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남지역 묘역지석묘 축조사회의 전개

        우명하 영남고고학회 2016 嶺南考古學 Vol.- No.75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forms and chronologies of dolmens in the graveyards of Yeongnam with a focus on the graveyard facilities and examine the relations and changes of the groups that built dolmens in the graveyards of Yeongnam. The findings offer critical information about the changing aspects of Bronze Age from the middle stage to the late one as well as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dolmens in the graveyards. In the latter half of early stage of Bronze Age, they used both Jugu and stone material boundaries for dolmens in the graveyards and underwent a shift from the old dolmens with vertical landscape to the new ones with horizontal landscape. In the former half of middle stage, they used both Jugu and stone material boundaries for dolmens in the graveyards with diverse forms and structures confirmed in the graveyards that used stone materials. The latter half of middle stage witnessed the increasingly massive size of dolmens in the graveyards accompanied by the graveyards characterized by the combination of Jugu and stone material boundaries. The dolmens in the graveyards and the locality of red polished pottery buried in them confirmed the network of local groups. The late stage of Bronze Age was graveyards with no tombs or altar graveyards were built along with dolmens in the graveyards in the previous years, but it was in the late stage that they became the facilities to replace dolmens in the graveyards for the common ceremonial rites of local groups. The construction of dolmens in the graveyards was active, the society placed importance on the solidarity of local groups, which had the medium of common ceremonies.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estimated that the society that built dolmens in the graveyards of Yeongnam during Bronze Age was in a horizontal hierarchy around the head that supervised memorial services. 이 글에서는 영남지역 묘역지석묘의 묘역시설에 중점을 두어 형식과 편년을 확인하고, 영남지역 묘역지석묘 축조집단의 관계와 변화를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묘역지석묘의 등장과 전개뿐만 아니라 청동기시대 중기와 후기의 사회변화상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영남지역의 묘역지석묘는 주구를 굴착한 묘역, 석재를 사용한 묘역, 주구와 석재를 같이 사용한 묘역이 축조되었다. 묘역의 세부 속성은 경계구조와 채움구조의 구조적 속성과 평면형태와 크기의 형태적 속성이 파악되었다. 형식분류를 통해 청동기시대 전기후반-중기전반-중기후반-후기로의 변화과정과 경북내륙, 경남내륙, 경남해안, 영남동해안의 지역적 특징을 함께 확인하였다. 청동기시대 전기후반의 묘역지석묘는 주구경계와 석재경계 모두 사용하였고, 종래에 축조되었던 수직적 경관의 지석묘에서 수평적 경관의 묘역지석묘로 변화하였다. 청동기시대 중기전반의 묘역지석묘는 주구경계와 석재경계가 모두 사용되며, 특히 석재를 사용한 묘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청동기시대 중기후반의 묘역지석묘는 규모가 거대해지고, 주구와 석재경계를 혼합한 묘역시설을 동반하였다. 또한 묘역지석묘와 부장유물인 적색마연토기의 지역성을 통해 지역집단간의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청동기시대 후기는 묘역지석묘와 함께 무덤이 없는 묘역, 즉 제단묘역이 확인된다. 이전 시기에 이미 제단묘역이 축조되었으나 후기에는 지역집단의 공동의례행위를 위해 묘역지석묘를 대체하는 시설이 되었다. 묘역지석묘를 활발히 축조했던 청동기시대 중기사회는 지역집단의 상호결속을 중요하게 여긴 사회였고, 집단의 결속은 공동의례를 매개체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영남지역에서 묘역지석묘를 가장 적극적으로 축조한 청동기시대 중기 이후의 사회는 제사를 관장하는 수장을 중심으로 수평적 위계화가 이루어졌던 사회로 해석된다.

      • KCI등재

        紅山文化 牛河梁 玉器副葬墓에 대한 理解

        이청규,우명하 한국상고사학회 2020 한국상고사학보 Vol.107 No.107

        The tombs of Niuheliang in the Hongshan Cultur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of non-installed tomb(A), earthen tomb(B), and slab-stone tomb(C)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small(CI) and medium,(CII) and large(CIII) sub-types. Most jade artefacts buried in the tombs are divided into five types such as oblique open-ended cylindrical type(A), simple geometric accessories type(B), accessories with animal shape type(C), three dimentional animal type(D), and flattened disc with clouds or bird decoration type (E). The combination pattern of buried jade artefacts can be classified into I) A + B combination, II) A combination, III) B combination, and IV) other combination. Pattern I & II are corelated with large and middle slab-stone tombs, and pattern III & IV with small C slab-stone tombs in general, but there are exceptional cases also.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human bones, the same ratio of male and female is identified in the tombs of lower stage, but most of them with I-II combination of jade artefacts in large stone- slab tombs are presumed to be male adults in the earlier phase of upper stage. The nearly same proportion of male and female have been identified in the tombs built in late phase of upper stage. However, as the size of place available for the tomb became smaller, on the contrary to the increasing number of human population, the size of the tombs also became smaller and smaller. Also the number of jade artefacts, which could be obtained from long distance became fewer and fewer. As a result, most of buried jade combinations became that of IV pattern without high value artefacts, and also the number of non-jade tombs sharply increased. 우하량 유적의 무덤시설을 보면 크게 무시설묘, 토광묘와 석관묘의 3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석관묘는 구조와 규모에 따라서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분된다. 옥기의 기종은 사구통형기와 치레걸이, 동물장식 치레걸이, 동물형 옥기, 그리고 판상형 옥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덤에 부장되는 옥기 기종의 조합은 사구통형기+판상형옥기의 1유형, 사구통형기의 2유형, 판상형옥기의 3유형, 기타 4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조합유형에 따라서 옥기가 놓이는 신체 부위가 차이가 나는데, 1 유형과 2유형은 머리와 배, 3유형은 배, 그리고 4유형은 팔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부장된 옥기조합1유형은 대형 석관묘, 2유형과 3유형은 중형 석관묘, 그리고 4유형은 그 대부분 소형 석관묘에 부장되는 경향성을 보여준다. 우하량 무덤 자체의 숫자는 지점별로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적석총 하층에서 상층, 그리고 그 늦은 단계로 갈수록 증가한다. 한정된 공간 즉, 같은 지점의 같은 묘역 내에 무덤의 숫자는 늘어나지만 부장된 옥기의 숫자와 무덤의 크기는 줄어드는 바, 따라서 옥기부장묘의등급화 현상을 동일 시기의 사회적 위계화 현상으로 곧바로 해석하기 어렵다. 각 지점에서 적석총 상층의 이른 단계에 1유형 옥기조합을 갖춘 대형 무덤의 주인공은 전부 남성이고, 그 다음 적석총 상층의 늦은 단계에서 2유형과 3유형의 옥기조합을 갖춘 대형무덤의 주인공 또한 거의 남성이다. 그러나 적석총 상층 늦은 단계에 조성되는 2, 3, 4 유형의 옥기 조합을 갖춘 중소형 무덤의 경우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비슷하거나 오히려 여성이더 많은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으로 보아 우하량 적석총 상층의 이른 단계에 각 지역 집단을 결집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지도자가 남성이지만 적석총 상층의 늦은 단계에 무덤에 묻힐 수 있는 인구 범위가 확대되면서 성인 남성과 여성의 숫자가 비슷하게 된 것으로 이해된다.

      • KCI등재
      • 저농도 KMnO₄를 이용한 TCE의 산화제거에서 자연유기물(2S101H)의 영향

        현승규(Seung Gyu Hyun),우남칠(Nam Chil Woo),이응석(Eung Suk Lee),F. W. Schwartz,이기철(Ki Chul Lee),우명하(Myung Ha Woo) 대한환경공학회 2005 대한환경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5 No.12

        TCE로 오염된 지하수를 과량의 KMnO₄를 이용한 In-Situ 산화처리 방법으로 복원할 때, TCE를 제거하고 남는 KMnO₄는 또 다른 지하수 오염원으로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In-situ 방식의 산화처리는 토양과 암반 내에 존재하는 자연 유기물질(NOM)도 KMnO₄에 의해 산화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TCE나 다른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저농도의 KMnO₄를 이용하여 TCE를 제거할 경우의 반응 특성을 확인하는 것과 이 반응에서 NOM(2H₂01S)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저농도의 KMnO₄(0.126 mM, 19.97 mg/L)와 TCE(about 0.05 mM, 4.4 mg/L at 10 min.)를 반응시킨 결과, 고농도(1 mM)의 KMnO₄를 이용한 연구결과와는 달리 느린 반응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 반응에서 TCE의 제거 반감기(T(1/2))는 60분과 90분 사이에 나타나며, 1,020분에서 완전 제거된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TCE]와 [KMnO₄]사이의 2차 반응속도 상수는 0.58 mol(-1)Ls(-1)의 값을 나타내었다. KMnO₄(0.1 mM)과 TCE(0.05 mM)의 반응에서 NOM(2S101H)(0.1 mM)의 영향은 TCE의 제거율을 낮추고 있다(k(1`)=1.3×10(-5)s(-1), k2 = 0.135 mol(-1)Ls(-1)). TCE의 제거 반감기(T(1/2))는 180분과 240분 상에서 나타나며, 반응 종료(1,020분)시에 TCE는 완전히 제거 되지 않고, 1.18 mg/L가 잔존한다. 이와 같이 저농도의 KMnO₄를 사용하여 TCE를 제거할 경우, 고농도의 KMnO₄를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TCE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NOM(2S101H)를 사용하여 지하수 혹은 토양 내에 존재하는 유기물질을 가정한 실험에서, NOM은 KMnO₄의 소모량을 증대시키고 결과적으로 TCE의 제거율을 낮춘다는 사실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