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자본주의와 기독교의 조에(zoe)로서의 생명 이해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4 No.-

        본 논문은 21세기 현재, 생명 자체가 곧 자본이 되는 정치경제적 상황을 검토하며, 이러한 상황에 대한 비판과 견제로서 기독교의 생명 사상의 재구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현재 생명이 다루어지는 방식을 고찰하고, 기독교의 관점에서 생명신학, 생태신학 그리고 로지 브라이도티 현대 철학을 검토하며, 21세기 생명 사상을 제안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생명, 조에의 생기적 힘의 의미와 더 나아가 모든 존재를 가로질러 횡단하는 생명, 궁극적으로 얻게 될 생명을 현재 앞당겨 누리는 풍성한 생명, 창조적 생명력으로서의 생명의 의미를 검토하고, 특히 현재의 생명정치가 삶에 개입하게 되는 배경을 검토한다. 기독교의 조에 중심의 생명사상 그리고 바울 사상의 정치적 함의는 현재의 출구 없는 자본주의 시대에 비판적 대안으로서 현실 교정의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생명의 안전과 생명의 유지가 주권 권력의 문제로 등장하는 현재의 생명 정치 상황에서, 또한 유전자 기술, 생식기술, 즉 생물학 및 의학의 발달로 인해 생명이 곧 자본이 되는 현 상황에서, 현재의 자본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포스트자본주의 시대를 전망하며, 생명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전환을 추구하고, 생명의 의미를 기독교의 관점에서 재구성한다. 개별 생명의 존엄과 생명성에 대한 인정이 분명하게 요구되는 현 상황에서, 창조적 생기로서의 생명, 통섭의 생명을 강조하는 기독교의 생명 이해는 현재의 인간(생명) 중심주의를 교정하며, 공동체 재조직의 가능성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life that is now newly understood due to the impact of bio-genetics,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review the meaning of life, zoe,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Thus It critically considers the present bio-politics, the new practices of bio-political management of life, and the Christian views of life, zoe in contrast to the sociological life, bios. Indeed, as Giorgio Agamben notes, more stable society means that so much more bare life is being produced. With this regard, the study explores on the notion of life as a generative life-force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which is conducive to concretely analyzing the current political system and developing a comprehensive life theology. The 21st century capitalism and its socio-political system are related to the politics of life, producing many bare lives. In particular, within the exceptional state caused by the sovereign power, the lives as the life of the so-called homo sacer are controlled and excluded. Nonetheless, the theological thoughts of life value non-human or a-personal life and provide insights to reexamining the rights as a dignified human being and the value of life. Consequently, this paper reviews the life as the generative power of life as a relational force that will open up possibilities to the community of equality and relationality, aiming for post-capitalism. Then, it proposes a reinterpretation of the life, examining the current political system that degrades human life as bare life.

      • 웨이블렛과 신경망을 이용한 플라즈마-유도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고장 패턴의 인식

        김수연(Sooyoun Kim),김병환(Byungwhan Kim) 대한전기학회 2006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06 No.1

        To improve device yield and throughput. faults in plasma processing equipment should be quickly and accurately diagnosed. Despite many useful information of ex-situ sensor measurements. their applications to recognize plasma faults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a new technique to identify fault causes by recognizing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using neural network and continuous wavelet transformation (CWT). The presented technique was evaluated with the plasma etch data. A totalof 17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model construction. Model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s of training error, testing error, and recognition accuracy with respect to various thresholds. CWT-based BPNN models demonstrated a higher prediction accuracy of about 26%. Their advantages over pure XPS-based models were conspicuous in all three measures at small networks.

      • KCI등재

        고려-거란 밀교 교류의 양상과 특징 - 『범서총지집(梵書摠持集)』을 중심으로 -

        김수연 ( Sooyoun Kim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2021 梨花史學硏究 Vol.- No.62

        Goryeo had exchanges with Khitan across various area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re were also abundant exchanges between them in Buddhist ideas and culture. This study set out to put away the influences of Liao in order on Goryeo's Esoteric Buddhism and Dharani Faith and thus investigate the nature of Goryeo's Esoteric Buddhism. The biggest influence of Khitan on Goryeo's Buddhist community came from the acceptance of Khitan's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The impacts of Liao Buddhism were also found in Uicheon[義天]'s Gyojang-chongrok[敎藏總錄], whose order of content reflects the perceptions of scriptures in Goryeo's Buddhist community represented by Uicheon. The location of the parts about Mahavairocana Tantra[大日經] in his book indicates that he considered it as one of the fundamental scriptures of Buddhist ideas. It seems that he was influenced by Khitan Buddhism that argued that Exoteric Buddhism and Esoteric Buddhism had something in common. Beomseo-chongji-jip[梵書摠持集] published during Goryeo is one of the artifacts representing Goryeo's Dharani Faith. It is a collection of Dharani of hundreds of kinds, and there are seven versions of the collection or more today. In Beomseo-chongji-jip published in the fifth year of King Gojong[高宗]'s reign, the preface cites from works of Khitan's Buddhist monks such as Yanmi-chao[演密鈔] and Chengfo-xinyao-ji[成佛心要集]. Furthermore, it contains Dharani translated by Cixian[慈賢], a Khitan Buddhist monk in the 11th century. These findings confirm Goryeo's direct exchanges with Khitan in Dharani Faith. In addition, Beomseo-chongji-jip published in the fif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includes Dharanis reflecting the Buddhist prayer procedure in “Cundi Dharani” of Chengfo-xinyao-ji. This Buddhist prayer procedure is still used in Cheonsu-gyeong[千手經]. There is the context of transmission from Chengfo-xinyao-ji through Beomseo-chongji-jip to current Cheonsu-gyeong. Dharanis about the seven Buddhas of the past, which were a huge vogue in Liao but left no traces of faith in Goryeo, were not found in any versions of Beomseo-chongji-jip. There was no trace of “Pajiok-jineon(om karadeya sbaha),” which became a vogue at the end of Goryeo. This materials offers clues to estimate when this Dharani was introduced. The Dharani of the Eight Bodhisattvas was not found in the versions of Beomseo-chongji-jip published in the 12th century, but the version published in the fif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contains i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est in the Eight Bodhisattvas was aroused from the late 12th century to the early 13th century that was between the two versions. These cases indicate that Goryeo accepted the Esoteric Buddhism and Dharani Faith trends of Khitan's Buddhist community selectively.

      • KCI우수등재

        고려~조선 전기 불교계의 전염병 대응과 대민 구료

        김수연(Sooyoun KIM)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1 No.-

        본고에서는 고려~조선 전기 전염병에 대응하는 한국 불교의 모습을 신앙 의례, 승려의 활동, 사찰의 역할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 연구이다. 신앙 중심의 대응 방식에 집중하였던 기존 연구의 한계를 넘어, 사람과 공간이라는 시각을 첨가하여 연구의 구체성을 더하고자 하였다. 우선 전염병이 발생하면 나라에서는 국가적 불교 의례를 개설하여 전염병을 기양하고자 하였다. 불교 신자가 사회 구성원의 다수를 점했던 고려, 조선 전기 사회에서 불보살의 가피력(加被力)에 기대는 것은 당연한 신앙심의 발로였다. 나아가 국가의 전염병 기양 노력을 가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방편이기도 하였다. 반야도량, 경행, 마리지천도량, 공작명왕도량, 불정심도량, 소룡도량, 점찰회, 수륙재 등이 개설되었다. 나아가 신이한 힘이 깃들어 있다고 여겨지는 진언과 불부(佛符)를 활용하여 전염병을 막고자 하였던 개인적 노력도 확인할 수 있다. 전염병이 발생하였을 때 구체적인 행동을 전개하는 것은 사람이다. 승려들의 활동은 전염병 퇴치 행적과 구호 행적 및 전염병 확산 방지 역할 등으로 나타난다. 고려시대에는 주술과 법력으로 전염병을 물리쳤던 조유(祖猶)와 혼원(混元) 등의 사례가 보이며, 조선시대의 탄선(坦宣)은 의료 인력으로서 전염병 상황에서 사람들을 구료하였다. 나아가 매골승들이 활인서 등 구료 기관에 소속되어 시체를 매장하는 역할을 하였다. 시체를 통한 전염병 확산을 막고 보다 더 위생적인 환경을 만드는 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사찰은 기본적으로 여러 사람이 집단생활을 하는 공간이자 의약품이 구비되어 있는 곳이었다. 따라서 청결과 위생 관념이 있었고 질병이나 전염병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 이러한 의료 인프라는 전염병 발생 상황에서 사찰을 중심으로 구료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특히 고려의 경우 지방의 치소(治所)에 산재해 있는 자복사(資福寺)들이 지역 의료의 중심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features of Korean Buddhism in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in the Goryŏ and early Chosŏn periods in three aspects: religious rituals, Buddhist monks' activities, and Buddhist temples' roles. Once an epidemic broke out, the government set up a Buddhist ritual at the national level to dispel it. This was a way of showing the nation's efforts to dispel an infectious disease in a visible manner. Many different Buddhist rituals were thus set up, including the banya-doryang (般若道場), gyŏnghaeng (經行), marijichŏn-doryang (摩利支天道場), gongjakmyŏngwang-doryang (孔雀明王道場), buljeongsim-doryang (佛頂心道場), soryong-doryang (召龍道場), jeomchalhoe (占察會), and suryukjae (水陸齋). Moreover, there were personal efforts to stop epidemics with dhāranīs and Buddhist talismans that were considered to have supernatural powers. It is people that carry out specific acts when an epidemic breaks out. Buddhist monks engaged in such roles as exterminating epidemics, giving out relief, and preventing the spread of disease. In the Goryŏ period, Joyu (祖猶) and Honwon (混元) stopped an epidemic with their incantations and Buddhist powers. In the Chosŏn period, Tansŏn (坦宣) saved people in an epidemic situation as a member of the medical staff. Maegol-sŭng (埋骨僧), Buddhist monks who buried corpses, belonged to relief agencies such as Hwalinsŏ (活人署) that buried dead bodie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via dead bodies and contribute to a more sanitary environment. Buddhist temples were basically spaces where many people led a collective life and had access to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They had the concept of cleanness and a sense of hygiene and possessed the ability of dealing with an illness or epidemic situation. This medical infrastructure became a basis for Buddhist temples to take the central roles in relief activities in an epidemic situation. It is estimated, in particular, that Jabok-sa (資福寺) played central roles in local medicine as they scattered around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in Goryŏ.

      • KCI등재

        『도장(道藏)』과 고소설의 여성 인물 상상력

        김수연(Kim, Sooyoun)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0

        아시아의 도교 서사를 집대성한『도장』의 상상력은 동아시아 문학의 원형이자 핵심적 구성체이다. 이것은 우리 고소설을 논의하는 데 있어서도 유의미한 비교 대상이다. 본고는 도장의 인물 상상력이 만들어낸 여신과 인간의 교감에 주목하여, 전기소설의 특징인 귀녀(鬼女)와 인간의 사랑, 여성의 서사주도와 비극적 결말을 살펴보았다. 여신은 우월하고 고귀한 존재로서, 남성과의 관계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간다. 귀녀 또한 인간계와 다른 신이한 명부(冥府)의 존재라는 점에서 여신의 변이형이라 할 수 있다. 도교적 공간에서 선계(仙界)와 명부(冥府)는 교통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전기소설에 등장하는 귀녀의 서사 주도력은 여신 상상력과 관련해 이해할 수 있다. 여신이나 귀녀는 각기 강림(降臨)과 환혼(還魂)의 형식으로 잠시 세속에 머문 것이므로 언젠가는 돌아갈 운명을 지녔다. 이러한 회귀(回歸) 운명은 서사의 결말에서 사랑의 상실이라는 비극적 정조를 낳게 된다. 애정 전기가 지닌 비극성은 이러한 서사 전통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신인교감(神人交感)과 인귀상련(人鬼相戀)의 도교적 서사는 음양의 세계가 공존할 수 있다는 믿음에 근거한다. 유교적 합리주의에서 음양의 세계는 공존할 수 없다. 그러나 도교적 사유에서 이승과 저승은 각자의 리듬에 따라 운행하다가 어느 순간 한 지점을 공유하기도 한다. 양자의 만남은 짧지만 강렬하다. 그러한 세계적 만남과 우주적 소통이 가능하다는 것을 믿는 사유와 상상력이 신(神)과 귀(鬼)와 인간의 만남을 창조해낸 것이다. 고소설의 도교적 인물 상상력은 현실과 비현실의 인물 간 만남을 전제로 한다. 이들의 만남은 사랑의 형태로 표현되지만, 근원적으로는 신인과 인간의 우주론적 소통을 의미한다. 이것은 천인감응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신ㆍ인 공존의 사유를 문학적으로 전유하여 인물 형상화에 투영한 것이다. 『Daozang(道藏)』, a codification of asian Taoism epic, has a imagination which is a prototype and also a fundamental structure of East Asian Literature. This is a meaningful comparison target in discussing Korean old novels. This article gives an eye to communion a goddess and a human being from the imagination over characters of『Daozang(道藏)』,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weird novels; the love between a female ghost and a man, woman's leading narrative, and a tragic ending. A goddess, as a noble and superior being, played a leading role in relationships with men. A female ghost is also considered a transformation of a goddess in that there is another different ghostdom. In taoistic space, this is because heaven and ghostdom interact each other. A leading narrative of a female ghost in weird novels can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goddess' imagination. Goddess and female ghosts stay in the mundane world for a while in the form of descent and conversion souls respectively, are destined to go back to their world. At the end of the narrative, this regression fate will give birth to tragic atmosphere, the loss of love. Tragic features of a weird love story can be figured out in this narrative tradition. Taoistic narration of communion with gods and mortals and longing for human and ghost each other depends on the belief that the world of yin and yang can coexist each other. In confucian rationalism, the world of yin and yang cannot coexist. However, in taoistic thought, this world and the next respectively run to the rhythm, and at some time, they may share a single point. Their encounter is a brief but intense. This thought and imagination which believes the possibility of the universal encounter and cosmic communication created the encounter among gods, ghosts, and human. Taoistic imagination over characters in old novels is subject to the encounter between practical characters and impractical ones. Though this is expressed in forms of encounter and love, by the roots, it means cosmological communication among demigods and humans. Based on the principle of response of gods and humans, this projects the thoughts of coexistence of gods and humans on formalizing characters, monopolizing in literature.

      • KCI등재

        배움중심수업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비교 분석 : 모든 학생을 위한 수업 혁신에 대한 고찰

        김수연(Sooyoun Kim),이희연(Heeyeo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모든 학생을 위한 수업 혁신 모델인 일반교육에서의 배움중심수업과 특수교육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를 비교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통합교육이 양적으로 확대되고 모든 학생을 위한 질 높은 교육으로 정교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모든 학생의 성장과 배움을 표방하는 두 가지 수업 혁신 모델이 양 분야에서 별개로 진행되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현장교사들의 실천 경험을 토대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배움중심수업과 보편적 학습설계 두 접근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실제적인 적용 경험을 가지고 있는 총 6명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녹취된 면담자료를 전사한 후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배움중심수업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공통 요소, 차이점, 두 모델이 모든 학생을 위한 수업 혁신에 기여하는 요소, 모든 학생을 위한 수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전제 조건 등을 포함하는 4개의 대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을 위한 수업 혁신이 성공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논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learning oriented class in general education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in special education, which are instructional innovation frameworks for teaching all students. At this point of when inclusive education is quantitatively expanded and refined into high-quality education for all students, this study raised the question of why the two instructional innovations that advocate the growth and learning of all students have been separately conducted in both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fields, and examined this question based on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in-service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6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experiences on both learning oriented class and UDL. After transcribing the recorded interview data, it was analyzed using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transcription, 4 major themes and 15 sub-themes were derived, including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learning oriented class and UDL, contributing factors to instructional innovation for all students, and prerequisites for effective instructional implementation to facilitate meaningful learning for all student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to successfully implement instructional innovation for al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A Re-reading of the ‘Dis-carnate’ Incarnational Christology from the Perspectives of Neo-orthodox and Radical-orthodox Theologies

        Sooyoun Kim(김수연)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6 신학논단 Vol.86 No.-

        이 글은 급진적-전통주의 신학의 탈근대주의 입장에서 해석하는 성육신 교리의 내용을 검토하며, 현재 기독교 안에서 ‘비육화된(Dis-carnate)’ 교리로 남아 있는 성육신 신학의 의미를 재해석하려는 것이다. 특히 그래햄 워드(Graham Ward)의 급진주의 정통신학이 바르트의 신학에서 발견하는 탈근대주의적 특징, 흔적(trace)으로서 설명되는 변증법적 하나님-이해, 몰트만(Moltmann)의 종말론적 희망이 내포하고 있는 구원의 현재성, 밀뱅크(Milbank)의 용서(for-give-ness)와 선물(Gift), 즉 원-선물의 지속적인 주어짐(the sustained giving of the original gift)으로서의 성육신 등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현재에 의미 있는 신학적 언어로 전통적인 교리들이 해석될 때, 신학은 현실-변혁, 자기-개혁의 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오래전 교리적 기독론(doctrinal Christology)은 당시의 철학적 용어로 복음의 내용을 해석하며 당시의 역사적 한계 또한 불가피하게 담고 있기에 성육신의 교리는 현재의 언어로 재해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사실, 그리스도의 몸-된 실재를 주장하는 교부들의 신학은, 즉 아타나시우스와 안셀무스의 기독론은 하나님의 몸-된 현실을 강조하며 동시에 또한 이는 변증되어야 하는 것으로 설명하기에, 그러한 과정에서 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함의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독교에서 강조하는 몸-되신 하나님의 구원은 구체적인 자기-구현(the embodiment of self)이기보다는 썩어질 육체로부터의 벗어남(the redemption of the dark mortality of the corruptible body)으로 서양철학의 이분법적 논리를 반복하며 해석되는 경향이 있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탈근대주의 입장의 급진적-정통주의 신학은 기독교의 교리가 현재에 의미 있는 방식으로 재해석 될 수 있도록, 성육신의 현재적 의미를 강조하고, 서구철학의 실체-형이상학적인 논리를 넘어서, 물질, 몸 등의 가치를 돌아보게 한다. 특히 현존(paternal presence)과 부재(maternal absence)의 이분법 속에서 해석되지 못한 타자성(alterity)을 기독론의 구체적 내용으로 드러내기에 통전적인 구원을 강조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시 말해, 탈근대신학이 주목하는 바르트의 변증법적 신학에서 흔적으로서의 텍스트(textuality), 특히 신-정통주의 신학과 급진주의-정통신학에서 강조되는 용서, 화해, 그리고 선물 혹은 증여로서의 성육신 이해 등은 현재 탈-육화(ex-carnate) 경향이 있는 기독교의 성육신 교리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 글이 강조하고 있는 급진적-정통주의 그리고 그들이 탈근대주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바르트 신학의 의미 등은 이천 년 전의 서구철학에 기초한 전통적인 기독론이 내재하고 있는 몸-적 부재의 비육화된(dis-carnate) 교리에 비판적 분석의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이 글은 급진적-전통주의 신학의 탈근대주의 입장에서 해석하는 성육신 교리의 내용을 검토하며, 현재 기독교 안에서 ‘비육화된(Dis-carnate)’ 교리로 남아 있는 성육신 신학의 의미를 재해석하려는 것이다. 특히 그래햄 워드(Graham Ward)의 급진주의 정통신학이 바르트의 신학에서 발견하는 탈근대주의적 특징, 흔적(trace)으로서 설명되는 변증법적 하나님-이해, 몰트만(Moltmann)의 종말론적 희망이 내포하고 있는 구원의 현재성, 밀뱅크(Milbank)의 용서(for-give-ness)와 선물(Gift), 즉 원-선물의 지속적인 주어짐(the sustained giving of the original gift)으로서의 성육신 등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현재에 의미 있는 신학적 언어로 전통적인 교리들이 해석될 때, 신학은 현실-변혁, 자기-개혁의 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오래전 교리적 기독론(doctrinal Christology)은 당시의 철학적 용어로 복음의 내용을 해석하며 당시의 역사적 한계 또한 불가피하게 담고 있기에 성육신의 교리는 현재의 언어로 재해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사실, 그리스도의 몸-된 실재를 주장하는 교부들의 신학은, 즉 아타나시우스와 안셀무스의 기독론은 하나님의 몸-된 현실을 강조하며 동시에 또한 이는 변증되어야 하는 것으로 설명하기에, 그러한 과정에서 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함의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독교에서 강조하는 몸-되신 하나님의 구원은 구체적인 자기-구현(the embodiment of self)이기보다는 썩어질 육체로부터의 벗어남(the redemption of the dark mortality of the corruptible body)으로 서양철학의 이분법적 논리를 반복하며 해석되는 경향이 있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탈근대주의 입장의 급진적-정통주의 신학은 기독교의 교리가 현재에 의미 있는 방식으로 재해석 될 수 있도록, 성육신의 현재적 의미를 강조하고, 서구철학의 실체-형이상학적인 논리를 넘어서, 물질, 몸 등의 가치를 돌아보게 한다. 특히 현존(paternal presence)과 부재(maternal absence)의 이분법 속에서 해석되지 못한 타자성(alterity)을 기독론의 구체적 내용으로 드러내기에 통전적인 구원을 강조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시 말해, 탈근대신학이 주목하는 바르트의 변증법적 신학에서 흔적으로서의 텍스트(textuality), 특히 신-정통주의 신학과 급진주의-정통신학에서 강조되는 용서, 화해, 그리고 선물 혹은 증여로서의 성육신 이해 등은 현재 탈-육화(ex-carnate) 경향이 있는 기독교의 성육신 교리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 글이 강조하고 있는 급진적-정통주의 그리고 그들이 탈근대주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바르트 신학의 의미 등은 이천 년 전의 서구철학에 기초한 전통적인 기독론이 내재하고 있는 몸-적 부재의 비육화된(dis-carnate) 교리에 비판적 분석의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학창시절 장애학생 또래도우미 경험에 관한 분석

        김수연 ( Kim Sooyoun ),우충완 ( Woo Chung W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가까운 미래에 초등학교 통합학급을 담당할 예비교사들의 학창 시절 장애학생 또래도우미 경험에 대한 의미와 맥락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일반학교에서 또래도우미 제도는 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 일반적으로 실시되는데, 실행 주체인 통합학급 담임교사에 따라 그 실행 과정과 성과가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이에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이며 초, 중 고등학교 시기에 일정 기간 장애학생의 또래도우미를 직접 수행한 적이 있는 예비교사 7인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를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관계의 시작, 2)관계의 발전과 끝, 3)관계의 본질, 4)교사의 역할모델 부재, 5)관계의 재정립. 연구 참여자 진술에서 또래도우미 제도와 활동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지배적으로 나타났으며, 부정 요인으로 1)도우미 선택의 비자발성, 2)도우미 역할 수행에 따른 심리적, 물리적 부담, 3)도우미와 피도우미 간의 수직적 관계, 4) 주변의 부정적인 시선, 5) 교사의 적절한 중재 및 지침 부재가 거론되었다. 참여자들의 또래도우미와 관련한 소회와 성찰을 통해 기존 또래도우미 제도 및 활동의 변화와 이를 위한 방안 마련이 요청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이 이루어졌다. This study explores how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soon b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the inclusive class, perceive and reflect their experiences as peer-helpers when they were in school. In school, the peer-helper system is generally implemented for disabled students to adapt to school life.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performance are bound to vary depending on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implementation.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a focus group interview of a group of seven students at a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ll participants had peer-helper experiences before entering the university. Five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analysis: (1) the starting point of the relationship, (2)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relationship, (3)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4) absence of role model, and (5) re-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data analysis, the participants tended to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peer-helper system and their activities as peer-helpers. Their negative perceptions were attributed to 1) involuntary selection of helpers, 2) psychological and physical burdens 3) hierarchical relationships between helpers and disabled students, 4) negative views around them, and 5) teachers' lack of proper mediation and guidance. Through the participants' thoughts and reflections on peer helpers, changes in peer helper systems and activities were requested. Further discussions were also provided.

      • KCI등재

        장애관련동화의 번역 양상 고찰

        김수연(Kim, Sooyoun) 한국통합교육학회 2021 통합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서구권에서 쓰인 장애관련동화의 한국어 번역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2권의 초등학생용 장애관련동화를 대상으로 제목, 표지, 장애범주 설명, 그리고 원작 도서에 비해 번역서에서만 나타난 시각적 장치와 텍스트를 찾아내어 분석하였다. 제목의 번역 양상을 보면, 장애인 주인공의 이름은 생략한 채 누나, 동생 등의 관계 호칭으로 표기하고, 장애인임을 분명하게 알 수 있도록 장애 범주명을 추가하여 번역하는 창작 전략을 사용하였다. 표지의 경우 대부분 원작의 표지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그렇지 않은 번역서도 있었는데, 이 경우 장애인이 등장한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도록 창작하였다. 그리고 원작 도서에는 없는 시각적 장치인 문장 부호(……, - )를 삽입하여 장애아동의 말투를 어눌한 것처럼 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장애관련동화의 번역 과정에서 관련 종사자들의 장애인관이 드러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제시하였으며, 장애인식개선을 목적으로 출간되었지만 번역, 편집, 홍보 과정에서 관련인들의 장애인관에 따라 오히려 장애에 대한 고정관념이나 편견이 더 강화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Korean translation of twelve children’s stories of disability written in the West.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analyzed their titles, covers, and disability diagnosis name, and compared the visual devices and texts that are only found in the translation to those in the original books. In the translation of the title, the disabled character was marked as someone s sister or brother without being directly revealed. In addition, the disability diagnosis name was added to make it clear that the main character is disabled. Most of the covers used the original cover, but some did not. In the latter, the cover was created to make it clear that disabled people appear in the books. Translated texts include visual devices such as ellipsis (……) or hyphen (-) that are not found in the original book. These visual devices were frequently used to express the speech of disabled people as if they were unable to speak clearly. In conclusion, the translation process of children s stories about disabilities revealed the disability perspective of those who work in the business. These translation books were publish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wareness of the disabled, but they may increase the dangers of further strengthening stereotypes and prejudices about the disabled.

      • 주몽 관련 남북한 역사만화에 나타난 ‘집단 자기감’의 고양 방식

        김수연 ( Kim Sooyoun ) 동방비교연구회 (구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8 동방문학비교연구 Vol.8 No.-

        한국 사람들이 민족적 차원에서 집단적 공명(共鳴)을 이룰 수 있는 서사를 ‘집단적 자기서사’라 부를 수 있다. 한국인의 ‘집단적 자기서사’는 다양한 서사들로 구성된다. 대표적인 것은 “고난 속에서도 자신을 잃지 않고 때를 기다려 독립하는 역량”을 드러내는 ‘주몽’ 이야기이다. ‘주몽’ 이야기는 한국의 ‘집단적 자기서사’를 구성하는 서사 중에서도 초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한국 민족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주몽’ 이야기는 평소에는 역사의 내면에 존재하다가, 민족의 ‘집단 자기감’이 하락할 때마다 나타나 민족 긍지를 높여주는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 이런 점에서 ‘주몽’ 이야기는 한국 민족의 미래 서사로 기능할 수 있다. ‘주몽’이 미래 세대인 어린이용 역사만화의 주요 테마로 사랑받는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주몽’ 이야기는 남한과 북한 국민 모두에게 서사적 공명(共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한국 민족의 ‘집단적 자기서사’라 부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주몽’ 이야기를 대상으로, 통일 한국의 ‘집단적 미래 서사’를 추정해보고자 한다. 특히 미래 세대를 위해 각색된 역사 만화에 나타난 ‘집단 자기감’의 고양 방식에 주목하여, 남북한 국민이 서사의 어느 갈림길에서 만나 통합된 서사를 만들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고주몽이 ‘역사 주체인 한국인의 분리되지 않은 일부’인 ‘역사적 자기대상’이라는 점을 고찰할 것이다. 다음으로 남한과 북한에서 어린이용으로 제작한 역사만화의 ‘주몽’ 이야기를 대상으로, 남북한이 주몽 이야기를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집단 자기감’을 고양하고 있는지 확인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남북이 자율의지와 상호인정의 리더상을 ‘자기대상’으로 상상하고 있고, 양자는 함께 할 때 자기감이 더욱 고양되는 상생의 서사임을 밝힐 것이다. The story that Koreans can sympathize is called Group-self narrative. The 'Group-self narrative' consists of various stories. Representative is Jumong story which tells independence ability without losing oneself even in suffering and waiting for the time. The story of Jumong was made in the early period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The story of 'Jumong' played a role of raising the national pride whenever the self-esteem of the nation declined. This is why 'Jumong' is loved as the main theme of historical cartoons. In this article, I tried to estimate the Group’s future narrative of the unified Korea with the story of 'Jumong'. Especially, I paid attention to the way of enhancing Sense of Group self in historical cartoons and confirmed how the people of North and South Korea can make an integrated narrative. To do this, first I considered that Jumong is a historical self-object of Koreans. Next, I ascertained in what way the Sense of Group self is promoted through the Jumong story in the historical cartoons of South North Korea. In conclusion, I have shown that South and North Korea imagine the leader of self-will and mutual recognition as a Self-object, and that they are mutually beneficial narratives when they are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