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관용 표현 연구 경향 분석

        유해준 한국어학회 2022 한국어학 Vol.95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earches on idiomatic express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levant researches this study examined are the researches related to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handl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were published from 1997 to 2021. For this, in the results of searching for a term ‘idiomatic express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research papers provided by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otal 616 papers were searched. Among the research papers including 124 academic papers and 492 theses/dissertations extracted like this, this study examined and selected only the researches related to idiomatic express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title, table of contents, and abstract. The selected papers were 34 academic papers and 119 theses/dissertations. Through those papers, this study examined which part of idiomatic expressions was mostly research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which teaching methods were changed. Through this process, this thesis was abl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lso changes in education related to idiomatic express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을 위해 연구된 관용 표현 연구들을 살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살핀 관련 연구는 1997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된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진 한국어 관용 표현 관련 연구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연구 논문을 기준으로 ‘한국어 교육 관용 표현’이란 용어로 검색한 결과 616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이렇게 추출된 학술논문 124편과 학위논문 492편의 연구 논문들 중에서 한국어 교육 관용 표현과 관련 있는 연구들만을 제목과 목차 논문초록을 중심으로 살피어 선별하였다. 선별된 논문은 학술논문 34편, 학위논문 119편이다. 이 논문들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관용 표현의 어떤 부분을 주로 연구하고 있는가와 이를 통해 어떤 교수 방법의 변화가 있었는가를 살피었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연구 동향을 살필 수 있었고, 한국어 교육 관용 표현 관련 교육의 변화를 살필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용 문법 용어에 대한 고찰

        유해준 배달말학회 2023 배달말 Vol.72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문법 용어들을 살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교육 문법 용어에 대한 표준화의 필요성까지는 아니더라도 제시되고 있는 문법 용어에 대해 논의를 하려는 이유는 교육 자료에 접근하는 입장에서 논의를 통한 기준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문법의 범주 및 체계를 보기 위해 국어과 교육처럼 국가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국립국어원이 발주한 사업으로 나온 결과물로 제공되고 있는 문법서나 국제통용한국어교육과정 교육부의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등의 자료에 제시된 문법 용어의 체계성은 살필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를 통해 모든 한국어 교사가 학문적으로 한국어 교육을 접근해야 하는 것이 아닌 현장 교사에게 국가에서 제공된 자료들은 일반적 지식의 공유가 가능한 자료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한국어 교사가 자주 보게 될 문법 용어에 대해 살필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의 분류 및 제시 양상 연구

        유해준 현대문법학회 2022 현대문법연구 Vol.116 No.-

        The grammar cove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e grammar category cove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In this regard, although the subject of education is different, there are two positions that the grammar categories required for education should be set differently because the subject of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e position that the grammar categories taught in schools should be unified equally. Just by looking at the position on Korean grammar, one can se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In this study, all of these differences cannot be summarized. However, by mentioning these discussions, I think it can b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setting the category of educational grammar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is reason, this paper examines the categories and forms of grammar items cove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mmarizes the terms used as references. .

      • KCI등재

        한국어 교육 유사 문법 개념 연구 ― 음운·형태·통사·의미·화용적 관계를 중심으로

        유해준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6 No.-

        In this study, we will look at items of grammar that have similar func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and discuss the concept of a similar grammar that i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udy of gramm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considerable content concerning “what grammar to teach” before “how to teach grammar.” To examine the identity of the grammatical items cove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the contents of education are created and which contents are need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do so, it is necessary to look at what content is taught along with a study of the compositional content of the grammatical item, so that it is possible to approach the notion of a similar grammar.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in phonological, morphological, syntactic, semantic, and phonological grammar in the framework of grammar education for grammatical items with similar functions; these are taught by comparing or contrasting individual grammar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paper, grammatical items that perform similar functions based on Korean grammar items for foreigners are called “similar grammars”; this is the concept I wish to summarize.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유사한 기능을 하는 문법 항 목들을 살피고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되는 유사 문법이라는 용어의 개념을 논 의하고자 한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에 대한 연구는 ‘문법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앞 서 ‘문법의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내용 연구가 많았다. 한국어 교육에 서 다루어지고 있는 문법 항목들의 정체성을 살피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 구성 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고 그 내용이 교육 현장에 필요한지를 살피는 것이 중요 하다. 이 때문에 문법 항목의 내용 구성에 대한 연구와 함께 이 내용의 무엇을 가르치고 있는가도 함께 살펴야 유사 문법이라는 개념에 접근이 가능하다. 이 에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개별 문법 항목들을 비교 또는 대조하여 가르치고 있는 유사 기능을 가진 문법 항목들에 대해 음운·형태·통사·의미·화용적 차이들을 문법 교육이라는 틀 안에서 살피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들을 중심으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문법 항목들을 유사 문법이라고 칭하고 그 개념을 정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은 유사 문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더라도 유사하다는 개념 안에서 한 국어 교육 문법 항목들을 연구한 선행연구들을 살피고,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교육용 문법 사전에 기술된 유사 문법 항목의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그리고 이 를 통해 유사 문법 항목의 유사하다는 개념을 정리하고자 한다.

      • Synthesis of cationic polymer nanofibers with densely embedded silver nanoparticles and their excellent antimicrobial properties

        유해준,노종민,송주영,장정식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In this research, silver nanoparticle-embedded polymer nanofibers are synthesized in aqueous phase via radical-mediated dispersion polymerization. Poly[2-(tert-butylaminoethyl) methacrylate] (PTBAM) was used as a polymer substrate to enhance bactericidal effect of silver nanoparticle embedded nanofibers. SEM and TEM analysis showed that silver nanoparticles of 8 nm size were situated in PTBAM nanofibers of approximately 40 nm diameters and more than 10 μm lengths. In the following antimicrobial test, silver nanoparticle-PTBAM nanofibers exhibited superi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which represent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each. Furthermore, silver-nanoparticle-PTBAM nanofibers showe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compared to silver-nanoparticle- embedded-PMMA nanofibers, due to the bactericidal properties of TBAM substrate.

      • KCI등재후보

        토론 평가 방법 분석에 따른 토론 평가의 방향 고찰

        유해준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6 사고와표현 Vol.9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lements and direction of evaluation on evaluating discussions, understand the problems in existing methods of evaluating discussions, and consider the desirable direction for evaluating discussions. Discussions made at university classes are used as an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which learners can talk and interact. Students criticize and accept the contents that other students talk about and interact with one another. As most of the communication that occur in a classroom is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or among learners themselves, discussions that involve learners' interaction is an important activity at university classes. According to structuralism and cognitivism, learning a language starts with learning the structure and form of a language. However, interaction hypothesis stresses the negotiation of meaning through interaction rather than the structure and form of a language in language learning. Likewise, this study regards the process made through social interaction, not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a language, as the elements of evaluating discussions. Speaking based on interaction hypothesis is adjusted to the development and interest level of learners from the selection of topic, so learners themselves can prepare and get more information than teacher's feedback and more than anything, learning attitude can improve in affective domain. In addition, responding to the speaking of other classmates, or discussion partners, learners can acquire the speaking technique to find their errors in their own speaking and listening and correct them. When a teacher is the only person that gives feedback, there might be a problem that learners get to accept it unconditionally, but in the interaction with classmates through discussion, learners can have the benefit of selectively accepting others' feedback as they are at the same position. Like this, discussions are the major activity and tool at university classes. This study will review the methods of evaluating discussions that are used in college education and suggest ways to evaluate discussions that can be used in college discussions. 본 연구는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에 평가 방법 또는 평가 요소가 미치는 영향을분석하고 바람직한 토론 평가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토론은 말하기를 하며 학습자들끼리 비판하고 수용하며 서로 상호작용하는 교육적 활동이다. 이것은 교실 내에서 일어나는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언어 습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활동 중심의 언어 수업을 기반으로 한다. 교실에서일어나는 의사소통의 상당 부분이 교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토론에 대한 중요성은 대학 교육에서 더욱 부각되고있다. 구조주의에서는 언어 학습이 언어 자료나 학습자 발화의 외형적인 형태를배우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주장한다. 그렇지만 언어의 사용적 측면을 강조한 언어 학습에 있어서는 상호작용을 통한 의미의 협상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언어를 배우는 학습자는 언어의 구조를 이해하는 방법에 의해서 언어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 가설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토론은 화제(話題) 선정부터 학습자의발달과 흥미 수준에 적절하게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교사의 피드백보다 더 많은정보를 학습자 스스로가 준비하고 얻을 수 있으며 무엇보다 정의적인 영역에 있어서 학습 태도가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토론의 상대인 동료의 말하기에 반응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말하기 및 듣기의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는 중요한 말하기 및 듣기 기술을 습득할 수도 있다. 교사만이 피드백을 주는 경우는 그것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지만 토론을 통한 동료와의 상호작용은 동등한 입장에서 그것을 선별적으로 수용하게 된다는 장점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육에서 토론 교육이 가지는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평가 방식에 대한 방법론적인 부분에서는 다양한 방법의 수용 및 적용이필요하기에 토론 평가 방식의 문제점 분석을 중심으로 토론 평가 방식의 방향을살피었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관용 표현 교육

        유해준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89 No.-

        This study explores measures to improve the teaching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to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It aims to examine these measures by considering their concept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e study also aims to examine idiomatic expressions in the context of how they are grasped by students. For example,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ho view the structure of idiomatic expressions tend to perceive idiomatic expressions by dividing them into “idiomatic expressions with similar forms and meanings,” “idiomatic expressions with different forms and similar meanings,” and “idiomatic expressions that can be found only in Korea” in comparison with their own mother tongues. Within a geographical area with similar and related cultures, different languages tend to have many idiomatic expressions that are similar in form and meaning. Additionally, there are idiomatic expressions with similar meanings in the prototypical approach. However, some idiomatic expressions cause error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other tongue in cases where there is no corresponding idiomatic expression or if a morphologically-similar structure has a totally different meaning. An idiomatic expression is a unit composed of two or more syntactic words, but should be perceived as a single word, so it is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learn it. This learning unit makes them think about which units it should be divided into in order to be perceived. This issue is applicable to teachers as well. Hence, it is necessary to present educational measures for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by referring to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structural aspect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nd also examining foreign learners’ understanding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s perceived by learners by dividing the similarity into semantic similarity and morphological similarity.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관용 표현 교육에 대해 고려할 부분들을 논의하고자한다. 관용 표현의 개념과 관용 표현의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 고찰하고, 이를통해 한국어 교육에서의 관용 표현 교육 내용을 살피고자 한다. 또한 관용 표현의 구조적 측면도 중요하지만 교육을 위해 교육적 측면에서도 관용 표현을 살피고자 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외국인 학습자 입장에서 관용표현의 구조를 보면 외국인 학습자 입장에서는 모국어와 비교하여 ‘형태와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형태는 다르지만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 ‘한국어에만있는 관용 표현’으로 분리해 인식이 될 것이다. 비슷한 문화권 안에서는 두 언어사이에 형태와 의미가 유사한 관용 표현들이 많다. 그리고 원형적 접근이 이루어지는 관용 표현 또한 비숫한 의미를 가진 관용 표현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반면 대응하는 관용 표현이 없는 경우나 형태적으로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어 오히려 모국어에 의한 오류를 유발하는 관용 표현도 있다. 이처럼 관용 표현은 두 어절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하나의 단어처럼 인식이 되어야 하는 단위이기에 외국인 학습자 입장에서는 학습하기가 어려운 내용이다. 어느 단위로 나누어 인식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되는 학습단위이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가르치는 교사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교육을 위해 한국어 관용 표현의 구조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외국인 학습자가한국어 관용 표현을 이해하는 과정을 참고하여 한국어 관용 표현 교육 방안을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느끼는 한국어 관용표현의 유사 정도를 형태, 결합 구조, 의미의 유사 정도로 나누어 살피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