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갈등 문제 해소를 위한 민주적 갈등관리의 효과와 한계 : 시화호 개발 사례와 호남선 고속철도 사례를 중심으로

        윤종설,주용환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지방정부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갈등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통한 최근의 갈등관리 방식을 숙의 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한 민주적 갈등관리로 정의하고, 갈등사례 분석을 통하여 그 효과와 한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숙의 민주주의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민주적 갈등관리는 이해관계자의 참여 뿐 아니라 진정한 숙의와 지속적인 이행 가능한 합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참여, 숙의, 합의를 중심으로 한 평가모형을 설계하고 시화호 개발 사례와 호남선 고속철도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민주적 갈등관리의 효과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두 사례에서 모두 민주적 갈등관리를 위한 참여와 숙의 그리고 합의의 절차를 통하여 갈등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으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보완이 필요한 한계점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민주적 갈등관리를 정착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실질적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위한 제도적 장치의 마련, 참여자의 대표성과 전문성 확보를 위한 참여자 선정에서의 기준 등의 마련, 자율적 숙의구조의 구성과 운영방안의 구축 그리고 합의이행의 지속성과 가능성 제고를 위한 합의안 추인과정의 제도화 등을 제시한다. Democratic conflict management based on deliberation democracy. the purpose of democratic conflict management is a consensus for common good. therefore actors who have diversity interest participated in conflict management process and deliberated for consensus on conflict problem solving. participation, deliberation and consensus were essential condition for democratic conflict management. thus institutional supplement is needed about expansion of participation opportunity, representation and expertise, sharing of information, conclude consensus and autonomous deliberated organization.

      • KCI등재후보

        지방정부 재난관리조직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윤종설 한국정책개발학회 2013 정책개발연구 Vol.13 No.1

        현재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재난관리 조직은 재난관리의 제1차적 책임자이자 최종적 책임자의 지위가 매우 약할 뿐만 아니라, 재난관리 조직의 복잡성과 유관기관과의 협조체계 미흡, 현장을 도외시한 비현장중심의 형식적 재난관리, 재난관련 조직의 비전문성과 비효율적 인사시스템 운용 등의 문제를 띈다. 이는 우리에게 닥칠 엄청난 재해·재난에 대한 대응력 부재에 따른 엄청난 재앙이 초래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정부 재난관리조직의 문제점을 검토·분석하고, 그에 따른 지방정부 재난관리 조직시스템 평가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모형제안의 목적은 재난안전 분야의 지방정부조직에 대해 유기성, 현장 대응성, 전문성, 통합성의 관점에서 분석·평가함으로써 재난예방과 발생에 따른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대응과 항구적 이며 적응성이 높은 처방을 제고시키고자 함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a diagnosis-evaluation model for the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system, and to suggest permanent measures that are highly connective, site responsive, professional, and comprehensive through its application. The specific objects are as follows: to reilluminate the paradigm shift, approaches and response paths for disaster management; to diagnose the site responsiveness and problems of connectivity among local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and to introduce improvement schemes; to diagnose and evaluate the organizational operating system, organizational connectivity, and citizen response system of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through a diagnosis-evaluation system. The government's efforts to minimize disaster damages and respond to and restore disasters have been limited.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iagnosis-evaluation model to vitalize the local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al system. Basic directions of the model arise from the Constitution, Section 34-6, which says the "state shall make efforts to prevent disasters and protect citizens." Comprehensiveness, connectivity, professionalism, and site responsiveness are selected as the standard elements for disaster safety management policies.

      • 환경규제 정책의 순응확보 방안

        윤종설,함종석,박길용,사공영호 한국행정연구원 2004 기본연구과제 Vol.2004 No.-

        21세기 환경규제정책은 산업화시대의 성장과정에서 누적되어온 환경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함과 동시에 지식정보화시대의 새로운 환경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를 안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종래의 대중적· 임시방편적 차원의 소극적인 환경규제정책을 과감히 탈피하여 보다 문제해결적· 처방적인 환경규제 시스템을 마련하여, 사회경제시스템과 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확보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인 순응 친화적(compliance-friendly) 환경규제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ESSD라는 대전제와 이 가치의 이행을 위한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기본적인 환경권의 실질적 보장 차원에서의 환경기반 조성과 時· 空에 맞는 문제해결적 차원에서의 환경 규제에 대한 시스템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환경규제에 대한 순응도가 높은 OECD와 EU 국가들의 환경규제 순응확보를 위한 순차적 접근전략과 환경규제 수단들에 대한벤치마킹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제1장은 서론부분으로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연구범위 및 구성, 연구방법, 그리고 선행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2장에서는 환경규제순응 확보를 위한 이론적 논거로서, 환경규제의 개념, 결정체계, 이행절차, 그리고 순응확보체계에 대해 설명한다. 제3장에서는 환경규제순응의 실태와 문제점을 우리나라와 OECD 국가의 환경규제개혁 추진내용과 성과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3장의 문제점 분석에 근거하여 환경규제정책의 순응확보방안을 논의한다. 제5장은 결론부분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환경규제정책의 순응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① 사후 처리 중심의 정책에서 탈피, 사전예방적 정책 강화 ② 사회경제시스템의 친환경적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적극적인 유인수단 확대 ③ 환경규제정책은 자율관리에 의한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신축적인 정책수단의 도입· 확대 ④ 환경규제정책이 엄격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환경행정인프라를 확충하고, 새로운 환경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정책시스템 구축 ⑤ 궁극적으로는 환경보전 노력을 고취시킬 수 있는 환경윤리 정립 및 실효성 있는 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 시행 ⑥ EU나 OECD 등 환경 선진국가들의 성공적인 제도를 우리의 상황과 여건에 맞게 벤치마킹 In the 21`st environmental policies, there are complex challenges in effectively coping with environmental problems which have been accumulated through the industrial and informational times. To solve those problems, we should construct fundamental and solution- oriented regulation system instead of makeshift policies and we should operate this system in accord with socio-economic system. Through this, we could make the compliance-friendly regulation system of ESSD(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report emphasizes on the environmental infra structure for basic human rights and the solution oriented system and these are on the basis of ESSD. Next, strategies for policy compliance in OECD and EU countries which were successful are analyzed. These sequential approaches and the possibility of benchmarking are studied in this report also. In chapter 1, as the intro part, the purpose, scope, structure, and prior researches are explained. In chapter 2, the concept of the environmental regulation, decision making system, procedures, and compliance system are explained as the theoretical basis. In chapter 3,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regulation compliances in Korea ar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output of OECD countries. In chapter 4, the compliance of environmental regulation policies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the chapter 3. In chapter 5, the results are summarized and the limit of this study and discussions for next study are presented. In sum, discussions for high level of environmental regulation compliance are summarized like below; ① emphasis on the preventive policies, instead of post treatments. ② the enlargement of inducement measures for promo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socio-economic system. ③ the introduction of flexible policies for high effectiveness by self-regulation. ④ the enlargement of environmentmanagemental infra structure and setting of positive policy system for secure execution of environmental policy. ⑤ an effort for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ethics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⑥ the benchmarking of the systems that are successfully executed in OECD and EU countries.

      • KCI등재

        적극적 시민참여를 통한 도시공공서비스 평가 - 자율방범 사례에의 적용 -

        윤종설 한독사회과학회 2001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n connection with the theory of urban public service supply and Coproduction theory, to seek an efficient device for urban public service supply from the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 viewpoint. The details of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on theoretical base of the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 establish variation factors on urban public service supply centering around such factors as administrative bodies and participants. Based on this, establishes analysis model with a measuring variable which consists of valuation factors on urban public service supply such as effectiveness, correspondence or a degree of satisfaction.Second, to seek an efficient device for urban public service supply in the future, establishes a theoretical model to set-up a system for the inducement of the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 and validate the usefulness of the model.Third, based on the above results, enables the citizen’s voluntary participation as the main body not a simple customer through cooperative efforts between the citizens and administrative bodies in delivering of urban public service supply. With this, aims at improvement of democratic consciousness, administrative efficiency,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citizens and public officials and reaction of administration.

      • KCI등재후보

        정책포용성 확보를 위한 공공갈등 예방모형 구축

        윤종설 한국정책개발학회 2020 정책개발연구 Vol.20 No.2

        This study analyzes the key causes of policy conflict through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preventive management of policy conflict to secure policy inclusion, and derives factors affecting the causes of policy conflict. Each of the derived factors is selected as a policy conflict prevention index and an analysis standard according to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impact on future policy conflicts, and the 'policy conflict prevention model' is constructed accordingly. There are three implications for the policy conflict prevention model. First, the policy conflict prevention model is a study to prepare a proactiv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policy conflict management and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a theoretical foundation in this field. Second, the policy conflict prevention model presents an empirical and theoretical argument to reduce the dysfunction and political conflict of the conflict through the modeling for its construction and operation. Third, the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policy conflict prevention model is reflected in the policy scientifically and systematically, and in reality contributes to the stable execution of policy conflict management. 이 연구는 정책포용성 확보를 위한 정책갈등의 예방적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분류 및 분석을 통해 정책갈등의 핵심원인을 분석하고, 정책갈등 발생의가장 중요한 요인들을 식별한다. 도출된 요인들을 정책갈등에 미칠 영향과 그정도에 따라 정책갈등 예방지표와 분석기준으로 선정되고, 그에 따른 ‘정책갈등 예방모형’을 구축한다. 본 연구는 나름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정책갈등 예방모형은 정책갈등관리에 있어서 사전 예방적 지식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최초의 연구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둘째, 정책갈등 예방모형은 그 구축과 운용을 위한 모형제시를 통해 갈등의 역기능과 정치적 갈등을 감소시킬 실제적(경험적)·이론적 논거를 제시한다. 셋째, 정책갈등 예방모형의 운영결과가 과학적·체계적으로 정책에 반영되고, 실제 정책갈등관리의 안정적 실행에 기여함으로써 정책포용성을 제고하는 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 정책과정별 부패방지시스템 혁신방안

        윤종설,김지현 한국행정연구원 2006 기본연구과제 Vol.2006 No.-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패의 형성요인과 유형을 고찰하고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부패방지시스템의 혁신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정책과정의 의의 및 부패, 정책결정과정에서의 부패, 정책집행과정에서의 부패, 그리고 정책평가과정에서의 부패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 이론을 토대로 정책과정의 부패혁신을 위한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정책과정별로 선정된 각각의 평가요인을 살펴보면, 정책결정과정에는 비공개성, 참여자의 배제, 가치판단의 추상성, 결정권한의 집중요인이 선정되었으며, 정책집행과정에는 집행의 객관성 부재, 집행절차의 복잡성, 집행공무원의 재량문제요인이 선정되었고, 정책평가과정에서는 평가기준의 객관성, 평가자의 주관성, 평가의 구속성요인들이 선정되었다. 제3장에서는 정책과정에서의 부패사례를 선별하여 제2장에서 구축한 분석틀에 적용하고 분석·평가를 실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3장의 정책과정별로 실시한 사례분석에서 제기된 부패문제에 대해 분석에 근거하여 부패방지시스템 혁신방안을 논의하였다. 제기된 주요 내용은 정책결정과정에서는 정책목표의 명확성 확보방안, 정책결정과정의 민주성 확보방안, 정책결정자의 도덕성 제고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정책집행과정에서는 정책집행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방안, 정책집행의 객관성 확보방안, 정책집행자의 재량성의 적절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정책평가과정에서는 정책평가기준의 객관성 확보방안, 정책평가결과의 환류 및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auses and the types of corruption in regard to public policy and to come up with suggestions on how to reform the anticorruption system. The content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chapter 2 deals with the definition of government policy and corruption and a look into corruption in each phase of policy decisionmak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then an analysis framework for policy corruption is provided. For each phase of government policy process, a set of evaluation factors are selected for study. In details, they are confidentiality, exclusion of participants, abstractness of value-judgment, and concentration of decision-making power for the policy decision-making phase; lack of objectiveness, complexity of the implementation procedure, and discretion of civil servants for the policy implementation phase; objectiveness of evaluation criteria, subjectivity of evaluators, and restraints in evaluation for the policy evaluation phase. In chapter 3, actual corruption cases are analyz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introduced in chapter 2. Chapter 4 provides suggestions on how to reform the anti-corruption system based on the case analysis of chapter 3. Reform measures suggested in chapter 4 are mainly the clarity of policy objectives, the establishment of democratic process in decision-making, and the ensuring of the morality of decision-makers for the policy decisionmaking phase; ensuring of fairness and transparency, and objectiveness in implementation, and ways to optimize the level of discretion of civil servants for the implementation phase; and ensuring of the objectiveness of evaluation criteria, receiving and utilizing feedback on evaluation results for the evaluation phase. Finally, the summary of the study and its implications are provided in chapter 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