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합 태도 검사 도구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방담이(Bang Dami),김지영(Kim Jiyoung),윤회정(Yoon Heo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 교육을 통해 함양될 것으로 기대되는 정서적, 감성적 특성으로서의 융합 태도를 평가할 수 있는 중등학생 대상의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방담이, 윤회정(2018)이 제시한 융합 교육 평가틀에 기초하여 융합 태도의 요인 을 선정한 후,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였다. 1차로 55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서울 소재 중등학생 121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부적 합한 21개의 문항을 제거하고 다섯 개의 요인을 선정하였다. 수정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서울 소재 중등학생 506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시행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세 개의 문항을 추가적으로 제거하였고, ‘다양한 분야에 대한 흥미’ 요인(8개 문항), ‘심미적 감성’ 요인(8개 문항), ‘융합과제 해결에 대한 의지’ 요인(5개 문항), ‘차이에 대한 이해와 수용’(6개 문항), ‘교과융합에 대한 의지’(4개 문항)의 31개 문항을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개발한 검사 도구는 융합 교육의 설계, 적용, 효과 파악 및 환류를 통한 개선의 과정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strument for convergence attitude as emotional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cultivated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Bang & Yoon, 2018), test items were developed. After validity verification by the experts, the preliminary version of the test consisting 55 items was implemented to 12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ccording to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21 items were eliminated and 5 factors are extracted. Revised version of the test were implemented to 50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inally, 1)8 items in the first factor ‘interests in various disciplines’, 2)8 items in the second factor ‘aesthetic sensitivity’, 3)5 items in the third factor ‘commitment to the integrated task’, 4)6 items in the forth factor ‘comprehension and tolerance about difference’, 5)4 items in the fifth factor ‘willingness to integrate disciplines’ were develop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tent validation analysis. The test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extensively at every steps of design,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integrated education.

      • KCI등재

        논증적 과학글쓰기의 특성과 목표에 따른 평가준거와 평가틀 제안

        방담이(Dami Ba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이 연구의 목적은 논증적 과학글쓰기의 특성과 목표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논증적 과학글쓰기 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준거 및 평가틀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논증적 과학글쓰기의 특성을 논증으로서의 사고 특성, 과학으로서의 내용 특성, 글쓰기로서의 활동 특성으로 정의하였다. 이어서 특성에 따라 논증적 과학글쓰기의 목표를 다섯 가지로 구체화하였다. ‘비판적 사고력 함양’은 사고 특성에 따른 목표이며, ‘과학적 방법에 대한 이해’는 사고 특성과 내용 특성을 동시에 반영한 목표이다. ‘과학 지식에 대한 이해’는 내용 특성에 따른 목표이며,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함양’은 내용 특성뿐만 아니라 활동 특성과도 관련된다. ‘글쓰기 능력 함양’은 활동 특성에 따른 목표이다. 마지막으로 목표에 따라 평가준거를 구체화한 후 이를 활용하여 미흡, 보통, 우수의 3단계 평정척도로 이루어진 평가틀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증적 과학글쓰기의 교수학습 설계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framework for argumentative scientific writing activitie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argumentative scientific writing.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argumentative scientific writing were defined in three ways: thinking skill characteristics as arguments, content characteristics as science,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as writing. Second, the five goals were specified accordingly. The goal of ‘cultivating critical thinking ability’ was related to the thinking skill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ing the scientific method’ was related to both thinking skil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The goal of ‘understanding scientific knowledge’ was related to the content characteristics, and the ‘cultivation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was related to both content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The goal of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y’ was related to the activity characteristics. Third, evaluation criteria of argumentative scientific writing were specified according to the goals. Finally, the evaluation framework consisting of a three-level rating scale of poor, average, and excellent was proposed using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rgumentative scientific writing clas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융합교육을 통한 학생 성취 평가의 장애 요인 및 지원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색

        방담이(Bang Dami),윤회정(Yoon Heo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This is a survey research which investigated perceptions of teachers on barriers and support plans to evaluate students’ achievement in integrated education. Survey was conducted to 60 elementary school teachers, 61 middle school teachers, and 74 high school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barriers of integrated education were investigated in five categories: target and domain of evaluation, criteria and guideline, understanding and collaboration with other discipline, execution of evaluation, and administration and time. Generally, middle school teachers felt more difficulties in evaluation compared to elementary and high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in following items got high score: evaluation of higher order thinking abilities, the use of evaluation results for entrance examination, the lack of evaluation criteria, the lack of specialty over other disciplines, and the lack of time due to the heavy workload. Support plans for evalu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were analyzed in five different criteria: deeper understanding for background theory of integrated education, time support, administrative support, support for resources, and support for flexibility in curriculum operation. Teachers showed higher demand for reduction of workload, securement of human resources and time regardless of school level. Based on results resources, systematic, administrative, and educational support plans related to evalu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중·고교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융합교육을 통한 학생의 성취를 평가할 때 장애가 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는 데 필요한 지원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60명, 중학교 교사 61명, 고등학교 교사 7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평가의 대상과 영역’, ‘평가의 기준과 지침’, ‘타교과와의 협력과 이해’, ‘평가의 실행 및 결과 활용’, ‘행정 및 시간’의 다섯 가지 범주에서 융합교육 실행에 대한 평가의 장애 요인을 분석한 결과, 타학교급에 비해 중학교 교사들이 장애요인을 더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 보면 고차원적 사고력의 평가가 가장 힘들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평가 기준의 미비, 타교과 내용에 대한 평가, 업무과다로 인한 시간 부족, 진학이나 입시에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지원방안에 대한 설문 범주인 ‘융합교육 평가의 이해를 위한 지원’, ‘시간적 지속성 지원’, ‘행정지원’, ‘융합교육 평가를 위한 자원요소 지원’, ‘교육과정에 따른 제한성에 대한 지원’에 대하여 초·중·고교 교사 모두 업무 경감, 업무보조를 위한 인적자원의 확보, 평가를 위한 준비시간의 확보와 같은 ‘시간의 지속성 지원’ 범주에 대해 가장 높은 요구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융합교육 평가에 요구되는 자원, 제도, 행정, 교육적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전공계열과 성별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양식 간의 관계

        방담이(Bang, Da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9

        인식론적 신념은 개인적 변인이나 교육환경 같은 다양한 변인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인식론적 신념은 학생의 이해나 학습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성별과 전공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양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인식론 적 신념이 학습양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사립대학교의 3, 4학년 학생 총 260명을 대상으로 송인섭과 김수란(2012)의 인식론적 신념 검사지와 Cohen, Oxford와 Chi(2001)의 학습양식 검사지를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인식론적 신념의 성별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식론적 신념의 전공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공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에 비해 지식의 확실성, 앎의 원천, 앎의 정당화, 규제된 학습 요인에서 미성숙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양식의 성별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시각적 유형을 선호하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임의적-직관적양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양식의 전공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인식론적 신념의 학습양식에 대한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앎의 원천과 규제된 학습이 구체적-순차적 양식에 대해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별과 전공 및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양식을 고려한 교수학습 전략의 개발에 필요한 점들을 제안하였다. Epistemological beliefs of individual student are known to b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personal variables and educational background. It also affects on students’ comprehension an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factors influencing on epistemological beliefs and learning styles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wo hundred and sixty undergraduate students of one private university located near metropolitan area of Seoul participated. An epistemological belief questionnaire of Song & Kim(2012), and revised version Cohen, Oxford, & Chi’s learning style questionnaire(2001) were administered to assess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as well as their learning sty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epistemological belief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major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ad more mature epistemological beliefs than students major in science and engineering. Female students preferred visual and concrete-sequential learning style to male student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learning styles depending on students major. Analysis of regression showed omniscient authority and innate ability were significant contributor to predict concrete-sequential learning style. Finally, suggestions were made for developing learning-teaching strategy considering students gender and epistemological beliefs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Big idea를 중심으로 한 통합형 과학 교육과정 틀 설계

        방담이 ( Dami Bang ),박은미 ( Eunmi Park ),윤회정 ( Heojeong Yoon ),김지영 ( Jiyoung Kim ),이윤하 ( Yoonha Lee ),박지은 ( Jieun Park ),송주연 ( Juyeon Song ),동효과 ( Hyokwan Dong ),심병주 ( Byeingju Shim ),임희준 ( Heejun L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5

        Big ideas are overarching principles that help students to build a holistic understanding of domain-specific knowledge and assimilate individual facts and theories. This study aims to design a standard-based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framework based on Big ideas. The core contents were extracted by analysing the 2009 National science standards curriculum of primary and middle schools. Four Big ideas, ``diversity,`` ``structure,`` ``interaction,`` and ``change,`` were generated after the process of examination and categorization or core contents. The scientific facts. disciplinary concepts, and interdisciplinary concepts of every scientific domains included in each Big idea were represented as a knowledge pyramid. Essential questions guiding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sign were proposed on each Big idea. Based on the framework, teaching modules for ``structure`` were developed for grades 5--6.

      • KCI등재

        학교 밖 과학경험, 학습환경, 과학학습동기, 초인지 전략 및 과학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방담이(Bang, Da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과학경험, 초인지 지향 학습환경, 과학학습동기, 초인지 전략 및 과학성취도의 구조적인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 밖 과학경험, 초인지 지향 학습환경을 외생변수로, 과학학습동기, 초인지 전략 및 과학성취도를 내생변수로 하여 구조 모형을 설정한 후 모형 적합도 및 경로계수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밖 과학경험과 초인지 지향 학습환경은 과학학습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동기는 초인지 전략과 과 학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초인지 전략은 과학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 밖 과학경험과 과학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와 초인지 전략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초인지 지향 학습환경과 과학성취도의 관계에서도 과학학습 동기와 초인지 전략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outside of school scientific experience, metacognitive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metacognitive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this research, outside of school scientific experience and metacognitive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 were set as exogenous variable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metacognitive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were set as endogenous variables. Then goodness of fit index and path coefficient of structural model was ver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outside of school scientific experience and metacognitive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 have direct effect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has direct effects on metacognitive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Metacognitive strategy also has an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metacognitive strategy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utside of school scientific exper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This is the s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ve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칼 포퍼식 토론 방법을 기반으로 한 학문 통합 수업의 개발 및 적용

        방담이(Bang, Da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칼 포퍼식 토론 방법을 기반으로 학문 통합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이 수업 전략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 전략은 4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단계인 쟁점 탐색 단계에서는 쟁점을 인식하고, 관련된 학문 분야를 탐색하게 된다. 두 번째 단계인 토론 준비 단계에서는 각 조의 입장(찬/반) 및 학문 분야를 선택하고 이에 근거하여 토론 전략서를 작성한다. 세 번째 단계는 학문 통합형 칼 포퍼식 토론 단계로 하나의 토론에서는 하나의 학문 분야에 해당하는 근거만을 활용하여 토론을 시행한다. 이러한 토론을 여러 학문 분야에 대하여 여러 번 시행함으로써 쟁점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마지막 단계는 쟁점 해결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여러 학문 분야의 근거를 통합하여 자신의 의사를 결정한다.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 사립 대학교 1학년 학생 66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칼 포퍼식 토론 방법을 기반으로 한 학문 통합 수업을 시행한 후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창의적 사고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를 사용하였다. 수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범주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이 모두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p〈.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ter-disciplinary teaching strategy based on Karl Popper debate and to examine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n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Inter-disciplinary teaching strategy based on Karl Popper debate has 4 stages. At the first stage, the stage of exploration of issues, students recognize issues and specify issue related disciplines. At the second stage, the stage of preparation of debate, the stance(approve and disapprove) and the discipline of each group are chosen and then debate plan is made accordingly. At the third stage, the stage of inter-disciplinary Karl Popper debate, each debate takes logical basis from one discipline. A series of such debates can provide understanding of issues from the inter-disciplinary point. Lastly, at the stage of issue solving, each student makes their own decision on the issue by integrating multiple disciplines. Teaching strategy was implemented to 66 university entrants for the one semester.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was used to examine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present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all the subcategori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p〈.01).

      • KCI등재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교육 모델 설계

        방담이(Bang Da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에서는 융합교육을 위한 수업 설계 및 운영 모델로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강화 I4MAT 모델’을 설계하고 모델의 활용을 위한 수업 전략을 제안하였다.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강화 I4MAT 모델’은 네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융합 수업을 위한 주제 선정, 둘째, 브레인스토밍(하위주제 및 유관학문 나열), 셋째, 안내질문을 위한 초점과 순서 결정, 넷째, 활동 및 교수계획 설계의 단계이다. 이 중 세 번째와 네 번째 단계는 Why(연결, 주의)-What(형상화, 정보)-How(실행, 확장)-If(정련, 수행) 학습 사이클에 따라 구성된다. 또한, 학습 사이클 별로 각 활동에 적합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의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모델 활용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본성과 양육’을 융합 주제로 선정하고, 모델의 단계에 따라 구체적인 수업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과 수업 전략은 학습양식이 상이한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학습경험을 제공하며 협력적 문제해결의 과정과 요소들을 명시하였으므로 이질적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융합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지침이 될 것이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모델의 활용을 위한 교수학적 방안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I4MAT model to enhanc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as the model to design and conduct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teaching strategy is also suggested for educational implementation of the model. ‘I4MAT model to enhanc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consists 4steps: 1) selection of subjects fo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2) brainstorming(about related disciplines and contents), 3) the determination of scope and order for the guiding questions, 4) the design of activities and lesson plans. The third and the forth step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cycle “Why(connect & attend)-What(image and inform)-How(practice and extend)-If(refine and perform)”. The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ies in each cycle are also included in the model. The teaching strategy about the interdisciplinary subject ‘nature and nurture’ is design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The model and teaching strategy suggested in this study give effective learning experiences to all the students who have different learning styles and show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very clearly, so this model can be a guideline of interdisciplinay education. The educational suggestions for the applications of the model and further researches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통합개념 중심의 수업방안과 적용 효과

        방담이(Bang, Dami),김지영(Kim, Jiyoung),박은미(Park, Eunmi),윤회정(Yoon, Heo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개념을 중심으로 한 수업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통합교육 설계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통합개념은 여러분과 학문의 개념 및 원리를 포괄하는 보편적이고 광범위한 개념으로 고차원적인 일반화를 포함하여 다른 분야로의 전이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개념을 의미한다. 선행 연구에 제시된 통합개념 중, ‘다양성’, ‘순환’, ‘구조’를 수업설계에 활용할 통합개념으로 선정하였다. 통합개념 중심 교수학습 전략을 구성하기 위하여 현재 시행 중에 있는 2009 개정 과학과,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를 분석하여 통합개념에 포함 가능한 개념 및 원리를 추출하였다. 수업은 탐색 및 문제파악, 자료제시 및 관찰탐색, 추가자료 제시 및 관찰탐색을 통해 통합개념에 대한 일반화된 진술을 도출하고, 이 를 적용 및 응용하는 단계로 구성하였다. 서울시 소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 으로 개발한 수업전략을 적용하였으며, 비교반 학생들에게는 전통적 방식의 수업을 실행하였다. 수업 전후에 검사지를 실시하여 융합에 대한 태도, 융합인재소양, 개념 통합능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융합에 대한 태도, 융합인재소양, 개념통합능력 검사지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융합인재소양과 개념통합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통합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진술문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통합개념에 대해 상이한 이해 수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몇 가지 영역으로 분류가 가능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통합개념 중심 수업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struction materials centered on integrated concept and implement it to find out its educational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tegrated concept means universal and comprehensive concept covering individual discipline s concepts and principles. It enables high-dimensional generalization by transferring understanding of one disciplines concept to other disciplines . Based on previous studies, three integrated concepts, ‘diversity’, ‘cycle’, and ‘structure’ were chosen for this study. The contents of 2009 curriculum now under way, especially science and social science curriculum, were analysed to find out inter-disciplinary concept and principles which were used to design teaching materials based on integrated concept. Teaching strategy consisted of five steps: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the problem’, ‘provision of learning material and exploration’, ‘provision of additional learning material and exploration’, ‘generalization of integrated concept’, and ‘application’. It was implemen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Differences in students attitude toward integration, integration literacy, and ability to understanding integrated concept were evaluated before and at the end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teaching strategy. As a result, different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integrated concept was founded, students understanding could be classified by the subconcept included integrated concep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integration literacy and ability to understanding integrated concept.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중학교 과학2 교과서에 서술된 이온 결합 화합물과 분자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 수준 분석(제II보)

        강순희,방담이,김선정,Kang, Soonhee,Bang, Dami,Kim, Sun-Jung 대한화학회 2012 대한화학회지 Vol.56 No.6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2' 교과서에 서술되어 있는 '이온 결합 화합물'과 '분자'에 대한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하여 처음으로 '이온 결합 화합물'과 '분자' 내용들을 중학교에서 다루게 되었다. 분석에 활용한 6종 과학 교과서에 서술된 내용이 어떠한 인지 수준을 요구하는 지를 알아내는 분석틀은 영국에서 개발된 Curriculum Analysis Taxonomy의 3종류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이 3종류 분석틀에 의하여 분석한 '과학2' 교과서에 서술된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 수준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순물질과 혼합물'에 대해서 대부분의 교과서가 대부분 분류 포섭이나 분류 위계를 하고 있어서 후기 구체적 조작 수준이다. 그러나 모든 교과서가 혼합물 속에 들어 있는 각각의 순물질들이 본래의 성질을 잃지 않고 그 성질이 보존된다는 것을 알게 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 형식적 조작 수준이다. 둘째, '이온 결합 화합물'과 '분자'에 대해서 교과서 모두 초기 형식적 조작 수준으로 판정되었다. 그 자체의 규칙을 따르는 가상의 계로부터 연역적인 비교를 통하여 실체를 간접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형식적 모델을 사용한다거나 또는 원자가 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설명하기 때문에 형식적 조작 수준이다. 셋째, '이온 결합', '이온 결합 화합물', '화학식', '공유 결합', '공유 결합 화합물', '분자식' 등의 용어들을 사용하는 '과학2' 교과서가 많이 있었다. 이러한 용어들은 중학교 '과학3'에서도 그리고 고등학교 '과학'에서도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고등학교 '화학I'과 '화학II'에 가서야 사용되는 용어들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gnitive demands level of the description about 'pure substance and mixture compound', 'ionic compound', 'molecule' on the 'science2' textbooks by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e three types of Curriculum Analysis Taxonomy have been used to analyze the cognitive demands level of those contents on the 6 kinds of 'science2' textbooks. The first, the cognitive demand level about 'pure substance and mixture compound' on many textbooks is a late concrete operational stage because of class inclusion and hierarchical classification. And the descriptions as 'pure substance is conserved even when mixed with other pure substance' is a early formal operational stage. The second, the cognitive demand level about 'ionic compound' and 'molecule' is a early formal operational stage, because of "Formal modeling is the indirect interpretation of reality by deductive comparison from a postulated system with its own rules" and "Atoms have a structure". The third, the terms as 'ionic bonding', 'ionic compound', 'chemical formula', 'covalent bonding', 'covalent compound', and 'molecular formula' have been used on many 'science2' textbooks. Those terms would be used later on 'chemistry I' and 'chemistry II' in senior high school but not even 'science3' and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