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리도를 활용한 국민청원 토픽 모니터링 연구

        이희연,최지은,이성임,손원,Lee, Heeyeon,Choi, Jieun,Lee, Sungim,Son, Won 한국통계학회 2021 응용통계연구 Vol.34 No.5

        Recently, as text data through online channels have become vas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research that summarizes and analyzes them. One of the fundamental analyses of text data is to extract potential topics. Although the researcher may read all the data and summarize the contents one by one, it is not easy to deal with large amounts of data. Blei and Lafferty (2007) and Blei et al. (2003) proposed topic modeling methods for extracting topics using a statistical model. Since the text data is generally collected over time, it is worthwhile to monitor the topic's chang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topic index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opic model. In addition, a control chart, a representative tool for statistical process management, is applied to monitor the topic index over time. As a practical example, we use text data collected from Blue House National Petition boards between March 5, 2018, and March 5, 2020. 최근 온라인 채널을 통한 텍스트 자료가 방대해 지면서 이를 요약하고 분석하는 연구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먼저 텍스트 자료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 중 하나는 어떤 주제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잠재된 토픽을 추출하는 것이다. 연구자가 일일이 모든 자료를 읽고 내용을 요약할 수도 있겠지만,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에는 결코 쉽지 않기 때문에, 통계적 모형을 사용하여 토픽을 추출하는 토픽모형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Blei와 Lafferty, 2007; Blei 등, 2003). 시간에 따라 수집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토픽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 디리슈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모형을 통해 토픽을 분류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 토픽 지수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통계적 공정관리의 대표적 도구인 관리도에 적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토픽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데 적용해 보았다. 실제 데이터로 2018년 3월 5일부터 2020년 3월 5일 사이에 청와대 국민청원 온라인 게시판에 접수된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토픽 지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토픽에 대한 이상변화를 탐지할 수 있음을 살펴 보았다.

      • 건강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학교 복귀를 위한 학습지원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연구

        이희연(Heeyeon Lee),이대식(Daesik Lee),김수연(Sooyeon Kim),신재현(Jaehyun Shin),이은영(Eunyoung Lee),박인숙(Insook Park)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적인 질환으로 3개월 이상의 장기결석 상태로 치료를 받은 후 학교로 복귀하는 건강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학교 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학급지원 멘토링 프로그램의 활동사례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학교 복귀를 위한 건강장애 학생의 학습지원요구 및 지원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가자는 교대에 재학 중인 6명의 예비교사(멘토)와 5명의건강장애학생(멘티)으로 구성되었다. 멘토링은 2018년 6월~11월까지 한 학기동안 건강장애학생이 소속된 학교에서 주 1회, 회기당 2시간, 총 3회기~17회기에 걸쳐서 개별학생의 건강상태 및 출석율에 따라 개별적으로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멘토의 학습지원 일지, 멘토링 소감문, 멘토와의 개별면담, 평가회를 통한 집단면담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학습지원 멘토링은 국어, 수학, 과학, 진로 등의 영역에서 진행되었으며, 학교 현장의 협력과 지원 및 멘토와 멘티의 경험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멘티는 멘토링 초기에 낮은 학업적 자신감과 낮은 에너지·동기 수준을 보였다. 학습지원 멘토링의 어려움은 학생의 낮은 결석, 낮은 에너지 수준, 시공간·거리상의 제약 등으로 나타났다. 학습지원 멘토링의 지원요구로는 좀 더 지속적인 멘토링 제공,멘티의 학업 수준에 대한 정확한 진단, 학습지나 지도안 제공 등에 대한 요구가 제시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건강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학교복귀를 위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이와 관련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들이 실행되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 상담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이희연(Lee Hee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20년 동안 실행되어 온 지적장애인 대상의 미술치료중재연구의 동향을 분석해 보고 교육현장에 미치는 시사점과 발전방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데이터베이스의 등재지와 등재후보학술지에서 1998년부터 2017년까지 ‘미술치료’, ‘지적장애’, ‘정신지체’, ‘발달장애’, ‘상담’ 등의 주제어로 검색된 논문들을 선정ㆍ제외기준에 따라 검토하여 총 55편의 연구들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들은 게재연도 및 학술지, 연구자 전공, 연구 방법, 변인, 중재 환경 및 회기별로 분석되었다. 연도별로는 2001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평균 3편(범위: 2-7편)의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학술지별로는 ‘미술치료연구’ (34.55%)에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연구자들의 전공은 치료분야 전문가의 비율이 (61.82%)로 현저히 높았다. 연구 방법별 분석결과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와 사례연구가 동일한 비율(각 34.55%)로 많이 사용되었다. 분석대상 연구들의 독립변인인 미술치료프로그램은 개별치료(34.55%)보다 집단치료(65.45%) 방식으로 많이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매체와 기법을 사용하는 혼합기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종속변인별 분석 결과, 정서 및 사회성 발달(75.36%)을 지적장애인 대상 미술치료중재의 종속변인으로 보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중재 환경별로는 특수학급이나 특수학교 교실(41.82%)에서 이루어진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센터나 병원 내 치료실 (34.55%)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중재 회기는 11~20회기(62.97%)가 과반수이상으로 현저하게 많았고 회기 당 중재시간은 51~60분(27.6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art therapy program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last 20 years, an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 total of 55 research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using the keyword of ‘art therapy’, ‘intellectual disabilities’, ‘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ounseling’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 database system from 1998 to 2017.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by publication year and journal, a researcher’s major, research method, variables, session environment and duration. By year, the average three articles (range: 2-7) were published every year from 2001 to 2017, and the most frequently published journal was ‘art therapy research’ (34.55%). Most researchers majored in the field of therapy(61.82%). By research method, one-p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case-study were frequently used in the same ratio (34.55% for each). By independent variable, group art therapy(65.45%) was more performed than individual art therapy(34.55%) and most studies used mixed art techniques using various materials. By dependent variable, a participant’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75.36%) was the most dependent variable of art therapy program for people with intellectuals disabilities. By intervention environment, the most frequent cases wer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or special school classrooms (41.82%), followed by the child development center or hospital(34.55%). The total of 11~20 sessions(62.97%) was the most common and the intervention time per session of 51~60 minutes(27.67%) was significantly high.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study.

      • KCI등재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의 한국어 합성음 청취속도 연구

        이희연(Lee, Heeyeon),홍기형(Hong, Ki-Hyung) 한국음성학회 2013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ximum and optimal listening speed of Korean TTS for the blind. Five blind participants took part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17 sentence sets (2 sets for an excercise, 10 sets for a repeated test, and 5 sets for a random test), with short meaningful sentences (the same sentences for the repeated test, different sentences for the random test) with 15 differentiated speeds (Range=0.8-3.6, SD=0.2). Each participant’s maximum and quickest listening speeds were calculated by objective recall accuracy (determined by the number of correctly recalled syllables/the total number of syllables in a sentence X 100) and subjective recall accuracy (recall accuracy judged by each participant’s subjective eval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recall accuracy ha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TTS speed decreased. Participants’ subjective recall accuracy was higher than objective recall accuracy in the repeated tests and vice versa in the random test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sentence familiarity had an influence on their Korean TTS listening speed.

      • KCI등재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에 대한 일반학교 관리자의 인식 및 관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희연(Lee, Heeyeon),표윤희(Pyo, Yun-Hui),김경양(Kim, Kyung Ya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 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급이 시범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인천광역시 학교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인식과 경험 및 지원요구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중도 중복장애학생 통합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학교 관리자 총 10명으로 교육청의 추천을 받아 목적표집을 통해 선정되었다. 연구방법: 학교 관리자의 중도 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실태, 지원요구 등을 조사하기 위해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면담이 실행되었으며, 각 면담시간은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학교 관리자들은 중도 중복 장애학생을 처음 접했을 때 놀라움, 당황함, 두려움 등을 느꼈으나 일부 관리자는 본인의 선입견과는 달리 밝고 희망적인 인상을 받았다. 현재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 및 통합교육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만족도는 학교 급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초등학교 관리자들은 대부분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 및 통합교육에 만족하였으나 중학교의 경우에는 만족도가 낮았다.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의 어려움으로 학교 관리자들은 물리적 환경, 시설, 교재 및 교구의 미비함, 통합학급에서의 문제행동, 인적 재정적 행정적 지원 미비, 학부모들의 과다한 요구 등을 제시하였다. 학교차원의 교육계획 시 중도 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활동들은 학교 관리자 차원보다는 특수교사의 주도하에 학교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일반학교 관리자의 경험과 인식 및 지원요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졌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chool administrators’ experiences in a special education classroo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way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A total of 1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dministrators who had a special classroo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through purposive sampling. Results: The results presented the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about th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urrent practices, and requirements to facilitat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to facilitat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al Emotion Identification Abilities and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A Pilot Study

        Lee Heeyeon(이희연)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를 가진 아동들이 다른 사람의 얼굴표정에 나타난 감정을 올바로 인식하는 능력과, 부모와 선생님들에 의해 평가된 그 아동들의 사회성 기술이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는 지적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감정인지 능력과 사회성 기술이 대상아동들의 지적 능력, 나이, 성별, 통합 수준과 같은 다른 변인들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한다. 본 연구의 참가대상은 6에서 10살 사이의 미네소타 지역에 살고 있는 지적장애를 가진 16명의 초등학생들과 그 학생들의 부모와 특수교사들이다. 참가아동의 감정인식 능력은 Diagnostic Analysis of Nonverbal Accuracy-Revised, (DANVA-2, 성인 얼굴)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는데 참가아동은 컴퓨터 모니터에 나타난 각 사람의 얼굴사진을 보고 사진속의 사람이 행복해 보이는지, 슬퍼 보이는지, 화가 난 것처럼 보이는지 무섭거나 두려운 것처럼 보이는지 말하도록 요청되었다. 참가아동들의 사회성 기술은 그 아동들의 부모와 특수교사들이 0-2까지의 Likert 스케일을 사용하여 대상 아동의 사회성과 문제행동을 평가하는 Social Skills Rating System(SSRS) checklist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참가아동의 감정인식 능력, 사회성 기술, 그 이외의 다른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적장애를 가진 참가아동들의 감정인지 능력과 그들의 사회성 기술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참가학생들의 감정인식 능력은 그들의 지적 수준(IQ)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모들이 평가한 참가아동들의 문제행동 점수들은 아동들의 나이와 연관을 나타내었다. 참가학생들의 일반학급에의 통합수준은 그들의 감정인지 능력이나 사회성 기술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본 연구의 연구대상 규모가 작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들을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연구이므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인관관계로 해석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더 많은 수의 지적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facial emotion identifica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correlated with their social skills as rated by their teachers and paren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relationships among the children’s emotion identification skill, social skills, and other variables including IQ, age, gender, and the level of inclusion. Participants were 16 children identified with ID between the ages of six to ten years, 16 teachers, and 14 parents. Participants’ facial emotion identification abilities were measured by a computer version of the Diagnostic Analysis of Nonverbal Accuracy-Revised (DANVA-2, adult faces) and their social skills were measured by parents’ and teachers’ ratings of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checkli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emotion identification abilitie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social skills rated by their pare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re was inconsistency between parents’ ratings and teachers’ ratings of the participants’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rs. Participants’ IQ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emotion identification abilities and their problem behaviors rated by parents were related to their age. This study had a small sample size, so generalization of the findings is limited. Thus, further study needs to be directed at replication of this study using a larger sample of children with ID.

      • KCI등재후보

        태블릿 PC 기반 한국형 하이테크 AAC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평가

        이희연(Heeyeon Lee),홍기형(Ki-Hyung Hong)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장애인을 위한 태블릿 PC기반 한국형 하이테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소프트웨어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언어 및 문화적 상황과 의사소통장애인의 요구에 적합한 ACC기기를 개발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과제분석을 통해 선정된 시나리오 평가를 통해 한국형 하이테크 AAC 소프트웨어의 기능들(중도 지적 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판, 존대, 시제, 부정, 주부와 술부 연동, 자동문장생성)의 필요성과 용이성을 평가하였고, 반구조화된 질문들과 개방형 질문들을 통하여 전반적인 기능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한 잠재적인 사용자의 선호도, 만족도를 평가하고 추가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본 사용성 평가에는 특수교사 9명, 언어치료사 6명,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아동의 학부모 6명으로 구성된 총 21명의 잠재적인 AAC사용자가 참여하였다. 태블릿 PC기반의 한국형 하이테크 AAC의 사용성 평가 결과, 대부분의 응답들이 5점 척도에서 4이상의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나, 시제와 부정 기능의 필요성과 실행 용이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시제/부정 기능과 존대 기능간의 비일관적인 작동방식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각 기능들의 UI 측면에서는 시각적인 피드백 강화, 기능키들의 작동방식의 일관화, 자연스러운 어휘 연동, 상징 내 텍스트의 띄어쓰기 등과 같은 요구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사용성 평가 결과 및 잠재적 사용자의 피드백은 기존 ACC의 기능 및 UI의 개선과 보완을 위한 지침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tablet PC-based Korean high-tech AAC(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software. In order to develop an AAC software which is appropriate to Korean cultural/linguistic context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are required in native Korean communication, such as polite expressions, tense expressions, negative expressions, subject-verb auto-matching, and automatic sentence generation functions, using a scenario-based user testing. We also investigated the users" needs,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for the tablet PC-based Korean high tech AAC using a semi-structured and open questionnair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 special education teachers, 6 speech therapists, and 6 parents whose children had communication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ing of the tablet PC-based Korean high-tech AAC software presented positive responses in general, by indicating overall scores of above 4 out of 5 except in tense and negative expressions. The necessity and ease of use in the tense and negative expressions were evaluated relatively low, and it might be related to the inconsistent interface with the polite expressions. In terms of the user interface(UI), there were users" needs for clear visual feedback in the symbol selection and display, consistent interface for all functions, more natural subject-verb auto-matching, and spacing in the text within symbols.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ing and users" feedback might serve as a guideline to compensate and improve the function and UI of the existing AAC software.

      • KCI등재

        시각장애학생 대상의 미술관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도슨트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희연 ( Lee Heeyeon ),안금희 ( Ahn Keum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학생 대상의 터치투어 미술관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도슨트(Docent)들의 경험을 살펴보고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 및 활성화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수도권 한 대학의 교내 미술관교육프로그램에 도슨트로 지원하여 교육을 받은 총 8명의 대학원생(4명)과 학부생(4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였고 프로그램 실행 전·후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한 2회기의 면담이 진행되었다. 면담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 6개의 대주제와 그에 대한 총 17개의 하위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1) 터치투어를 준비하면서 특별히 신경 쓰는 부분, 2) 터치투어 준비과정에서의 어려움, 3) 터치투어에 대한 기대감, 4) 터치투어 준비 과정에서 느낀 점, 5) 터치투어 실행과정에서 느낀 점, 6) 터치투어 확대 및 개선 방안.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관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및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do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ouch-tour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nd activation plan of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8 graduate students(4 students) and undergraduate students(4 students) who received education by applying as a docent to an on-campus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at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a focus-group interview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wo sessions of focus-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of transcribing and analyzing the interview contents, the following six major topics and a total of 17 sub-themes were derived: 1) Part of special attention while preparing for the touch-tour program, 2)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touch-tour program, 3) Expectations for the touch-tour program, 4) Reflection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touch-tour program, 5) Reflection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touch-tour program, 6) Suggestions to expand and improve the touch-tour program.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to expand and improv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ere made.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유아의 기질과 또래 및 교사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미나(Lee, Mina),이희연(Yi, Heeyeon),김민정(Kim, Mi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ild ’ s personal and relational variables on child problem behavior.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in March, 2017, and survey was conducted in April. T he final research subjects were 80 teachers working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 yeonggi area and 459 children aged 3-5.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and relation of measurem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level of extraversion and effortful control of child temperament predict low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High level of emotionality predict high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mong the relational factors, the higher the dependency on teachers, the stronger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Second,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ren were higher in high level of emotionality. The higher the effortful control, the less the external behavior problem behaviors were. In the relation factor, the higher the conflict with teacher relationship, more disturbance occurred in the peer play interaction, the more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the role of teachers to reduc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또래 및 교사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모집을 위하여 2017년 3월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월에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80명과 만 3~5세 학급 유아 459명이다. 자료분석은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과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개인적 요인인 기질 중에서는 외향성과 의도적 통제가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 행동이 더 적게 나타났으며 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관계적 요인 중에서는 유아-교사 관계에서 의존성이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행동이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해서는 기질 중 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을 많이 보였으며 의도적 통제가 높을수록 외현 화 문제행동을 적게 보였다. 관계적 요인에서는 유아-교사 관계에서 갈등이 높을수록, 또래 놀이상호작용에서 놀이방해가 많이 일어날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을 줄이기 위한 교사 역할과 함께 유아 지도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배움중심수업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비교 분석 : 모든 학생을 위한 수업 혁신에 대한 고찰

        김수연(Sooyoun Kim),이희연(Heeyeo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모든 학생을 위한 수업 혁신 모델인 일반교육에서의 배움중심수업과 특수교육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를 비교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통합교육이 양적으로 확대되고 모든 학생을 위한 질 높은 교육으로 정교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모든 학생의 성장과 배움을 표방하는 두 가지 수업 혁신 모델이 양 분야에서 별개로 진행되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현장교사들의 실천 경험을 토대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배움중심수업과 보편적 학습설계 두 접근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제적인 적용 경험을 가지고 있는 총 6명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녹취된 면담자료를 전사한 후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배움중심수업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공통 요소, 차이점, 두 모델이 모든 학생을 위한 수업 혁신에 기여하는 요소, 모든 학생을 위한 수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전제 조건 등을 포함하는 4개의 대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을 위한 수업 혁신이 성공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논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learning oriented class in general education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in special education, which are instructional innovation frameworks for teaching all students. At this point of when inclusive education is quantitatively expanded and refined into high-quality education for all students, this study raised the question of why the two instructional innovations that advocate the growth and learning of all students have been separately conducted in both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fields, and examined this question based on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in-service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6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experiences on both learning oriented class and UDL. After transcribing the recorded interview data, it was analyzed using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transcription, 4 major themes and 15 sub-themes were derived, including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learning oriented class and UDL, contributing factors to instructional innovation for all students, and prerequisites for effective instructional implementation to facilitate meaningful learning for all student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to successfully implement instructional innovation for al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