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러닝 기반 그림책 중심 유아 문화예술교육 수업 사례 연구

        연혜민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ing, applying, and assessing the picture book-oriented infant culture and art education lectures with flipped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wenty-eight freshmen who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 University, Pusan, South Korea. The lectures based on flipped learning were demonstrated for two hours, once a week, for ten weeks among a total fifteen weeks. The assessment of the lectures was analyzed based on survey and reflective journal.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video lectures' convenience was evaluated the highe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fulness of prior learning and the entire class was positively evaluated. Analysis of reflective journals showed four different categorization results ; Effective learning, unconstained learning, difficulty of prior learning, and difficulty of communication.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subjects applying flipped learning by presenting specific plans for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based clas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ubjects.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만성 동반질환의 유형화와 영향요인 분석

        연혜민,배석주 한국품질경영학회 2020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

        노인인구 증가로 인해 만성 동반질환의 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만성 동반질환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위험 요인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제안되었다. 하지만 국가 별 만성 동반질환 환자 양상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기반의 국내 만성 동반질환 연구 사례는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당뇨, 췌장 질환과 관련된 만성 동반질환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동반질환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질환 간 연관성을 반영한 신규 특징을 추출하였으며, 동반질환 네트워크를 군집화하고, 네트워크 지표 별 시각화를 하였다. 최종적으로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을 통하여 만성 동반질환 예측하였으며, 네트워크 변수만 포함한 데이터셋 분석 결과와 연관 질환을 합친 데이터셋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관 질환 특징을 합친 데이터셋 분석 결과가 더 우수하며, 베이지안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예측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당뇨, 췌장 질환 예측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연령, 고유벡터 중심성, 지역 결집 계수, 결장 질환, 식도 질환 요인이 산출되었다. 신규 생성된 특징을 통해 기존 연구 대비 만성 동반질환 예측 정확도 향상되었으며, 이를 통해 만성 동반질환의 위험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의료 산업에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만 2세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연혜민,모아라,이소현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 스트레스를 매개로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자료(2010년)중 만 2세 영아 455명의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 어머니이다. 연구방법은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양육행동, 양육 스트레스를 측정한 자료로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하였고,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직무만족도와 양육행동의 관계를 살펴보면, 직무만족도는 취업안정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육행동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둘째, 양육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의 모든 변인은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는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양육 스트레스를 부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맞벌이 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교육의 기초연구로서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제도 및 정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working women with two-year-old children on the parenting behavior via parenting stres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455 working mothers who raise two-year-old children in the third materials(2010)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method of research was based 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check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ith data by measuring job satisfaction,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Then, we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paren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ree conclusions. First, all factors of job satisfaction, except job stability,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parenting behavior. However, in relation to parenting stress, all factors of job satisfaction showed malice correlation. Second, all variable factors on parenting stress and job satisfaction showed malice correlation. Third, job satisfaction had a direct impact on parenting behavior, and an indirect influence with parenting stress as a partial medium.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as reference materials for parent education for working mothers and as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s and policies on the compatibility of working-family of working mothers.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 학생 대상의 리빙랩을 활용한 현장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과정 연구

        연혜민 대한산업경영학회 2020 산업융합연구 Vol.1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과과정 내에서 리빙랩을 활용하여 현장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다. 개발 과정은 리빙랩의 작동 메커니즘에 따라 아이디어 발현, 의제 설정, 실제 활동, 피드백의 단계로 수행되었다. 개발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은 4가지 주제, 16가지 소주제, 53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부산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68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문항에서 대부분 80%이상 만족스럽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대학 교과에 리빙랩을 활용한 연구로 이후 대학의 다양한 전공 및 여러 교과에서 리빙랩을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duct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the on-site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in college curriculum with utilizing Living Lab. The development process is conducted in Living Lab's mechanism ; idea expression, setting agenda, actual activities, and feedback. The developed early education program is constructed four subjects, sixteen sub themes, and fifty three activities. For the assessment of the program, the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to sixty eight teachers who work for early education institutes in Busan, S. Korea. In the result, more than 80%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program was satisfying. The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data to utilize Living Lab in various subjects and majors in college.

      •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교육만족도 분석 연구

        연혜민(Yeon, Hye Min)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20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교육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T대학 유아교육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전공교육과정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비교과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이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첫째, 학과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4.21이며, 만족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차시별 학습량의 적절성이었고, 제안하고 싶거나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과제가 많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전공수업에서 선호하는 수업형태는 강의식수업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비교과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99이었고, 만족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취ㆍ창업의 도움정도와 학교사이트의 정보 제공 부분이었다. 제안하고 싶거나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다양한 프로그램이 많았으면 한다는 의견이었다. 본 연구결과의 의의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병행되는 대학 교육환경에 대한 유아교육과 학생의 반응을 분석하여 이를 참고로 앞으로 변화되는 학습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와 환경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Children Education majored students satisfaction on education in COVID-19 outbreak. For this analysis, the online questionaries were conducted for 72 students in Children Education Dept. at T University located in Busan, South Kore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like below; First, the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on majoring in Children Education is 4.21, an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was regarding relevance of education amount for each class. The most common comment of suggestion is Reducing the amount of assignment . The most preferred major courses style is instructor-led lecture. Second,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of nonsubject lectures is 3.99.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was regarding supports for recruiting and inception, and provided information from the university official website. The most common comment of suggestions is Providing various programs . Meaning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status of education environment which runs both of online and offline lectures due to COVID-19 outbreak and students satisfaction and responses. Therefore, this study 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composition.

      • KCI등재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그림책과 활동내용 분석

        연혜민(Hyemin Yeon),최경(Kyoung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영ㆍ유아를 대상으로 한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그림책과 활동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사례집에 수록된 그림책 244권과 활동들이다. 연구결과, 첫째,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그림책 유형은 전체적으로는 판타지그림책이 가장 많았으나, 연령별로 살펴보면 6-18개월 영아는 놀이책, 19-35개월 영아는 정보그림책, 36개월-취학 전 유아는 판타지그림책이 많았다. 둘째, 그림책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자연탐구, 사회관계, 예술경험의 순서로 많았고 연령별로는 전 연령 모두에서 자연탐구 내용이 가장 많았으나, 그 이외의 내용에서는 연령마다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활동내용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그리고 연령별로 모두 미술 활동이 가장 많았으나, 그 이외의 활동내용에서는 연령마다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북스타트 프로그램이 영ㆍ유아의 발달특성에 적합한 그림책을 선택하였으나, 그림책의 내용과 활동내용의 연관성이 긴밀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후 북스타트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교육자들에게 효과적인 그림책의 선택과 활동에 대한 정보와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picture books and activity contents of Book Start Program targeting infants and preschooler. Target objects were 244 picture books with their activities contained on casebook of Book Start Program. First, the study outcome showed that the most type of its picture books in general was fantasy, while, by ages, play books for those in 6~18 months, information books for those in 19~35 months, and fantasy books for those in 36 months~before going to school were the most. Second, contents of the picture books showed the most order of nature exploration, social relationship, art experience, while by ages, contents on nature exploration were the most in all ages, while social relationship and art experi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s. Third, the outcome of activity contents utilizing the books showed drawing activities were the most, while activities other than draw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s. This result shows that they chose a picture book suitable for the develop5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s and preschoolers, but that the contents of the picture book were not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ctivities. The outcome of this study lies in offering information and basis on ways to choose effective picture books and their activities to those planning and running Book Start Program in the future.

      • KCI등재

        미래사회를 대비한 대학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요구 분석 : D대학교를 중심으로

        연혜민(Yeon, Hye-m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를 대비한 교양교육의 운영과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대학생의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37명의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SNS 조사를 통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중응답을 분석한 결과, 미래사회를 대비한 교양교육 운영으로 가장 많이 답변한 내용은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필요한 사항은 흥미 있는 강의내용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교양 교과목 개설시 운영방식은 직접 체험하고 경험하는 실질적 지식 습득으로 나타났다. 미래사회를 대비한 교양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요구로 새로운 교양 교과목 개설 시 수강하고 싶은 과정으로는 리더십 및 자기 관리 역량 습득을 가장 많이 답변하였고, 영역별 교과교육에서 원하는 교수방법은 기초교육영역, 교양교육영역 모두 강의식을 답변하였으나, 소양교육영역은 실험실습 중심을 가장 많이 답변하였다. 향후 교양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모습으로는 시대적 변화를 고려하여 최신의 내용을 반영하는 교과목 구성을 가장 많이 답변하였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 교과를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의 요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미래사회의 변화에 적응하며 대처할 수 있는 구성원으로 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대학의 교양교육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할 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대비한 교양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데 기초자료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ollege students’ needs regarding content and management of liberal education to prepare for future societ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37 college students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An analysis of the multiple responses showed that the most answered reply regarding the liberal education for future society was “interesting lecture content.” The most answered reply regarding the wanted education style was “practical knowledge learning based on actual experiences.” In terms of the need for the liberal education content and instruction method, the lectures regarding leadership and self-management ability were required the most. In terms of the curriculum by area, the most wanted instruction method in the basic education and the liberal education areas was lecture-centered method. Meanwhile, with regard to the most wanted instruction method in courtesy education, hands-on training was answered the most. With regard to the directional point of the liberal education, the most answered reply was “composition of courses that reflect the latest content referring period chang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roles liberal education should take to develop students’ ability to cope with changing future society based on detailed research on the needs of college students taking liberal lecture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basic material for the construction of liberal education systems for future society.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과 독서 태도, 독서 지도가 유아의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혜민 ( Yeon Hye-min ),현은자 ( Hyun Eun-j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과 독서 태도, 독서 지도가 유아의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유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15곳의 만 5세 유아 445명과 그의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분석은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은 어머니의 독서 태도, 어머니의 독서 지도, 유아의 읽기 태도에 전부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의 독서 태도는 어머니의 독서 지도와 유아의 읽기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어머니의 독서 지도는 유아의 읽기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과 유아의 읽기 태도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독서태도는 정적인 간접효과를 나타냈고, 어머니의 독서 지도는 부적인 간접효과를 나타낸 반면 어머니의 독서 태도와 어머니의 독서 지도를 함께 살펴볼 때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어머니의 독서 태도, 어머니의 독서 지도와 유아의 읽기 태도 간의 구조 관계는 차이가 없었다. This research study will structurally analyze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s well as that of her reading attitude and her reading guide on a young child`s attitude towards reading. And it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young children`s groups by genders. This research has targeted 445 children of age five from 15 preschool institute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and their mothers as subject of study. Research analysis was done on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method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factors in effect. Research result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elf-efficacy of a mother had a static effect on all aspects of mother`s reading attitude, her reading guide and reading attitude of her young child. Also, mother`s reading attitude had a static effect on her reading guide and reading attitude of her young child. However, mother`s reading guide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s reading attitude.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child`s reading attitude, mother`s reading attitude showed a static, indirect effect whereas mother`s reading guide showed negative, direct effect. However, no mediating effect showed up in screening the whole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guide of the mother. Thirdly, no difference in structure relation by genders was found among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her reading attitude, her reading guide and reading attitude of the young child.

      • KCI등재

        24주간의 복합무용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신체구성, 등속성근기능 및 PAPS에 미치는 영향

        연혜민 ( Hyemin Yeon ),윤기혁 ( Kihyok Youn ),방현석 ( Hyunseok Bang ) 한국무용과학회 202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는 24주간의 복합무용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신체구성, 등속성근기능, PAP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지역아동센터의 17명 아동들은 복합무용프그램집단 9명, 대조집단 8명으로 구분하였다. 복합무용프로그램은 총 24주간 실시하였으며, 1-6주는 35분, 7-12주는 40분, 13-18주는 45분, 19-24주는 50분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신장은 두 집단 모두 6개월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체중은 대조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BMI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지만, 등속성근기능과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은 복합무용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의미있는 증가를 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하여 12주후와 24주후에서 모두 의미있는 증가를 보인점으로 미루어볼 때 본 연구 복합무용프로그램은 장기간 지속될수록 신체전반적인 체력의 증가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신체적·정신적 특성이 고려된 본 연구의 복합무용프로그램은 아동의 근 기능 및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요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4 week complex danc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an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PAPS) in children at local children`s centers. 17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complex dance program group of 9 and comparison group of 8. Complex dance program was conducted for 24 week and it was practiced for 35 minutes from the 1st to the 6th week, 40 minutes from the 7th to the 12th week, 45 minutes from the 13th to the 18th week, and 50 minutes from the 19th to the 24th week.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05. Heigh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and weight was increased only in comparis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but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muscle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plex dance program group showing significant increase after 12 weeks and 24 weeks. These result derive a conclusion that complex dance program can be a training method to educe motor skills as it is practice longer. These result shows that complex dance program considering physical and mental characteristic of children at local children`s centers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muscular function and physical streng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