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수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정래홍,서인수,이원찬,김형철,박상률,김정배,오철웅,최병미,Jung, Rae-Hong,Seo, In-Soo,Lee, Won-Chan,Kim, Hyung-Chul,Park, Sang-Rul,Kim, Jeong-Bae,Oh, Chul-Woong,Choi, Byoung-Mi 한국해양학회 2014 바다 Vol.19 No.4

        본 연구는 천수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천수만 해역에서는 총 224종/$5.2m^2$과 1,940개체/$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11종(평균 $22{\pm}11$종)과 31,525 개체(평균 $1,213{\pm}1,080$개체/$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천수만의 주요 우점종은 이매패류의 아기반투명조개(Theora fragilis),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Mediomastus californiensis 및 옆새우류의 Eriopisella schellensis 등이었다. 출현 종의 개체수 자료를 기초로 다변량분석(집괴분석과 다차원배열법)을 실시한 결과, 천수만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2개의 그룹(죽도를 중심으로 만의 안쪽해역 정점군과 만의 입구부해역 정점군)과 2개의 정점(춘계와 하계의 정점 2)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천수만의 건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Benthic Pollution Index(BPI)와 ATZI's Marine Biotic Index(AMBI)지수를 이용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BPI지수는 11(bad status, 가장 불량한 상태)~92(high status, 가장 양호한 상태)의 범위를, AMBI는 1.34(good status, 양호한 상태)~4.39(poor status, 불량한 상태)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천수만은 건강도 지수의 평균 값에 있어 BPI와 AMBI지수가 각각 중간 상태(moderate status, 불량과 양호한 상태의 전이단계)와 양호한 상태를 반영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Cheonsu Bay, West Coast of Korea. Total species number was 224 and mean density was $1,940ind./m^2$, both of which were dominated by polychaete worms (111 species and $1,213ind./m^2$). In terms of density,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bivalve Theora fragilis ($280{\pm}213ind./m^2$), the polychaetes Heteromastus filiformis ($254{\pm}218ind./m^2$), Lumbrineris longifolia ($216{\pm}41ind./m^2$), Mediomastus californiensis ($158{\pm}97ind./m^2$) and the amphipod Eriopisella sechellensis ($167{\pm}100ind./m^2$). As a result of community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was classified two major groups (inner and mouth of bay) and two stations (station 2 near Ganwol dyke in spring and summer). The Benthic Pollution Index (BPI) and AZTI's Marine Biotic Index (AMBI) were applied to assess the benthic ecological status. During the sampling periods, the BPI Index values varied between 11 (bad status) and 92 (high status). On the other hand, the AMBI Index values was ranged between 1.34 (good status) and 4.39 (poor status). In conclusion, in terms of the mean BPI and AMBI Index values, the ecological status of Cheonsu Bay were moderate status (ecotone stage) and good status, respectively.

      • KCI등재

        외해가두리 양식이 저서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정래홍,윤상필,김연정,이원찬,홍석진,박성은,오현택,Jung, Rae-Hong,Yoon, Sang-Pil,Kim, Youn-Jung,Lee, Won-Chan,Hong, Sok Jin,Park, Sung-Eun,Oh, Hyung Taik 한국해양학회 2013 바다 Vol.18 No.4

        반폐쇄적 연안역에서의 해상 어류 가두리 양식은 잉여 유기물로 인해 주변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기 때문에, 최근 해류의 흐름이 강하고 수심이 깊은, 외해적 성격을 보이는 제주 연안에서 외해 가두리 양식 기법이 시범적으로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이 도입한 외해 가두리 양식이 저서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료 투입 열흘 후 첫 조사를 실시하여 양식 종료 3개월 후까지 28개월간 10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주 연안에 설치된 가두리 양식장의 평균 유속은 50~70 cm/s로 매우 강하였다. 퇴적물의 총유기탄소량은 조사기간 중 큰 변화가 없었으며, 값 자체도 낮았다. 사료 공급이 시작된 후 3개월 만에 저서다모류군집의 종 수와 밀도가 모든 정점에서 증가하여 초기와는 다른 군집으로 빠르게 변화하였다. 양식시작 후 18개월 까지 가두리로부터 0 m와 10 m 지점 저서다모류군집의 종 수와 밀도는 사료 공급량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 후 가두리로부터 10 m 범위 내의 저서다모류군집은 사료 공급량이 감소하고, 퇴적물내 유기물함량의 증가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기회종이 우점하는 교란된 군집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양식 종료 시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양식 종료 후 3개월 만에 기회종은 일시에 사라져 군집이 교란으로부터 빠르게 회복되고 있음을 암시하였다. 제주 연안에서의 해상 가두리 양식은 외해적 성격과 빈영양의 해역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고영양성분의 유기물이 과잉으로 유입됨에 따라 저서다모류군집을 빠르게 변화시켰으며, 유입되는 사료량과 양식기간은 군집의 교란과 뒤이은 천이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저서다모류군집에 대한 연구는 외해 환경에서의 가두리 양식 전후 저서생태계의 변화 양상을 퇴적물에 대한 지화학적 분석 결과보다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xcessive input of organic matters from fish cage farming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factors disturbing benthic ecosystem, especially in semi-enclosed coastal waters. Recently offshore aquaculture in the vicinity of Jeju-do has been introduced to minimize that kind of negative imp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impacts of offshore aquaculture on the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A total of ten sampling works were carried out for 28 months, spanning from 10 days after starting giving feed to 3 months after stopping giving feed. During the study period, mean current velocity was quite strong with the range of 50 cm/s to 70 cm/s. TOC of surface sediment was constantly low. Significant changes in polychaete community were detected just three months after starting giving feed, which were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at all stations. Up to 18 months after the start of farming, the amount of feed provide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luctuation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especially at 0 m and 10 m stations. After reducing the amount of feed provided, dominance of some opportunistic species within 10 m distance from fish cages still lasted to the end of aquaculture. However, opportunistic species disappeared 3 months after the end of farming, which indicated the sign of recovery from the disturbance. From these results, the amount of food input and the period of cultivation were critical factors disturbing polychaete community and ensuing changes in this offshore and oligotrophic waters as well. In addition, study on the changes of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before and after fish farming showed more detailed changes in benthic ecological state than geochemical approach did.

      • KCI등재

        어장환경평가에 사용하는 저서생태계 건강도지수(Benthic Health Index)에 대한 소개

        정래홍,윤상필,박소현,홍석진,김연정,김선영 해양환경안전학회 202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9 No.7

        집약적이고 장기적인 양식어업 활동은 많은 양의 유기물을 발생시켜 퇴적환경과 생태계를 악화시켜왔다. 정부에서는 양식어장의 환경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 어장관리법을 제정하였고 이를 근거로 2014년부터 어류 가두리 양식장에 대한 어장환경평가가 실시되었다. 따라서 어장환경평가를 위해 국내 환경에 적합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방법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저서다모류 군집과 양식장의 주 오염원인 유기물의 관계를 이용한 저서생태계 건강도지수(BHI)를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저서생태계 건강도지수의 개발과정과 계산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저서생태계 건강도지수는 국내 연안역과 양식장에서 출현한 225종의 다모류를 대상으로 퇴적물 내 총유기탄소량의 농도 구배와 종별 분포특성을 연관지어 4개의 그룹을 나누고, 각 그룹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계산된다. 저서생태계 건강도지수를 이용하여 저서동물군집을 4개의 생태등급(Grade 1: Nomal, Grade 2: Slightly polluted, Grade 3: Moderately polluted, Grade 4: Heavily polluted)으로 나누었다. 개발된 지수를 현장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평가방법인 다양도 지수나 국외에서 개발된 AMBI와 비교해 보다 정확하고 계절의 영향을 적게 받아 우리나라 환경을 평가하기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저서생태계 건강도지수를 사용하면 어장환경을 정량화된 수치에 따라 등급화 할 수 있어 양식장 환경관리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tensive and long-term aquaculture activities in Korea have generated considerable amounts of organic matter, deteriorating the sedimentary environment and ecosystem.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Fishery Management Act to preserve and manage the environment of fish farms. Based on this, a fisheries environment assessment has been conducted on fish cage farms since 2014, necessitating the development of a scientific and objective evalu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domestic environment. Therefore, a benthic health index (BHI) was developed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and organic matter, a major source of pollution in fish farm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alculation method of the BHI have been introduced. The BHI was calculated by classifying 225 species of polychaetes appearing in domestic coastal and aquaculture areas into four groups by linking the concentration gradient of the total organic carbon in the sediment and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species and assigning differential weights to each group. Using BHI, the benthic fauna communities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ur ecological classes (Grade 1: Normal, Grade 2: Slightly polluted, Grade 3: Moderately polluted, and Grade 4: Heavily polluted).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index in the field enabled effective evaluation of the Korean environment, being relatively more accurate and less affected by the season compared with the existing evaluation methods like the diversity index or AZTI's Marine Biotic Index developed overseas. In addition, using BHI will be useful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fish farms, as the environment can be graded in quantified figures.

      • KCI등재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정래홍,서인수,최병미,최민규,윤상필,박상률,나종헌,윤재성,Jung, Rae Hong,Seo, In-Soo,Choi, Byoung-Mi,Choi, Minkyu,Yoon, Sang-Pil,Park, Sang Rul,Na, Jong Hun,Yun, Jae Se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3년 5월(이하 춘계)과 8월(이하 하계)에 실시하였다. 거제한산만에서는 총 300종 $7.6m^{-2}$과 75,760개체(1,994개체 $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10종과 49,955개체(1,315개체 $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거제한산만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299{\pm}164$개체 $m^{-2}$), Aphelochaeta monilaris($100{\pm}57$개체 $m^{-2}$), 이매패류의 종밋(Musculista senhousia, $91{\pm}96$개체 $m^{-2}$) 및 다모류의 꼬리대나무갯지렁이(Praxillella affinis, $80{\pm}696$개체 $m^{-2}$)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내만역(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과 수로역(한산도에서 추봉도 해역)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거제한산만의 건강도를 평가한 결과, 수로역의 정점군과 비교해 내만역에 위치한 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에서 환경질이 상대적으로 불량하였다. 또한 3개의 생물 평가지수(다양도 지수, M-AMBI 지수 및 환경보전도 지수)는 AMBI 지수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지수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Geoje-Hansan Bay, Southern Coast of Korea. Macrobenthos were collected by van Veen grab sampler at May (spring) and August (summer) 2013. The total species number and mean density were 300 species $7.6m^{-2}$ and $1,994ind.\;m^{-2}$, respectively.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s Lumbrineris longifolia ($299{\pm}164ind.\;m^{-2}$), Aphelochaeta monilaris ($100{\pm}57ind.\;m^{-2}$), the bivalve Musculista senhousia ($91{\pm}96ind.\;m^{-2}$) and the polychaete Praxillella affinis ($80{\pm}66ind.\;m^{-2}$). From the community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tional scaling (NMDS) ordinati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was distinguished into two groups of inner bay (farming ground of near Sandal Island) and channel station(from Hansan Island to Chubong Island) group. In this study, the ecological status was assessed by four biotic indices Shannon's H', the ATZI Marine Biotic Index (AMBI), multivariate-AMBI (M-AMBI) and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Index (ECI). The ecological status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Geoje-Hansan Bay were poorer in the inner bay station than in the channel sta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ree biotic indices (Shannon's H', M-AMBI and ECI) were valid as an index for evaluating the ecological status than the AMBI.

      • KCI등재

        가로림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정래홍,서인수,이원찬,김형철,김정배,최병미,윤재성,나종헌,Jung, Rae-Hong,Seo, In-Soo,Lee, Won-Chan,Kim, Hyung-Chul,Kim, Jeong-Bae,Choi, Byoung-Mi,Yun, Jae-Seong,Na, Jong-H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0 No.5

        본 연구는 가로림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2년 5월(이하 춘계)와 7월(이하 하계)에 실시하였다. 가로림만에서는 총 247종 $4.4m^{-2}$과 35,745개체(1,625개체 $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20종과 27,310개체(1,241개체 $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가로림만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작은사슴갯지렁이(Ampharete arctica),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Mediomastus californiensis 및 Euclymene oerstedi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3개로 구별되었고, 조립질 퇴적물(그룹 1과 2)과 혼합 및 세립질 퇴적물(그룹 3)이 우세한 정점군으로 나뉘었다. 가로림만의 건강도를 평가한 결과, BPI지수는 춘계와 하계에 공통적으로 가장 양호한 상태(high status; normal)를 나타낸 반면, AMBI지수는 양호한 상태(good status; slightly polluted)를 반영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로림만의 건강도는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Garorim Bay, West Coast of Korea. Macrobenthos were collected by van Veen grab sampler at May(spring) and July(summer) 2012. A total of 247 species occurred and mean density was $1,625\;ind.\;m^{-2}$, both of which were dominated by annelid polychaetes(120 species and $1,241m^{-2}$).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s Ampharete arctica, Lumbrineris longifolia, Mediomastus californiensis and Euclymene oerstedi, with a density of 445(${\pm}1,837\;ind.\;m^{-2}$), 103(${\pm}148\;ind.\;m^{-2}$), 55(${\pm}83\;ind.\;m^{-2}$) and 50(${\pm}104\;ind.\;m^{-2}$), respectively.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3 station group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These assemblage were : 1)the group 1 and 2 were associated with coarse sediment dominated stations and 2)the group 3 was connected with a mixed and fine sediment dominated stations group. The BPI and AMBI index were applied to assess the benthic ecological status. The ecological status of the Garorim Bay was "good status(slightly polluted)" to "high status(normal)" at most sampling stations during spring and summer. In conclusion, the two marine biotic index calculated shown that the Garorim Bay had a good ecological status.

      • KCI등재

        부산항 주변 저서다모류군집의 시.공간 분포와 저서환경의 특징

        정래홍,윤상필,김연정,최민규,이원찬,Jung, Rae-Hong,Yoon, Sang-Pil,Kim, Youn-Jung,Choi, Min-Kyu,Lee, Won-Chan 한국해양학회 2011 바다 Vol.16 No.3

        본 연구는 부산항 주변 저서생태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저서다모류군집의 시 공간 분포 패턴과 저서환경요인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 조사는 북항, 남항 그리고 감천항 내 외측에 선정된 15개 정점에서 2007년 2월부터 12월 사이에 계절별로 진행되었다. 부산항 주변 저서환경요인 중 수온, 염분, 퇴적물 특성 등은 전반적으로 균일한 특성을 보였으나, 총유기탄소(TOC), 산휘발성황화물(AVS), coprostanol과 같은 유기물 함량 및 오염과 관련된 변수들은 부산항의 내 외측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저서다모류군집의 총 종수는 96종, 평균 개체밀도는 1,814 개체/$m^2$ 이었으며, 출현종수는 대체로 외측에서, 개체밀도는 내측에서 높았다. 주요 우점종은 Aphelochaeta monilaris, Magelona japonica,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등으로 다수의 유기물 오염지 표종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다변량분석 결과, 전체 군집은 부산항의 내측군집과 외측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계절성은 큰 영향을 마치지 못하였다. 전체군집구조와 가장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 환경요인은 coprostanol과 산휘발성황화물이었다. 생불과 환경 두 가지 측면 모두에서 부산항 내측의 유기물 오염이 의심되었으며, 그러한 현상은 북항 내측에서 특히 뚜렷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nthic condition around Busan Port by analysing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 of polychaete community and some benthic environmental factors. Field survey was seasonally carried out at 15 stations covering in and outside of Busan Port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7.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the type of surface sediment showed little changes among the stations, but factors related to organic enrichment such as TOC, AVS, coprostanol showed an obvious contrast, especially between in and outside of Busan Port. A total of96 species occurred and mean density was 1,814 ind./$m^2$. Species richness was higher at outer port than inner port, but density was higher at inner port. Dominant species were Aphelochaeta monilaris, Magelona japonica,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etc. and many of them were typical species of organically enriched area. From the multivariate analyses, the whole study area was composed of two distinct polychaete communities located 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ort, and seasonal changes didn't have any influential effects on the structure. Coprostanol and AVS, indicators of organically enriched condition, well explained the community structures of polychaete worms in the vicinity of Busan Port. In this context, the innermost area of North Harbor was in a highly enriched state.

      • KCI등재후보

        남해안 가두리 양식장 밀집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연구

        정래홍,임현식,김성수,박종수,전경암,이영식,이재성,김귀영,고우진 한국해양학회 2002 바다 Vol.7 No.4

        가두리를 이용한 집약적 어류양식은 지난 20년 동안 남해안의 만 내에서 크게 활성화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집약적 가두리 양식은 잉여사료와 어류의 배설물과 갊은 형태로 많은 양의 유기물을 발생시킨다. 본 조사는 가두리 양식장 밀집해역인 가막만의 월호도와 통영의 학림해역에서 가두리 양식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998년 11월에 저서동물을 채집하였다. 가두리 양식장 인접지역에서 저서동물은 종 수. 밀도, 다양도에 있어서 급격한 변화를 보였으며, 이런 변화는 가두리로부터 30m 이내에서 나타났다. 가두리로부터 5m 이내에서 낮은 다양도와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유기물 오염지표종인 Capitella capitata가 우점하였다 15~30 m 지점에서는 높은 종 수와 밀도를, 그리고 가두리가 설치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높은 다양도를 보이는 정상적인 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두리로부터 0~5m 지점은 유기물에 의해 심하게 부영양화 되었으며, 15~30m지점은 부영양화 상태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두리 양식장은 다른 형태의 유기물 오염과 유사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 폐쇄적인 만에서 가두리 양식으로부터 배출되는 유기물에 의한 자가오염은 해양 저서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The fish farming using net cages has been developed in many semi-closed bay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for the last two decades. The intensive cage cultures of fishes generate considerable amounts of organic waste in the form of uneaten food and faece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fish farming activities we collected the benthic macrofauna near the fish farm area located in Wolho Islet of Gamak Bay and in Haklim Island of Tongyeong in November 1998. Benthic macrofaunal assemblages showed dramatic changes in species number, species diversity, and faunal abundance in the region of the fish farm. These changes were clearly observed even at a distance of up to 30 m from the fish farming cage area. Within 5 m from the cage, there was a zone with low species diversity and highest density, dominated by opportunistic polychaete worm, Capitella capitata. By a distance of 15-30 m, this zone presents highest species number and higher density. Our results clearly demonstrated that fish farm area was highly enriched with organic materials, and implied that the fish farm industry and adjacent benthic ecosystem in semi-closed bay will be seriously damaged by self produced organic wastes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해상 가두리 양식이 저서 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정래홍,윤상필,권정노,이재성,이원찬,구준호,김연정,오현택,홍석진,박성은,Jung, Rae-Hong,Yoon, Sang-Pil,Kwon, Jung-No,Lee, Jae-Seong,Lee, Won-Chan,Koo, Jun-Ho,Kim, Youn-Jung,Oh, Hyun-Taik,Hong, Sok-Jin,Park, Sung-Eun 한국해양학회 2007 바다 Vol.12 No.3

        가두리 양식으로 인해 과잉 공급된 유기물은 연안의 저서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주요인의 하나로 알려져 왔다. 이 연구는 2003년 6월과 8월 가두리 밀집해역인 통영연안의 두 양식장(A, B)에서 가두리 양식으로 인한 유기물 오염이 저서동물군집, 특히 저서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정도와 범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다모류가 저서동물 군집의 개체수 조성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 조사선에서 $81%{\sim}87%$로 매우 높았다. 가두리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다모류군집의 종 수, 밀도, 다양도 그리고 우점종의 분포 양상은 현격히 변하였다. 가두리로부터 10 m 이내에서는 유기물 오염지표종인 Capitella capitata가 우점하였으며, 종 수도 가장 낮아 군집이 유기물에 의해 심하게 교란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 capitata는 가두리 양식장의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지형학적으로 보다 은폐된 양식장 A에서 최대 $18,410\;ind.m^{-2}$의 고밀도 출현 양상을 보였으며, 두 양식장의 거리에 따른 개체밀도와 다양도 패턴의 전체적인 차이를 좌우하였다. C. capitata의 개체수가 급감한 10 m 지점 이후 15 m까지 구간에서는 종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런 종 수 및 밀도의 급격한 변화는 이 구간이 심한 유기물 오염 상태(highly polluted)에서 약한 유기물 오염 상태(slightly polluted)로 전환되는 추이점(ecotone point)임을 말해준다. $15{\sim}60m$ 구간에서는 종 수와 밀도의 추가적인 증가와 유지가 관찰되는 약한 유기물 오염 상태의 점이역(transitional zone)이 형성되었으며 군집의 주 구성원은 Lumbrineris longifolia, Aphelochaeta monilaris 등과 같은 잠재적 유기물 오염지시종들 이었다. K-우점도 곡선과 다차원 척도법의 결과도 앞의 군집변화와 일치하였다. 이 연구에서 저서다모류군집에 대한 유기물 오염의 영향은 가두리로부터 떨어진 거리, 가두리가 위치한 해역의 지형학적 특성 및 가두리 양식장의 밀집도에 의해 좌우되었다. Excessive input of organic matters from fish cage farms to the coastal waters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factors disturbing their benthic ecosystem. Sediment samples were taken from around the two fish cage zones (A and B) in Tongyeong coast in June and August 2003, to evaluate the ecological impacts of fish cage farming activity on the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Polychaete accounted for $81{\sim}87%$ of the total macrofauna individuals from each of the sampling stations.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diversity and dominant species of polychaete were rapidly chang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fish cages. Within 10 m from the fish cages, Capitella capitata, which is a bio-indicator for the highly enriched sediments, was a dominant species and the lowest diversity was recorded. In particular, the maximum density (${\sim}18,410\;ind.m^2$) of C. capitata was found at Farm A where fish cages were more densely established within a semi-enclosed bay system. The sampling zone between 10 m and 15 m showed a rapid decrease of C. capitata with a rapid increase of the numbers of species, implying that this zone may be an ecotone point from a highly to a slightly enriched area. In the sampling zone between 15 m and 60 m, a transitional zone, which represents slightly enriched condition before normal one, was observed with additional increase and maintenance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of polychaete. In addition, the potential bio-indicators of organic enrichment, such as Lumbrineris longifolia and Aphelochaeta monilaris were the predominant species in the sampling zone.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ordination plots and k-dominance curves confirmed the above results on the gradual changes in the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magnitude of impact of fish cage farming activity on polychaete communities is probably governed by a distance from fish cage, density of fish cage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round fish cage farm.

      • 광양만 조하대의 두 다모류 군집 구조의 시간에 따른 변화

        정래홍,홍재상 한국해양학회 1995 韓國海洋學會誌 Vol.30 No.5

        Bimonthly sampling was carried out over the period February 1983 to April 1985 at two stations in Kwang-yang Bay, Korea, in order to study the temporal changes of benthic ploychaete communities. In addition, an important focus of the study was the large-scale reclamation and dredging operations that were taking place for industrial purpose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muddy station, located on the main channel, showed high mud content (94%), whereas the sandy station, situated on the north channel of Myodo, demonstrated mud content of 42%. At the muddy station,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highest in the early sampling stage, but markedly declined in October 1983,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as in the early state. At the sandy station, the number of species highly oscillated during the entire period. The density was affected by the pectinated Lagis bocki showing particulary high density in February 1983 and 1984. However, the high density in the winter time did not occur in February 1985. The analysis of similarities and clusterings between communiti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emporal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during the study period in the community structures at both stations, but each maintained different patterns of species dominance over time. At the muddy station, this transitionary phase was found in October 1983 but in December 1984 at the sandy station. Comparisons with earlier communities suggest that faunal changes in the dominant species composition occurred from Lumbrineris longifolia to Heteromastus filiformis over this time period. The colonization of this opportunistic pioneer, H, filiformis, seems to manifest environmental disturbances in this bay area.

      • KCI등재

        2008년 3월 시화방조제 내측과 외측해역에서 저서다모류 군집구조

        정래홍 ( Rae Hong Jung ),최민규 ( Min Kyu Choi ),윤상필 ( Sang Pil Yoon ),이원찬 ( Won Chan Lee ),최희구 ( Hee Gu Choi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5 No.1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and its spatial distribution was investigated in 2008 from inshore and offshore of Lake Shihwa, Korea, in order to evaluate status of the benthic environment according to construction of the dike and the water gate. In the present study, the number of species, density, and diversity of polychaete community in inshore was signifi- 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offshore. The density of polychaete community in offshore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species whereas the diversity in inshore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species. Dominant species in offshore were 13 species, higher than 1% of the total polychaete individuals. Heteromastus filiformis, known as the most dominant species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dike,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offshore, which collectively account for 54% of the total polychaete individuals. In inshore, the seven species were dominant, higher than 1% of the total individuals. Lumbrineris longifolia, Polydora sp., Capitella capitata,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known as pollution tolerant species, contributed to higher than 75% of the total individuals in inshore.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showed apparent difference in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between inshore and offshore, and also difference between inner sites and outer sites of inshore around the water gate. Sediment characteristics (total organic carbon and nitrogen, ignition loss, and acid volatile sulfide) measured in this study also supported to this result. Therefore, this indicates that the offshore provides better benthic environments for polychaete habitation than the inshore, and the inshore around the water gate shows improving benthic environment, compared to the inner insh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