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토지이용 변화를 고려한 제주도 권역별 미래 농업용수 수요량 추정
송성호,명우호,안중기,장중석,백진희,정차연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8 지하수토양환경 Vol. No.
In this study, the projected land use area in 2030 for major crop production was estimated in Jeju Island using land cover map, and corresponding agricultural water demand for 40 sub-regions was quantitatively assessed using the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 (RCP 4.5). Estimated basic unit of water demand in 2030 was the highest in the western region, and the lowest in the eastern region. Monthly maximum agricultural water demand analysis revealed that water demand in August of 2030 substantially increased, suggesting the climate of Jeju Island is changing to a subtropical climate in 2030. Agricultural water demand for sub-region in 2030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target area of the water supply excluding the area not in use in winter season by the basic unit of water demand, and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were estimated to be 306,626 m3/day at Seogwipo downtown region and 77,967 m3/day at Hallim region, respectively. Consequently, total agricultural water demand in Jeju Island in 2030 was estimated to be 1,848,010 m3/day.
송성호 한국꽃예술학회 2012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8 No.-
기계문명과 첨단 우주시대의 꽃예술 표현에 있어서 활기 넘치는 역동적 미에 의한 조형력의 향상은 현대작가의 간절한 소망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꽃예술 표현에 있어서 리듬체조의 중첩된 동적 형상에 의하여 역동감과 속도감을 시공간에서 실연함으로써 활기 넘치는 생명성과 실존적인 현장성을 검증하는데 있고,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리듬체조의 역동적 순간을 포착하여 단순화함으로써 생명력 있는 동적 유기체의 복합형태가 창출되었다. 리듬체조에서 평면을 배경공간으로 한 동적 형상의 윤곽과 절제된 양에 의하여 회화와 조소의 요소를 갖춘 부조의 특성으로 구현되었다. 리듬체조의 동적 형상에 실제로 나선으로 회전하는 리본에 의하여 시공간에서 구체적이고 현장감 있는 실존성이 연출되었다. 금속성의 강인함과 유연한 꽃과 잎의 식물소재와 광택 있는 EL 질감의 상호 자극에 의하여 생동적인 활력이 나타났다. 식물과 EL과 인체의 녹색,적색,청색,황색,흑색 등 다색조화의 강렬함과 풍부함의 효과가 표현되었다.
송성호,용환호,장의웅 한국자원공학회 2003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0 No.2
저수지 누수구간에 대한 그라우팅 효과 확인을 위하여 저수지 제체를 대상으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초미립자 시멘트를 사용한 주입시험과 다양한 수리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라우팅 전후에 전기비저항 탐사를 추가하였다. 초미립자 시멘트를 주입한 결과 주입압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투수계수는 그라우팅 이전에 비하여 각각 약 10∼100배와 약 10배 정도 낮아짐에 따라, 초미립자 시멘트를 주입한 경우의 개선효과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라우팅 효과 검증을 위한 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그라우팅 이후 전극 전개수별 겉보기 비저항 이상곡선이 양호한 연속성과 주입 구간 전체에서 저비저항대가 수평적으로 발달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3지점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전기비저항 수직탐사를 적용한 결과 겉보기 비저항을 이용하는 경우 주입 이전에 비해 낮아지는 구간으로 주입 구간 확인이 가능하였다. 또한 탐사자료에 1차원 역산을 수행한 경우는 겉보기 비저항의 결과와 유사하지만 상대적으로 주입 구간의 결과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전기비저항 탐사의 적용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To evaluate reinforcing effect of two types of grout mixture,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microcement, on the water leakage region in dike, we performed both injection test and hydraulic test. We also applie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using dipole-dipole and Schlumberger arrays to see resistivity variation before and after grouting. We found that injection performance of microcement is much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that the permeability ranges reduced ten to hundred times and ten times,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resistivity survey using dipole-dipole array along the crest of dike, we could not find noticeable spatial variation in the resistivity distribution array after grouting. Long term resistivity monitoring results at three points of dike with Schlumberger array showed that the decreasing region of apparent resistivity and inverted resistivity in the one dimensional inversion were the occupied region by grout after grouting. From these result, we could show that the resistivity survey is quite effective to evaluate grout region in dike.
효율적인 개방형 어휘 3차원 개체 분할을 위한 클래스-독립적인3차원 마스크 제안과 2차원-3차원 시각적 특징 앙상블
송성호,박경민,김인철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 정보처리학회 논문지 Vol.13 No.7
Open-vocabulary 3D point cloud instance segmentation (OV-3DIS) is a challenging visual task to segment a 3D scene point cloudinto object instances of both base and novel class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odel Open3DME for OV-3DIS to address importantdesign issues and overcom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approache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agnostic 3D masks,our model makes use of T3DIS, an advanced Transformer-based 3D point cloud instance segmentation model, as mask proposal module. Second, in order to obtain semantically text-aligned visual features of each point cloud segment, our model extracts both 2D and 3Dfeatures from the point cloud and the corresponding multi-view RGB images by using pretrained CLIP and OpenSeg encoders respectively. Last, to effectively make use of both 2D and 3D visual features of each point cloud segment during label assignment, our model adoptsa unique feature ensemble method. To validate our model, we conduct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eriments on ScanNet-V2benchmark dataset, demonstrating significant performance g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