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자율주행 공기청정기 시스템 개발

        임아연,신효진,정의훈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2 No.2

        최근 미세먼지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공기청정기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자율주행 공기청정기 시스템에 관한 연구 개발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스마트 자율주행 공기청정기는 기존 공기청정기의 표준사용면적의 한계를 개선하고 효율적으로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자율주행 공기청정기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모바일 앱(App)과 웹(Web)기반 프로그램을 같이 개발하였다. 앱을 통해 3가지공기 정화 모드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고, 웹을 통해 어디서나 공기오염도에 대한 통계 수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시험을 통해 제안된 스마트 자율주행 공기청정기가 기존의 공기청정기보다 더 효율적임을 보였다. Recently, since fine dust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air purifiers are in the spotlight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is. Therefore, in this paper, we conducted R&D on the Smart Autonomous Moving Air Purifier System. The developed Smart Autonomous Moving Air Purifier can improve the limitations of the standard used area of existing air purifiers and perform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efficiently. In addition, we developed App and Web-based programs together for convenient use of Smart Autonomous Moving Air Purifier. Easily operate three air purification modes (Selection mode, Autonomous highest zone mode, Autonomous instant purification mode) through the App and conveniently monitor statistical values (Recent data, Total data, Warning) anywhere through the Web. And, we showed through test that the proposed Smart Autonomous Moving Air Purifier is more efficient than existing air purifiers.

      • Electrochemical synthesis of ordered TiO2 nanotube arrays with modified surface morphologies

        임아연,강진수,정주원,김진,손윤준,성영은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TiO2 는 강한 촉매 활성, 전자-전공의 긴 수명, 높은 화학적 안정성, 풍부함, 가격경쟁력 등의 많은 장점들을 가지기 때문에 물분해의 광촉매, 태양전지 등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특별히 일차원 구조의 TiO2 는 빛에 의해 생성된 전하 이동을 촉진하여 전하가 빠르게 수집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Nanotube, Nonowire 등의 일차원 TiO2 구조를 활용한 전극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합성방법으로TiO2의 구조변환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반적인 TiO2 Nanotube 합성방법과 다르게 열처리를 이용하지않고 anatase결정구조를 가지는 TiO2 Nanotube를 시간, 안정화조건, 온도 처리 등의 조건을 바꾸어가며 추가적인 이온처리를 통해 합성하였다. 이를 통해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촉매적 활성을 높이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A study on electrode fabrication and operation variable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anion exchange membrane water electrolysis

        임아연,김형준,Dirk Henkensmeier,유성종,김진영,이소영,성영은,장종현,박현서 한국공업화학회 2019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76 No.-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ter electrolysis has been proposed to address production of high purityhydrogen for storage of excess renewable energy. Among them, alkaline electrolyte membrane based waterelectrolysis (AEMWE) has an advantage in the aspect of material costs, e.g. from non-noble catalysts andmembrane, but suffers from lower performance compared to proton exchange membrane based waterelectrolysis (PEMWE). However, there are fewer researches on single cell MEA and operation studycompared to material research to enhance AEMWE performance. Here, we analyze the effect of the cellconstruction and operation factors, i.e MEA pressing, torque of cell assembly, electrolyte pre-feed methods,and operation temperature, to obtain high performance in AEMWE single cell operation. 97.5 % currentimproves at 1.8 V by applying optimized torque. 94 % decrease of ohmic resistance are achieved fromelectrolyte pre-feeding. 50 mA cm 2 of current density is enhanced at 0.591 V of overvoltage per 10 Ctemperature increasedue to higherionic conductivityandreaction kinetics.Thesefactorssignificantlyaffectinternal factors such as not only material property during operation but also, catalysts structure and contactin MEA, leading 4.3 times progress of current density from 0.242 to 1.045 A cm 2 at 1.8 Vcell.

      • 태백지역의 캄브리아-트라이아스기 퇴적암에 대한 고자기 연구

        김인수,임아연 부산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3 부산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Vol.13 No.-

        연구지역은 강원도 태백시 일원으로 옥천비변성대내 두위봉형 퇴적분지의 일부이다(지리상 중심좌표 : 37°07'N, 129°01'E). 이곳에서 결층인 사일루리안-데본기 지층을 제외한 캄브리아-트라이아스기의 주요 지층들을 망라하여 17곳으로부터 총 120개에 이르는 정향 착공시료를 채취하고 고자기연구를 실시하였다. 각 지층의 잔류자기 성분들을 분리해내기 위하여 세심한 단계적 교류자기세척실험과 열자기세척 실헙을 실시하였는데, 후자가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세척실험이 실시된 개별 시편들로부터 특성잔류자기(ChRM) 만을 본 논문에서의 논의대상으로 하였다. 각 지층들로부터 구해낸 특성잔류자기 중 석탄기와 페름기의 것은 습곡검사와 역자화검사를, 캄브리아와 트라이아스기의 것은 역자화 검사를 통과하는 일차잔류자기이다. 반면 오도비스기의 것은 습곡검사를 통과하지 못하여 이차잔류자기의 의심을 배제할 수 없다. 일차잔류자기의 복각값으로부터 계산된 고위도는 캄브리아기에 북위 8.5±6.6°, 석탄기에 남위 3.0±5.5°, 페름기에 북위 약 14.9±6.7°,트라이아스기에 북위 약 22.6±4.2°로서 태백지역이 캄브리아-석탄기동안 적도근처에 머물어있다가 그 후 빠른 속도로 북상하였음을 지시한다. 한편 각시대별 자극의 위치를 중국대륙의 것들과 비교하여 보면, 초기 고생대동안 태백지역은 북중국지괴에 근접하여 있었으며 페름기에 와서는 남중국 지괴에 접근 또는 응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구식물학적 연구에 의하여 페름기 카자니안(Kazanian)으로 알려져 있는 도사곡층과 고한층에서는 정자화가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이 지층들의 연령이 보다 젊은(<248 Ma) 타타리안 (Tatarian)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study area is a part of the "Tuwibong type" sedimentary basic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Okch'on Belt. A total of 120 oriented samples were drilled from 17 sites covering most of important straigraphic units o Paleozoic Ear and Triassic period, excepting the Silurian and Devonian strate which are mising in the study area. The most effective way of seerating constituent remanence components was thermal demagnitization. The only characteristic remanent magnetizations (ChRMs) obtained through individual stepwise demagnetization experiments were considered in this paper. THe ChRMs isolated from the Carboniferous and Permian strate passed fold and rebersal tests, indicating pro-folding promary magnetization. The ChRMs from the Cambrian and Triassic strata passed reversal test. Fold test, however, was inapplicable to these strate because of homoclinal attitudes of the strata in the area. Ordocician data failed both fold and reversal tests. Paleolatitudes and paleomagnetic pole positions calculated from the mean primary magnetiztions give the follwing informations : The study area was located at 8.5±6.6°N, during the Cambrian, at 3.0±5.5°N, during the Carbonierous, at 14.9±6.7°N, during the Permian, and at 22.6±4.2°N during the Triassic time. A comparison with Chinese mainland data indicates that the study area might have lain naer the North China Block during the early Paleozion time, and approached to or collided with the South China Block by the Permian time. Based on plant fossils, Kazanian(Permian) age has been assigned to the Tosagok and Kohan Formations in the area. Because this study reveals prevalent normal magnetic ploarity in the strata, Tatarian(<248 Ma) age seems to be most appropriate for the strata.

      • Highly efficient tungsten carbide counter electrod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김진,강진수,최정우,정주원,임아연,손윤준,성영은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염료감응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s)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변환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염료감응태양전지의 작동전극으로는 염료가 흡착된 TiO<sub>2</sub>를 사용하게 되고, 염료를 통해 흡수된 빛에너지로부터 전자가 생성되고 이 전자는 외부회로를 통하여 상대전극에 도달하게 된다. 상대전극은 전자를 받아 redox couple을 환원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전기전도성이 높고 촉매활성이 뛰어난 백금상대전극을 사용한다. 하지만 실질적인 염료감응태양전지의 대량생산과 상용화를 위해서는 noble metal인 백금을 대체할 수 있는 상대전극이 필요하게 된다. 백금전극을 대체할 물질로는 carbon materials, conducting polymer, transition metal compound 등 여러 대체 물질들이 연구가 되었다. 이번 실험에서는 전기화학적으로 합성한 Tungsten carbide를 상대전극으로 사용하여 전기화학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 Electrochemically synthesized SnO<sub>2</sub> nanochannel arrays as photoanod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강진수,김재엽,김진,정주원,임아연,손윤준,고민재,성영은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태양전지 중 한 종류인 염료감응태양전지(DSC)는 저렴한 제조단가와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실리콘 및 박막 태양전지에 비해 성능이 낮아 제한적인 부분에서만 상용화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DSC의 성능을 제한하는 요소는, DSC에서 광전극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TiO<sub>2</sub>의 전자 전도도가 낮아, 생성된 고에너지 전자가 집전체에 도달하여 실제 전기에너지로 전환되는 비율이 높지 않다는 부분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극을 1차원 구조로 제조하여 전자의 이동거리를 줄이는 등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획기적인 성능 향상을 이루고 있지는 못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TiO<sub>2</sub>보다 전자 전도도가 좋은 SnO<sub>2</sub> 광전극을 나노채널 구조로 제조하여 DSC의 광전극으로 사용하여 다른 반도체 물질로 TiO<sub>2</sub>를 대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해보았으며, SnO<sub>2</sub> 전극에 TiO<sub>2</sub>를 얇게 코팅하여 전해질과 전극 사이의 계면에서 일어나는 부반응을 최소화함으로써 성능을 높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