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차별가해경험과 차별피해경험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성아(Sung-a B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abuser experiences and discrimination victim experiences on the human rights consciousnes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self-esteem a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se two variables, And to fin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662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panel of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the third year (2016), as the sample and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validation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buser against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ren "s center has negative effects on self - esteem. Second, the self-esteem of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human rights consciousness. Third, the experiences of child discrimination abuse and discrimination of local children "s center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 s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through self - esteem. In conclusion, we proposed practical use measures to promote positive emotional development and human rights consciousnes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 KCI등재

        『주역』과 인공지능

        인(Bang, In)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이 논문의 목적은 『주역』과 인공지능 사이에 존재하는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히려는데 있다. 『주역』의 점술은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지식체계 가운데 하나이며, 인공지능은 인류가 만들어낸 과학의 발명 가운데서도 최전선에 서 있는 지식체계이다. 양자 사이에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빅 히스토리(Big History)의 관점에서 본다면 『주역』과 인공지능은 기호학적 관점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지닌다. 첫째, 인공지능과 『주역』은 인공언어를 사용하는 기호 체계에 의지한다. 둘째, 점술과 인공지능을 가능하게 하는 원리는 모방과 재현에 있다. 셋째, 인공지능과 『주역』은 모두 추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알고리즘(algorithm)에 의지하며, 그 알고리즘은 이진법(二進法)을 기본적 수단으로 삼는다. 넷째, 『주역』과 인공지능은 지식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비(類比)의 방법에 의존한다. 물론 이러한 몇 가지 유사성이 있다고 해서 『주역』이 과학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혀 거리가 먼 것 같은 두 지식체계사이에 이러한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문명의 본질에 관해 중요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주역』과 인공지능은 미지(未知)의 세계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얻기 위하여 지능을 사용한다. 그러나 우리는 『주역』의 점술의 과정에 개입하는 지능이 어떤 종류의 지능인지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인공지능의 성격에 대해서도 아직 잘 알지 못하고 있다. 미지의 주체에 의해 운용되는 지능은 우리에게 신비롭고도 두려운 존재이다. 『주역』의 점술이 우리에게 점단(占斷)을 행하는 초월적 주체가 무엇인지에 관해 경외하는 마음을 품게 하였듯이, 기계속에 보이지 않는 인공지능의 주체도 우리를 두렵게 한다.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의 등장은 의식있는 존재만이 지능을 가질 수 있다고 간주했던 전통철학의 관점에 도전을 던지고 있다. 분명한 것은 기호를 매개로 진행되어 온 문명의 발전 과정이 이제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는 시점을 특이점(singularity)이라고 하는데, 필자는 이 용어를 구문명(舊文明)과 신문명(新文明)의 경계를 가리키는 임계점(臨界點)이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소옹(邵雍)의 용어를 빌려서 표현한다면 구문명은 선천(先天)이고, 신문명은 후천(後天)이다. 임계점을 지나면 질적 변화가 일어나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며 더 이상 과거로 회귀하지 않는다. 현대 문명은 특이점을 통과했다는 징후를 여러 측면에서 보이고 있다. 후천개벽은 조선 후기의 종교 사상가들에게는 예언이었지만 어느덧 소리 없이 현실로 다가와 이미 우리 곁에 있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Zhouyi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divination of the Zhouyi is rooted in the oldest system of human knowledge, while artificial intelligence stands at the cutting edge of modern scientific revolution. At first sight, there does not appear to be any association that links the one to the another. However, they share the same ground as seen from a semiotic standpoint because both of them depend on the semiotic system as a means of obtaining knowledge. At least four aspects can be pointed out in terms of similarities.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Zhouyi use artificial language that consists of semiotic signs. Secondly, the principle that enables divin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ies in imitation and representation. Thirdl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Zhouyi carry out inferences based on mathematical algorithms that adopt the binary system. Four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Zhouyi use analogy as a means of obtaining knowledge. However, those similarities do not guarantee that the Zhouyi could arrive at the scientific certainty. Nevertheless, it can give us important insight into the essence of our civilization. The Zhouyi uses intellect in order to get new information about the unknown world. However, it is hard to know what kind of intellect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divination. Likewise, we do not know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tellect hidden in the unknown subject is a mystic and fearful existence to us. Just as the divination of the Zhouyi inspires the sense of reverence toward the supernatural subject, we could not but have fear in front of the invisible subject hidden in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past, traditional philosophy acknowledged the existence of intellect only in conscious beings. Nonetheless, it becomes evident that human civilization ushers into a new epoch. As Ray Kurzweil mentioned, the moment of singularity comes when artificial intelligence surpasses human intelligence. In my viewpoint, the term of singularity can be used for denoting the critical point in which the human species enters into the new phase of civilization. To borrow the term of Shao Yong(邵雍)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past civilization belongs to the Earlier Heaven(先天), the future civilization belongs to the Later Heaven(後天). Once our civilization passes over the critical point, it is impossible to go back into the past. The opening of the Later Heaven foretold by the religious thinkers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was a prophecy in its own age, but it is becoming a reality in the present.

      • 매장문화재의 전시 교육 콘텐츠 활용 : 도자고고학 자료를 중심으로

        유리 ( Bang Yuri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9 陶藝硏究 Vol.- No.28

        문화재는 어렵고 지루하며 일부 역사에 관심있는 사람들과 연구자들의 영역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그러나 발굴조사된 고고자료를 이용한 콘텐츠 전시 및 활용은 획일적인 문화재교육에 활력을 주고 문화유산의 새로운 가치를 찾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매장문화재 조사는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이에 따라 출토되는 유물도 매우 다양하다. 출토유물은 유적의 연대와 성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에 자세한 도면과 사진 등의 보고서 작성을 통해 연구기록으로 영구보존된다. 그러나 발굴자료 중 의미가 부여된 일부 유물만 전시되고, 대다수는 수장고 안에 다시 보관된다. 이외 발굴 문화재 중에는 유물선별회의를 통해 매몰유물로 선정되어 안내판과 함께 땅속에 다시 묻히는 과정을 겪기도 한다. 문화재 교육은 대부분 교과서 내용과 시청각자료를 사용하고 있다. 조금 더 적극적인 방법은 박물관을 찾아가 진열장 안에 있는 유물을 실견하는 것까지가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관심과 흥미는 있으나 더 이상 확장되지 못한 채 닫히고 만다. 이에 여러 방면으로 체험활동을 포함한 문화재교육 방법을 개발하여 다양하게 발전해나가고 있다. 그러나 실제 유적과 유물을 접했던 사람들의 경험은 그동안 우리가 하지 못했던 문화재활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이제 문화재 관련 연구자들은 많은 매장문화재가 발굴되고 있는 만큼, 단순한 체험이나 복제된 재현품을 접하는 것이 아니라 발굴조사를 통해 다시 살아나 우리 옆으로 다가온 역사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할 것이다. 이와 같은 활용은 문화의 원형을 배우고 지키면서 현재적 의미를 가진 문화유산의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하나의 길이 될 것이다. Our cultural heritage are difficult to understand and boring, and it's easy to think that only some experts are interested in it. However, the use of the contents using the archaeological data of the excavated remains can be a way to revitalize the uniform cultural property education and to find the new value of cultural heritage. At present, most cultural property education uses textbook contents and audiovisual materials. A more active way is to visit a museum and appreciate the relics in the showcase. Therefore, concern and interest are closed but not extended anymore. Therefore, cultural property education methods including experiential activities have been developed and growing in various ways. As the investigation of burial cultural assets has increased explosively since the 2000s, the archaeological artifacts excavated are very diverse. Excavated relics are mutually important because they are important criteria in determining the age and character of the ruins. However, only some of the excavated archaeological materials have been displayed, and many of them are stored in storage. In addition, among the excavated cultural assets, some of them are selected as burial relics through a relics selection process and are buried again in the ground along with a signboard. However, experiences of people who have encountered real monuments and artifacts require that we create a paradigm of cultural recycling that has not been possible so far. Rather than encountering simple experiences or replicated reproductions, the public should create opportunities to encounter the history that come to life through excavation. Such use will be a way to learn, preserve the archetypes of culture and create new values of cultural heritage with present meaning.

      • KCI등재

        조선 분청사기 "귀얄문"에 나타난 직관적 "즉흥성"에 관한 연구

        창현 ( Chang Hyun Bang ),이헌국 ( Heon Gook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조선의 분청사기가 만들어지던 전후의 시기에 중국과 일본 그리고 유럽의 도예가 치밀한 계획성과 작위성에 의해 공예작품을 제작한데 반해 조선 분청사기에서는 당시의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직관적 ‘즉흥성’을 통한 추상표현주의의 회화적 요소가 발견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동서양에 나타난 ‘즉흥성’의 미학을 고찰함으로써 조선시대의 분청사기가 지니는 현대적 미감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선 분청사기의 연원과 특징을 동아시아의 분청사기와 비교분석하고, 아울러 동양의 선불교 회화에서 드러나는 ‘즉흥성’의 미학과 서양 추상표현주의 미술의 ‘즉흥성’의 미학을 살펴봄으로써 분청사기 ‘귀얄문’에 나타난 즉흥성의 미학을 연구한다. 선불교 회화의 대표적인 양식인 달마도는 작위적인 기교 없이 한 두 번의 붓질로 선불교의 공(空)의 사상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분청사기 귀얄기법과 연관성을 지닌다. 또한 서양의 아방가르드 작가들은 즉흥적인 ‘선’을 통해서 자신의 내면의 표현함으로써 ‘즉흥성의’ 미학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결론적으로 ‘즉흥성’을 드러내는 동서양 미술은 공통적으로 기존 미술의 전통과 질서를 부정하고 새로운 미술을 추구하는 아방가르드적인 혁신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아방가르드적인 혁신성이 조선의 분청사기에서 시작되어 현대 도예가들에게 계승발전되는 것은 일반적인 공예의 전통에 비추어 매우 희귀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Whereas ceramics all over the world were crafted using elaborate plans and contrivances at the time, Joseon buncheong ware reveals the pictorial elements of abstract expressionism through intuitive ‘spontaneity’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a new recognition of the value of Joseon buncheong ware by analyzing randomized spontaneity in the gwiyal technique using Western and Eastern aesthetics. For this, this article studies the ‘spontaneity’ aesthetics of gwiyal decoration by analyzing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Joseon buncheong ware compared to Eastern Asia’s buncheong wares, and also by looking into the ‘spontaneity’ emerged in Eastern art through Zen Buddhist painting and the ‘spontaneity’ of abstract expressionism of Western modernist paintings. Dalmado, a type of Zen Buddhist painting is closely related with gwiyal technique of buncheong ware in that it expresses the ‘void’ ideology with one or two brush strokes without any artificial technique. And avant-garde artists laid a theoretical basis of ‘spontaneity’ aesthetics through the ‘spontaneous’ art of ‘lines’ to express their inner world. In conclusion, the common grounds of Eastern and Western art with ‘spontaneity’ originate from the avant-garde innovativeness of denying the traditions and order of art of the past and pursuing new art. Above all, it is rare phenomenon that the avant-garde innovativeness starting from Joseon buncheong ware has succeeded to contemporary Korean potter in the light of the general tradition of craft.

      • KCI등재

        씰 투스 간극이 틸팅 패드 저어널 베어링 손실과 온도에 미치는 영향

        경보(Kyungbo Bang),최용훈(Yonghoon Choi),조용주(Yongju Cho)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2018 한국윤활학회지(윤활학회지) Vol.34 No.5

        Tilting pad journal bearing is widely used for steam turbines because of its excellent dynamic stability. As the turbine capacity increases, power loss in the bearings becomes a matter of concern. Power loss in tilting pad journal bearings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bearing clearance and reducing the pad arc length. In this study, the tilting pad journal bearing is tested by changing the seal tooth clearance to verify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bearing. Bearing power loss and bearing metal temperature are evaluated to compare the bearing"s performance and reliability for several test cases. The test bearing is a tilting pad journal bearing with 300.62mm inner diameter and 120.00mm active length. The bearing power loss, its metal temperature, and oil film thickness are measur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rotor"s rotational speed, oil flow rate, and bearing load. Test results show that a tilting pad journal bearing with large seal tooth clearance has 40% lower power loss compared with a bearing with a small seal tooth clearance. As the seal tooth clearance is increased, the power loss of the tilting pad journal bearing decreases. However, with respect to the bearing metal temperatures, a detuning point is observed that makes the minimum bearing metal temperature. Moreover, as the seal tooth clearance is increased, the oil film thickness increases due to high viscosity.

      • KCI등재

        사용자 경험 최적화를 위한 공간정보기반 시뮬레이터 개발

        그린(Green Bang),고일주(Ilju Ko) 韓國컴퓨터情報學會 2016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1 No.3

        In this paper, we propose spatial information based simulator for user experience optimization and minimize real space complexity. We focus on developing simulator how to design virtual space model and to implement virtual character using real space data. Especially, we use expanded events-driven inference model for SVM based on machine learning. Our simulator is capable of feature selection by k-fold cross validation method for optimization of data learning. This strategy efficiently throughput of executing inference of user behavior feature by virtual space model. Thus, we aim to develop the user experience optimization system for people to facilitate mapping as the first step toward to daily life data inference. Methodologically, we focus on user behavior and space modeling for implement virtual space.

      • KCI등재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인자(In-Ja Ba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role of university professors, reflecting cases of online lectures according to the essence of teaching.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the researcher reflected on the process and the results that faced while running online lectures. The online lecture covered in this study was the teaching training course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earcher had no experience in conducting online lecture and had to prepare the lecture without any training course. With the spread of Covid 19, an epidemic that has occurred worldwide, university professors had to prepare for online lectures in Korea. Thus, the researcher underwent various trials and errors to run the online lecture, and tried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o increase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lecture. It is significant in presenting the role of university professors through an online lecture management.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er s experience, this researcher suggests that the implications of university lectures to increase communication and student participation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본 연구는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직면했던 문제를 해결한 경험적인 과정을 반성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수업의 본질에 따른 교수자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는 수업은 C 대학교에서 강사로 임용된 연구자가 2020년 1학기에 온라인 수업으로 운영한 교직과목에 해당한다. 연구자는 온라인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전혀 없었으며,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별도의 훈련 과정 없이 수업을 준비해야 했다.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전염병인 코로나19의 국내 확산으로 유례없이 진행된 온라인 수업에서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학생들의 참여를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활동을 시도했다. 이례적으로 진행된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의 어려움을 극복해나가는 온라인 수업 운영 과정을 통해 교수자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과 교수자 간 소통과 학생 참여 증진을 위한 대학 수업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김신부부전(金申夫婦傳)>과 <동상기(東廂記)>의 형성과정과 특징 비교

        동수 ( Dong Soo Bang ) 택민국학연구원 2013 국학연구론총 Vol.0 No.12

        본 연구는 정조 때 실제로 있었던 동일한 사건을 기반으로 창작된 <金申夫婦傳>과 <東廂記>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들을 살펴보고, 그것이 갖는 작품 안팎의 의미들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두 작품은 같은 사건을 소재로 형성되었고, 가난 때문에 늦도록 혼인하지 못한 백성들을 위해 베풀어진 조정의 助婚政策과 은혜를 베푼 임금의 자애로운 聖德을 찬양하는 것에서 그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 두 작품은 서로 다른 장르와 구성을 통해 표현되었고 이는 당시의 사회·정치적 상황과 더불어 몇 가지의 두드러진 차이점을 나타내었다. 먼저 두 작품은 일차적으로 傳과戱曲이라는 갈래에 따른 차이점을 지닌다. 그리고 서술 문체에 있어서도 <金申夫婦傳>이 고문에 반하지 않는 평이한 문체인 것에 비해 <東廂記>는 한문이 사용되었으나 전통 문체로만은 보기가 어려운 다양한 방법들이 구사되어 있다. 또한 작품 세부적인 내용과 구조에 있어서도 지명, 등장 인물의 신분과 그 역할, 파혼 문제 등의 여러 가지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이 글은 두 작품 간의 차이점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그에 따른 작품의 의미를 밝혀보고자 했다. Both <KimSin Bubu Jeon(金申夫婦傳)> and <DongSang Gi (東廂記)> were written based on a true story under King Jeong-Jo era in Chosu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wo works were written with different features and styles, and what significances these differences mean to each work. These two works share in common that they were written base on the same true story which is to praise the King Jeong-Jo for his new marriage policy for people of Chosun who were having hard time to get married due to poverty. However, these two works are different in their genre and express with different composed format. One of distinguished features is that one is written as a biography and the other is written as a play. <KimSin Bubu Jeon(金申夫婦傳)> used plain language that people used at that time, where <DongSang Gi(東廂記)> used unusual styles which was not commonly found at that time. In addition, each work`s descriptions on geographical locations, charters` social position, and the problem with breaking off marriages are different. All of these distinguished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by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of these two pieces of work were created. In this paper, <KimSin Bubu Jeon(金申夫婦傳)> and <DongSang Gi(東廂記)> were looked thoroughly and analyzed by their significant differences even though these two pieces of work are based on the same true 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