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자연과학편 : 유산성역치(乳酸性?値)(LT)에 상당하는 강도의 운동중대사반응(運動中代謝反應)

        김현수(HyunSooKIM),전중희대차(KiyojiTANAKA),중당이삼생(FumioNAKADOMO),도변일지(HitoshiWATANABE),전전여시(KazuyaMAEDA) 한국체육학회 1990 한국체육학회지 Vol.29 No.1

        最近, 많은 硏究者들에 의해 嫌氣性代射?値(AT) 또는 乳酸性?値(LT)는 全身持久性이나 트레이닝의 生理學的 指標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AT(LT)에 상당하는 强度에서 장시간 운동 중 呼吸循環 및 代謝反應에 관한 보고는 많지 않다. 따라서, 本 硏究는, LT에 상당하는 强度에서 1時間의 最大下 運動 中 呼吸 循環系 및 代謝反應을 檢討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强健한 일반성인 남자(32.1±8.9才)를 對象으로 자전거 에르고미터를 이용하여 운동을 시킨 결과, 酸素攝取量 및 換氣量의 상승은 극히 적었으며 (5%, 3%) 心拍數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血中乳酸農度는 運動初期에 높았으나, 점차 감소하여 운동종료시 크게 낮은 값을 보였다. 한편, 遊離脂肪酸(FFA)은 운동 중 계속 크게 증가하였으며, 呼吸交換比(RER)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감소하며 종료시 有意하게 低下하였다. 血糖値는 약 80㎎/㎗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心理, 生理的 疲勞의 指標인 RPE는 運動終了時 13∼15를 나타내었다.以上의 結果에서, 筋肉의 脂肪酸攝取의 增加는 運動의 持續에 의해 높아지는 糖利用(血糖値의 低下)을 抑制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呼吸循環系의 부담이 적고 피로감이 높지 않아 長時間 運動이 가능한 LT水準은 一般人에게 有效하며 안전한 트레이닝 强度라고 생각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자연과학편 : 젖산 역치와 최대 산소섭취량 추정공식의 교차 타당도에 대한 연구

        김현수(HyunSooKim),田中喜代次(TanankaKiyoji),前田如失(MaedaKazuya) 한국체육학회 1988 한국체육학회지 Vol.27 No.2

        嫌氣性代謝역値(AT) 또는 乳酸性閑値 (LT) 에 相當하는 酸素攝取量(VO<sub>2</sub>)이나 最大酸素攝取量(VO<sub>2max</sub>)온 全身持久性의 좋은 指標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Vo<sub>2</sub>ⓐLT와 Vo<sub>2max</sub>의 測定은 비싼 가스분석장치가 필요하며. 100名 以上의 集團율 對象으로 하는 경우에는 몇개월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많은 硏究者에 의해 VO<sub>2</sub>ⓐLT 또는 VO<sub>2</sub>max룰 推定하는 簡易推定式이 발표되어 왔다.本 硏究는, 우리들의 선행연구에서 題案한 VO<sub>2</sub>ⓐLT와 VO<sub>2</sub>max를 구하는 簡易推定式 (靑年用)의 Cross-Validity 를 檢討하고, 이 推定式이 全身持久性율 評價하는데 有用한가를 考察하는 것을 目的으로 했다. 對象은 男學生 41 名 (20. 6±1.4才)으로서 25名은 運動選手이고. 나머지 16名은 一般學生이다. VO<sub>2</sub>ⓐLT 와 VO<sub>2</sub>max는 Mornark製의 自轉車에르고미터를 사용하여 漸增負荷法으로 測定하였다. 全員의 1,500m달리기 成績으로부터 추정한 VO<sub>2</sub>ⓐLT (27. 3±6. 9 ml/kg/mm) 와 VO<sub>2</sub>max (51. 7±9. 4 ml/kg/min) 는 실제로 測定한 VO<sub>2</sub>ⓐLT (27. 8±8. 7 ml/kg/min) 및 VO<sub>2</sub>max (51. 1±9. 6 ml/kg/min) 와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그리고, 測定値와 推定値사이에서 VO<sub>2</sub>ⓐLT 가 r = 0. 906, VO<sub>2</sub>max 가 r = 0.878의 有意한 相關을 보였다. 推定誤差는 VO<sub>2</sub>ⓐLT 에서 2.92 ml/kg/min, VO<sub>2</sub>max 에서 4. 52 ml/kg /min 였다.以上의 結果에서, 先行硏究 發表된 VO<sub>2</sub>ⓐLT 및 VO<sub>2</sub>max 의 簡易推定式은 精度가 높고, 큰 集團을 對象으로 하여 全身持久性율 評價하는 경우에는 이 推定式의 利用은 妥當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推定式은 異質性集圃 (Heterogeneous) 에 適用 可能하지만, 同質性集團 (HomogMeous) 에서 적용하는 데는 限界가 보인다. 따라서. 同質性集團에도 적용할 수 있는 簡易推定式의 개발이 금후의 중요과제이다.

      • KCI등재

        질문지법을 이용한 성인의 최대산소섭취량 추정 : A questionnaire approach

        김현수,곽정구,김은희,양미란,田中喜代次 대한스포츠의학회 1995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13 No.2

        It has been well known that maximal oxygen uptake(V˙o_2max) is ca-nsidered a good indicator or ca diorespiratory fitness of aerobic power. However, direct measurement of V˙o_2max requires expensive laboratory equipments such as oxygen analyzer and carbon dioxide analyz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rerfore to predict V˙o_2max from a simplified questionnaire pertaining to the evaluation of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nd to evaluate cross-validation of the developed questionnaire could be generalized to other sampl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Question concerning the current walking ability, long-running ability in youth, current exercise habits, responses to rush-up of stairs(imaginatory response), and body composition. The V˙o_2max estimated by our questionnai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riterion measured V˙o_2max.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on 31 subjects was 0.92 as determined by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and V˙o_2max(ml/kg/min) estimated from the simplified questionnaire was 0.868(SEE=5.12ml/kg/min) in men(n=201) and 0.853(SEE=5.54ml/kg/min) in women(m=127), indicating either a relatively high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cross-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using directly measured V˙o_2max as the criterion was very good(r=0.874).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direct assessment of cardiorespiratory fitness from questionnaire survey accurately estimates V˙o_2max, and is safe and suitable for measuring aerobic power in epidemiologic studies of people between the ages of 30-70 yr. However, the slightly less acurate V˙o_2max prediction were observed in the highly active men and elderly.

      • KCI등재

        플레이포트 놀이가 생리학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현수,노호성,竹田正樹,이미숙,田中喜代次 대한스포츠의학회 1994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12 No.2

        To validify the physiologic availability of the playport game, we examined the metabolic and ventilatory responses of second and fourth grade boys(n=6) and adult men(n=4) during playport games. In children, maximal oxygen uptake(V˙O_2max) and lactate threshold(V˙O_2 LT) measured on treadmill, averaged 47.3±3.4 ml·㎏^1·min^1 and 27.6±1.9 ml·㎏^1·min^1, respectively. The playing at the 8 min playport elicited an average of 44.1±5.2 ml·㎏^1·min^1 during the last 4 min after starting the play, which corresponded to approximately 90% of V˙O_2max. When compares the lactate (La) level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the children has significantly lowered La at 2.44±0.6 mM/ l and below than the adult groups.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children experience high intensity physical activity during playport game seemingly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cardiorespiratory function.

      • KCI우수등재

        체육측정평가 : 성인 남성의 건강체력수준의 평가: 판별분석의 적용

        이미숙(LeeMi-Sook),강상조(KangSang-Jo),田中喜代次(KiyojiTanaka) 한국체육학회 1998 한국체육학회지 Vol.37 No.1

        일상생활 중 신체활동의 감소에 따른 건강체력 수준의 저하가 활력있는 건강한 장수를 위한 잠재 능력을 쇠퇴 시킨다는 이론적인 배경 하에, 개개인의 체력수준에 대한 폭 넓은 검토가 고령화 사회의 중요한 과제로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체력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검사 결과로부터 일반군, 운동군, 비만군으로 분류된 세 집단을 통계적으로 가장 적절하게 판별할 수 있는 추정식을 작성하는데 있다. 신체활동 수준이 다른 성인 남성 7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인 남성의 체력을 건강체력 관점에서 정의하고, 선행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근력, 전신지구력, 유연성, 신체구성 요인을 건강체력수준 평가에 필요한 체력요인 및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각각의 체력요인을 대표하는 항목은 타당성 및 신뢰성을 고려하여 악력, 최대산소섭취량, 체전굴, 체지방 등의 검사항목을 선택하였다. 판별분석을 적용하여 검토 한 주요 분석내용은 1) 선정된 체력검사 결과에 근거하여 집단 구성원은 우연에 의한 예언보다 어느 정도 높은 수준에서 정확하게 해당 집단에 소속된 것으로 예언할 수 있는가?, 2) 유의한 판별함수의 수와 각 집단별 판별함수 점수의 평균 즉 집단평균치, 3) 어떠한 체력검사가 판별함수와 높은 상관이 있는가?, 4) 해당 집단에 정확하게 분류하기 위해 각 독립변인의 점수에 어떤 가중치를 주어야 하는가? 등이다. 건강관련 체력측정 항목 상호 간의 상관 행렬을 검토하고, 판별분석을 적용하여 4항목으로 구성된 판별함수를 산출한 결과 세 집단이 복수의 체력측정 항목에 있어서의 성적으로부터 정확하게 판별 될 확률은 86.6%였다. 이 결과는 신체활동 수준별로 정확하게 분류된 성인 남성들은 우연에 의해 분류될 수 있는 확률 33.5% 보다 현저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판별함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각 개인의 판별득점을 신체적 건강도로 간주하였으며 그 득점과 각 체력 항목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전신지구력 및 신체구성 지표와 신체적 건강도 간에 높은 관련성이 시사되었다. 따라서 성인 남성의 경우 일상생활에 있어서 전신지구력과 신체구성의 변화가 신체적 건강도의 지표로서 공헌도가 크고 중요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향후 이 연구에서 제시한 판별함수를 이용하여 교차타당도에 대한 검토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discriminate the three different groups categorized by physical health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level using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2) to examine the degree of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status and physical fitness and the contribution of each element of physical fitness to the physical health status of middle-aged men. This study was achieved by classifying the original subject pool into three different experimental subgroups based on physical examination results and self-reported activity levels; a normal group (I), a regularly exercise group (II), and an obese group (III). The health status was assessed by physicians. Physical fitness tasks were selected from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components; maximal oxygen uptake (VO2max; X1), grip strength (X2), body fat (X2), and trunk flexion from a standing position (X4).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if the selected physical fitness tasks were sensitive to differentiate among the three groups and successfully classify individual in the appropriate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physical health status. Correct discriminant probabilities of multiple discriminant functions to discriminate the I, II,and III group were 86.6%.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as a relativel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status and the level of physical fitness. The contribution of each element of physical fitness to physical health status was evaluated by correlation between the discriminant score representing physical health status, and performance on each element of the physical fitness test. It was concluded that discriminant function provided a valid model for evaluating differences among the three different physical health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Therefore, our data suggests that commonly used measures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can be utilized as a valid index of physical health status in exercise and health science.

      • 身體組成이 運動能力에 미치는 影響

        金憲經,金基學,稻恒 敦,松浦義行,田中喜代次 慶北大學校 師範大學 體育學硏究會 1991 體育學會誌 Vol.19 No.-

        Body fat generally has been considered to be liable to physical fitness and motor ability.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fat and physical fitness and motor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nt body fat(%fat) and selected motor ability elements. The subjects were seventy-nine boys and ninety-eight girls aged 10-11 years. Selected motor ability variables were grip strength, back strength, 50-meter dash, running long jump, vertical jump, belly grind, side step, trunk flexion, trunk extension, modified chinning, zigzag dribble, softball throw, and step test. Skinfold thickness was measured at three sites(triceps, subscapular, abdomen)using an Eiken-type caliper. Percent body fat was measured using a tetrapolar bioelectircal impedance plethysmograph(Selco 891). Negatively affected variables by %fat were those which involved muscular power and coordination, while muscular strength was positively related with %fat. Flexibility variables were found not affected by %fat. The subjects were grouped according to %fat in order to further examine the effects of %fat on motor ability. The groups were less than 10%fat(lean), 10∼20%fat(standard)and greater than 20%fat(obese) in boys, and less than 15%fat(lean), 15∼25%fat(standard)and greater than 25%fat(obese) in girls. The results of comparision among groups clearly indicated that the obese groups were poorer in muscular power and coordination but greater in musular strength. The body fat may be one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on many motor ability elem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or ability and degree of fatness seem to be rather complicated, and a great deal of data should be accumulated for analysis of influence of body fatness.

      • KCI등재

        한국과 일본 고령자의 신체구성, 일상생활활동능력(ADL지표), 건강관련체력, 신체활동수준 평가

        이미숙(Mi Sook Lee),조준용(Jun Yong Cho),차정훈(Jung Hoon Cha),조정환(Jung Hwan Cho),김현수(Hyun Soo Kim),田中喜代次(Tanaka Kiyoji),杉山佳生(Sugiyama Yoshio),竹島信生(Takeshima Nobuo)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08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0 No.2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65세 이상 여성 고령자를 대상으로 신체구성, 신체활동 수준, 일상생활 활동능력 및 건강체력 수준에 대한 탐색적 자료 분석과 주요 개인적 환경적 변인간 관련성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고령자는 한국 141명, 일본 139명이며 평균연령은 71세이다. 대상자들은 대도시에 거주하고 자발적 공공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고령자들이며, 자립적으로 일상생활이 가능하고 특별한 질병 없이 비교적 건강하다고 밝힌 고령자들이다. 연구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여성 고령자들이 일본 여성고령자들에 비하여 체지방량 수준이 높다. 65세 이상 여성 고령자들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체지방량이 증가하고 있다. 둘째, 높은 경향을 보인다. 셋째, 고강도 신체활동은 한국 여성 고령자, 중강도의 신체활동은 일본 여성 고령자들의 참여율이 높다. 신체활동 참여는 체력, 연령, 거주여건과는 무관하다. 보행시간은 국가, 체력, 연령과 무관하다. 넷째, 여성 고령자의 건강체력은 일본 고령자들이 우수하다. 65세 이상 고령자들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체력의 감소 추세가 뚜렷하다. This study compared health-related functional fitness, body composition, physical activity status of Korean and Japanese healthy and active adults over 60 years old. The subjects undertook performance test items related to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ealth in Japan and Korea by using same instruments. Body fat (%) as a body composition measured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Physion XP, Japan). Physical activity, activity of daily living were identified via interviews where subjects self-reported including difficulty of walking 400m, climbing 10 steps and rising from chairs. Functional fitness was determined using a test battery that included grip strength, one-leg balance, tandem balance, alternate step, 5 chair sit-to stand, functional reach, timed up and go, walking around two cones, and 5 m habitual walk. In both countri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dvancing age was found for almost test items. Japanese older women scored better on almost functional fitness item and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body composition. Analysis of data indicated that, Koreans had significantly lower functional fitness scores,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than Japanese.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flexibility and balance factors (P>0.05).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1) Korean older women exhibit high level % body fat than the Japanese older women in all age group. (2)Activity of Daily Living(ADL) positively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type of family members such as family size. (3) More Korean older women reported engaging in vigorously intensity activities but not moderate intense activities than Japanese older ad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fitness, age, family type in participating physical activity. (4)A significantly higher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level was observed for Japanese older adults compared with Korean,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level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ing in older women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