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2018년 국가수준 성인의 쓰기 능력 평가 결과 분석

        장지혜 ( Jang Jihye ),서보영 ( Seo Boyoung ),김종철 ( Kim Jongcheol )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1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에서 시행한 2018년 국민의 국어 능력 실태 조사 중 쓰기 영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는 만 20세~69세의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인구 분포 통계를 활용한 2단계 층화 표본 추출(stratified sampling) 방식을 적용하여 조사 대상의 대표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대, 지역 규모, 학력군, 직업군’의 5개 변인을 설정하여 각 변인별로 실제 인구 분포 비율에 비례하게 조사 대상이 표집될 수 있도록 표본을 추출하였다. 영역별 평균 원 점수는 쓰기 영역이 121.61(250점 만점)을 보였다. 조사 대상 국민의 평균적인 쓰기 능력은 2수준에 해당하며, 특히 2수준 이하 비율이 전체의 69.6%여서 전반적인 쓰기 능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는 2013년과 2018년의 조사도구 간 동등화를 바탕으로 연도별 국어능력의 결과를 상호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동백분위 동등화(equipercentile equating)의 방식을 통해 2013년과 2018년 국어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2018년도의 쓰기 영역 평균 점수는 2013년도 쓰기 영역 평균 점수 120.2와 비교하였을 때 약 1점 정도 상승하였다. 전체적인 평균은 2013년과 유사한 수준이나 3, 4수준의 비율은 소폭 증가한 반면 1수준의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아, 국민의 국어능력 중 쓰기 능력은 상하위 수준 집단 간 편차가 다소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상, 지역 규모별로는 읍면 지역, 직업군별로는 육체노동, 학력군별로는 고졸 미만에 우선적으로 정책적·교육적 대처가 요구되나, 그밖의 모든 집단에서도 2수준 이하의 비율이 60% 이상이므로 특정 집단이 아닌 대국민 쓰기 교육과 구체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네 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첫째, 다양한 쓰기 학습 기회 및 쓰기 능력 수준에 맞춘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둘째, 쓰기를 통한 사회적 참여를 통해 생애에 걸쳐 쓰기 능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장려. 셋째, 실제성이 확보된 조사 도구 및 최선의 수행을 이끌어낼 수 있는 조사 방법의 마련. 넷째, 피험자 변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책 마련의 토대 확보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discuss the results of the 2018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of adults, focusing on writing ability. This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0 adult men and women aged 20 to 69.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writing score was 121.61 in 2018, about one point higher than in 2013. This performance is generally very poor. In the 2018 survey, the cut-off score of the 2013 study was applied, but the score of the division was newly formulated through the equalization of the survey tools, and each grade was classified into levels 4, 3, 2, and 1. In addition, except for the variables newly introduced in 2018, the change in the participants’ language ability was confirmed based on the variables set in 2013, namely sex, age, regional scale, education, and occupation. In 2018, the ratio of level 1 increased(+9.4%p), so the order of ratio of levels 2, 1, 3, and 4, compared to the ratio of levels 2, 3, 1, and 4 in writing in 2013. The overall average was similar to that of 2013 but the ratios of levels 3, 4 increased slightly, and 1 increased greatly, indicating that there was a slight variation in the writing ability of the Korean adults. When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by variable and ranked according to their writing skills,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ir 20s, 30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ir 40s and 50s. In terms of region size,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the urban area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participants in rural areas. The ranking by occupation showed that the scores of mental workers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manual workers. Then, the ranking by education showed that university graduates had higher scores than high school graduates and middle school graduate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men and those of women.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 the following. First, to improve writing ability among the general public,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econd,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writing should be encouraged at the national level and people should be encouraged to use their writing skills throughout their lifetime. Third, a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to improve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authenticity of the evaluation. Finally, the subject variables should be closely analyzed to inform policy-making.

      • 공공 분야의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위한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장지혜 ( Jihye Jang ),이석주 ( Seoukju Lee ),백두권 ( Dookwon Bai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1

        정부는 K-ICT 클라우드 활성화를 위해 정부 3.0 클라우드 추진 계획을 발표하고 관련 제도와 법률을 제정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 분야의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은 기존의 법률, 제도, 관행의 통제로 인해 미미한 실정이다. 공공 기관의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부분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성능과 품질 등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을 알아야만 적격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자 선정이 가능하게 된다. 유럽 연합(European Commission)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을 서비스 성능과 품질에 대한 일반특성, 기술성, 경제성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설계 시 공공 기관 담당자는 클라우드 특성의 각 부문별 하위 항목에 대한 상세한 내용과 수준까지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성능과 품질 및 기술 특성을 파악하여 각 특성에 대한 가중치를 구하고 우선순위 측정을 통해 사업자 선정을 위한 평가 기준으로 적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 인공지능 스피커의 정서별 감정발화에 따른 사용성 평가

        장지혜(Jang JiHye),주다영(Da Young Ju)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최근 AI 스피커를 통해 대화형에이전트의 보급률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 기기의 일상적인 대화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고, 이는 대화형 에이전트와의 감성적 관계 형성에 방해요소가 될 수 있다. 인간과 깊은 의사소통을 위해 감정적 표현이 필요하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여러 정서를 갖고, 이를 표출하는 AI 스피커에 대한 사용성 평가 및 분석을 하였다. 이에 따라 감정표현을 하는 AI 스피커에 대한 사용성은 성별, 나이, 보유 여부 등과 상관성이 낮았고, 죄책감에 대해 감정표현을 하는 AI 스피커의 사용성이 비교적 낮았다. 또한 AI 스피커와의 관계 형성 가능 여부를 묻는 가치성 척도와 다른 사용성 척도들은 상관성을 보였지만, 경멸에 대한 감정 표현의 가치성과 유용성의 상관성은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서별로 AI 스피커의 감정표현에 대해 개인마다 다른 선호를 보인다는 점과 각 정서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AI 스피커의 감정 표현 정도가 다르다는 점 확인하여, AI 스피커의 감정표현에 대한 사용자 개인 맞춤화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감정 표현을 하는 AI 스피커가 사용자의관계 형성에 용이하고, 나아가 친밀한 관계로 발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EFL 학습자들의 쓰기 불안이 영어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장지혜(Jihye Jang),나경희(Kyeong-Hee Rha) 한국중원언어학회 2014 언어학연구 Vol.0 No.3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ffect of English learners" writing anxiety on their writing performanc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examined in particular: Wa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writing apprehension, negative perception, fear of evaluation, and avoidance, on overall writing performance? To answer this, question 42 pieces of writing collected from 14 students were evaluated by the above four criteria of anxiety. Also, a writing apprehension survey was administered to those 14 English learners who performed English writings. The analysis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writing anxiety and students" writing performance. That might mean that teachers should try to provide less evaluated, comfortable, non-defensive atmosphere for English learne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English writing instructions in the classroom.

      • KCI등재

        부산지역의 다문화웨딩디렉터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기초연구

        장지혜(Jang Jihye),황미혜(Hwang Mihye),로리타(LOLITHA SAUR ANDRAWINA)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첫째, 다문화배우자들의 경제·사회적으로 안정된 정착을 위한 직업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둘째, 향후 결혼을 하려는 다문화 예비 신랑··신부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웨딩 전문가를 양성하며, 셋째, 이들이 결혼생활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다문화웨딩디렉터를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목표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역할이론을 근거로 하여 다문화배우자들과 웨딩업 이해종사자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배우자들의 전문 지식수준과 웨딩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웨딩업 이해종사자들이 제안하는 다문화웨딩디렉터로서의 역할에 부합되는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할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문헌연구를 통해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을 정규 교육기관과 비정규 교육기관으로 분류하여, 각 기관별 교육과정 실태와 관련 자격증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 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통적인 교육과정을 주제별로 분류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웨딩디렉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plans for secure settlements of solution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out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in role theory. The major results from analysis of qualitative interview are as follow classified that educational institution is accomplished Wedding Director training to divide into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 and irregular educational institution to evaluate status of each agency training cour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s of multicultural family professionalism standards and educational programs. Therefore, after examining the curriculum of the current wedding director education institution against a theoretical background, we categorized the common curriculum conducted by each institution by subject. Based on these results, we develop systematic and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for proceeding effectively Multicultural Wedding Director training to reflect incumbent Multicultural Wedding Director educational needs when we exploit Multicultural Wedding Director training programs.

      • 전라북도 만감류의 경쟁환경 및 소비자 평가 결과 분석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노재종(Jaejong Noh),장지혜(Jihye Jang),양진호(Jinho Yang),이정임(Jeonglim Lee),고연실(Yeonsil Ko),최혜진(Hyejin Choi),김홍기(Hongki Kim),김경도(Kyungdo Kim),최초롱(Chorong Choi)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서 재배하는 만감류의 산업경쟁 환경과 재배 및 경영환경, 소비자 평가 결과 분석을 통하여 전라북도 만감류의 위치를 정립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라북도의 만감류 재배면적은 2019년 28.6ha로 추정되고 있으며 전국 재배면적의 1% 미만으로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새로운 소득작목으로 대두되고 있다. 전라북도 내 농가들의 만감류 재배동기는 지역특산품 발전가능성(53.3%)과 수익성(30.0%), 소비트랜드(13.4%) 반영 순이었고, 생산된 만감류의 판매는 직거래(50.7%) 및 로컬푸드 직매장(31.8%)에 주로 하고 있었다. 판매가격은 인근 농가와 비슷하게(58.1%), 시장가격 반영(35.5%) 순으로 결정하였으며, 재배기술과 성목이 되기까지 자금부족 등이 주로 문제가 되었으며, 기술상의 해결방식은 주로 선도농가의 도움을 받아 해결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라북도 만감류의 산업경쟁환경 요인 분석결과, 도내 신규 진입자의 증가가 예상되며 초기자본 투자 부담이 높았고, 재배농가간 동업자 의식과 결속력이 강하며 농자재 구입시 선택폭이 넓었으며, 출하시기에 대체 과일이 많아 싼 가격에 편리하게 구입 가능하였고, 전북생산 만감류에 대해 기존 유통망에서 반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타지역 생산 만감류는 재배면적과 생산량 증가가 예상되며, 표준화 및 규격화가 잘 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재배 및 경영 환경 분석 결과, 전라북도내 생산 만감류는 품질과 가격에 대해 소비자 만족도가 높았으며, 생산농가의 노력이 많았고 경영 및 마케팅 교육에 관심도 높았지만 타지역에 비해 규모, 자금력이 낮고 마케팅 기법은 초보적이며 시장 점유율이 낮았다. 차별화 전략으로는 고품질 특성을 활용하여 직거래 판매방법 다양화 및 공동선별 확대로 고품질 대량선별․ 유통으로 프리미엄급 이미지를 높이고, 농촌진흥청, 한국식품연구원 등과 연계하여 품질향상 및 마케팅 기술, 가공에 대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도권 소비자와 도매시장 중도매인을 대상으로 품질평가를 한 결과 전라북도 만감류는 시중판매 상품에 뒤지지 않는 상품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한라봉은 적기에 출하하고 천년항(‘천혜향’의 전라북도 브랜드명)은 씨앗 발생에 대한 재배기술 보완이 필요하며, 홍예향(‘레드향’의 전라북도 브랜드명)은 맛과 품질이 탁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와 같은 조사 및 분석 내용을 종합한 결과, 전라북도 만감류는 아직까지 지역에 맞는 표준 재배법 미정립 등으로 대형 마트, 공판장의 기준을 충족하기 어려워 재배법 확립을 통한 품질 균일화와 물량확보 등이 될 때까지 개별 직거래 및 로컬매장 유통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생산량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유통체계 개선이 필요하고, 광역 공선회의 활성화와 농가의 참여 유도 및 농협의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소비자 평가가 우수한 홍예향과 한라봉을 우선하여 전라북도에 맞는 재배 매뉴얼을 제작 보급하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수량성 향상 및 품질 균일화 노력과 아울러 병해충종합관리기술, 난방비 절감, 기계화 및 자동화를 통한 생산비 절감 기술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당도, 씹힘성 등 다양한 품질분석을 통해 전북 만감류의 우수성을 널리 홍보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1세대 스마트팜 기술도입 수경재배 딸기 손익분기 분석

        김홍기(Hongki Kim),노재종(Jaejong Noh),장지혜(Jihye Jang),양진호(Jinho Yang),이정임(Eonglim Lee),고연실(Yeonsil Ko),최혜진(Hyejin Choi),김경도(Kyungdo Kim),최초롱(Chorong Choi),서혜련(Hyelyeon Seo)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1세대 스마트팜 기술도입에 따라 수경재배를 하는 딸기재배 농가에서 스마트팜 기술을 도입 후 생산비 분석을 통하여 스마트팜 기술도입에 따른 손익분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스마트팜 기술도입 농가의 경영성과 분석은 농촌진흥청의 농산물 소득조사․분석의 기준을 적용하여 연1기작 10a를 기준으로, 총수입, 경영비, 생산비 분석을 실시하고 손익분기와 단가 변동에 따른 시나리오별 손익분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1세대 스마트팜 기술도입 수경재배 딸기의 10a당 생산비 분석 결과, 수량은 4,105kg, 총수입 4,479,388원, 경영비 24,732,015원, 생산비 38,922,268원으로 분석되었다. 생산비 구성은 자가노동비 27.4%, 기타재료비 20.5%, 영농시설 상각비 12.6%, 종묘비 11.5%, 고정자본용역비 8.0%, 대농구 상각비 7.0, 수도광열비 4.6% 순이었다. 생산비 중 중간재비는 60.1%를 점유하며, 경영비는 63.5%를 점유하고 있다. 1세대 스마트팜 기술도입 수경재배 딸기 10a당 손익분기 분석을 위하여 생산비 항목 중 유동비는 생산비에서 고정비를 제외하며, 고정비는 생산비 중 대농기구 상각비, 영농시설 상각비, 수리․ 유지비, 자가노동비, 고정자본 용역비, 토지자본 용역비를 포함한다. 고정비는 생산비에서 유동비를 제외하며, 유동비는 생산비 항목 중 종묘비, 비료비, 농약비, 수도광열비, 기타재료비, 소농구비, 기타비용, 임차료, 위탁영농비, 고용노력비를 포함한다. 손익분기 총수입 분석은 고정비/1-(변동비/총수입)으로 계산되며, 손익분기 생산량 분석은 고정비/(가격-단위당 유동비)로 분석된다. 손익분기 분석을 위하여 항목 분석결과, 유동비는 16,980,166원, 고정비는 21,942,102원이며, kg당 단가를 8,419원을 기준으로 손익분기 총수입은 43,135,739원, 손익분기 생산량은 5,124kg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kg당 단가 변동에 따른 시나리오별 손익분기 분석 결과, 손익분기 총수입 43,135,739원을 달성하기위한 손익분기 수량은 kg당 단가 8,500원의 경우 5,075kg, 단가 9,000원의 경우 4,793kg, 단가 9,500원의 경우 4,541kg, 단가 10,000원의 경우 4,314kg, 단가 10,500원의 경우 4,108kg, 단가 11,000원의 경우 3,921kg, 단가 11,500원의 경우 3,751kg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Usage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n Vietnamese-Korean Bilingual Compared to Korean Monolingual Families

        김선경(Seonkyeong Kim),유수화(Su Hwa Yoo),장지혜(Jihye Jang),조윤주(Yunju Cho),양윤희(Yoonhee Ya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어-한국어 이중언어 및 한국어 단일언어를 사용하는 어머니와 자녀의 의성의태어 사용 양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베트남어-한국어를 사용하는 다문화 아동 13명, 어머니 8명, 한국어를 사용하는 한국인 아동 14명, 어머니 11명이 참여하였다. 아동들은 만 3-6세로, 표준화 검사로 측정한 어휘능력에 집단 간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설명과제(사물, 소리동작)와 연상과제가 사용되었다. 결과: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는 한국어만을 사용하는 단일문화 가정의 어머니에 비해 그림설명과제(사물, 소리동작)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 및 단일문화 가정 아동의 사물을 설명하는 그림과제 수행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소리동작을 설명하는 그림과제 수행에서는 다문화 가정 아동이 단일문화 가정의 아동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연상과제에서는 다문화 및 단일문화 가정의 어머니 및 아동 모두 정확도와 반응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다문화 가정과 단일문화 가정 아동은 표준화 어휘검사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두 집단의 어머니와 아동 모두는 의성의태어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어에서의 의성의태어는 특히 초기 아동기 시기에 중요한 특징을 지니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을 촉진하는 데에 의성의태어가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using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in Vietnamese-Korean bilingual and Korean monolingual mothers and children. Methods: Twenty-one Vietnamese-Korean (V-K) families (13 children and 8 mothers) and 25 Korean (K) families (14 children and 11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ildren were aged from 3;0 to 6;1 (in year;month),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ir vocabulary scores. We used a picture-explaining task (which is divided into the object task and the sound-action task) to investigate how participants perform differently when describing pictures depicting objects and movements. Additionally, we conducted a picture-association task to choose the correct picture from four options through listening to the auditory stimuli of recorded words as quickly as possible. Results: V-K bilingual moth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on the picture-explaining object and sound-action task than K monolingual moth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K bilingual and K monolingual children in the picture-explaining object task. In the picture-explaining sound-action task, however, V-K bilingual children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K monolingual children. In the picture-association task,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uracy and reaction times between V-K bilingual and K monolingual mothers and children. Conclusion: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anguage abilities of the two children groups, both mothers and children in bilingual and monolingua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ing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herefor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a unique characteristic of Korean and are important for efficient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