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ilot Scale Feasibility Test of In-situ Soil Flushing by using ‘Tween 80’ Solution at Low Concentration for the Xylene Contaminated Site

        엄재연,이규상,송성호,홍선욱,이민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3 지하수토양환경 Vol.18 No.6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and to evaluate the xylene removal efficiency,applying in-situ soil flushing with the low concentrated solution of ‘Tween 80’ at the xylene contaminated site. The pilot scale test site (5 m × 5 m × 3 m), was mainly composed of ‘sandy loam’, with the average hydraulic conductivity of 9.1 ×10−4 cm s−1. The average xylene concentration of the site was 42.1 mg kg−1, which was more than 2.5 times higher than Korea soil pollution warning limit (15 mg kg−1). For the soil flushing, 7,800 L of 0.1~0.2% surfactant solution was injected into three injection wells at the average injection time of 9 hr d−1 for 10 days, followed by the additional only groundwater injection of 6,000 L. The same amount of the effluent solution was extracted from three extraction wells. From the analysis for xylene concentration of all effluent at 3 extraction wells, total 166 g of xylene was removed by insitu surfactant flushing. Even though the residual xylene concentrations of 7 soil sampling locations in the test site were different due to the soil heterogeneity, from the comparison of xylene concentration at 7 locations before/after the feasibility test, 53.9% of the initial xylene in the site was removed from three extraction wells (mainly Ext-N and Ext-M we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situ soil flushing by using low concentrated ‘Tween 80’ solution had a great potential to remediate the xylene contaminated site.

      • 제주도 농업용수 관리 일원화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방안

        엄재연(Jae Yeon Um),김진호(Jin Ho Kim),송성호(Sung-Ho Song)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제주도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농업위기 극복을 목표로 농업용수의 광역화를 추진하고 있다. 기존 수자원인 지하수뿐만 아니라 용천수, 빗물이용시설 등 다양한 대체수원을 추가 확보하고 지역간 관로를 연결,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제주도의 농업용수를 통합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러한 농업용수의 통합 광역화로 향후 제주도 농업용수 환경에는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시설물의 관리 문제는 향후 중요 쟁점사항으로 대두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지금까지 농업용 시설물의 관리는 제주도에서 총괄하고 사업주관은 행정시(제주시, 서귀포시), 수원공 관리는 한국농어촌공사, 급수관리는 수리계에서 실시하는 다원관리체계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통합 광역화 완료 후에는 시설물이 공사관리구역으로 편입되고, 농어촌정비법에 따라 수리계는 해산되어야 하지만 각 수리계별로 이해관계가 복잡하고, 수리계가 단순 용수관리조직이 아닌 지역의 전통과 문화가 어우러진 조직이라는 점에서 해산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시설물 관리는 전문기관인 한국농어촌공사로 일원화하고 기존 수리계는 물이용자협회(WUA, water user association)로 전환하여 지방정부와 함께하는 "물관리 거버넌스(governance)"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수리계 해산으로 예상되는 갈등을 최소화하고 관리주체 일원화로 효율적인 시설물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조직을 이용하는 경우 시설물의 합리적인 운영 방안 마련과 더불어 물 분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치로 활용이 가능하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는 전세계적으로 발생되는 물 부족과 이로 인한 식량문제 해결의 근본적인 접근 방식으로, 각 나라별 효율적인 물관리 방안 수립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물관리기본법 제정과 함께 물관리 일원화를 위한 다양한 방식의 정책을 수립하고 있는데 이번 제주도의 사례로 제안되는 물관리 거버넌스가 해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지속적인 u-City 발전을 위한 민관 협력을 통한 수익성 확보 방안

        기복(EOM, Ki-Bok),안상호, 최재연, 신정은, 윤형덕 한국IT서비스학회 2009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3

        도시를 지능화 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시작한 u-City는 다양한 유비쿼터스 요소기술을 기반으로 도시의 보편적인 서비스로 역할을 시작하고 있다. 하지만, 막대한 초기투자비가 들어가다보니, 지자체에서는 기존의 방식이 좀 더 효율적인 방식이 아니었는지 궁금해하고 있으며, u-City를 해서 개선되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한 답변 찾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서는 도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민관협력 모델을 살펴보고 수익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독립영양 황탈질 미생물을 이용한 관정형 반응벽체의 현장적용성 연구

        이병선,엄재연,이규연,문희선,김양빈,우남칠,이종민,남경필,Lee, Byung-Sun,Um, Jae-Yeon,Lee, Kyu-Yeon,Moon, Hee-Sun,Kim, Yang-Bin,Woo, Nam-C.,Lee, Jong-Min,Nam, Kyoung-Phile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9 지하수토양환경 Vol.14 No.3

        독립영양 황탈질 미생물 Thiobacillus denitrificans를 이용한 질산염 오염지하수 정화 기술을 개발하고자, 3열의 관정형 반응벽체(길이 $\times$ 너비 $\times$ 깊이 = $3m\;{\times}\;4\;m\;{\times}\;2\;m$)를 한국농어촌공사 수리시험장(길이 $\times$ 너비 $\times$ 깊이 = $8m\;{\times}\;4\;m\;{\times}\;2\;m$)에 설치하고 현장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전자공여체로 총 80 kg의 황입자를, 탈질미생물로 Thiobacillus denitrificans를 준비하였다. 황입자 표면에 Thiobacillus denitrificans를 부착하는 1톤 용량 물통 실험에서, Thiobacillus denitrificans는 질산염 농도 375 mg/L(6.1 mM)의 오염수를 11일 경과 후 ~12% (0.7 mM), 18일 경과 후 ~24%(1.3 mM), 32일 경과 후 ~45%(2.4 mM), 그리고 부착 종료 시(60일)까지 ~52%(2.8 mM)를 제거하며 황입자 표면에 성공적으로 부착 증식하였다. 이후, Thiobacillus denitrificans가 부착된 황입자를 3열의 관정형 반응벽체(각 열 간격 1 m)에 주입하여 황탈질 미생물 관정형 반응벽체를 설치하였다. 초기 질산염 농도 평균 181 mg/L 인 인공오염지하수에 대하여 28일 간 1차 정화실험을 실시하였고, 평균 281 mg/L 인 인공오염지하수에 대하여 14일 간 2차 정화실험을 실시하였다. 1차 실험의 인공오염지하수(2.9 mM)는 1열 반응 후 ~2%(0.06 mM), 2열 반응 후 ~9%(0.27 mM), 3열 반응 후 ~15%(0.44 mM)의 질산염이 제거되었다. 2차 실험의 인공오염지하수(4.5 mM)는 1열 반응 후 ~1%(0.02 mM), 2열 반응 후 ~6%(0.27 mM), 3열 반응 후 ~8%(0.37 mM)가 제거되었다. 실험 기간 중 인공오염지하수의 주입용량은 $1.24\;m^3/d$, 유속은 0.44 m/d를 유지하였고, pH는 6.7~8.3, DO는 0.9~2.8 mg/L 범위로 큰 변화가 없었다. 본 관정형 반응벽체 실험의 낮은 정화효율의 원인은 인공오염지하수에 대한 Thiobacillus denitrificans의 탈질 소요 시간 부족, 관정형 반응벽체의 개별 관정사이로 빠져나가는 인공오염지하수체, 그리고 질산염 환원효소의 활성 및 생성을 억제시키는 용존산소의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 때문으로 추정된다. 황탈질 관정형 반응벽체의 현장적용시에는 탈질반응에 필요한 체류시간, 관정형 반응벽체의 개수 및 간격, 그리고 용존산소 농도 등 해당 오염부지의 고유 특성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The applicability of a well-type autotrophic sulfur-oxidizing reactive barrier (L $\times$ W $\times$ D = $3m\;{\times}\;4\;m\;{\times}\;2\;m$) as a long-term treatment option for nitrate removal in groundwater was evaluated. Pilot-scale (L $\times$ W $\times$ D = $8m\;{\times}\;4\;m\;{\times}\;2\;m$) flow-tank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remedial efficacy of the well-type reactive barrier. A total of 80 kg sulfur granules as an electron donor and Thiobacillus denitrificans as an active bacterial species were prepared. Thiobacillus denitrificans was successfully colonized on the surface of the sulfur granules and the microflora transformed nitrate with removal efficiency of ~12% (0.07 mM) for 11 days, ~24% (1.3 mM) for 18 days, ~45% (2.4 mM) for 32 days, and ~52% (2.8 mM) for 60 days. Sulfur granules attached to Thiobacillus denitrificans were used to construct the well-type reactive barrier comprising three discrete barriers installed at 1-m interval downstream. Average initial nitrate concentrations were 181 mg/L for the first 28 days and 281 mg/L for the next 14 days. For the 181 mg/L (2.9 mM) plume, nitrate concentrations decreased by ~2% (0.06 mM), ~9% (0.27 mM), and ~15% (0.44 mM) after $1^{st}$, $2^{nd}$, and $3^{rd}$ barriers, respectively. For the 281 mg/L (4.5 mM) plume, nitrate concentrations decreased by ~1% (0.02 mM), ~6% (0.27 mM), and ~8% (0.37 mM) after $1^{st}$, $2^{nd}$, and $3^{rd}$ barriers, respectively. Nitrate plume was flowed through the flow-tank for 49 days by supplying $1.24\;m^3/d$ of nitrate solution. During nitrate treatment, flow velocity (0.44 m/d), pH (6.7 to 8.3), and DO (0.9~2.8 mg/L) showed little variations. Incomplete destruction of nitrate plume was attributed to the lack of retention time, rarely transverse dispersion, and inhibiting the activity of denitrification enzymes caused by relatively high DO concentrations. For field applications, it should be considered increments of retention time, modification of well placements, and intrinsic DO concentration.

      • KCI등재

        농촌용수 수질관리를 위한 비농업시설의 영향 연구

        이병선,엄재연,김양빈,우남칠,남경필,이종민,Lee, Byung-Sun,Um, Jae-Yeon,Kim, Yang-Bin,Woo, Nam-Chil,Nam, Kyoung-Phile,Lee, Jong-Mi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9 지하수토양환경 Vol.14 No.2

        국제농촌지역은 국제적인 농산물 개방 여파, 대도시 인근지역 택지개발 및 산업시설 설치, 각종 레저산업의 유입등 비농업시설이 기존 농경지를 대체 개발하면서 다각적인 발전의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발속도에 비해 수질솬리는 상대적으로 뒤쳐지는 편이다. 이연구는 개발이 활발한 경기도 OO시 A저수지 유역 대표적인 비농업시설을 중심으로 지하수 및 하철수 시료를 채수하여, 비농업시설 설치운영이 농촌용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지역 내 비농업시설에 의한 수질오염은 적절한 처리시설 없이 하수가 A 저수지로무단 방류되는 지역과 공장밀집지역에서 발생했다. 배경수질 분석결과, 두 지역의 하철수 및 지하수에서 (Na+K)-Cl, Ca-(Cl, SO$_4$, Ca-Cl유형들이 나타나 외부 오염 물질의 유입을 보였다. 하수 무단방류지는 면소재지 발생하수가 하천수에 유입됨에 다라 COD, T-N, T-P 오염이 심각했고, 인접한 지하수는 하철수의 유도함양 결과, 화학비료 기원의 NO$_3$-N 오염이 진행 중이었다. 공장밀집지는 T-N, NO$_3$-N 오염이 심각했고, 공장지역 정화조 액상오수의 무단방류가 NO$_3$-N오염의 원이이었다. 축산시설개발지역에서는 가축분뇨에서 기원한 유기물이 하천수 및 지하수에 유입되어NO$_3$-N, Mn오염을 보였다. 농약은 골프장을 비롯한 전체 빈오시설 지역에서 불검출 되었고, SAR(Sodium Adsorption Ratio)-전기전도도 분석 결과,연구지역 용수를 관개용수로 사용 시 알칼리도 및 염도에 대한 위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버타운, 레저관광지, 골프장 주변 지역의 용수는 대체적으로 수질이 양호했다. 결론적으로 연구지역 내 수질 오염은 국지적인 비농업시설 설치지에서 발생하였으나, 이러나 오염수가 연구지역의 최종 집수지인 A저수지에 유입되면, 타 수계의 청정수와 혼합 희석에 의해 A 저수지에서는 수질 오염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향후 연구지역에 비농업시설이 난립할 경우 A저수지의 희석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농촌개발과 병해할 수 있는 농촌 용수 수질관리 계획이 수립되어 청정한 농촌용수 수질관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objected to identify the effect on water quality and contamination by non-agricultural facilities in 'A' reservoir watershed located in OO city, Kyounggi-do, Korea. Ground- and stream water samples showed (Na+K)-Cl, Ca(Cl, SO$_4$) and Ca-Cl type in an illegally discharging area of sewage and a densely industrial area indicating water contamination. Stream water of an illegally discharging area of sewage had high COD, T-N and T-P. In this area, direct incoming of sewage into stream water was induced ground water system by well pumping, and it made a progress of ground water contaminations with those components. Groundwater of a densely industrial area showed high concentrations of T-N, NO$_3$N. From a nitrogen isotope analysis, stream water of an illegally discharging area of sewage has ${\delta}^{15}N-NO_3$values of 0.7%0 was strongly affected by nitrogen originated from agrochemicals, and a densely industrial area of 19.7%0 from septic system. Ground- and stream water of a livestock fanning area were contaminated with NH$_3$-N and Mn, which was affected by intensive livestock facilities. SAR-conductivity plot indicates the water does not pose either alkalinity or salinity hazard for irrigation. COD, T-N, T-P, NO$3$-N, NH$_3$N and Mn concentrations from contaminated areas were diminished by mixing with 'A' reservoir water. There were no water contaminations in silver towns, vacationlands around reservoir and golf links. Consequently, it should be made a plan of systematic managements for past and- present possible contaminants and sewage systems in preventing water contamination by non-agricultural facilities.

      • KCI등재

        테마감리가 미청구공사의 보수적 회계처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연호,엄재연,전성일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 벤처창업연구 Vol.16 No.2

        On December 2015,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FSS) announced the four key thematic audit review areas, one of them is an appropriation of unbilled revenue. Accounting of unbilled revenue is intertwined with a percentage of completion, that is concerned about discretionary decision by manager. Therefore, if manager motivated by income-increasing manipulation is exaggerating percentage of completion, unbilled revenue is excessively recognized. This problem is caused the serious accounting issues(e.g., shock at a loss for 2013 fiscal year by some construction firms, malpractice of accounting in order-made production industry). Distrust of accounting was grown because the shipbuilding and construction industries successively went poor management and bad accounting of them is revealed. Those accounting issues were the trigger for problem recognition of unbilled revenue, they were background for the designation of appropriation unbilled revenue as thematic audit review areas by FSS.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effectiveness of thematic audit review by empirically analyzing whether designation of thematic audit review makes the firm increases conservative behavior. Conservative accounting is estimated by using Basu(1997) model.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thematic audit review on conservative accounting of unbilled revenue by comparing with reflecting unbilled revenue or not. The sample for test consists of firm-years the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industries from 2012 to 2017. The test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servative accounting of unbilled revenue after designation of the thematic audit review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e also tested again by classifying whether or not it is construction industry. We found that construction industry is more conservative than the other industry only for the designated year of the thematic audit review, otherwise there was not any evidence for significantly increasing conservatism.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mpirically analysing relationship of the unbilled revenue to the thematic audit revie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ervatism and verifying effectiveness of the thematic audit review. 2015년 12월 금융감독원은 4대 중점 테마감리분야 중 하나로 미청구공사 금액의 적정성을 지정하였다. 주요한 지정원인 중 하나는 미청구공사 회계처리 시 밀접하게 연관되는 공사진행률이 경영자의 재량적 판단이 반영되어 미청구공사를 이익조정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만약 경영자가 이익을 상향할 목적으로 진행률을 부풀린다면 미청구공사가 과다하게 인식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2013년 일부 건설업체의 어닝쇼크를 비롯하여 수주산업에서의 회계부실 문제와 같은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켰던 이슈들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조선업과 건설업의 잇달은 부실과 함께 미청구공사와 관련된 회계 불투명성이 크게 드러나는 등 회계자료에 대한 불신이 증가되었다. 이처럼 미청구공사에 대한 문제 인식은 공사진행률 과대산정을 비롯한 회계적 의혹에서부터 출발하였으며, 미청구공사 과대계상 이슈는 금융감독원이 미청구공사를 테마감리 대상으로 지정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청구공사의 테마감리 지정으로 인해 해당 기업의 보수주의 성향이 증가하였는지 실증분석하여 테마감리 지정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보수주의 성향은 Basu(1997)의 측정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순이익에서 미청구공사의 영향을 반영하기 전과 후로 비교하여 테마감리 지정이 미청구공사의 보수적 회계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의 제조업 및 건설업에 속하는 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테마감리 지정 이후에 미청구공사에 대한 보수적 회계처리가 유의하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건설업과 그렇지 않은 산업으로 나누어 재검증한 결과 테마감리 지정연도에서 건설업의 보수주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나, 그 외에는 보수주의 증가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확장하여 보수주의 관점에서 미청구공사와 테마감리 지정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하고 테마감리의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주기적 지정감사제도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 제도 적용 전·후 감사품질 차이비교

        이기세,엄재연,박연호,전성일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1 No.4

        · Research topic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applied from 2020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audit quality. · Research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for companies whose auditors have been replaced due to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in 2020 and 2021.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In this study, the analysis targe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o analyze changes in audit quality · Research method: Differe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 Research results: Firms that replaced auditors due to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could confirm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audit quality between the year before replacement and the year of replacement. We also confirmed that firm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udit quality between other firms which are not applied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did not affect the improvement of audit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