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深齋 曺兢燮의 北征 기행에 대한 고찰

        전송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2 남명학연구 Vol.75 No.-

        본고는 국권침탈기 영남에서 활동했던 深齋 曺兢燮(1873-1933)이 1915년 한양과 개성, 평양을 거쳐 중국 안동현을 방문하고 돌아온 여정에 대해 그가 남긴 시문과 일기자료를 통해 면밀히 고찰하고 그 여정이 갖는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조긍섭은 1914년 부친의 3년상을 마친 뒤 경북 정산으로 거처를 옮겼다. 일제에 협력하지 않고 은둔해 생활하기 위한 선택이었다. 그리고 그곳에서 가깝게 지내던 壽峯 文永樸(1880-1930)과 함께 다음해인 1915년 6월 중국 안동현을 방문하게 된다. 이 여정에서 그는 각 방문지마다 자신의 소회를 시로 남겼다. 또한 일기에 매일 방문한 곳과 여정에 대한 기록을 짤막한 메모형식으로 남겨 두었다. 때문에 문집의 작품과 일기의 내용을 통해 당시 여정의 상세한 경로와 그 당시 조긍섭의 심회를 매우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 조긍섭은 한양과 개성 평양을 방문하며 망국의 현실에 대한 비분한 심정을 시로 읊었다. 그러한 悲感을 안고 중국 안동현으로 향했던 것이다. 당시 안동현에 대한 기록은 상세하지 않다. 안동현으로 향하며 배에 오를 당시와 안동현에 도착했을 당시까지는 시를 남겼지만 안동현에서 하루 동안 머물며 어디를 방문했고 누구를 만났는지, 그곳에서 어떤 심회가 들었는지에 대해서는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다만 분명한 것은 기차로 안동현에 들어간 뒤 다음 날 다시 의주에서 배를 타고 안동으로 이동하는 등 당시의 여정이 일반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조긍섭이 안동현으로 떠났던 1915년 당시 평소 그와 교류했던 이들 중 상당수가 망명을 떠나 안동현에 머무르고 있었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이 때 당시 안동현으로 향했던 목적은 평소 교류하던 사람을 만나기 위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기대했던 만남을 이루지 못하고 고향으로 발길을 돌린 조긍섭은 개성에서 약 4일 동안 머물며 개성의 여러 곳을 방문하고 시를 남겼다. 그리고 개성에서 남긴 작품들은 비감으로 가득했던 앞의 작품들과 달리 기대와 포부를 담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비록 안동현의 방문은 목적을 이루지 못했지만 다시 돌아오는 길에 개성에서 왕성순과의 만남이 망국의 상황에서 자신이 고향 땅에 머물며 훗날을 도모하겠다는 다짐의 계기로 작용했던 것이다.

      • KCI등재

        국권상실 이후 주변부 전통지식인 曺兢燮의 현실 인식과 대응 양상

        전송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5 No.-

        This paper examines the letters exchanged between Cho, Geung-sup and Kim, Taek-young. And in the process, it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o examine Cho's perception of reality and its response. Kim, Taek-young compiled a book about the history, sentences, and figures of Joseon. And sent it to Cho, Geung-sup. Cho, Geung-sup corrected the book and wrote a foreword. They shared the importance of recording history, sentences, and characters.That's why they worked hard on writing. This is also the reason for reviewing the discussion on Cho, Geung-sup. He must be reevaluated as a man who attempted to build Joseon in the situation of losing his country. 본고는 심재 조긍섭이 창강 김택영과 주고받은 서찰을 살펴봄으로써 두 사람의 교유양상의 구체적인 면모를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심재 조긍섭의 현실 인식과 대응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심재는 영남의 전통지식인으로 줄곧 영남에서 학문과 강학활동을 이어가던 중 창강과 교유를 맺게 된다. 교유를 시작한 이후 두 사람은 여러 차례 편지를 주고받았는데, 대부분은 창강이 당시 출간한 서적과 관련된 것이었다. 창강은 자신이 편찬한 서적을 심재에게 보내왔고 심재는 그 서적들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창강에게 전했다. 두 사람은 文史哲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토론을 이어갔으며, 그 결과는 창강의 저술에 적지 않게 반영되었다. 그러나 당시 창강이 저술한 역사서가 조선의 유림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어나며 심재의 주변 인물들은 심재가 창강과 가깝게 지내는 것을 우려했다. 그럼에도 심재는 창강이 편찬한 서적에 서문을 쓰고 교열을 하며 창강의 출판활동에 참여했다. 그것은 나라를 잃은 지식인으로써 역사와 문장 그리고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흔적을 정리하는 작업의 필요성을 깊이 공감했기 때문이다. 창강의 서술이 자신의 이념적 근간을 흔드는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변호했던 까닭이기도 하다. 그러한 지점은 심재에 대한 논의가 중세의 전통을 지킨 ‘守舊’적 태도의 지식인이라는 틀을 벗어나 국권을 상실한 상황에서 조선의 것을 구축함으로써 새로운 시대를 모색하고자 했던 지식인으로서 심재의 자취를 재검토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그 과정은 심재에 대한 논의뿐만 아니라 근대 전환기 지식인과 당대 현실에 대한 다채로운 모습을 세밀히 재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An NH2-terminal truncated cytochrome P450 CYP3A4 showingcatalytic activity is present in the cytoplasm of human liver cells

        전송희,Keon-Hee Kim,윤철호,Boo-Whan Hong,장윤석,한호성,Yoo-Seok Yoon,Won-Bum Choi,Soyun Kim,이애영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08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40 No.2

        Cytochrome P450 3A4 (CYP3A4), is the dominant human liver hemoprotein enzyme localized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and is responsible for the metabolism of more than 50% of clinically relevant drugs. While we were studying CYP3A4 expression and activity in human liver, we found that anti-CYP3A4 antibody cross-reacted with a lower band in liver cytoplasmic fraction. We assessed the activities of CYP3A4 and its truncated form in the microsomal and cytoplasmic fraction, respectively. In the cytoplasmic fraction, truncated CYP3A4 showed catalytic activity when reconstituted with NADPH-cytochrome P-450 reductase and cytochrome b5. In order to determine which site was deleted in the truncated form in vitro, we transfected cells with N-terminal tagged or C-terminal tagged human CYP3A4 cDNA. The truncated CYP3A4 is the N-terminal deleted form and was present in the soluble cytoplasmic fraction. Our result shows, for the first time, that N-terminal truncated, catalytically active CYP3A4 is present principally in the cytoplasm of human liver cells.

      • KCI등재

        추천석사논문 : 동래성전투에 대한 기억서사와 표상-공간의 형성과정 연구

        전송희 ( Song Hee Je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3 No.-

        본 연구는 임진왜란의 초기 전투 중 하나인 동래성전투의 기억서사 형성과정과 그 기억을 표상하는 공간인 충렬사의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동래성전투는 채 하루도 버티지 못한 패전이었다. 따라서 그 전투의 수장인 송상현은 패장으로 기록되어야 했다. 그러나 三綱의 코드 아래서 체제를 정비하려는 조정의 이해와 부합하여 패장인 송상현의 생애는 ‘忠烈’을 체현한 인물로 재현되었다. 또한 그의 사당을 서원으로 확장시키는 과정에서 다시 유학자의 면모를 갖춘 賢人으로 거듭났다. 한편 이와 같은 확장은 송상현외에 목숨을 잃은 사람들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이로 인해 동래성전투에서 목숨을 잃은 여러 순절자의 기억이 수습되어 동래성전투에 대한 기억서사로 완성 되었다. 그러나 각 인물들에 대한 기록은 충렬사의 확장에 필요한 사료로서 급히 수집된 성격이 강했기 때문에 새로 발굴된 기록은 신뢰성을 얻기에 부족했다. 이로 인해 새로 발굴된 개인의 기록은 매우 소략하기 그지없었다. 충렬사에 배향된 주요 인물들의 기억서사가 온전히 정리되지 못했던 만큼, 『충렬사지』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 각 인물의 기억서사가 다시 쓰이게 된다. 이와 같이 동래성전투의 기억서사는 체제 정비를 위한 三綱의 강조라는 국면과 정치적 기반을 공고히 하려는 특정 세력들에 의해 개인의 생애기록을 재편하는 과정을 거듭 거치면서 완성된 것이다. 다시 말해, 동래성전투에 대한 기억은 당대의 권력관계 아래서 각각의 기억주체들의 욕망과 이들의 이해가 결부되어 직조된 프레임에 의해 (재)구성된 것이었으며, 그 결과물이 오늘날의 동래성 전투의 표상으로 남아 있게 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formation of the memory narrative of battle of Dongraecastle, one of early combats of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formation ofChoongryeolsa, a place to symbolize the memory. Battle of Dongrae castle was a failurewithout standing even a day. Accordingly, the commander of the battle, Song SangHyeon should have been recorded as a defeated one. However, in accordance with theChosun Dynasty`s interest to keep in order of the system in the code of the three fundamentalprinciples in human relations(Samgang), the life of defeated general Song SangHyeon was represented as a one of who practiced loyal death. And when his shrine wasexpanded to a memorial hall for Confucianist services to honor distinguished scholars andstatemen(Seowon), he was reinterpreted as a wise man with Confucianist quality. Andthis expansion provoked interests for other people who lost their lives in the battle. Thenmemories of several honored deaths were collected, completing the memory narrative ofbattle of Dongrae castle. However, these new records were not sufficient to get trust becausethey were suddenly collected for expansion of Choongryeolsa. Therefore, personalbiographies for new collected people were very poor. As memory narratives of main peoplewho were enshrined in Choongryeolsa were not fully completed, when publishing ‘Choongryeolsaji’, some questions were raised and new memory narrative for each personwere rewritten for revision. So the memory narrative of battle of Dongrae castle was accomplishedthrough repeated processes of reorganizing personal biographies by a certaingroup to ensure their own political position and an atmosphere to emphasize human relations(Samgang) for keeping in order of the system. That is, the memory of battle ofDongrae castle was (re)organized by a frame made by desires and interests of each agentof memory in political relations at that time and as a result, it now remains as a symbol ofthe battle of Dongrae castle.

      • SCIESCOPUSKCI등재

        탯줄의 와튼젤리로부터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의 멜라닌 세포로의 분화

        전송희 ( Song Hee Jeon ),김지영 ( Ji Young Kim ),정경아 ( Kyung Ah Cheong ),이애영 ( Ai Young Lee ) 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 2007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4 No.3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ve been developed from different adult tissues and considered an important source of stem cells for cell therapy and regeneration.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MSCs in Wharton`s Jelly of human umbilical cord grown in melanocyte growth medium including stem cell factor (SCF) and endothelin -3 (ET-3) generate melanocyte precursor cells with a higher expression of melanocyte specific isoform of the microphtalmia transcription factor M (MITF-M), and TRP1, but not tyrosinase, terminal differentiation marker melanocytes. Although, in this condition, tyrosinase expression was not detected by using RT-PCR method in whole cells, a few MSCs showed tyrosinase positive in the immunostaining method. In conclusion,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a possibility that human MSC in Wharton`s Jelly of human umbilical cord may be derived to human melanocyte-precursor cells.

      • KCI등재

        『深齋日記』의 자료적 가치와 활용방안에 대한 고찰

        전송희(Jeon, Song-he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1 No.-

        심재 조긍섭은 19세기 말 영남에서 활동했던 전통지식인이다. 현재 그의 글은 『深齋集』, 『巖棲集』, 『深齋續集』, 그리고 본고에서 본격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深齋日記』로 이루어져 있다. 『심재일기』는 조긍섭 스스로 자신의 일상을 기록한 것이다. 매일의 하루하루를 짤막한 기록으로 남기고 있어 이 자료를 바탕으로 그의 생애의 여러 국면들을 구체적으로 재구할 수 있으며, 그가 남긴 작품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그 중 본고에서는 『심재일기』가 시작되는 1898년 1월과 2월 두 달간의 일기를 본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때 조긍섭은 26세의 젊은 나이로 영남 일대의 큰 스승인 서산 김흥락을 뵙기 위해 안동으로 향했다. 그 과정에서 영남 일대의 여러 학자들을 만나 그들과 교유를 맺었는데, 그 당시 방문했던 곳과 만났던 이들에 대한 기록이 일기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또한 금계와 도산 등 안동의 일대를 둘러보며 여러 편의 시를 남겼는데, 일기를 참조해보면 시를 지을 당시의 여정이나 함께 했던 인물 등 작품을 둘러싼 정황들을 밝힐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에 묘사된 풍경, 그 당시 느꼈던 감회 등을 알 수 있어 보다 폭넓게 시를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시의 번역 역시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처럼 『심재일기』는 조긍섭의 생애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그가 남긴 작품을 더욱 정확하게 해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때문에 앞으로 조긍섭의 삶과 문학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검토되어야 할 자료라 하겠다. Cho Geung-seop is a traditional intellectual who was active in Yeongnam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Currently, his writing consists of 『深齋集』, 『巖棲集』, 『深齋續集』 and 『深齋日記』, which is intended to be dealt with in earnest in this paper. 『深齋日記』 is a record of Cho Geung-seop s daily life. Each day is left as a short record, so based on this data, various aspects of his life can be reconstructed in detail, and it has a meaning as a material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his work. Among them, this paper reviewed the diary for two months in January and February 1898, when the Diary began. At that time, Cho Geung-seop headed to Andong to meet Kim Heung-rak, a big teacher in Yeongnam, at the young age of 26. In the process, he met various scholars in Yeongnam and formed a friendship with them, and records of those who visited and met at that time are recorded in the diary in detail. In addition, he left several poems while looking around Andong, including Geumgye and Dosan, and if you look at the diary, you can reveal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work, such as the journey at the time of writing the poem and the characters you felt at the time. In the process, the translation of poetry can also be done accurately. As such, 『深齋日記』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 very important material in understanding Cho Geung-seop s life more deeply and interpreting his work more accurately. Therefore, it is a material that must be reviewed in understanding Cho Geung-seop s life and literature in the future.

      • KCI등재

        포로서사 독법에 대한 小考

        전송희(Jeon, Songhe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8 No.-

        이 논문은 금계일기를 단순한 포로 실기가 아니라 문명 세계의 중심을 향한 욕망을 실현한 한 개인의 기록으로 읽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임진왜란 당시 포로가 되었다가 돌아온 사람들 중 자신의 포로체험을 기록으로 남긴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기록으로 남겨진 몇몇의 포로 수기들은 대부분 자신들의 귀환 과정을 미처 완수하지 못한 충절을 실현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그리고 있는데, 이는 포로들에게 씌워질 ‘훼절’의 혐의를 벗기 위한 몸부림이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에서 자력으로 탈출한 뒤 중국 남방지방을 경유해 조선으로 돌아온 노인의 금계일기는 포로 귀환 서사가 지닌 문법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자기변호의 수사학’으로 설명될 수 없는 특이점들을 지니고 있다. 중국을 경유하여 일본을 탈출하고자 하는 노인의 기획은 ‘明’이라는 문명 세계의 중심을 향한 강렬한 충동 의 발현이기도 한데, 중국에 도착한 뒤 목도하게 되는 새로운 세계에 대 한 驚異와 중국 지식인들과의 직접적인 교류에서 오는 경험의 우월감은 자기변호를 위한 서사를 중단하는 힘으로 텍스트 전반을 가로지른다. 금계일기는 자신의 귀환과정을 ‘忠’과 ‘孝’의 맥락에서 재구성함으로써 ‘훼절’의 혐의를 벗고자하는 강력한 목적을 띄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와 동시에 전쟁이라는 사건이 열어놓은 틈을 통해 차단된 세계로 나아가려 했던 욕망의 흔적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운동으로 환원되지 않는 텍스트성(textuality)을 담지하고 있다. 임진왜란이라는 문명사적인 사건 과 조선사회를 지탱하던 관념적 질서의 붕괴, 그리고 균열된 체제의 틈으로 삐져나온 한 개인의 다층적인 욕망 사이에 금계일기가 놓여 있는 것이다. This paper’s goal is not to read Geumgyeilgi(錦溪日記) as just a prisoner’s documentation, and instead to read it as a record of an individual who accomplished his desires towards a civilized worl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out of the people who came back from being a captive, there were very few who left a record of their captive life. Most of these POW records depict their journey returning home as a way to fulfill their unexercised loyalty, and this was an act to prove one’s innocence against the charge of ‘selling one’s integrity’ which was put on the captives. However, in the case of Geumgyeilgi where the old man escapes on his own and returns to Chosun through China’s southern regions, the descriptive follows the grammatical norm of a prisoner documentation, but there are also som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explained through the ‘self-defending rhetoric mechanism’ that most prisoner documentations possess. The old man’s plan of escaping Japan via China is the realization of a strong impulse towards the center of civilized life, which was the ‘Ming dynasty’. The wonder(驚 異) from witnessing of the new world and the sense of superiority that came from the experience of directly interacting with Chinese intellects fills the whole text cutting out the narrative for self-defense. Geumgyeilgi is certainly a record with a strong motive for proving the writer’s innocence against the charge of ‘selling one’s integrity’ in the war by recomposing his journey returning home under the context of ‘loyalty’ and ‘filial duty’, but also it contains traces of desire towards a shut-off world through a gap that was opened by war. This indicates ‘textuality’ that wasn’t reclaimed through historical movements.

      • KCI등재
      • KCI등재

        『東野彙輯』의 이야기 재구성 양상과 그 의미

        전송희(Jeon Song Hee)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5

        이 논문은 19세기 중엽에 편찬된 『東野彙輯』을 당시 사대부계층이 공유하고 있던 위기의식의 산물로 읽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동야휘집』의 편찬자인 이원명은 당대 사회에서 유통되는 이야기를 수집, 기록하는 것을 넘어 적극적인 개작을 시도하였다. 서사의 내적인 논리를 변개하는 수준에 이르는 경우, 개작의 방향성은 仁義의 실현이라는 도덕적 이념을 전면화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사실은 부의 축적을 통해 현실적 제약을 극복하는 일련의 서사들을 仁義의 실천이라는 이념으로 덧바르는 글쓰기 전략이 부의 축적과 신분 이동에 대한 욕망과 상상력을 서사적으로 차단하는 적극적 개입이라는 사실이다. 이는 조선후기 사회가 실질적으로 致富를 통해 계층의 이동 가능성이 열려있던 시대임을 감안할 때 그러한 욕망의 가능성을 차단하고자 한 이원명의 시도는 야담집을 편찬하는 작업이 단순히 ‘문학성’을 고취하는 행위가 아니었음을 짐작케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서 본고는 『동야휘집』에 실린 치부담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당시 사대부계층이 체제의 균열을 봉합하고, 정형화되지 않은 다양한 욕망들을 지배 가능한 영역으로 재편하려 했던 기획을 읽어내고자 한다. 그리고 야담집을 편찬하는 구체적인 실천들이 단지 사대부 계층의 문장 취미가 아니라 항간에 떠도는 이야기를 수집하고 정리하되 적극적으로 변개함으로써 민중들을 개도할 수 있는 담론적 지형을 마련하고자 했다는 가설적 주장을 제기한다. This paper aims to read the DongyaHwijip(東野彙輯) compiled in the middle of the nineteenth century as a product of the crisis consciousness shared by the Sadaebu(士大夫) class at that time. Lee Won-Myung, a compiler of DongyaHwijip, tried to make an aggressive adaptation beyond collecting and recording the stories circulated in contemporary society. When it reaches the level of changing the inner logic of the narrative, the direction of the adaptation takes a strategy to foreground the moral idea of the realization of In-Ui(仁義). However, more importantly, it is the fact that writing strategies that adapt the stories that overcome the actual constraints by accumulating wealth as the stories that realize the moral ideology are active interventions that block the desires and imaginations of wealth accumulation and ascension. Considering that the possibility of hierarchical movement was open through the wealth of the late Choson society, Lee Won-myeong’s attempt to block the possibility of such desire was not merely an act of encouraging literature, It is an example that shows. Under this consciousness, I would like to read the story of the accumulation of riches in the whole book as an object of analysis, so that the ruling class seeks to squeeze the cracks of the system and reorganize the various amorphous desires into a dominant area. In conclusion, this essay suggests that the concrete practices of compiling narratives were not only the noble literary hobbies of the upper class, but also the political activity of making the discursive terrain that was able to open the populace.

      • KCI등재

        MicroRNA-29 Family Suppresses the Invasion of HT1080 Human Fibrosarcoma Cells by Regulating Matrix Metalloproteinase 2 Expression

        김진희,전송희,신부안 전남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7 전남의대학술지 Vol.53 No.2

        Matrix metalloproteinase 2 (MMP2) is a potent protumorigenic, proangiogenic, and prometastatic enzyme that is overexpressed in metastatic cancer. Al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on the MMP2 gene, further studies of regulatory factors are required to achieve inhibition of MMP2 enzyme activities. MicroRNAs (miRNAs) play key roles in tumor metastasis. However, the specific functions of miRNAs in metastasis are unclear.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function of the microRNA-29 family (miR-29s) in HT1080 human fibrosarcoma cells and examined the regulatory mechanisms of these miRNAs on MMP2 activation. Using miRanda, TargetScan, and PicTar databases, miR-29s were identified as candidate miRNAs targeting MMP2. Gain-of-function studies showed that overexpression of miR-29s could inhibit the invasion of HT1080 cells, suggesting their tumor-suppressive roles in HT1080 cells. In addition, dual luciferase reporter assays indicated that miR-29s could inhibit the expression of the luciferase gene containing the 3'-untranslated region of MMP2 mRNA. Ectopic expression of miR-29s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MMP2. Moreover, ectopic expression of miR-29s reduced MMP2 enzym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iR-29s could decrease the invasiveness of HT1080 cells by modulating MMP2 signaling. Taken together,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miR-29s may serve as therapeutic targets to control tumor metast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