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할함수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청소년기 사회 자아개념 연구: 영향요인 탐색 및 진로성숙도 차이 검증

        윤소진,하승혁,이준우,김유정,홍세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23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75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nges in social self-concept in adolescence, explore the effects of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classe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among the latent classes. The 1st to 7th data of KELS 2013 were used for analysis. Among the influencing factors, gender and child's perceived parent-child interaction were used as individual factor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were used as parent factors and peer attachment was used as peer factors to analyze the effects of each on the subtypes of social self-concept change. A piecewise growth mixture model was applied since adolescents can experience a transition effect when entering higher schoo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iecewise growth mixture model was the most appropriate, and there were three latent growth classes: reduction-recovery group (3.3%), high-level maintenance group (74.2%), and increase-maintenance group (22.5%). Among gender, parent-child interaction, parenting attitude, parent-child interaction, and peer attachment, which were supposed as the determinants, the parent-child interaction, the self-regulating parenting attitude, and the peer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latent classes. The mean was high in the order of the high-level maintenance group, the reduction-recovery group, and the increase-maintenance group, and some mean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ovides a foundation for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social self-concept of adolescence by accurately estimating the changes and identifying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social self-concept subtypes. 본 연구는 청소년기 사회 자아개념의 변화 유형 및 유형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를 확인하고, 유형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KELS(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의 1~7차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영향요인 중 개인 요인으로는 성별과 자녀가 인식한 부모-자녀 상호작용 변수를, 부모 요인으로는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상호작용 변수를, 또래 요인으로는 또래애착 변수를 사용하여 각 변수들이 사회 자아개념 변화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청소년은 상급학교로 진학하는 시점에서 전환기 효과(transition effect)를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전환점을 기준으로 성장패턴을 다르게 추정하는 분할함수 성장혼합모형(piecewise growth mixture model)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기 사회 자아개념의 변화 패턴은 분할함수 성장모형이 가장 적합하였고, 변화에 따른 유형은 감소-회복 집단(3.3%), 고수준 유지 집단(74.2%), 증가-유지 집단(22.5%)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영향요인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부모의 자율적 양육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증가-유지 집단보다 고수준 유지 집단에,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감소-회복 집단보다 고수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증가-유지 집단보다 감소-회복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각 잠재집단의 진로성숙도 평균을 확인한 결과, 고수준 유지 집단, 감소-회복 집단, 증가-유지 집단의 순서로 진로성숙도 평균이 높았다. 본 연구는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하여 전환기를 기점으로 변화하는 청소년기 사회 자아개념의 발달궤적을 유형화하고, 유형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를 확인하여 청소년기 사회 자아개념을 폭넓게 이해하는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 및 우울과의 관계: 걱정과 반추의 공통 요인(반복적 부정적 사고)과 차별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소진,장혜인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mediating effects of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RNT), worry, and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IU), and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dults. Specifically, it was hypothesized that RNT would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IU and anxiety and depression, whereas worry was expect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U and anxiety, and rumination was anticipat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U and depression. Participants were 300 Korean adults (188 males, and 112 females) who completed a serie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ing IU, worry, rumination,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Mplus7. Results indicate that RNT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U and anxiety, whereas in contrast, R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U and depression. Worr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U and anxiety, However, worry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U and depression, whereas, interestingly, rumination did not mediate the effects of IU on either anxiety or depression.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Intolerance of Uncertainty: IU)이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복적이고 부정적인 정보처리과정인 반복적 부정적 사고(Repetitive Negative Thinking, RNT)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동시에, RNT의 변량을 제외하고도 걱정과 반추가 IU와 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에서 차별적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성인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IU, 걱정, 반추, 불안, 우울 수준을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걱정과 반추의 공통적 특성인 RNT를 구성한 뒤, 공통 변량을 제외한 걱정과 반추 각각의 고유한 특성을 가려내기 위해 이원요인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IU가 RNT, 걱정, 반추를 거쳐 불안 및 우울으로 향하는 매개효과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측정모형 분석에서 이원요인 모형은 2요인 모형, 3요인 모형과 비교했을 때 모형 적합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구조모형 분석에서 RNT는 IU와 불안, IU와 우울 간 관계를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걱정은 IU와 불안 간 관계는 매개한 반면, IU와 우울 간 관계는 매개하지 않았다. 반추는 IU와 우울 간, IU와 불안 간 관계를 모두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이론적, 임상적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Proposal of a health gut microbiome index based on a meta-analysis of Korean and global population datasets

        Oh Hyun-Seok,Min Uigi,Jang Hyejin,Kim Namil,Lim Jeongmin,Chalita Mauricio,Chun Jongsik 한국미생물학회 2022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60 No.5

        The disruption of the human gut microbiota has been linked to host health conditions, including various diseases. However, no reliable index for measuring and predicting a healthy microbiome is currently available. Here, the sequencing data of 1,663 Koreans were obtained from three independent studies. Furthermore, we pooled 3,490 samples from public databases and analyzed a total of 5,153 fecal samples. First, we analyzed Korean gut microbiome covariate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lifestyle on variation in the gut microbiota. Next, patterns of microbiota variations across geographical locations and disease statuses were confirmed using a global cohort and disease data. Based on comprehensive comparative analysis, we were able to define three enterotypes among Korean cohorts, namely, Prevotella type, Bacteroides type, and outlier type. By a thorough categorization of dysbiosis and the evaluation of microbial characteristics using multiple datasets, we identified a wide spectrum of accuracy levels in classifying health and disease states. Using the observed microbiome patterns, we devised an index named the gut microbiome index (GMI) that could consistently predict health conditions from human gut microbiome data. Compared to ecological metrics, the microbial marker index, and machine learning approaches, GMI distinguished between healthy and non-healthy individuals with a higher accuracy across various datasets. Thus, this study proposes a potential index to measure health status of gut microbiome that is verified from multiethnic data of various diseases, and we expect this model to facilitate further clinical application of gut microbiota data in future.

      • KCI등재

        한국판 Toronto 20항목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의 요인구조 연구

        윤소진,신재은,이태헌 대한스트레스학회 2019 스트레스硏究 Vol.27 No.4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The TAS-20 (source of the TAS-20K) has been supported the three-factor correlated model. However, some factor structure studies of the TAS-20 rejected the three-factor correlated model and adopted alternative models. Methods: In study 1, we conducted a comparison study of the alternative measurement models by using CFA. In study 2, we examined scale reliability and gender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factor structure. To examine the alternative models and scale reliability, we using the bifactor model reliability indices. Results: As a result, the DIF and DDF factors have a close relationship but the EOT factor has some differences with DIF and DDF. So we adopted a two-factor correlated model with group factor. And the adopted factor structure has partial measurement invariance. Therefore we can compare gender differences of the TAS-20K. Conclus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examining TAS-20K’s factor structure and examining measurement invariance in gender.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Toronto 20항목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의 요인구조를 검증하였다. TAS-20K의 원본인 TAS-20은 3요인 상관 모형이 지지되어 왔으나, 최근 TAS-20의 요인구조에 대한논의가 제기되었다. 이에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TAS-20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들을 TAS-20K에 적용· 비교하고, 채택 모형의 신뢰도와 측정 불변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채택 모형의 남녀 부분 측정 불변성이 확인되었고, DIF와 DDF요인 간의 밀접한 연관성과 EOT요인의 구별되는 측면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TAS-20K의 요인구조 검증을 통해 TAS-20K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측정 불변성 검증으로 TAS-20K 의 성별에 따른 점수 비교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공직가치에 따른 공직자 잠재프로파일 분석: 개인적, 조직적 영향요인 및 잠재프로파일별 삶의 만족도, 조직몰입 차이 검증

        윤소진,홍세희 한국조사연구학회 2022 조사연구 Vol.23 No.3

        The present study classified the latent profiles depending on the government employee’s public service value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related impact factors and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nalysis used the 4,339 data samples from the 2020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As a result, the three different subtypes of public service value emerged, naming “low-level public service value group (34.0%)”, “middle-level public service value group (56.4%)”, “high-level public service value group (9.6%)”. Over 90% of the public servants were classified into low or middle- level public service value groups. Among individual factors (gender, age, education, working period) and organizational factors (reward, educational training, transac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ge, reward, educational training, and transfromational leadership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all latent profiles. Th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general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public servic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he latent profiles were also verified. It was found that the high public service value group shows the highest level of overall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public servic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level of government employee’s public service value appears in different types.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factors related to the latent profiles and showed that the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ublic service value profil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public officials would be abl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ffective intervention measures to internalize public office values and increase lif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는 공무원의 공직가치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이와 관련된 영향요인 및 잠재프로파일별 삶의 만족도와 조직몰입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20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중앙 및 지방 공무원 4,339명의 공직가치에 대한 응답을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공직가치 수준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이 3개로 분류되었고, 이를 각각 “공직가치 저 집단”(34.0%), “공직가치 중 집단” (56.4%), “공직가치 고 집단”(9.6%)으로 명명하였다. 90% 이상의 공무원들이 공직가치 저 집단과 중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개인적 요인(성별, 연령, 학력, 재직기간)과 조직적 요인(보상, 교육훈련,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이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개인적 요인 중 연령, 그리고 조직적 요인 중 보상, 교육훈련, 변혁적 리더십이 공무원의 모든 공직가치 잠재프로파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잠재프로파일 별 삶의 만족도(전반적 삶, 직무, 공직만족도)와 조직몰입 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공직가치가 높은 집단에 속할수록 전반적 삶만족도, 직무만족도, 공직만족도와 조직몰입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공무원의 공직가치 수준이 다른 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직가치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하고 공직가치 프로파일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조직몰입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공무원이 공직가치를 내재화하고 삶의 만족도와 조직몰입을 상승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안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잠재전이모형을 활용한 장기 미취업 청년의 구직효능감 유형 변화양상 분석 및 영향요인 검증

        윤소진,이준우,하승혁,홍세희 한국노동연구원 2023 노동정책연구 Vol.23 No.2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 job search self-efficacy of long-term unemployed youth and to analyze their transition patterns. Determinants of classifying and changing latent profiles were also verified. 695 long-term unemployed youth in the Youth Panel were analyzed, and the latent profiles for job search self-efficacy in both 2017 and 2020 were classified into three profiles (low, middle, and high group). Gender,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tress were significant in classifying the latent profiles. As a result of latent transition analysis, the low group was more likely to move to the middle group, and the middle group and the high group were more likely to maintain the group. Stress was a significant factor in transition; the lower stress, the more likely to move to the high group rather than maintaining a low group after three years. Based on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job search self-efficacy and to actively discuss ways to increase the job search self-efficacy of long-term unemployed youth. 본 연구는 장기 미취업 청년의 구직효능감에 따라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집단의 전이 양상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청년패널의 장기 미취업 청년 695명을 대상으로 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진행한 결과, 2017년과 2020년의 구직효능감 잠재집단은 두 시점 모두 3개(저․중․고집단)로 분류되었고, 2017년의 구직효능감 잠재집단 구분에 성별,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가 유의하였다. 잠재집단 전이 양상 확인결과, 저집단은 중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았고, 중집단과 고집단은 집단을 유지할 확률이 높았다. 전이 영향요인 중 스트레스가 유의하였는데, 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구직효능감 고집단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에 기반하여 장기 미취업 청년 구직효능감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의 구직효능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