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정래홍,서인수,최병미,최민규,윤상필,박상률,나종헌,윤재성,Jung, Rae Hong,Seo, In-Soo,Choi, Byoung-Mi,Choi, Minkyu,Yoon, Sang-Pil,Park, Sang Rul,Na, Jong Hun,Yun, Jae Seo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3년 5월(이하 춘계)과 8월(이하 하계)에 실시하였다. 거제한산만에서는 총 300종 $7.6m^{-2}$과 75,760개체(1,994개체 $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10종과 49,955개체(1,315개체 $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거제한산만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299{\pm}164$개체 $m^{-2}$), Aphelochaeta monilaris($100{\pm}57$개체 $m^{-2}$), 이매패류의 종밋(Musculista senhousia, $91{\pm}96$개체 $m^{-2}$) 및 다모류의 꼬리대나무갯지렁이(Praxillella affinis, $80{\pm}696$개체 $m^{-2}$)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내만역(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과 수로역(한산도에서 추봉도 해역)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거제한산만의 건강도를 평가한 결과, 수로역의 정점군과 비교해 내만역에 위치한 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에서 환경질이 상대적으로 불량하였다. 또한 3개의 생물 평가지수(다양도 지수, M-AMBI 지수 및 환경보전도 지수)는 AMBI 지수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지수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Geoje-Hansan Bay, Southern Coast of Korea. Macrobenthos were collected by van Veen grab sampler at May (spring) and August (summer) 2013. The total species number and mean density were 300 species $7.6m^{-2}$ and $1,994ind.\;m^{-2}$, respectively.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s Lumbrineris longifolia ($299{\pm}164ind.\;m^{-2}$), Aphelochaeta monilaris ($100{\pm}57ind.\;m^{-2}$), the bivalve Musculista senhousia ($91{\pm}96ind.\;m^{-2}$) and the polychaete Praxillella affinis ($80{\pm}66ind.\;m^{-2}$). From the community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tional scaling (NMDS) ordinati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was distinguished into two groups of inner bay (farming ground of near Sandal Island) and channel station(from Hansan Island to Chubong Island) group. In this study, the ecological status was assessed by four biotic indices Shannon's H', the ATZI Marine Biotic Index (AMBI), multivariate-AMBI (M-AMBI) and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Index (ECI). The ecological status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Geoje-Hansan Bay were poorer in the inner bay station than in the channel sta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ree biotic indices (Shannon's H', M-AMBI and ECI) were valid as an index for evaluating the ecological status than the AMBI.

      • KCI등재

        가로림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정래홍,서인수,이원찬,김형철,김정배,최병미,윤재성,나종헌,Jung, Rae-Hong,Seo, In-Soo,Lee, Won-Chan,Kim, Hyung-Chul,Kim, Jeong-Bae,Choi, Byoung-Mi,Yun, Jae-Seong,Na, Jong-H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0 No.5

        본 연구는 가로림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2년 5월(이하 춘계)와 7월(이하 하계)에 실시하였다. 가로림만에서는 총 247종 $4.4m^{-2}$과 35,745개체(1,625개체 $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20종과 27,310개체(1,241개체 $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가로림만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작은사슴갯지렁이(Ampharete arctica),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Mediomastus californiensis 및 Euclymene oerstedi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3개로 구별되었고, 조립질 퇴적물(그룹 1과 2)과 혼합 및 세립질 퇴적물(그룹 3)이 우세한 정점군으로 나뉘었다. 가로림만의 건강도를 평가한 결과, BPI지수는 춘계와 하계에 공통적으로 가장 양호한 상태(high status; normal)를 나타낸 반면, AMBI지수는 양호한 상태(good status; slightly polluted)를 반영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로림만의 건강도는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Garorim Bay, West Coast of Korea. Macrobenthos were collected by van Veen grab sampler at May(spring) and July(summer) 2012. A total of 247 species occurred and mean density was $1,625\;ind.\;m^{-2}$, both of which were dominated by annelid polychaetes(120 species and $1,241m^{-2}$).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s Ampharete arctica, Lumbrineris longifolia, Mediomastus californiensis and Euclymene oerstedi, with a density of 445(${\pm}1,837\;ind.\;m^{-2}$), 103(${\pm}148\;ind.\;m^{-2}$), 55(${\pm}83\;ind.\;m^{-2}$) and 50(${\pm}104\;ind.\;m^{-2}$), respectively.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3 station group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These assemblage were : 1)the group 1 and 2 were associated with coarse sediment dominated stations and 2)the group 3 was connected with a mixed and fine sediment dominated stations group. The BPI and AMBI index were applied to assess the benthic ecological status. The ecological status of the Garorim Bay was "good status(slightly polluted)" to "high status(normal)" at most sampling stations during spring and summer. In conclusion, the two marine biotic index calculated shown that the Garorim Bay had a good ecological status.

      • KCI등재

        한국 서해남부 해역에 분포하는 넓적뿔꼬마새우 (Latreutes planirostris) 의 생식생태 및 개체군 동태

        오철웅 ( Chul Woong Oh ),마채우 ( Chae Woo Ma ),나종헌 ( Jong Hun Na ) 한국수산과학회 200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6 No.2

        N/A Reproductive biology and population dynamics of Latreutes planirotris were investigated on the south western waters of Korea, from June 2001 to May 2002. This paper describes sex ratio, population growth, and reproductive aspects of Latreutes planirostris. Brood size was an isometric function of female carapace length. Based on dry weight, reproduction effort (mass of eggs/mass of female) averaged 0.23 Ovarian examination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ly higher gonadosomatic index from May to September, with a peak in Jun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ovarian dry weight of females with eyed egg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ose with non-eyed eggs. This suggests that females were potentially consecutive breeders. Sex ratio showed that female is more numerous than male. Growth parameters, mortality, and recruitment were estimated by monthly length-frequency data. Growth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the seasonalized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model (L_∞ = 12.70 mm CL, K=0.87yr^-1, C = 0.96, WP = 0.59). The recruitment pattern was twice a yea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울진 바다목장 주변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황강석 ( Kang Seok Hwang ),서인수 ( In-soo Seo ),최병미 ( Byoung-mi Choi ),이한 ( Han Na Lee ),오철웅 ( Chul Woong Oh ),김미향 ( Mi Hyang Kim ),최창근 ( Chang Gun Choi ),나종헌 ( Jong Hun Na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는 울진 바다목장 해역에서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생물다양성, 개체수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345종 8m-2에 단위면적당(m-2) 출현 개체수는 5,797개체이었다. 분류군별 출현 종수와 개체수에 있어서는 환형동물의 다모류가 각각 154종, 44.64%와 193,320개체, 83.37%의 점유율을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한편 연구해역의 주요 우점종으로 다모류의 민얼굴갯지렁이(Spiophanes bombyx)는 124,385개체(평균 3,110±4,434개체 m-2), 53.64%의 점유율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Magelona sp.1이 16,130개체 (평균 403±926개체 m-2)로 6.96%를 차지하였다. 이 밖에 이매패류의 Cadella semitorta,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 (Lumbrineris longifolia) 및 이매패류의 겨자씨조개 (Alveniusojianus)의 순서로 각각 6,325개체(2.73%), 5,010개체 (2.16%) 및 4,820개체 (2.08%)가 출현하였다. 한편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2개의 그룹과 1개의 정점 (5월의 정점 4)으로 구분되었다. 이 가운데 그룹 1은모든 조사시기의 정점 2, 3, 5, 6, 8 및 9가 포함되었고, 환경적으로 30~60 m 내외의 수심과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정점들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또한 본 그룹에 속하는 대형저서동물은 총 282종(평균 66±15종)과 7,471개체 m-2의 밀도에 다모류의 Magelona sp.1, 긴자락송곳갯지렁이, 삼각모자갯지렁이(Scoloplos armiger), 꼬리대나무갯지렁이 (Praxillella affinis), 민숭대나무갯지렁이 (Maldanecristata)와 겨자씨조개 등이 주요한 구성종이었다. 반면 그룹 2는 모든 조사시기의 정점 1, 4, 7 및 10으로 구성되었고, 환경적으로 수심과 퇴적상은 각각 5m 내외의 조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정점들이었다. 또한 생물적으로는 181종 (평균 37±18종)과 3,287개체 m-2를 나타내었고, 주요 우점종은 이매패류의 Cadella semitorta와 다모류의 Lumbrineriopsis sp.이었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연구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연안으로 부터의 이격정도와 그에 따른 수심과 퇴적물의 조성차이에 의해 그 구조를 달리하고 있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Uljin Marine Ranching area, East Sea of Korea. Macrobenthos were collected using a modified van Veen grab sampler from April to September 2013. Total number of species sampled was 345 and mean density was 5,797 ind. m-2, both of which were dominated by the polychaetes. The most dominant species were Spiophanes bombyx (53.64%), followed by Magelona sp.1 (6.96%), Cadella semitorta (2.73%), Lumbrineris longifolia (2.16%) and Alvenius ojianus (2.08%).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analysis based on the Bray-Curtis similarity identified 2 station groups. The group 1 (station 2, 3, 5, 6, 8 and 9) was characterized by high abundance of the polychaetes Magelona sp.1, Lumbrineris longifolia, Scoloplos armiger, Praxillella affinis, Maldane cristata and the bivalve Alvenius ojianus, with fine sediment above 30m water depth. On the other hand, the group 2 (station 1, 4, 7 and 10) was numerically dominated by the polychaete Lumbrineriopsis sp. and the bivalve Cadella semitorta, with coarse sediment below 5m water depth. Collectively,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showed a distinct spatial trend, which seemed to be related to the water depth and sediment com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