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무암 섬유 보강 폴리우레탄폼의 열적 성능 및 극저온 환경에서의 기계적 특성 평가

        전성규,김정대,김희태,김정현,김슬기,이제명 대한조선학회 2022 大韓造船學會 論文集 Vol.59 No.4

        LNG CCS which is a special type of cargo hold operated at –163℃ for transporting liquefied LNG is composed of a primary barrier, plywood, insulation panel, secondary barrier, and mastic. Currently, glass fiber is used to reinforce polyurethane foam. In this paper, we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glass fiber-reinforced polyurethane foam with basalt fiber-reinforced polyurethane foam. We conducted a thermal conductivity test to confirm thermal performance at room temperature. To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between basalt and glass-fiber-reinforced polyurethane foam which is fiber content of 5 wt% and 10 wt%, tensile and an impact test was performed repeatedly. All of the tests were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and cryogenic temperature(-163℃) in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gradient in the LNG CCS. As a result of the thermal conductivity test, the insulating performance of glass fiber reinforced polyurethane foam and basalt fiber reinforced polyurethane foam presented similar results. The tensile test results represent that the strength of basalt fiber-reinforced polyurethane foam is superior to glass fiber at room temperature, and there is a clear difference. However, the strength is similar to each other at cryogenic temperatures. In the impact test, the strength of PUR-B5 is the highest, but in common, the strength decreases as the weight ratio of the two fibers increases. In conclusion, basalt fiber-reinforced polyurethane foam has sufficient potential to replace glass fiber-reinforced polyurethane foam.

      • KCI등재

        대상관계수준과 파트너의 행동이 이성교제 중인 대학생의 집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성규,이영호 한국여성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8 No.1

        본 연구는 대상관계 수준, 파트너의 긍정적 행동과 부정적 행동의 빈도가 이성교제 시 발생할 수 있는 집착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남녀로 나누어 살펴보고, 대상관계 수준과 집착행동 사이에서 파트너의 긍정적․부정적 행동의 빈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거주 중이며 현재 이성교제 중인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대상관계 수준 척도, 파트너 행동 척도, 집착행동 척도, 이성관계 만족도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남자 집단에서는 대상관계수준이 낮을수록 집착행동을 많이 하였고, 두 변인 사이에서 파트너 행동 빈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여자 집단에서는 남자집단과 마찬가지로 대상관계수준이 낮을수록 집착행동을 많이 하였고, 두 변인 사이에서 파트너의 부정적 행동 빈도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또한, 남녀 집단 모두에서 집착행동이 높을수록 이성관계 만족도가 낮았으며, 끝으로는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웹소설 제목의 어휘 기호적 특징: 문장형 제목의 증가와 장르 교섭의 실상 - 2011~2022년 웹소설 제목 코퍼스를 기반으로

        전성규,곽지은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3 한국문학연구 Vol.- No.71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corpus for 48,530 web novel titles that can be found in ‘Naver Series’ from 2011 to 2022, and checke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web novel titles and vocabulary frequency of titles in each genre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web novel genres and genre hybrid pattern. In 2022 alone, Naver web novels provided about 10,000 works, and even in 2023, hundreds of new web novels are newly created and uploaded in just one month. The exponential expansion of web fiction production is a testament to how hot this market is and how competitive it is. In this situation, the ‘titl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providing primary information about the work in the selection of readers, or consumers. Because web novels are purchased with a payment method that pays for each episode, the information provided when web novel readers select content is relatively scarce. At this time, the ‘title’, as the uppermost skin covering the web novel product, should not only play a role in attracting the reader's attention, but also perform an implicit function of providing abundant information on the content and narrative structure. Each sub-genre of a web novel has its own cliché, and the creation of a web novel is done by combining standardized storytelling styles. Accordingly, the title of a web novel is gradually evolving into a way to engrave signs that reveal the elements and styles of the story of the work. In the title of a web novel, not only vocabulary, but also morphemes, final endings, and punctuation marks such as ellipses all play a role as ‘symbols’ of narrative. The title of a web novel is not a pure creation of the author, but a rearrangement of symbols commonly used in the world of web novels, and functions as a signifier that reveals the content of the narrative.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web novel titles is that sentence-type titles are steadily getting longer. The increase in sentence-type titles is confirmed throughout, starting with modern fantasy and romance fantasy. However, in genres that have been enjoyed for a long time, such as romance, the change to sentence-type titles appears very slowly. The increase in sentence-type titles is noticeable in relatively new genres, and it can be assumed that new genres with relatively low market stability needs to increase the amount of information provided and appeal to readers by making the titles as long as possible. When it is said that the tendency to embody genre characteristics becomes more intense as the title gets long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vocabulary in the title needs to be performed to further support this. Since web novel titles are a set of symbols, genr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between genres can be identified by examining prominent vocabularies. Through the aspect of marriage, divorce, contract, etc. appearing in the title being used in romance and romance fantas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ituation in which the master plot of the romance novel causes variation. And also by confirming where the background of the narrative is through the vocabulary of the title, it can be impli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who make up romance is different. Vocabulary such as return, possession is used as a narrative in itself and serves as a central axis of narrative in both the modern fantasy genre and romance fantasy.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gender of the main characters, the difference in each ability, and the difference in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converges them create a difference in genre. The clear difference in the nature of the Second World also serves as an index to distinguish the genre. In this paper, we try to reveal the connotative meaning of the vocabulary of the title by categorizing and clarifying the vocabulary of the titl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and analyzing it based on the specific work. In that sense, the genre hybridiz...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22년까지 네이버 웹소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웹소설 전체 제목 48,530편에 대한 코퍼스를 구축하고 웹소설 제목의 전반적인 특징과 장르별 제목의 어휘 빈출을 확인하여 웹소설 장르의 특성과 장르간 상호 교섭 양상을 확인하였다. 2022년 한 해에만 네이버 웹소설은 1만 개가량의 작품을 제공하였고, 2023년에 들어서도 한 달에 수백 편이 넘는 웹소설이 새롭게 창작되어 올라오고 있다. 웹소설 생산의 기하급수적인 팽창은 이 시장이 얼마나 과열되어 있는지,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지를 가늠하게 한다. 상황이 이러할 때 독자 곧 소비자의 선택 행위에 있어 ‘제목’은 작품에 대한 1차적 정보를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웹소설은 회차당 비용을 지불하는 결제 방식으로 판매되기 때문에 웹소설 독자가 콘텐츠를 고를 때 제공되는 정보들은 상대적으로 빈약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때 ‘제목’은 웹소설이라는 상품을 감싸는 가장 위층의 표피로서 독자의 시선을 끌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내용과 서사구조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함축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웹소설은 하위장르마다 고유의 클리셰가 존재하며 웹소설 창작은 정형화된 이야기의 양식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웹소설의 제목은 점차 작품이 갖고 있는 이야기의 화소와 양식을 드러내는 표지들을 새겨 넣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웹소설의 제목은 어휘뿐만 아니라 형태소, 종결어미를 비롯 말줄임표와 같은 문장부호까지 모두가 ‘기호’로서 역할한다. 웹소설 제목은 작가의 순수한 창작물이 아니라 웹소설 세계에서 통용되는 기호들의 재배치이며 서사의 내용을 드러내는 기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창작자는 제목이 갖는 문법을 체현함으로써 독자가 알아차리게끔 작품의 장르적 특성과 이야기의 소재를 드러낼 수 있다. 독자는 창작자가 제시한 기호들의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서사의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웹소설 제목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문장형 제목이 꾸준히 길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문장형 제목의 증가는 현대 판타지에서부터 시작해 로맨스판타지 등에서 두루 확인된다. 다만 로맨스와 같이 오래전부터 향유되어온 장르에서는 문장형 제목으로의 변화가 매우 더디게 나타난다. 문장형 제목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신생 장르에서 두드러지는데 상대적으로 시장 안정성이 떨어지는 신생 장르들이 제목을 최대한 길게 함으로써 정보 제공량을 늘리고 독자의 관심 분야를 어필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제목이 길어짐으로써 장르적 특성을 체현하는 경향이 더욱 짙어진다고 할 때 이를 보다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제목에 나타난 어휘에 대한 양적, 질적 분석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웹소설 제목이 기호들의 집합이므로 기호성이 두드러지는 어휘를 장르별로 살핌으로써 장르적 특징, 장르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제목에 등장하는 결혼, 이혼, 계약 등이 로맨스와 로맨스판타지에서 사용되는 양상을 통해 로맨스물의 마스터 플롯이 변주를 일으키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목의 어휘를 통해 서사물의 배경이 어디인지를 확인함으로써 로맨스를 이루는 남녀의 관계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암시받을 수 있다. 회귀, 빙의, 귀환 등의 어휘는 그 자체로 서사물로 통용되고 있으며 현대판타지 장르와 로맨스판타지 모두...

      • KCI등재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통한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 담론적 상관관계 연구

        전성규,김병준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9 개념과 소통 Vol.0 No.23

        The relationship between Seobuk Monthly Magazine and Taeguek Bulletin was investigated using a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y. In a quantitative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a wide variety of academic and association publications between 1905 and 1910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se two showed the greatest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sole exception of correlations among Japanese and Korean student magazines. Similarity heatmaps of articles in Seobuk Monthly Magazine and Taeguek Bulletin highlight changes in their tone, and the inflection point explains their interrelationship. Based on a cosine similarity between the articles of the two public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rticles resulted from writers who contributed to both. In addition,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whole magazines published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cluding from Seobuk Monthly Magazine and Taeguek Bulletin, based on TF-IDF weighting. This allows a comparison of the two magazines with academic publications from modern fields of study, which reveals that concept words which had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earlier conceptual history research, such as ‘nation,’ ‘people’ and ‘civilization’ were very important in academic publication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Also, for the terms ‘education,’ ‘youth,’ and ‘Confucius,’ there is a significant discrepancy between the discourse of Seobuk Monthly Magazine and Taeguek Bulletin. 본고는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통해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 상관성을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근대계몽기 1905~1910년 사이 발간된 학회보 및 협회보의 상관성을 정량적으로 연구해 본 결과, 재일본 유학생 잡지 사이의 유사도를 제외하고 국내와 유학생 잡지 중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 유사도가가장 높게 나왔다. 『서북학회월보』 내에서의 기사 유사도 히트맵을 그려 봄으로써 『서북학회월보』 내에서 기사의 논조 변화와 시기, 그것과 『태극학보』와의 영향 관계를 설명하고, 두 학회지 간의 기사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분석을 통해 필진의 구체화와 기사 간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두 학회지와 전체 근대계몽기 학술장의 비교를 위해 근대계몽기 10여 종의학회지를 대상으로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가중치가 높은 단어군과 두 학회지의 TF-IDF 가중치가 높은 단어군을 뽑아 제시하였다. ‘국가’·‘국민’·‘문명’ 등 기존의 개념사 연구가 주목해 온 주도 개념어들이 실제 근대계몽기 학술장에서 중요성이 높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교육’·‘청년’·‘공자’ 등의 개념들과 관련해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가 담론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1905~1910년 ‘봉건/봉건제(封建/feudalism)’개념을 둘러싼 정치체제, 사회구성 논의의 변동에 대하여: 『대한협회회보』와 『서북학회월보』를 중심으로

        전성규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코기토 Vol.- No.87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oncept Bong Geon(封建) and Feudalsim related with regime,social system with the reviews published by Daehanhyeophoe and Seobukhakhoe, associationsand societies which were organized between 1905~1910 in the early modern Korea. This study succeeds research results about decolonization of the knowledge and overcomingEurocentrism through reinterpretation on East Asian Fengjian Society(封建社會) and JunxianSociety(郡縣社會) written by Miyajima Hiroshi, Prasenjit Duara, Park Hun and so on. ButThese arguments mainly focused on situation of modern Japan and China. So, in early modernKorea, how the discourse about Fengjian Society(封建社會) and Junxian Society(郡縣社會) hadbeen discussed is needed to be studied. To do this, the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two reviews,Daehanhyeophoe-hoebo and Seobukhakhoe-wolbo, among many reviews published by differentmodern associations and societies in early Modern Korea is noticeable differences aboutinterpretation on Bong Geon(封建) and Feudalism between two reviews. Daehanhyeophoe interpretedBong Geon(封建) as the pre modern governance by Yangban(兩班), the ruling class ofYi Dynasty Korea and tried neither to destruct the governance nor transform the pre-modernruling system to modern governance through Constitutional Monarchy and Representativesystem. But Seobukhakhoe reinterpreted Feudalism in European History which resulted in NationState as the reason to claim Powerful Sovereignty(主權) and Absolute Monarchy. Seobukhakhoespoke up against the maintain of caste system through constitutional monarchy and representativesystem by Daehanhyeophoe and claimed completely destruction of caste system. Seobukhakhoe believed the Yangban(兩班), the ruling class was the essential element which delayedmodernization and interrupted transition to the centralized state. The clear differencebetween two associations on interpretation on Bong Geon(封建)/Feudalism was connected tothe different discourse on government, governance and social composition. 이 글은 근대 계몽기 발간된 회보(會報) 중『대한협회회보』와 『서북학회월보』의 글들을 중심으로 1905년에서 1910년 사이 학술지 안에서 논의된 봉건/봉건제 개념을 정치체제와 사회구성 논의에 초점을 맞춰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동아시아 봉건제/군현제론의 재조명(미야지마 히로시, 박훈, 박광용, 조성산 등)을 통해 모색되고 있는 지식의 탈식민화 및 유럽중심주의 극복이라는 문제의식을 계승하면서, 주로 중국과 일본의 근대 전환기, 혹은 조선의 18세기와 19세기 초에 집중되었던 봉건제/군현제론에서 결락된 근대 계몽기(1905~1910) 조선의 봉건제 논의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특히 봉건론을 분석하는 데 있어 이 시기에 발간된 여러 회보들 중 『대한협회회보』와 『서북학회월보』 두 텍스트를 선택하는 이유는 중앙집권에 대한 문제, 사회의 애국성, 단합력의 신장의 문제를 놓고도 두 단체가 봉건제를 참조하여 독해하는 방식의 차이가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대한협회는 봉건의 내용을 양반 사대부가 중심이 된 지배구조로 보면서 이를 입헌군주제나 의회를 기반한 정당제로 흡수시키고자 한 대표적 단체였다. 반면, 서북학회는 16세기 서구 유럽의 봉건 제후국의 통일 과정에서 근대 국가 체제로서 스테이트(state)의 출현에 주목하면서 강력한 주권 국가의 전단계로서 봉건제를 이해하고 전제군주제를 주장하는 하나의 근거로 ‘feudalism’으로서 봉건제를 독해하였다. 근대 계몽기 학회보 안에서 중앙집권적 국민국가로 가는 데에는 일정정도 합의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차이가 존재했다. 입헌군주제와 전제군주제의 주장의 차이는 단순히 정치체제의 차이가 아니라 신분제의 해체 문제와 사회 구성에 관한 제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중요하다. 근대의 방향성과 정체성의 문제를 생각하는데 있어 봉건/봉건제와 관련된 복잡한 논의들은 그 차이를 드러내는 핵심 키워드로 작용하였다.

      • KCI등재

        반덤핑조치 종료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한민국의 반덤핑조치 사례를 중심으로-

        전성규,정명진,이창운,장필호,김용환 국제지역학회 2019 국제지역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반덤핑조치의 종료가 무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국내 산업에 부정적 효과를 발생시킬지를 검토함으로써 장기간 반덤핑조치 연장에 대한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의 반덤핑조치 사례 중 2차 재심 이상연장 부과 후 종료된 3건을 대상으로 수입물량과 수입가격 측면에서 반덤핑조치 종료 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반덤핑조치 종료는 조치대상국의 무역축소 효과, 조치대상이 아닌 국가로의 무역전환 효과, 관세율만큼 가격을 인하한 가격 전가 효과 등을 조치이전의 수준으로 회복할 것이라는 가설하에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장기간 고율의 반덤핑조치는 조치대상국으로부터 수입물량을 축소하는 대신 국내산이나 기타국산 물품으로 대체하였으며, 조치 종료 후에도 이와 같은 상황은 변하지 않았다. 또한, 조치 종료 후에도 수입가격이 종료된 관세율만큼 상승하지 않거나 오히려 하락하는 양태를 보임으로써 반덤핑조치 종료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결국 장기간반덤핑조치의 연장이 수입물량 측면이나 수입가격 측면에서 그다지 효과가 크지 않았음을 설명한다. 따라서 반덤핑조치 종료 시 수입물량과 수입가격의 회복을 고려하여 장기간 반덤핑조치의 연장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더욱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rolongation of long-term anti-dumping measures by analyzing whether the end of anti-dumping measures had an effect on trade and by examining whether this would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domestic industry. To this end,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the end of anti-dumping measures in terms of import volume and import price in three cases of anti-dumping measures in Korea, which were terminated after the extension of the second sunset review. The end of anti-dumping measures was analyzed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effect of trade depression of the target country, the effect of trade diversion to the non-measured country, and the effect of price transfer by lowering the price by the duty rate would be restored to the level before the measure. As a result, long-term high anti-dumping measures reduced imports from countries subject to measure and replaced them with domestic or other countries goods. This situation did not change after the end of the measure. Also, even after the end of the measure, import prices did not rise by the terminated duty rate. Rather, it fe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longed anti-dumping measure was not very effective in terms of import volume or import price. Therefore, more careful judgment is required when deciding to extend the anti-dumping measures over the long term, considering the recovery of import volume and import prices at the end of the anti-dumping measures.

      • KCI등재
      • KCI등재

        근대계몽기 학보 및 자료 연구의 현황과 『조양보』 번역의 시사점

        전성규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7 No.-

        Wŏnmun'gyogam Choyangbo, an annotated collection of texts, and Wanyŏk Choyangbo, a complete translated version, were published by Jeompiljae research institute in the Busan University. This edition is the first work that successfully translates all articles published in Choyangbo from the first issue to the final number, including a list of contents, advertisements, and copyrights. Choyangbo, published from June 1906 to January 1907, was the first journal that examines intellectual knowledge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in modern Korean. Once Choyangbo was published, other similar academic journals, such as Taehanjaganghoewŏlbo and T'aegŭkhakpo, also began to be published. Although Choyangbo was not written by a specific intellectual group, it was seemingly affiliated with intellectual groups including Taehanjaganghoe and Hwangsŏngsinmun. Before the public sphere led by intellectual groups became popular, Choyangbo played a role as a public sphere by presenting important agendas to be discussed. Choyangbo was particularly unique in translating and creating of discourses related to enlightenment. This journal translated modern discourses and concepts, which are related to politics, economics, education, domestic economics, and literature, especially dealing with biographical writings and other short stories. The journal even further translated classical Chinese texts, while recontextualizing the context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Within this process, Choyangbo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traditional characters and literature. Through the translation, Choyangbo created new discourses while crossing over a border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discourses. 부산대 점필재 연구소에서 여러 선생님들의 노고로 출간된 『원문교감 조양보』 1․2와 『완역 조양보』 1․2(보고사, 2019)는 『조양보』 제1호부터 마지막 호인 제12호까지를 대상으로 원문을 교감하고 목차부터 광고와 판권 난까지 모든 내용을 ‘완역’하였다. 근대 계몽기 발간된 학보 중 첫 호부터 마지막 호까지 실린 모든 내용이 ‘완역’된 성과물은 부산대 점필재 연구소의 『조양보』 번역이 처음이다. 『조양보』는 근대 계몽기 최초의 지식종합잡지이고 1906년 6월부터 1907년 1월까지 발간된다. 『조양보』를 필두로 해 『대한자강회월보』, 『태극학보』와 같은 지식종합잡지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된다. 학회적 기반을 가진 다른 학보에 비해 『조양보』의 기반적 성격은 뚜렷하지 않지만 대한자강회-황신신문계열의 인사들이 주요 필진으로 참여하고 있고 문명에 관한 특정 관점을 공유하고 있어 이들과의 관련성을 유추해볼 수 있다. 대한자강회 또한, 이후 다른 학회가 생성되는데 주도적으로 참여한 인사들이 대거 속해 있어 『조양보』나 『대한자강회월보』는 지식인 공공영역이 본격적으로 분화되기 전 의제를 모으고 논의할 어젠다를 합의하는 통합적인 공공영역으로서의 성격을 띤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양보』는 복잡한 번역적 장에 놓여 있었다. 한문맥적 전통을 번역의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한문맥에 속한 담론들을 탈맥락화하여 새롭게 배치하는 시도를 적극적으로 하는 한편으로 새로운 근대적 담론들을 수용하고자 하였다. 문명주의에 관한 고토쿠 슈스이의 담론을 동아시아 문명주의와 결부해서 읽고자 하는 시도를 하였고 일본어로 번역된 「비스마르크 청화」와 「코슈트 헝가리 애국자 전」을 함께 배치함으로써 강대국과 약소국의 관계로 이분화된 국제 권력 구도를 균형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세계의 정세에 매우 민감하였고 당대 주요한 사건들에 관한 독자들의 투고나 기서들, 핵심 담론들을 다양한 문체와 형식으로 충실히 싣고자 하였다. 또한 번역과 수용과정에 있어 양계초의 소설관이나 문학론의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조양보』에서 번역은 과거를 해석하는 것, 근대를 번역해 들여오는 것, 해석하고 번역한 것들을 가공하여 사회에 전달하는 것, 여론으로부터 합의된 담론을 제시하는 것, 앞선 상황들이 서로 영향을 미쳐 다른 양상으로 발전해 가는 것 등을 포함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매체적 특징은 이후 학보에도 크게 영향을 미쳤고 공공영역의 분화와 발전에 기여하였다.

      • KCI등재

        근대계몽기 노동과 개인주의 발생 과정의 관련성에 대하여 -『태극학보』를 중심으로-

        전성규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9 사이 Vol.27 No.-

        The basic unit of labor is an autonomous individual. Many views of labor as a means of self-realization are also based on the premise of the birth of autonomous individuals.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two main reasons for the emergence of autonomous individuals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The first is the reorganization of the labor market arising from the primordial accumulation of capitalism, and the second is the concept of an individual affected by social evolution. Through a usage of the word labor in the writing “Labor and Life” of Tsunashima Ryosen translated in Taegeukhakbo, It can be found that the work was defined as a change and development of individuals and a state of constant movement. This situation is set in the background of the full-fledged labor market formation and the reorganization into a divided social structure since 1905. Individuals who have been divided from the existing community order have gained freedom, but have become individuals as wage workers, as free but poor workers. On the other hand, in order not to be culled from society, an individual of self-development and qualitative uniqueness was emerged. This is related to the creation of the concept of individual under the influence of evolutionary biology and social evolution. The discourse of education focused on physical education, which was emphasized by Taegeukhakbo, was a new way of teaching the world through human sensations and The use of subjective sensations allowed an individual to be unique. This paper attempts to show how the development of quantitative individualism and qualitative individualism, as Georg Simmel said, occurs through the modern enlightenment labor market and knowledge field. Below,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labor concept and combining it with other leading theorie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individual concepts. 노동의 기본 단위는 자율적 개인이다. 노동을 자기 실현의 수단으로 보는 많은 관점들 또한 자율적 개인의 탄생이라는 전제에 기반한다. 이 글은 근대계몽기 자율적 개인이 생겨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하고자 한다. 첫째는 자본주의의 본원적 축적 과정에서 생겨난 노동 시장의 재편이 그것이고, 둘째는 사회진화론에 영향을 받은 개인의 개념이다. 개인의 자기 보존을 종족과 사회, 더 나아가 국가의 보존과 밀접한 것으로 확대하는 사회진화론의 영향이 노동과 연결되는 지점은 노동을 개인의 변화와 발전, 끊임없는 운동, 움직임의 상태로 정의하는 『태극학보』 의 「노동과 인생」이라는 쓰나시마 료센(綱島梁川)의 글에서 노동이란 단어의 용례를 통해 확인된다. 이러한 상황은 1905년 이후의 노동 시장의 본격적인 형성과 분업화된 사회구조로의 재편을 배경으로 한다. 기존의 공동체 질서에서 떨어져 나온 개인들은 ‘자유’를 얻었지만 임금노동자로서, 자유롭지만 빈곤한 노동자로서 개인이 되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사회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해 스스로 끊임없이 자기 개발하여 질적 유일성을 띤 개인의 출현이 요청되었다. 이것은 진화생물학, 사회진화론의 영향 속에서 개인이라는 개념이 생성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태극학보』가 강조한 체육 중심의 교육 담론은 인간의 감각을 통해 세계를 접하도록 하는 새로운 교육 방식이었고 주관적 감각의 사용으로 개인은 개성과 같은 특이성을 띤 존재, 생존경쟁에서 경쟁력을 확보한 존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이 글에서는 짐멜이 말한 것과 같은 양적 개인주의와 질적 개인주의의 발생이 근대계몽기 노동 시장과 지식장을 통해 생겨나는 과정과 그 아래서 노동 개념의 확장되어 여타 다른 주도 이론과 결합하여 개인의 개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과정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거부당하는 주체로서 자기인식의 문제 - 김석범, 『1945년 여름』을 중심으로 -

        전성규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5

        This article analyses how the sensual depiction of violence and pain in Kim Seok-beom’s ‘Summer of 1945’ affects self-awareness and how an individual breaks through the behavioral restrictions it creates based on affect theory. Since Kim Seok-beom depicts the uniqueness of the physical pain of violence in a very specific way through his novel,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history of violence more closely. Kim Tae-jo, the protagonist of ‘Summer of 1945’, is subjected to indiscriminate lynching three times in his lifetime. In particular, the second assault clarifies an aspect of his relationship with society. Through this, Kim Tae-jo confirms that the affect of society, which he has been very ashamed of, is located within him. The unconscious action of power on the subject permeates into Kim Tae-jo’s self-awareness, and becomes the main factor causing a sense of rejection and the impossibility of action. The sense of ‘rejection’ he feels when he arrives in Joseon is reinforced and eventually forces him to return to Japan. Rejection here is the feeling of being specifically rejected by Joseon, and he feels rejected as he believes that the nature of Zainichi hidden within him is unacceptable in Joseon. Kim Tae-jo knows that if he wants to belong to Joseon, he must throw away the nature of Zainichi, but he feels that he is unable to do so. Thus, through dreams, a ‘context’ is created that allows the individuality that is not accepted in Joseon to belong to Joseon. However, many experiments end in failure. Nevertheless, Kim Tae-jo moves back to Joseon. This ‘transition’ is neither the transition as a “burnt corpse log” nor the transition as an empty self “with all intestines devoured”. Rather, it can be said that it is a transition by putting self-awareness behind and jumping. It’s about entering the world while keeping your body moving forward leaving behind the dream-like defense mechanism that blocks your actions. It can be called the subject action of recognizing oneself as a body that is becoming a new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