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운영 환원답의 벼 품종간 생육특성과 수량에 관한 연구

        이병진,안종웅,황동용,오성환,김준환,김상열,구연충,최진룡,Lee, Byung-Jin,Ahn, Jong-Woong,Hwang, Dong-Yong,Oh, Seong-Hwan,Kim, Joon-Hwan,Kim, Sang-Yeol,Ku, Yeon-Chung,Choi, Zhin-Ryong 한국작물학회 2006 한국작물학회지 Vol.51 No.S

        자운영답에서 벼의 생육특성 등을 조사하여 벼-자운영 작부체계에 적합한 품종의 생리생태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영남농업연구소 답작 포장에서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운영 재배답은 무재배답에 비해 이앙 후 환원장애에 의한 초기 활착이 떨어졌으나, 풍미벼, 소비벼, 화영벼가 초장 및 개체군생장률 감소가 적은 편이었다. 2. 부위별 질소함량은 자운영 재배답이 무재배답에 비해 높았고, 반대로 질소흡수량은 단위면적당 건물중이 높았던 자운영 무재배답에서 높았다. 3. 자운영 재배답이 무재배답에 비해 수량이 낮았던 원인은 단위면적당 수수가 적었기 때문이다. 4. 수량에 영향을 미친 수량구성요소로써 자운영 재배답에서는 단위면적당 영화수가, 자운영 무재배답에서는 등숙율이 크게 작용하였다. 5. 쌀의 완전미율과 단백질 함량은 자운영 재배답이 자운영 무재배답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식미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atively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s of rice cultivars under rice-mono (conventional) and rice-Chinese milk vetch (Vetch) cropping system. Six rice cultivars such as Geumobyeo, Pungmibyeo, Hwayeongbyeo, Sobibyeo, Junambyeo and Dongjinbyeo were tested in 2005.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plant height and culm length of all the tested cultivars at heading and harvest time were shorter in rice-vetch cropping system than conventional, however, nitrogen content of rice plants at heading and harvesting time was higher in rice-vetch cropping system. The total amount of nitrogen of rice plants was higher in conventional than rice-vetch cropping system. Nitrogen content of rice plant and uptake of Pungmibyeo was the highest of all the tested cultivars in both cropping systems. Generally, grain yietd ef tested cultivars seemed to be higher in conventional than rice-vetch cropping system. And it was the highest in Junambyeo as compared to those of other cultivars. Head rice ratio and protein content were higher in rice-vetch cropping system.

      • KCI등재

        유기물 피복과 경운관리에 따른 재래벼의 쌀 품위 및 이화학적 특성

        이병진,조영손,안종웅,박재현,강진호,최진용,Lee Byung Jin,Son Young Son,Ahn Jong Wwoong,Park Jae Hyun,Kang Jin Ho,Choi Zhin Ryong 한국작물학회 2005 한국작물학회지 Vol.50 No.suppl1

        1) 현미 품위는 무경운 짚 피복 벼 작부체계(SMNTRCS)와 무경운 짚 피복 벼-자운영 작부체계(SMNTRVCS)가 관햄 벼-보리 작부체계(CRBCS)와 관행 벼 작부체계(CRCS)보다 좋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백미 품위는 SMN TRCS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2) Mg와 K의 함량은 SMNTRVCS에서 가장 높았으며 Na 함량과 Mg/K는 CRCS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단백질함량은 SMNTRCS에서 가장 높았으며, SMNTRVCS, CRBCS 및 CRCS순으로 감소하였다. 아밀로스함량은 SMNTRVCS에서 다른 작부체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4) 알카리붕괴도는 $1.2\%$ KOH농도에서 작부체계별 품종간 변이가 가장크게 나타났다. 모든 KOH농도에서 알카리붕괴도는 CRBCS에서 가장크게 나타났으며, CRCS가 가장 낮았다. 5) 양질미 생산을 위해서는 유기물 투입으로 질소시비량을 줄일 수 있는 작부 체계인 SMNTRCS 및 SMNTRVCS가 가장 유리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ree new rice farming systems, i.e. (1) straw-mulched no-till rice cropping system(SMNTRCS), (2)straw-mulched no-till rice-vetch cropping system (SMNTRWCS), (3)conventional rice-barley cropping system(CRVCS) have been established and compared with (4)conventional rice cropping system(CRCS). Grain appearance of brown rice of Korean native rice cultivars in SMNTRCS and SMNTRVCS were better than those in CRBCS and CRCS. Grain appearance of milled rice in SMNTRCS was better than those of other cropping systems. Korean native rice cultivars showed more white belly and broken rice than those of recommended rice cultivars. Mg and K contents of Korean native rice cultivars were the highest in SMNTRVCS. Protein contents of all the cultivars tested were the highest in SMNTRCS. Protein contents of Korean native cultivars were higher than those of recommended cultivars. Amylose contents of the cultivars tested were from 16 to 22 percent, while those of Aedal and Jenmj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Alkali digestibility values(ADV) of milled rice grain, tested in $1.2\%$ potassium hydroxide for 23 h at $30^{\circ}C$, showed varietal differences and the cultivars grown in CRBCS were the highest and the lowest in CRCS.

      • KCI등재

        시설 하우스 토양에서 녹비작물 재배가 Biomass-C와 양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병진,윤태현,조우태,전현식,조영손,Lee, Byung-Jin,Yoon, Tae-Hyun,Cho, Woo-Tae,Jun, Hyun Sik,Cho, Young-So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3 한국유기농업학회지 Vol.21 No.4

        This experiment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green manure cropping in green house soil on the changes of soil nutrients and soil microorganisms. The biomass of green manure crop was the highest in ryegrass and nitrogen absorption was the highest in hairy vetch. After cropping, soil phosphate content was the lowest in ryegrass, however, biomass C was the highest of all the green manures. Nitrogen uptake of plant and nitrogen content of the soil after the experi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otal N content of soil was increased in hairy vetch plot, but decreasing tendency showed in the ryegrass and common crabgrass plots. In this results are summarized that green manure cropping greatly reduced salt accumulation in green house.

      • KCI등재

        애드 흑 네트워크에서 소스 기반 다중 게이트웨이 선출 라우팅 프로토콜

        이병진,유상조,Lee Byung-Jin,Yoo Sang-Jo 한국통신학회 2005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30 No.8A

        MANET 이란 이동 노드들이 기반 구조의 도움 없이 서로 통신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무선 자원이 한정적이고, 노드의 이동성으로 인하여 통신을 원하는 노드 사이에 통신 선로를 구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노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격자 내에서 예상되는 생존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게이트웨이를 소스에 기반을 두고 선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통신 선로를 만들어 주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된 SMGS 프로토콜은 각 격자마다 예상 생존 시간이 가장 큰 노드를 후보 노드로 선출하여 통신 설정시 실시간적으로 격자에 가장 오래 남을 수 있는 노드를 게이트웨이로 선출함으로써 게이트웨이 핸드 오프를 줄여주어 핸드 오프시 발생되는 패킷 손실 및 시간적 지연을 완화시켜 주고, 다중 게이트웨이를 생성시켜 게이트웨이에 통신이 집중되는 현상을 막아준다.

      • KCI등재

        광신호의 공간 해상도 향상을 위한 초 분해능 알고리즘 연구

        이병진,유봉국,김경석,Lee, Byung-Jin,Yu, Bong-Guk,Kim, Kyung-Seok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1

        The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OTDR) i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to monitor problems with currently installed optical fibers. The OTDR is an instrument designed to test the FTTx network and evaluat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ber, such as transmission loss and connection los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spatial resolution in order to accurately grasp the optical path problems by using the OTDR. When the pulse width is less than twic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reflectors, the signals reflected from the two reflectors are reflected without overlap, so that the reflected signal can be distinguished. However, when the pulse width is larger than twic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reflectors, so that the reflected signal can not be distinguish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proposed a method of improving spatial resolution by applying a super resolution algorithm.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resolution is improved when the super resolution algorithm is applied, and the event interval can be analyzed more precisely.

      • KCI등재

        돈분액비 시용이 트리티케일 생육과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병진,김경목,전현식,전승호,조영손,Lee, Byung-Jin,Kim, Kyeong-Mok,Chun, Hyun-Sik,Jeon, Seung-Ho,Cho, Young-So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한국유기농업학회지 Vol.22 No.2

        돈분액비를 활용하여 경종 축산 연계를 통한 자원순환농업의 활용 및 녹비작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트리티케일 재배지에서 돈분액비 시용이 생육특성과 토양 화학성 변화 및 건물수량성에 대한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초장에서는 LPM처리구에서 115.3cm로 대조구 대비 8.1% 양호하였으며 근장에서는 LPM 처리구에서 3.9cm 길었고 전체길이도 LPM처리구에서 132.3cm로 대조구 대비 9.9% 컸다. 건물체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LPM처리구가 전 조사시기에서 높았으며 20% 이상 증가하였다. 대조구의 시험후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18.8g $kg^{-1}$로 시험전 보다 높았으나, LPM처리구에서는 시험전 토양보다 낮은 14.1g $kg^{-1}$이었다. 시험후 토양의 치환성 K는 LPM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Ca, Mg 및 Na는 대조구에서 높았으며 시험전 토양에서 보다 낮은 경향이었다. 건물체량은 LPM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21.9%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KCI등재

        지하 공동구 화재재난 감지를 위한 음향수집 프로토타입 장치 및 시스템 모듈 개발

        이병진,박철우,이미숙,정우석,Lee, Byung-Jin,Park, Chul-Woo,Lee, Mi-Suk,Jung, Woo-Sug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2 No.5

        지하 공동구 화재 발생에 따른 직·간접적 피해는 사회 전반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사전에 예방 및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화재의 발생 원인 중 케이블 자체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단락, 누전, 과전류에 의한 발화 및 도체 접속부 과열, 절연체의 졀연 파괴에 의한 스파크 발생으로 인한 발화가 대부분이다. 지하 공동구의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이러한 원인을 조기에 찾아내기 위해서 지하 공동구는 영상분석을 활용한 감지 시스템을 통해 재난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상시 관리를 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CCTV 기반의 딥러닝 영상분석 기술을 적용한 화재 감지 시스템 개발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CCTV의 경우는 사각지대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좀 더 보완하기 위해서 스파크 발생으로 불꽃이 발생하기 전 스파크 소리를 사전에 감지해 화재 예방을 할 수 있는 고성능의 음향 기반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마이크 센서를 이용하여 지하 공동구 환경에서 음향을 수집을 할 수 있는 방안을 프로토타입 모듈 개발과 실험을 통해 제안하며, 결로가 많은 지하 공동구 환경에서 음향 센서를 배치하고 기능 이상 없이 실시간으로 정보 수집 여부에 대한 가능성을 검증한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일본 게마리(蹴鞠)의 문화사적 배경과 특성 연구

        이병진 ( Lee Byung-jin ),황의룡 ( Hwang Eui-ryong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3

        Japanese Kemari was spread from China. Around the 13th century, Japanese aristocrats and officials passed down the rules and techniques for generations and established a play system that is inherited in the family with the approval from the Japanese emperor. They spared a little space in their living area for the sport and planted four trees as obstacles to raise the difficulty of kicking balls; it was reproduced into a play with artistic values. Entering the modern era, Kemari became a cultural entertainment for the upper class in the society such as the royal family and aristocrats when social classes began to be clearly divided. In other words, the powerful families turned Kemari into art that pursues behavioral artistry and learned the elegant and sophisticated kicking skills; Kemari showe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with the background of Taoism that calls for the cultivation of right attitudes and tidy behaviors. During the Edo period, Kemari began to be spread to warrior families and rich merchants along with the aristocrats. However, amidst the transition toward a westernized society after the Meiji Restoration, Kemari showed a stagnating trend for a while. Kemari was brought back to society after active efforts to inherit it as the emperors enjoyed it, being its cultural background. Today, Kemari i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has become a play for which many people enjoy together in festivals held in shrines. Kemari remains a play enjoyed in festivals, which is inherited intact in the Japanese tradition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