project, regional innovation and social innovation project. We would like to suggest a way to refine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living lab that is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and to improve and develop in the mid to long term.

      • 국내 리빙랩 현황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성지은(Jieun Seong),송위진(Wichin Song),정병걸(Byungkul Jung),최창범(Changbeom Choi),윤찬영(Chanyoung Youn),정서화(Seohwa Jung),한규영(Kyuyoung Han)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The main task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and evaluat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domestic living lab currently being promoted and to draw up policy issues to be solved in the future. Living Lab is still in the policy experiment stage in Korea. Considering thi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expanding the living lab as a means and a way to derive the success model through sharing experience and achievement of living lab and to innovate R&D project, regional innovation and social innovation project.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Chapters 2 and 3 present "living lab typology and methodology". Chapters 4 through 7 deal with "domestic living labs". In Chapter 2, this study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living lab and present typology. Chapter 3 explores the theory and major cases of living lab methodology and draws implications. In Chapter 4,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y living labs, and drawing out applicability and policy issues. Chapter 5 analyzes the case of living lab in the social problem-solving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which is being promoted in the way of innovating existing national R & D projects and draws policy implications. In Chapter 6, we will look at the present state of the living labs that are being promoted for the purpose of solving social innovation and community problems in the intermediary of each local government such as Seoul Innovation Park and Pohang Techno Park. Chapter 7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living lab in the local and public institutions such as Seoul Bukchon Hanok Village, Seongnam Senior Experience Complex, and National Fire Service Academy. In Chapter 8,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living lab under the existing system such as national R&D project, regional innovation project, social innovation project, and to draw out the problem. Based on this, we would like to suggest a way to refine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living lab that is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and to improve and develop in the mid to long term.

      • KCI등재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적용 가능성 탐색

        성지은(Jieun Seong),송위진(Wichin Song),박인용(Inyong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2

        새로운 혁신활동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혁신의 사회적 맥락과 사용자의 잠재적 니즈를 파악하여 기술과 사회를 동시에 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용자 경험 활용, 사회ㆍ기술기획 등으로 표현되는 ‘수요 구체화’ 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새로운 궤적을 형성하는 탈추격 혁신을 수행할 수 있고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빙랩(Living Lab)은 사용자가 혁신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사용자 주도형 혁신” 모델로서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의 이론적 논의와 주요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리빙랩은 특정 공간 또는 지역에서 최종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문제를 해결하는 개방형 혁신모델로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력을 증대함과 동시에 새로운 사회ㆍ기술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선구적 활동이다. 더 나아가 리빙랩은 탈추격 혁신, 수요지향적 혁신, 지역혁신,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 생태계 형성 지원, 사회ㆍ기술시스템 전환 등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혁신정책의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정책 수단으로서 우리 사회의 변화를 탐색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To meet the challenge of new type of innovation activities requires us to understand the social context of innovation and the potential needs of innovation users and, based on this, to co-construct technology and society simultaneously. Effective ‘demand articulation’ activities such as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user experiences and socio-technical planning are prerequisites for carrying out post-catch up innovations shaping new trajectories and contributing to solving social problems. Living Lab has recently been emerging particularly in Europe as an ‘user-driven innovation model’, in which users are active participants in innovati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a theoretical discussion of Living Lab as an user-driven innovation model, to make a brief review of cases of Living Lab and to explore Living Lab’s applicability in the Korean context. Living Lab is an open innovation model, in which end suers actively participate in innovation processes in a particular geographical space or region and would be able to solve specific problems of that space or region. In that sense, Living Lab would be able to strengthen th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of local communities and to become a pioneer in inducing and realizing a new socio-technical system. Furthermore, Living Lab could become an innovative policy tool reflecting recent major changes in innovation policy paradigms such as post-catch up innovation, demand-oriented innovation, regional innovation, societal innovation, innovation eco-system and socio-technical system transition, and thus make a contribution to exploring a new way of bringing about changes in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후보

        총체적 혁신정책의 이론과 적용

        성지은(Jieun Seong),송위진(Wichin So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07 기술혁신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제3세대 혁신정책의 주요 특성으로 나타나는 총체적 혁신정책을 살펴보고 실제 구현되는 모습을 핀란드와 우리나라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양 국가 모두 혁신정책의 영역이 경제발전이라는 단선적인 목표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발전, 균형발전, 삶의 질 제고 등 사회 전반의 변화와 관련된 것으로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또한 기술혁신을 국정 운영의 중심에 두고, 인력, 교육, 지역 등 관련 정책을 새롭게 재배열하는 모습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참여정부 출범이후 과학기술중심사회 구축이 국정 과제로 등장하면서 제3세대 혁신 정책의 맹아적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반면 실제 구현 정도와 모습은 양 국가 간 차이가 있다. 핀란드는 북 유럽 국가의 제도적 특성인 전형적인 코포라티즘의 전통으로 인해 전환의 장을 마련하고 추진하는 “공론의 장” 을 활성화시켜 왔다. 정부의 지원 체계 또한 특정 부처의 개별 업무가 아니라 임무를 중심으로 공동의 프로그램과 수단을 개발ㆍ집행함으로써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 왔다. 우리나라는 혁신 정책의 개념은 앞서 있으나, 실제 정책을 추진하거나 일하는 방식은 아직도 발전국가 시대의 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전환 전반이 하향식으로 이루어지면서, 민간부문과 시민사회의 능동적인 참여가 부족했으며, 이로 인해 전환을 시도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아직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sed theory and application of holistic innovation policy in the 3rd generation innovation policy with cases of Finland and Korea. Innovation policy areas of both countries are expanding from simple goal of economic development to extensive goals such as sustainable development, quality of life, balanced growth etc. Also administrative system changed in order to let technical innovation on the center of national operation and reorganized relation and structure of relative policies like manpower, education, region policy. Particularly, Korea is in embryo standing for S&T driven society since Noh's government.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embodiment degree and feature between both countries. Finland reinvigorate field of public opinion due to corporatism tradition as a Scandinavian institution. Government support system developed co-program and co-policy beyond territory of individual ministry to raise policy effectiveness. However, concept of the Korean innovation policy is ahead of the times but maintained framework of developing country. And there is no activ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 and civil society because transition process accomplished on the top-down method. It could hardly progress toward transition in spite of various efforts to carry out a re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