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들의 전해질과 이온에 관련된 입자 개념 표현의 일관성 분석

        윤회정,이윤하,Yoon, Heojeong,Lee, Yoonha 대한화학회 2014 대한화학회지 Vol.58 No.6

        학생들이 특정 내용 영역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개념은 맥락의 영향을 받기도 하며, 맥락과 관계없이 일관적으로 유지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특정 내용 영역에서 사용하는 입자 개념을 살펴보고, 학생들의 입자 개념에 미치는 맥락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고체 상태와 수용액 상태의 전해질을 설명할 때와 수용액 상태의 서로 다른 전해질이 혼합되어 고체 상태의 앙금을 형성하는 현상을 설명할 때 입자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볼 수 있도록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해질과 이온' 단원의 수업이 끝난 후에 검사를 실행하고, 개발한 분류틀에 따라 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체 상태와 수용액 상태의 전해질을 설명한 응답의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입자 개념을 가지고 각각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앙금 생성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학생들이 사용하는 입자 개념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많은 학생들이 화학기호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약 57%의 학생들이 과학적 개념을 일관적으로 적용하여 수용액 상태의 입자에 대해 전해질과 앙금 생성 반응을 설명하였고, 비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을 모두 포함했을 때 일관성 있는 설명을 제시한 학생들은 전체의 약 79%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여러 맥락에서 입자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concepts used to explain specific phenomenon can be influenced by context or coherent regardless of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 of particles in particular contex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text on concept of particles. A conceptual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find out how students represented particles in two contexts: solid and solution states of electrolytes, and ion precipitation reaction.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9^{th}$ grade students after classes of 'electrolyte and ions' unit. The responses of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framework developed for categorization of students' concep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tudents used various concepts on particles when they explained solid and solution state of electrolytes, respectively. Second, we identified students' concepts of particles used to explain ion precipitation reaction. In addition, we recognized that majority of students failed to write correct chemical symbols. Third, approximately 79% of students showed coherent responses for explanation of particles in solution state of both electrolytes and ion precipitation reaction. About 57% of students had scientific concepts. Some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results for acquisition of scientific concepts on particles in different contexts.

      • KCI등재

        중학생들의 이온화식에 대한 지식상태분석

        윤회정,이윤하,김영신,Yoon, Heojeong,Lee, Yoonha,Kim, Youngshin 대한화학회 2015 대한화학회지 Vol.5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이온화식 작성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시 소재 중학교 한 곳에 재학중인 3학년 학생 21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6차시에 걸친 ‘전해질과 이온’ 단원의 수업이 끝난 후, 이온화합물의 이온화 과정을 이온화식으로 표현하도록 구성한 서술형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이온화합물의 구성 특성에 따라 이온화식 서술에 대한 정답률을 파악하였으며, 이온화식 표현과 관련된 지식상태를 토대로 이온화식 표현의 위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온화합물을 구성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종류, 전하량과 구성 개수를 바탕으로 이온화합물들을 여섯 집단으로 분류하고 집단의 특성에 따라 학생 응답을 분석한 결과 정답률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지식 상태 분석 결과 이온화합물을 구성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종류와 전하량, 구성 개수를 알아내어 이온화 과정을 식으로 표현하는 지식상태가 구조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이온화식 학습 전략의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ionic equation. Two hundreds and ninetee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six class hours of learning ‘electrolyte and ion’ unit, instrument was implemented to evalu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ionic process and ability to write ionic equation.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ionic compounds on correct answer rate. In addition, knowledge state of students required for writing ionic equation was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onic compounds tested were categorized into six groups. The correct answer rat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Second, knowledge state required for writing ionic equation was structured. Based on results some suggestion were made to develope effective learning strategy for understanding ionic equation.

      • KCI등재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사전개념 탐색 : 진단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윤회정(Yoon, Heojeong),방담이(Bang, Dami),나지연(Na, Jiyeo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1

        새로운 에너지원의 개발과 활용은 현 인류가 당면한 중요한 과제이다. 효과적인 에너지 정책의 수립 및 실행과 더불어 후속세대에 대한 에너지 소양 교육은 지속가능한 에너지 문제 해결의 핵심이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수준을 진단하고, 사전개념을 파악함으로써 에너지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고등학교 1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에너지원의 특징, 에너지 전환, 온실기체, 에너지원의 장·단점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한 결과 전반적인 학생들의 이해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보았을 때 에너지원의 특징에 대한 이해도가 각 에너지원의 장단점, 온실기체배출에 대한 이해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에너지 전환 범주에서는 특히 태양열 발전에서의 에너지 전환 문항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해 다양한 사전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식 측면에서의 에너지 교육과 관련한 교육내용과 방법, 교수학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of human beings is the development and use of new energy sources. Energy literacy education for the succeeding generation, with the establishment and practice of effective energy policy, is the key to sustainable solutions for energy problems. In this study,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econception of new energy sources were explored to drive discussion for the energy education. The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of new energy, energy conversion, greenhouse gas emission, pros and cons of new energy was conducted with 10th grad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new energy was not high. Th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was particularly low in the characteristics of new energy source compared to the understanding about pros and con s of new energy, and greenhouse gas emission. Especially, the students did not understand much about energy conversion in solar power generation. In addition, students showed various preconception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was made, especially on knowledge aspects, educational contents, practice, and overall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energy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관련 변인 간 구조적 관계 연구

        윤회정(Heo jeong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8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관련 변인간의 관계를 구조모형으로 나타내고 구조모형에 대한 적합도와 경로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잠재변인으로 학업스트레스, 자아효능감, 메 타인지, 학습동기를 선정하고 변인들 간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자아효능감, 자아효능감은 학습동기, 메타인지와 학업성취도, 메 타인지는 학업성취도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성취 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아효능감, 학습동기, 메타인지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자 아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학습동기와 메타인지의 매개효과가 나 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동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메타인지의 매개효 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학업성취도 관련 여러 변인들 간의 종합적인 관계를 도출 하였다는 점과 학업스트레스, 학습동기, 자아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다른 변인들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영향관계의 경로를 구체화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a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path coefficient and goodness of fit index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cademic stress, self efficacy, meta-cognition, learning motivation were chosen as latent variable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 among variables were tes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ademic stress has a 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Self-efficacy has direct effects on learning motivation, meta-cogni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Meta-cognition has a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meta-cognition were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hievement. Learning motivation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meta-cognition. Finally,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learning motivation and meta-cognition were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in the aspect that overall relations among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were derived. The path of influencing relationship was also identified by finding out the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tress,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학습자 특성과 대학입학전형요소에 따른 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비교 - A대학을 중심으로 -

        윤회정 ( Yoon Heojeong ),방담이 ( Bang Dami ),손연아 ( Son Yeon-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A 대학 신입생 1,484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받았던 사교육의 현황과 사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A 대학 전형과 사교육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의 입학전형 개선, 고등학교 공교육 활성화와 사교육 경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학생들이 받았던 사교육은 그 유형에 따라 기간이나 빈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교육에 지출한 비용과 소요한 평균 시간은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을 받는 이유는 성적 향상을 위한 보완적 목적이라 기보다는 경쟁적 동기가 좀 더 주된 이유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형요소별 사교육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교육을 통해 준비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전형은 실기와 논술로 나타났으며, 수능에 대한 사교육 의존정도가 다른 전형 요소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형요소별 비율 조정이 공교육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응답의 분석 결과, 생활기록부의 확대가 공교육 활성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이 다른 전형요소에 비하여 다소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private tutoring and the students` perception of private tutor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and private tutoring to improve entrance admission of university. 1,484 freshman students at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rivate tutoring was various in periods and frequency depending on the type. The expenditure on private tutoring and the average time spent showed a large variation. Also, the reasons for using private tutoring were mainly motivated by competitive motivation rather than complementary purpose. Public education was difficult to prepare practical education and essay, and the degree of dependence on private tutoring for SAT was somewhat higher than other typical elements. In addition, the response to the effect of the proportional factor adjustment on the activation of public education showed that the expansion of the student record might affect the activation of public education.

      • KCI등재

        국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ED) 교사교육 방향성 모색

        윤회정(Yoon, Heojeong),박은미(Park, Eunmi),김지영(Kim, Jiyoung),방담이(Bang, Dami)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2 No.-

        인공지능은 우리 생활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되며 교육분야도 결코 예외는 아니다. 시대적 흐름에 따라 교사교육 방향의 재정립이 필요한현시점에서, 국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ED)을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확인, 연구 선별, 적격성 평가, 최종 포함 연구 선정의 네 단계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여 국내 선행연구23편을 선정하였다. AIED 인식과 AIED 교사교육의 2개 범주에서 6개의 하위범주로분석틀을 구성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주인 AIED 인식측면에서 교사들은 AI의 지적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AI를 이해하고 있었다. AIED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 교육경험과 같은 개인 변인에 따라 상이한인식이 나타났다. AIED 교육여건으로 교사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이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둘째 범주인 AIED 교사교육 연구에서 제시한 교사교육 유형은교육과정, 교과목, 연수 프로그램,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모든 유형에서 AIED 교사교육의 내용은 AI 활용교육보다 AI 소양교육에 집중되어있었다. AIED 교사교육 실행 효과로 만족도를 조사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교수효능감, 관심도, 효과성, 현장활용도 등이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AIED 교사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It is predict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AI) will have a great impact on our lives, and on the education as well. At a time when the teacher education needs to be re-established with the change of the er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for AIED based on the review of domestic precedent studies. Twenty three studies were selected by 4 stages of the systematic review, which were Identification, Screening, Eligibility and Included. The framework which consists of six subcategories in two categories, which were AIED recognition and AIED teacher education, was used in analyzing precedent studies.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category of AIED recognition, teachers understood AI by focusing on the intellectual activities. They mostly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AIED. However different perceptions appeared depending on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experience. The need for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heir AIED competencies was suggested as the AIED education condition. In the category of AIED teacher education, types of educa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curriculum, subject, training program, and educational program. In all studies, the contents of AIED teacher education were focused on the education about AI rather than the education with AI. Most of the studies investigated the satisfaction as the effect of AIED teacher education, and other effects such as teaching efficacy, interest, effectiveness, and possibility of field use were also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AIED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7학년 과학교과서 물질 영역에 제시된 외적 표상의 분석

        윤회정 ( Heojeong Yoo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1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7학년 과학의 물질 영역인 ‘기체의 성질’과 ‘물질의 상태 변화’ 단원에 제시된 외적 표상을 분석하여 표상을 활용한 과학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표상의 유형, 표면적 특성의 해석, 본문과의 관련성, 캡션의 존재와 특성, 복합적 표상에서 표상 간 관련성, 표상의 기능의 여섯 가지 범주로 구성된 분석틀을 이용하여 다섯 종의 교과서에 나타난 표상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체의 성질’과 ‘물질의 상태 변화’ 단원의 성취기준을 설명하는 각 교과서에 제시된 대표적인 표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표상의 유형에서는 거시적 표상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표면적 특성의 해석 범주에서는 명시적 특성을 가진 표상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본문과의 관련성 범주의 분석 결과, 대부분의 표상이 완전한 연관성과 연결 또는 완전한 연관성과 비연결에 해당하여 표상과 본문 내용은 일관성 있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캡션의 존재와 특성 범주에서는 적절한 캡션이 존재하는 표상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복합적 표상에서 표상 간의 관련성은 충분히 연결된 표상이 대부분이었다. 표상의 기능 범주에서는 완성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탐구 활동에 제시된 표상에서는 미완성형이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성취기준과 관련된 대표적인 표상을 분석한 결과, 표상의 유형, 표상에 제시된 정보 및 기호의 사용 등에서 교과서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7학년 물질 영역의 표상 활용과 관련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external representation presented in two units, ‘Property of Gas’ and ‘Changes of States of Matter,’ in seventh grade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ere analyzed to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External representations presented in five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ix criteria, which were ‘type of representation,’ ‘interpretation of surface features,’ ‘relatedness to text,’ ‘existence and properties of a caption,’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representations comprising a multiple one,’ and ‘function of represen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ypical representations related to each achievement standard of two unit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acro representations for ‘type of representation’, and explicit representations for ‘interpretation of surface features’ showed highest frequency. For ‘relatedness to text’ criteria, ‘completely related and linked’ and ‘completely related and unlinked’ representation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t means that most representations were properly related with the text. There were appropriate captions for most representations.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representations comprising a multiple one was largely sufficiently linked with regards to the criteria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representations comprising a multiple one’. The complete representations for ‘function of representa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aggregate, however incomplete representations showed more frequencies in the inquiry parts. The typical representations for each achievement standard differed in terms of the type, contained information, used symbols and so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with the use of representations presented in seventh grade textbook were discussed.

      • KCI등재

        통합교육의 효과변인 추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윤회정 ( Heojoeng Yoon ),김지영 ( Jiyoung Kim ),방담이 ( Dami B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6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효과변인을 추출하기 위하여 통합교육 교육과 연구 전문가 46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3차에 걸쳐 진행하였다. 1차 설문은 통합교육을 통해 성취해야 하는 능력에 대한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2차 설문에서는 1차 설문 결과의 분석을 통해 추출된 효과변인에 대한 동의정도를 응답하도록 하였다. 3차 설문에서는 2차 설문결과로부터 얻은 효과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및 사분위수 값을 제시한 후 다시 동의정도를 응답하도록 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3차 설문에서는 범주 타당도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상위 다섯 개 변인을 선정하는 문항을 추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설문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여 총 19개의 효과변인을 추출하였다. 2차 설문의 분석 결과, 1차 설문에서 얻은 효과변인들 중 1개(진로의식)를 제외한 18개 변인이 기준에 부합하여 이들을 최종 변인으로 확정하였고, 각 변인의 의미와 속성에 기초하여 다섯 가지로 범주화하였다. `창의성 관련 변인`으로 사고의 유연성, 연관적 사고력, 직관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 관련 변인`으로 메타인지능력, 문제인식 및 해결방안 도출, 비판적 사고력, 의사결정능력, 적용력, 지식정보처리능력, `통합인지와 감성 관련 변인`으로 여러 교과에 대한 관심과 흥미, (학문/의견/문화/개인/사회 등의)차이에 대한 이해와 수용, 통합적 사고력, `대인관계 관련 변인`으로 의사소통능력, 협동성, `학문적 소양 관련 변인`으로 인문학적 상상력, 기초학문지식과 소양, 학습동기를 분류하였다. 동의정도가 높게 나타난 변인은 `창의성과 문제해결 관련 변인`에 해당하였으며 중요도에 대한 선택 빈도가 높게 나타난 변인은 `통합인지와 감성 관련 변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의 실행과 평가와 관련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Delphi Method was conducted to extract variables as effects of integrated education. Forty-six experts engaged in both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research fiel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rounds. In the first round, an open questionnaire was given asking variables possibly considered as effects of integrated education. In the second round, variables induced from analysis of the first survey results were given and the degree of agreement for each variabl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ikert scale. In the third round of the surve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he first and third quartile calculated using the results of the second survey were given to experts to determine their degree of assent. In addition, categories for variables were suggested. The degree of agreement for appropriateness of categorization and relative importance were determined As a result, a total of 18 variables were chosen except for career awareness. They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definition and properties into five categories: `creativity` (flexible thinking, associative thinking, intuitive thinking, creative thinking), `problem solving` (meta-cognition, problem recognition and solving, critical thinking, decision making ability, ability of knowledge application,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integrative perception and sensitivity` (concern and interest in various disciplines,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difference, integrative thinking), `interpersonal relations` (communication skills, cooperation), and `disciplinary literacy` (humanistic imagination, basic knowledge and literacy of each discipline, academic motivation). The degree of agreement was high in variables included in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categories and the frequency of choosing the importance was high in variables included in `integrative perception and sensitivity`. The educational implication related to implementation and practice of integrated education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results.

      • KCI등재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행에 필요한 역량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탐색

        윤회정(Heojeong Yoon),방담이(Dami B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역량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교수 활동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대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수행역량 검사를 시행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 탐구/조사 및 분석, 프로젝트 운영, 협업, 발표 및 보고서 작성의 5개 역량에 따른 49개 항목에 대하여 중요도, 수행도, Borich 지수, IPA 매트릭스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아 집중강화 영역으로 분류된 항목은 모두 11개로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중 2개 항목, 탐구/조사 및 분석역량 중 2개 항목, 프로젝트 운영역량 중 1개 항목이었으며 발표 및 보고서 작성역량에서 6개 항목으로 가장 많았다. 협업역량 중에는 집중강화 영역에 해당하는 항목이 없었다. 11개 항목은 Borich 지수에 따른 교육요구도 순위 중 1-14위에 속하였으며 상위 순위 중 저순위 영역 2개, 지속유지 영역 1개의 총 3개 항목이 제외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설계, 운영할 때 현장 대응 능력, 혁신, 사고력, 위기관리와 리더십 등과 관련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al needs for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project based learning in order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strategy. Methods To this end, a project performance competency test was administered to 120 university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Importance, performance, Borich index, and IPA matrix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49 items of the five competencies: creative problem solving, inquiry/research and analysis, project management, collaboration, presentation and report writing.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all items was lower than their importance. A total of 11 items were classified as ‘Concentrate here’ area, with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These included 2 items in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ies, 2 items in inquiry/research and analysis competencies, 1 item in project management competencies, and 6 items in presentation and report writing competencies which showed the highest number among the competencies. There was no item of ‘Concentrate here’ area in the collaboration competencies. 11 items were ranked within the 1st to 14th positions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the Borich index. 3 items of the top rankings were excluded from ‘Concentrate here’ area, 2 items falling into the ‘low-priority’ area and 1 item into the ‘Keep up the good work’ area.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project based learning for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field handling ability, innovation, thinking skills, crisis management and leadership.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대체에너지에 대한 이해도와 대안개념 분석

        윤회정 ( Yoon Heojeong ),나지연 ( Na Jiyeo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초등과학교육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alternative energy and to identify their alternative conceptions. The two-tier instrument had been developed by Cheong et al. (2015) were used for this study. Twelve items from the instrument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source of alternative energy’, ‘greenhouse gas emission’, ‘cost in electricity and construction’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ne hundred and fiftee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online survey during the semester. The results analyzed using SPSS 26.0.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ct response rate varied depending on the content of item. Items related to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 disadvantages of alternative energy showed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hereas, items regarding the principles of alternative energy showed relatively low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Second, there are some items showing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students’ high school track. Nevertheles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Third, we identified twelve alternative conceptions about alternative energy from students’ answer distribu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