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한글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의 해체주의 표현 연구

        윤재성 ( Yun Jae Seong ) 한국디자인과학학회 2003 디자인과학연구 Vol.6 No.3

        19세기 유럽의 산업혁명은 정신적, 물질적인 면에서 인류에게 큰 변화를 가져왔다. 기계에 의한 생산방식의 변화는 물질적 영역뿐만 아니라 인간의 사고 방식까지 변하게 만들었다.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분야도 예외는 아니었다. 내용이나 형식면에서 볼 때 전통적인 타이포그래피는 여러 사람이 여유를 가지고 차근차근 읽을 수 있었던 산업혁명 이전에 사람들을 위한 것이었다. 당시에는 기능적인 것보다 형식적 미학적인 것, 즉 장식적인 것이 주된 관심이었다. 그러나 산업혁명과 함께 기계의 출현으로 사람들의 생활양식이 다양해지고 매체의 활용은 간결하며 표준화된 전달 수단의 표현으로 변화되기 시작했다. 즉 과거의 장식적인 측면보다는 시각언어적 표현과 능률적이고 기능적인 형태를 추구하게 되었다. 타이포그래피 디자이너들은 전통적인 양식인 수평적인 체제를 벗어나는 데 성공했다. 그들은 사진식자 체계의 발달과 레터링 개발에 의해 개념적이고 비선적(非線的)인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을 제작했으며 새롭고 풍부한 방법에 근거한 명쾌한 표현들이었다. 이러한 해체적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은 정확하고 경제적인 표현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았다. 외관상으로는 명료함, 순수함을 표현했고 인간이 직접 관여하는 조형분야의 하나로 그 정신적 태도는 기술적 형태가 갖는 합목 적성보다 우월했다. 기능주의 타이포그래피는 특정 집단의 디자인 운동만은 아니었다. 그것은 당시 디자인 세대 전체의 움직임이었다. 원칙적이며 합리적인 그들은 모든 일에 새로운 사고로 접근하였다. 이 새로운 정신은 짧은 유행으로 그치지 않고 그리드(grid) 시스템을 국제화 양식으로 확산하게 했다. 전통적인 대칭적 타이포그래피와 현대적인 기능주의 타이포그래피와의 근본적인 차이는 전자가 수동적이라면 후자는 표현양식에 있어 매우 적극적이라는 점이다. 기능주의 타이포그래피의 비대칭과 콘트라스트(con trast)는 현대 타이포그래피의 기초가 되었다. 현대 타이포그래피에서 볼 수 있는 장식이 전혀 없고 간결한 형태의 레이아웃은 이 기능주의 정신에 뿌리를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19th Century Europe brought about a great change to human race in spiritual and physical aspect. The change in the method of production by machine transformed not only material sphere, but also human way of thinking. The field of typography design was not an exception. In the light of contents or form, traditional typography was for the people who had lived before the Industrial Revolution when many people had the time to read leisurely. At that time people had an interest in something formalistic, and something aesthetic rather than something functional. In other words, their main concern was something decorative. However, on account of the advent of machine along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people`s style of living became diversified, the utilization of media began to be changed into simple and standardized means of transmission. In other words, typography designers have succeeded in getting out of the horizontal system which was a traditional style. They produced a conceptual, nonlinear typography design by means of the development of photo typesetting and that of lettering, and the designs were clear-cut expression based on new and abundant method. This scrapping typography design didn`t aim only at correct and economic expression. Outwardly, it expressed lucidity and purity, and it was one of molding fields in which human beings participated, and their spiritual attitude was superior to the nature of proper purpose. Functionalism typography was not always the design movement of a special group. It was the movement of the entire design generation. They adhered to a principle and was rational, and approached all things with a new thought. This new spirit didn`t cease as a short fashion, and made grid system expanded as the style of internationalization.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symmetrical typography and functionalism typography is that if the former is passive, the latter is very active in the style of expression. The asymmetry and contrast of functionalism typography has become a basis of modern typography. There is no decoration at all which can be seen in modern typograph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layout of simple form has taken root in the spirit of this functionalism.

      • KCI등재후보

        환경보전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최병미,윤재성,김성길,김성수,최옥인,손민호,서인수,Choi, Byoung-Mi,Yun, Jae Seong,Kim, Seong Gil,Kim, Seong-Soo,Choi, Ok In,Son, Min Ho,Seo, In-Soo 한국해양생명과학회 2016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Vol.1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rea, Korea. Benthic animals were collected by van Veen grab sampler at spring (May) and summer (August) 2009. The total species number and mean density were 195 species 5.6 m<sup>-2</sup> and 667 individuals m<sup>-2</sup>, respectively. Polychaetes were the most dominant faunal group in species (96 species) and abundance (431 individuals m<sup>-2</sup>).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s Lumbrineris longifolia (76±224 individuals m<sup>-2</sup>), Mediomastus californiensis (42±117 individuals m<sup>-2</sup>), Tharyx sp.3 (26±110 individuals m<sup>-2</sup>), the bivalvia Theora fragilis (54±78 individuals m<sup>-2</sup>) and the amphipod Eriopisella schellensis (70±146 individuals m<sup>-2</sup>). Based on the cluster and nMDS ordination analysis, macrobenthic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hree faunal groups. The first group was characterized by high abundance of the polychaeta Sternaspis scutata and the amphipod Ampelisca cyclops iyoensis, which is located by most stations of Hampyeong Bay and St. 4 of Deungnyang Bay. The second group was numerically dominated by the polychaeta Capitella capitata at St. 4 and St. 5 in Gamak Bay where was most pollutant area. Finally, the third group was dominated by the polychaetes Heteromastus filiformis, Tharyx sp.3 and the amphipod Sinocorophium sinensis. Therefor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bay shape and pollution gradient may be important factors controlling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 KCI등재

        울산 태화강 하구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김형철,최병미,정래홍,이원찬,윤재성,서인수,Kim, Hyung-Chul,Choi, Byoung-Mi,Jung, Rae-Hong,Lee, Won-Chan,Yun, Jae-Seong,Seo, In-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2 No.6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의 태화강을 포함한 하구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2월부터 동년 11월까지 총 4회에 걸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태화강 하구역에서는 총 176종/9.6$m^2$ 과 1,992개체/$m^2$ 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가장 우점한 동물군은 다모류로 출현 종수와 평균 서식밀도는 각각 91종과 1,463개체/$m^2$ 이었다. 태화강 하구역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Minuspio japonica($609{\pm}1,221$개체/$m^2$), 참갯지렁이(Hediste japonica, $174{\pm}318$개체/$m^2$), Tharyx sp.1($106{\pm}283$개체/$m^2$),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79{\pm}207$개체/$m^2$), 이매패류의 아기반투명조개(Theora fragilis, $114{\pm}272$개체/$m^2$) 및 단각류의 발성육질꼬리옆새우(Grandidierella japonica, $88{\pm}223$개체/$m^2$ )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3개로 구분되었다. 그룹 I(조립질 퇴적물)과 III(세립질 퇴적물)은 각각 담수 및 해수우세 환경의 군집으로, 그룹 II(혼합질 퇴적물)는 2개 환경이 혼합되는 추이대로 고려할 수 있었다. 결국 태화강 하구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염분농도의 구배와 퇴적상에 따라 구조를 달리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the Taehwa River Estuary, Ulsan, Korea. Macrobenthos were collected with a Van Veen Grab Sampler during February and November 2012. The total species number and mean density were $176species/9.6m^2$ and $1,992inds./m^2$, respectively. Polychaetes were the most dominant faunal group in terms of species (91 species) and abundance ($1,463inds./m^2$).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polychaetes Minuspio japonica ($609{\pm}1,221inds./m^2$), Hediste japonica ($174{\pm}318inds./m^2$), Tharyx sp.1 ($106{\pm}283inds/m^2$), Lumbrineris longifolia ($79{\pm}207inds./m^2$), bivalve Theora fragilis ($114{\pm}272inds./m^2$) and amphipod Grandidierella japonica ($88{\pm}223inds./m^2$). Based on community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ordinati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was divided into three station groups. Group I(freshwater dominated stations 2-6 with coarse sediment) was characterized by a high abundance of polychaetes Minuspio japonica, Hediste japonica, Capitella capitata, Pseudopolydora kempi, amphipods Grandidierella japonica and Apocorophium acutum. Group II (ecotone, stations 7-9 with mixed sediment) was numerically dominated by bivalve Theora fragilis, polychaetes Cirriformia tentaculata, Tharyx sp.1, Lumbrineris longifolia and Chaetozone sp. Finally, Group III (seawater dominated stations 10-12 with fine sediment) was characterized by a high density of polychaete Magelona japonica. These results showed that changes in salinity gradient and sedimentary characteristics were the main factors behind spatial changes in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of the Taehwa River Estuary.

      • KCI등재

        가로림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정래홍,서인수,이원찬,김형철,김정배,최병미,윤재성,나종헌,Jung, Rae-Hong,Seo, In-Soo,Lee, Won-Chan,Kim, Hyung-Chul,Kim, Jeong-Bae,Choi, Byoung-Mi,Yun, Jae-Seong,Na, Jong-H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0 No.5

        본 연구는 가로림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2년 5월(이하 춘계)와 7월(이하 하계)에 실시하였다. 가로림만에서는 총 247종 $4.4m^{-2}$과 35,745개체(1,625개체 $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20종과 27,310개체(1,241개체 $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가로림만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작은사슴갯지렁이(Ampharete arctica),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Mediomastus californiensis 및 Euclymene oerstedi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3개로 구별되었고, 조립질 퇴적물(그룹 1과 2)과 혼합 및 세립질 퇴적물(그룹 3)이 우세한 정점군으로 나뉘었다. 가로림만의 건강도를 평가한 결과, BPI지수는 춘계와 하계에 공통적으로 가장 양호한 상태(high status; normal)를 나타낸 반면, AMBI지수는 양호한 상태(good status; slightly polluted)를 반영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로림만의 건강도는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Garorim Bay, West Coast of Korea. Macrobenthos were collected by van Veen grab sampler at May(spring) and July(summer) 2012. A total of 247 species occurred and mean density was $1,625\;ind.\;m^{-2}$, both of which were dominated by annelid polychaetes(120 species and $1,241m^{-2}$).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s Ampharete arctica, Lumbrineris longifolia, Mediomastus californiensis and Euclymene oerstedi, with a density of 445(${\pm}1,837\;ind.\;m^{-2}$), 103(${\pm}148\;ind.\;m^{-2}$), 55(${\pm}83\;ind.\;m^{-2}$) and 50(${\pm}104\;ind.\;m^{-2}$), respectively.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3 station group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These assemblage were : 1)the group 1 and 2 were associated with coarse sediment dominated stations and 2)the group 3 was connected with a mixed and fine sediment dominated stations group. The BPI and AMBI index were applied to assess the benthic ecological status. The ecological status of the Garorim Bay was "good status(slightly polluted)" to "high status(normal)" at most sampling stations during spring and summer. In conclusion, the two marine biotic index calculated shown that the Garorim Bay had a good ecological status.

      • KCI등재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정래홍,서인수,최병미,최민규,윤상필,박상률,나종헌,윤재성,Jung, Rae Hong,Seo, In-Soo,Choi, Byoung-Mi,Choi, Minkyu,Yoon, Sang-Pil,Park, Sang Rul,Na, Jong Hun,Yun, Jae Se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3년 5월(이하 춘계)과 8월(이하 하계)에 실시하였다. 거제한산만에서는 총 300종 $7.6m^{-2}$과 75,760개체(1,994개체 $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10종과 49,955개체(1,315개체 $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거제한산만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299{\pm}164$개체 $m^{-2}$), Aphelochaeta monilaris($100{\pm}57$개체 $m^{-2}$), 이매패류의 종밋(Musculista senhousia, $91{\pm}96$개체 $m^{-2}$) 및 다모류의 꼬리대나무갯지렁이(Praxillella affinis, $80{\pm}696$개체 $m^{-2}$)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내만역(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과 수로역(한산도에서 추봉도 해역)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거제한산만의 건강도를 평가한 결과, 수로역의 정점군과 비교해 내만역에 위치한 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에서 환경질이 상대적으로 불량하였다. 또한 3개의 생물 평가지수(다양도 지수, M-AMBI 지수 및 환경보전도 지수)는 AMBI 지수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지수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Geoje-Hansan Bay, Southern Coast of Korea. Macrobenthos were collected by van Veen grab sampler at May (spring) and August (summer) 2013. The total species number and mean density were 300 species $7.6m^{-2}$ and $1,994ind.\;m^{-2}$, respectively.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s Lumbrineris longifolia ($299{\pm}164ind.\;m^{-2}$), Aphelochaeta monilaris ($100{\pm}57ind.\;m^{-2}$), the bivalve Musculista senhousia ($91{\pm}96ind.\;m^{-2}$) and the polychaete Praxillella affinis ($80{\pm}66ind.\;m^{-2}$). From the community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tional scaling (NMDS) ordinati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was distinguished into two groups of inner bay (farming ground of near Sandal Island) and channel station(from Hansan Island to Chubong Island) group. In this study, the ecological status was assessed by four biotic indices Shannon's H', the ATZI Marine Biotic Index (AMBI), multivariate-AMBI (M-AMBI) and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Index (ECI). The ecological status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Geoje-Hansan Bay were poorer in the inner bay station than in the channel sta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ree biotic indices (Shannon's H', M-AMBI and ECI) were valid as an index for evaluating the ecological status than the AMBI.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흑산도 주변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최병미(Byoung-Mi Choi),윤석현(Seok Hyun Youn),김연정(Youn-Jung Kim),윤재성(Jae Seong Yun),서인수(In-Soo Seo)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2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흑산도 주변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구조와 공간적인 분포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8월부터 2013년 5월까지 계절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221종/8㎡과 2,718개체/㎡ 이었고, 환형동물의 다모류는 105종(47.51%)과 2,713개체(79.97%)가 출현하여 가장 우점하였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자료를 기초로 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3개의 그룹과 1개의 정점(하계의 정점 6)으로 구분되었다. 이 가운데 그룹 1은 다모류의 Aonides oxycephala, Prionospio membranacea, 투구갯지렁이(Sigambra tentaculata)와 등각류의 Symmius caudatus로 대표되는 모든 조사시기의 정점 1과 2가 포함되었다. 그룹 2는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꼬리대나무갯지렁이(Praxillea affinis), Tharyx sp.1, Chaetozone sp.와 이매패류의 아기반투명조개(Theora fragilis)가 특징적으로 출현한 모든 조사 시기의 정점 9와 10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그룹 3은 다모류의 Heterospio sinica와 이매패류의 쇄개량조개(Raetellops pulchella)로 대표되는 정점 4, 5, 6, 7과 8이었다. 연구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공간적으로 어류양식어장 입지해역, 예리항 내부해역과 흑산도 주변해역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연구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인위적인 활동(양식장 운영과 지형적 조건)과 기질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mmunity structure and temporal variation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round Heuksan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Korea. Macrobenthic animals were collected by seasonally using the van Veen grab sampler from August 2012 to May 2013. A total of 221 species of macrobenthic fauna were collected. The overall average density of macrobenthos was 2,718 individuals/㎡. Polychaetes were the most predominant fauna in species (47.51%) and abundance (79.97%).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s have been divided into three major groups for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The group 1 was characterized the polychaetes Aonides oxycephala, Prionospio membranacea, Sigambra tentaculata, and the isopod Symmius caudatus. The group 2 was predominated the Polychaetes Lumbrineris longifolia, Praxillea affinis, Tharyx sp.1, Chaetozone sp., and the bivalvia Theora fragilis. Finally, the group 3 (except for groups 1 and 2) was dominated the polychaeta Heterospio sinica and the bivalvia Raetellops pulchella. In conclusi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showed a distinct temporal trend according to anthropogenic activity (fish farm operation and topographic condition) and the type of subst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