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확장성 및 실시간성을 고려한 실시간 센서 노드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정경훈,김병훈,이동건,김창수,탁성우,Jung, Kyung-Hoon,Kim, Byoung-Hoon,Lee, Dong-Geon,Kim, Chang-Soo,Tak, Sung-Woo 한국통신학회 2007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2 No.8b

        본 논문에서는 멀티 태스크 기반의 확장성과 주기 및 비주기 태스크 관리 기법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실시간 센서 노드 플랫폼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기존의 센서 네트워크 운영체제는 주기 및 비주기 태스크간의 효율적인 스케줄링 기법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높은 비주기 태스크의 실행 선점으로 인해 주기 태스크의 마감시한을 보장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 제안한 주기 및 비주기 태스크 관리 기법은 운영체제 수준에서 주기 태스크의 마감시한 보장과 더불어 비주기 태스크의 평균 응답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노드 플랫폼에 용이한 확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멀티 태스크 기반의 동적 컴포넌트 실행 환경이 보장되는 센서 노드 플랫폼을 초경량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인 Atmel사의 Atmega128L이 탑재된 센서 보드에서 구현하였다. 구현된 실시간 센서 노드 플랫폼의 동작을 시험한 결과, 주기 태스크의 마감시한 보장을 제공함과 동시에 향상된 비주기 태스크의 평균 응답시간과 효율적인 시스템의 평균 처리기 이용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sensor node platform that guarantees the real-time scheduling of periodic and aperiodic tasks through a multitask-based software decomposition technique. Since existing sensor networking operation systems available in literature are not capable of supporting the real-time scheduling of periodic and aperiodic tasks, the preemption of aperiodic task with high priority can block periodic tasks, and so periodic tasks are likely to miss their deadlines.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how to structure periodic or aperiodic task decomposition in real-time sensor-networking platforms as regard to guaranteeing the deadlines of all the periodic tasks and aiming to providing aperiodic tasks with average good response time. A case study based on real system experiments is conducted to illustrate the application and efficiency of the multitask-based dynamic component execution environment in the sensor node equipped with a low-power 8-bit microcontroller, an IEEE802.15.4 compliant 2.4GHz RF transceiver, and several sensors. It shows that our periodic and aperiodic task decomposition technique yields efficient performance in terms of three significant, objective goals: deadline miss ratio of periodic tasks, average response time of aperiodic tasks, and processor utilization of periodic and aperiodic tasks.

      • SCOPUSKCI등재

        Comparative Study of the Dehydrofluorination of the Structural Isomers of $C_2H_2F_4$

        정경훈,Tschuikow-Roux, E.,Maltman, K. R.,Millward, G. M.,Jung, K. H. 대한화학회 1979 대한화학회지 Vol.23 No.3

        1,1,2,2-$C_2H_2F_4$와 1,1,1,2-$C_2H_2F_4$의 아르곤가스와의 묽은 혼합물의 열분해반응을 충격관을 사용 1146와 $1232^{\circ}K$하 전체반사충격압의 3000 torr 근처에서 관찰하였다. 이들 조건하에서 반응은 주로 플루오르화수소의 분자제거반응을 보였다. ${\alpha}$-탄소의 수소가 전부 플루오르로 치환된 이성질체는 다른 이성질체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활성화에너지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이성질체간에 전하밀도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반응속도 상수의 비는 다음식 $log(k_1/k_2) = -0.069 {\pm} 0.021 + (1388{\pm}113)/ 2.303RT$ 로 주어졌으며 이는 독립된 관측을 통해서 얻어진 값들과 좋은 일치를 보여 주었다.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a dilute mixture of 1,1,2,2,-$C_2H_2F_4$ in argon has been investigated in a single-pulse shock tube between 1146 and $1232^{\circ}K$ at total reflected shock pressures of about 3000 torr. Under these conditions the reaction proceeds exclusively by the molecular elimination of hydrogen fluoride. It has been found that the asymmetric isomer with the fully fluorinated ${\alpha}$-carbon requires the higher activation energy which may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atomic charge densities between isomers. The rate constant ratio is given by $log(k_1/k_2) = -0.069 {\pm} 0.021 +(1388{\pm}113) / 2.303RT$ in good agreement with previous independent studies.

      • KCI등재

        염화철코팅 활성탄을 이용한 지하수 중의 질산성질소 제거를 위한 연구

        정경훈,정오진,최형일,박상일,박대훈,Cheong Kyung-Hoon,Jung Oh-Jin,Choi Hyung-Il,Park Sang-Il,Park Dae-Hoon 한국환경보건학회 2005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1 No.2

        A laboratory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itrate removal from groundwater using Iron chloride(III) coated activated carbon (ICCAC). The breakthrough profiles of two ionic species, such as nitrate and sulfate showed that nitrate was selectively exchanged with chloride in ICCAC. The $FeCl_3$-coated activated carbon produced about 26 BV (Bed volume) of throughout when treating groundwater containing about $25\;mg/\iota\;of\;NO_3-N$. The regeneration of ICCAC with 1M KC1 was effective at a flow rate of 4 BV/hr. The ion exchange technology seems to be suitable technology for the treatment of small volumes of groundwater polluted by nitrate.

      • SCOPUSKCI등재

        Halogen Exchange Reactions of Benzyl Halides (Part I) Kinetics of Reactions of Chloride and Bromide Ions with Benzyl Chloride and Bromide

        정경훈,허연,이익춘,Jung, Kyung-Hoon,Huh, Yeon,Lee, Ik-Choon Korean Chemical Society 1965 대한화학회지 Vol.9 No.3

        Benzyl chloride 및 bromide와 chloride 및 bromide ion 간의 반응을 90% ethanol 용액에서반응속도론적으로 연구하였다. 반 정량적인 결과의 해석은 bond-formation 이 bond-breaking보다 더 중요하고 또 결합형성 과정에서는 형성으로 얻은 energy보다는 nucleophile의 electron affinity의 증가로 인한 차이가 더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Kinetics of reactions of chloride and bromide ions with benzyl chloride and bromide have been investigated in 90% ethanol solution. Semi-quantit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shows that the bond-form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bond-breaking and furthermore in bond-formation the energy gain due to bond-formation is less than the increase in electron affinity of the nucleophile.

      • SCOPUSKCI등재

        Electronic Spectra and Quenching of Dimethylanilines

        정경훈,이익춘,Jung, Kyung-Hoon,Lee, Ik-Choon Korean Chemical Society 1964 대한화학회지 Vol.8 No.4

        10 種의 N,N-dimethylaniline에 對하여 electronic spectra와 消光常數를 결정하였다. DMA의 $250m{\mu}$ (C) banp가 소광의 주원인이 되고 있음을 밝혔고 이 band가 $n{\to}{\pi}^{\ast}$ band임을 치환기 효과와 용매 효과를 通하여 밝힐 수 있었다. 이 band에 依하여 흡수된 energy는 삼중항 상태로 전이되고 결국은 가장 적은 energy의 삼중항 상태, $^{3}La$로 떨어져 여기서 無복사 충돌에 依하여 energy를 상실케된다. Electronic spectra and quenching constants for ten N,N-dimethylanilines (DMA) have been determined. The $250m{\mu}$ absorption band (C band) of DMA was shown to be mainly responsible for the quenching. This band was confirmed as an $n{\to}{\pi}^{\ast}$ band through substituent and medium effects on the spectra shifts. The energy absorbed by this band then transfers to triplet and down to the lowest triplet state, $^{3}La$, where the energy is lost by non-radiative collisions.

      • KCI우수등재

        알루미늄의 전기분해를 이용한 오수 중의 인 제거

        정경훈,최형일,정오진,Cheong, Kyung-Hoon,Choi, Hyung-Il,Jung, Oh-Jin 한국환경보건학회 1999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25 No.3

        A laboratory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osphorus removal using the activated sludge-electrolysis reactor which consisted of A$^2$/O system and aluminium electrodes as cathode and anode. In this system, the phosphorus was removed by aluminium ion, which was eluted from aluminiumelectrodes by electrolysis. In the batch experiments, when the current densities were 0.026, 0.052 and 0.08 A/dm$^2$, the phosphorus removal efficiencies for synthetic sewage were 66.4, 86.4 and 98.7%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hosphorus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current density. When the current values were 13, 26 and 40 mA respectively, the amounts of Al$^{3+}$ eluted from electrodes according to Faraday's law were 0.049, 0.07 and 0.12 g and Al/P mole ratio were 1.1, 2.0 and 3.41. In the continuous experiments, As hydraulic retention time(HRT) increased, COD and total nitrogen(T-N) removal efficiencies for domestic sewage increased. The average phosphorus removal rates of the activated sludge-electrolysis system were 97, 91, 80 and 80% at the HRT of 48, 24, 18 and 12 hours, respectively. Especially, the phosphorus removal rate in the activated sludge system with aluminium electrode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system without aluminium electrodes.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추만정지운(秋巒鄭之雲)과 『추만실기(秋巒實記)』

        정경훈 ( Kyung Hun J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0 儒學硏究 Vol.22 No.-

        이 논문은 『天命圖說』의 작자 秋巒鄭之雲(1509~1561)과 후대에 간행된 그에 대한 저서를 밝힌 것이다. 현재 정지운의 문집은 전해지지 않고 『천명도설』만 전해지고 있는 형편이다. 정지운이 처음 제작한 천명도는 『天命圖說』라는 題名으로 최초 간행되었고 정지운의 自序, 鄭秋巒先生天命圖, 圖解9節, 雜解와 河西金先生天命圖가 전반부에 수록되어 있다. 후반부에는 退溪李先生天命圖와 圖說10節과 退溪李滉의 後敍가 수록되어 있다. 이후 간행된 『天命圖說』은 정지운의 自序와 天命舊圖와 天命新圖, 圖說10節과 이황의 後敍와 澤堂李植의 跋文이 수록되어 있다. 『天命圖說』와 다른 점은 정지운의 천명도가 이황에 의해 수정되기 이전의 舊圖와 수정된 新圖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고 이식의 跋文이 수록되어 있다. 『천명도설』은 임병양란 이후 일본까지 전파되었다. 1651년 일본에서 간행된 『천명도설』은 조선의 『천명도설』과 큰 차이점은 없지만 마지막에 수록된 羅山人道春의 발문을 보면 이미 일본에서 학자들의 수요에 따라 상업적 목적으로 대량 출판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900년 대에 간행된 『貞肅公秋巒先生實紀』는 「貞夫人順興安氏語錄」·「慕先蹟有感」·「家狀」·「行狀」등 정지운의 宣揚과 家系를 부각시키기 위해 당시 후손들이 만든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이황의 「묘갈명」과 박순의 「묘지명」, 이식의 「천명도설발문」내용과 많은 부분에서 상이하게 기록하고 있다. 특히, 정지운의 諡號와 贈職문제, 後嗣의 여부 문제가 상반되고 있는데, 『貞肅公秋巒先生實紀』에서는 뚜렷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1993년에 간행된 『秋巒實記』는 『貞肅公秋巒先生實紀』와 비슷한 체계로 구성되어있지만 모두 5권으로 『貞肅公秋巒先生實紀』보다 풍부한 양이다. 이 책은 이황의 수정을 거치지 않은 『천명도해』의 초간본부터 정지운에 관련된 모든 기록을 수록하고 있다. 그러나 『貞肅公秋巒先生實紀』에 수록된 2편의 「序文」과 「貞夫人順興安氏語錄」·「慕先蹟有感」·「家狀」·「行狀」·「神道碑銘」등은 수록되어 있지 않다. 권1에 수록된 정지운의 한편의 한시 작품은 주목을 요한다. 이 작품은 정지운의 현전하는 한편의 시로 그동안 소재가 불분명 하다가 『사재집』에서 찾아낸 것이다. 이 시를 살펴보면 道學詩風과 田園詩風을 느낄 수 있고 만물의 순행을 통해 철학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으며 陰谷幽居의 전원적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어 정지운의 문학을 살필 수 있는 단서가 되었다. 이 시의 발견은 그동안 전무했던 정지운 작품의 소재 발견뿐만 아니라, 조선 중기 도학가 문학을 밝힐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This study is on Jung Jiwoon(1509~1561) who is the author of the book, ChunMeyngDoSul, presenting a basis for SaDanChilJung in Chosun Dynasty. He first explained the Neo-Confucianism principles of Heaven-man Unity through making ChunMeyngDo. His books were distributed when he was alive and his first book was not ChunMeyngDoSul but ChunMeyngDoHae. They were publish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Japan. ChunMeyngDoSul was commercially issued and distributed in Japan and recognized that it was better than GonJiGi of China. His books were not published until coming out JungSukGongChuManSunSaengSilGi in about 1990 and ChuManSilGi in about 1993.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JungSukGongChuManSunSaengSilGi and previous publications, which is that JungSukGongChuManSunSaengSilGi contains forgeries created by descendants. On the other hand, ChuManSilGi(1993) contains Jung Jiwoon`s Chinese peom which is originally contained in MoJaeGip. It is important that ChunMeyngDoSul is no long the only work of Jung Jiwoon.

      • KCI등재

        17세기 비지문(碑誌文) 창작양상 고찰 -4종의 남명신도비(南冥神道碑)를 중심으로-

        정경훈 ( Kyeng Hoon Jung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1

        본고는 17세기 비지문 창작의 양상으로 南冥神道碑文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남명신도비문은 모두 4명에 의해 찬술되었고 현재 4종이 전해져 오고 있다. 神道碑文이외에 墓表나 墓碣文, 墓碑文등 한 인물에 대해 저작되는 다양한 형식의 비지문은 이전부터 있어왔고 한 편 이상의 묘표나 묘갈문, 묘비문도 간혹 존재하지만 한 인물에 대해 4명이 각각 신도비문을 지은 경우는 남명신도비문이 독보적이다. 비지문의 속성상 대상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후대 자손과 문인들의 이해관계에 의해 저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남명신도비문은 하나의 문체로 한 사람을 대상으로 네사람의 입장에서 기술하고 조망했다는데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4종의 남명신도비문은 찬술자의 문학관에 따라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내암의 경우, 여타 작품보다 가장 이른 시기에 찬술되어 비문의 외형적 면모 보다는 남명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내실 있는 서술에 주력을 했다. 그러므로 남명학파의 적전제자로서 소임에 주력했고 외형에 집착하기 보다는 자신의 학문관인 道德과 實을 바탕으로 저술하였다. 용주의 경우, 三長(才·識·學)·五難(煩而不整, 俗而不典, 書不實錄, 賞罰不中, 文不勝質)의 독특한 史觀을 바탕으로 저술하였다. 그는 신도비문의 중심 내용을 고사의 인용을 통해 비문의 내용과 외형적 문체를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시도하였다. 미수의 경우, 사실 그대로 기록하려는 노력으로 기술의 嚴正을 통해 철저한 사실 위주의 기록을 추구하였다. 미수는 古文의 法度를 받아 사실 기록의 輕重을 따지지 않고 한 글자 한 구절도 산만한 것이 없이 簡古하게 쓰며 記事의 法度는 큰일은 상세히 적고 작은 것은 생략하며 꽃다운 것은 취하지만 중요한 것은 더욱 부각 시킨다는 記事원칙에 입각하여 서술하였다. 비록 후손이나 문인들의 청탁으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자신의 엄정하고 올곧은 기술은 어떠한 타협도 있을 수가 없었고 비문의 찬술자보다는 史官의 입장에서 기술하였다. 우암의 경우, 내암·용주·미수 보다 남명과 대립적 관계에 있었지만 정파적, 학문적 대립에서 탈피하여 서술하였다. 특히 인물의 업적보다는 인물의 성품에 따라 포폄을 달리 하고자 하는 태도인 序其爲人의 문학관은 남명을 당파적 영수에서 시대의 師表로 승화시켰다. It is difficult to find out a work which not only was written by several authors but also has a consistent writing style. However, Nammyeng-epitaphs were written by four great scholars in a relatively short time. Epitaphs had a function that passed down valuable heritage to future generation, but they were degraded to a typical writing with elaborate styles. Nammeyng-epitaphs are very deserved to get noticed as they were written by four scholars but focused on just a man of his time. There is a small difference in Nammeyng-epitaphs on this study through points of view in literature and studies. In the case of Jung In-hong, he introduced his writing much faster than other writings. He tried to write it to build up the identity of Nammyeng School rather than make writing appearance elaborate. Therefore, his writing was based on morality and hypostasis so it is much simpler than other Nammyeng-epitaphs. For Jo Gyeng, he tried to work based on three advantages and five difficulties. That is, there are talent, knowledge, and studies in three strengths. In addition, there are five weaknesses such as being complex and vulgar, telling the truth, getting awards or punishments, and having literary talent. For Heo Mok, he intended to record a great amount of truth so he does not matter its level of difficulty. Also, he was devoted to emphasizing more important things than others in his writing. Song Si-yeol was directly opposed the recognitions of Nammyeng compared with other three writers, but he was working out of political position. Especially, he described the subjects focusing on his personality more than his achievements.

      • 명와(明窩) 정규해(鄭糺海)의 저술(著述)과 학문관(學問觀)

        鄭敬薰 ( Jung Kyung-hun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08 지역문화연구 Vol.7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tudies of Myungwa(明窩) Jung Gyu-hae(鄭糺海) and an aspect of his literary world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 studies. Jung Gyu-hae was disciples of Uidang(毅堂) Bak Se-hwa(朴世和). He has high personality and intellectuals in japanese colonial era. He was the regular Uidang school(毅堂學派). Uidang school was represent of Kiho school's(畿湖學派) in late Chosu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Kiho school notably started to differentiate into sub-schools. After mid-nineteenth century, the specification of Kiho school was accelerated and each sub-schools not only inherited the Neo-Confucian tradition, but also concretely differentiated their viewpoints on Neo-Confucianism. Furthermore, the difference frequently induced disputes which were raised by other sub-school members. Uidang school was compromised with Hwaseo school's(華西學派) and Ganjae school's(艮齋學派). So Uidang school was express in doctrine. Jung Gyu-hae tried to practice morality with literature, so his view of literature did not deviate from the conservative, moral viewpoint. Jung Gyu-hae consistently adhered to despise of literature. He held the thought in common with the general Neo-Confucianist about literature. Concretely speaking, he had the posture of Dobon-Munmal(the basis of Neo-Confucianism and despise of literature) of Neo-Confucianist. Jung Gyu-hae emphasized that un ultimate aim of literature is improving the morality and literature is nothing but a means of serving the Neo-Confucianism.

      • KCI등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한문 학습 차제와 체계에 대한 연구

        鄭敬薰 ( Jung Kyung-hun ) 동방한문학회 2020 東方漢文學 Vol.0 No.83

        기호학파들은 경전과 역사서를 통해 각각의 추구하던 학문적 목표에 도달하고자 하였고 현실정치에 참여 여부를 떠나 16세기 이후 조선을 실질적으로 지배해 오면서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들은 경전과 역사서를 필독서로 삼고 경전의 학문적 해석을 경쟁적으로 펼치기도 하였다. 경서의 뜻을 해석하거나 찬술하는 경학은 17세기, 18세기에 전성기를 이룬다. 이들은 경전의 권위를 이용해 이념의 절대성을 확보하고 학파의 구심점으로 여기며 여타의 자의적 경전 해석을 불용하는 입장을 견고하게 유지하였다. 이런 배경을 통해 기호학파들은 초학자부터 수준에 맞는 교재를 개발하고 한문학습의 순서를 정해 체계적인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파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송시열 이후에 벌어진 禮訟論爭, 권상하의 문인들 사이에 人物性同異論의 문제로 드러난 湖洛論爭 등은 기호학파의 분파 과정에서 나타난 대표적 사건들로 이들은 각각의 입장에서 경서의 권위를 이끌어 정당성을 설파하였다. 기호학파의 종장인 이이는 『小學集註』와 『擊蒙要訣』 등 초학도부터 체계적인 학문의 길을 제시하면서 주자학 입문의 길을 놓았다. 그리고 성혼과 함께 유가의 사서오경과 각종 송대 성리서적을 탐독할 것을 주장하였다. 『근사록』과 『심경』을 주목하며 후대 성리학이 국가경영의 기초가 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였다. 임금의 경연에서부터 사대부, 평민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유의 저변에 성리학의 사상이 굳건히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인 이들의 확고부동한 성리서적의 선택과 학습에 있다. 이후 문인들은 각 시대에 맞는 시대 이념을 통해 선호하는 독본을 선정하였다. 김장생은 『禮記』와 『家禮』를 통해 禮學을 강조하였다. 그의 문인들은 禮訟을 통해 최대 정치 이슈였던 인조반정과 宗法 문제 등은 『禮記』, 『儀禮』, 『家禮』 등에 바탕을 둔 예학이라는 새로운 통치 방법을 보여주었다. 그는 주자도 완성치 못한 예학의 틀을 마련하고 『典禮問答』, 『家禮輯覽』, 『喪禮備要』, 『疑禮問解』 등을 편찬하여 임금부터 평민까지 적용할 수 있는 예법을 구축했다는데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김장생의 문인인 송시열은 直사상을 강조하며 그의 바탕이 된 『춘추』를 계승, 발전시켰다. 任丙兩亂 이후 衰世해 가는 조선 사회에서 송시열은 공자의 『춘추』의 정신, 春秋筆法을 계승하고자 많은 노력을 쏟았다. 오직 객관적인 사실에만 입각하여 기록하여 보편타당성을 획득한 춘추필법은 直의 사상과 밀접하였다. 송시열은 교육목표를 올바른 삶을 구현하는데 있었고 올바름 (直)만큼 값진 것은 없기 때문에 올바름을 잃은 인간에게는 더 이상 잃을 것이 없다고 인식했다. 이런 정신은 춘추필법을 통해 춘추대의의 정신으로 표출되었고 조선 후기까지 조선사회를 지배하는 하나의 이념으로 남게 되었다. 한말 위정척사 계열학자들까지 영향을 미쳤을 정도로 기호학파 전체에 많은 큰 영향을 끼쳤다. Giho schools tried to reach their academic goals through the scriptures and history books. Whether or not they participated in real politics, they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real domination of Joseon since the 16th century. Giho schools made the scriptures and history books a must-read and competitively interpreted the academic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Because of this background, Giho schools have developed textbooks suitable for beginners. In addition, by establishing the order of learning and conducting systematic classes, the homogeneity of the school was secured. The debate about etiquette and the debate over the minds of humans and objects after Song Si-yeol are representative events in the sectarian process of the Giho schools. Lee Yi, the founder of the Giho schools, wrote 『Sohagjibju』 and 『Gyeogmongyogyeol』. He laid the way for introductory runners, suggesting a systematic path from beginners to beginners. In addition, he insisted on reading the librarianship of the study abroad and the Neo-Confucianism book of the Song Dynasty. From the wages to the nobility and the commoners, the basis of all thought was based on the thought of Confucianism. They firmly learned the sacred books. Their disciples chose their favorite book through the ideology of the times appropriate for each era. Kim Jang-saeng emphasized etiquette through the 『Yegi』 and 『Galye』. And his disciples valued books such as 『Yegi』, 『Uilye』, and 『Galye』 in political important matters. It also showed a new way of governing the state with courtesy. He completed the study of etiquette and made various books to establish etiquette that could be applied from wages to commoners. Kim Jang-saeng's disciple, Song Si-yul, emphasized the idea of Jig. In addition, he succeeded and developed the 『Chunchu』} that became the basis. He was trying to mentally overcome Joseon, which had declined since the war. So, he succeeded to the creative spirit of Confucius' writing method. That is the "Chunchupilbeob". It only records objective facts. Song Si-Yeul recognized that the goal of education was to realize the right life and that nothing was worth as much as right, so there was nothing more to lose. This spirit remained as an ideology to dominate Joseon society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whole Giho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