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스마트시티 서비스 니즈 도출을 위한 사용자 행위 분석에 관한 연구

        안세윤(Se-Yun An),김소연(So-Ye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최근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시티 서비스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계획하 기 위한 사전 연구로 사용자의 니즈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서비스에 대한 니즈를 도출하기 위해 GIS 기반 위치분석데이터와 비디오 에스노그래피 방법론을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로 선정된 대전 도안지구의 현장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집객도가 높은 지역을 세부조사대상지로 선정하고, 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 : Traffic Accidents Analysis System)의 위치분석데이터를 이용하여 주변 보행환경을 함께 조사하였다. 또한 비디오 에스노그래피의 고정카메라기법을 통해 사용자의 행위 유형과 변화를 관찰하였다. 추출된 영상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활동을 11개의 세분화 된 유형으로 분류하고, 관찰되는 문제점 및 특이사항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된 사용자 행위특성은 향후 사용자 중심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제안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user-centered smart city services. In this study, user behavior analysis was performed as a preliminary study for user - centered smart city service planning. In particular, we will use GIS based location analysis data and video ethonography methodology to derive smart city service direction and needs. In this study, the area of Daejeon Design District selected as the Smart City Test bed was selected as the survey area and the location analysis data of the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of the road traffic corporation and the fixed camera We observed users behavior type and change with image data extracted through the technique. Location analysis data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accident, and image data is classified into 11 subdivided types of user activities. The problems and specificities observed were analyzed. The user behavior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through this study are meaningful to provide a basis for suggesting user - centered smart city services in the future.

      • KCI등재

        대덕과학문화의 거리 조성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안세윤(Se-Yun An),전진배(Jin-Bae Jeon),김소연(So-Ye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최근 대전시는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자연과 과학, 문화의 도시로 변모하고자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미래형 도시를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시 도룡동의 과학 공원 네거리부터 (구)대덕과학문화센터에 이르는 1.5km 거리를 특성별로 구획하고 특색에 맞는 IT기술을 접목한 공간디자인 컨셉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대덕과학문화의 거리 조성 추진 과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 현황을 분석, 사용자 중심의 계획을 위한 체험 중심의 공간디자인 컨셉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장조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통해 개선이 필요한 인프라를 중심으로 IT기술을 접목하고, 스마트스트리트(Smart Street)로써 대덕과학문화의 거리를 탈바꿈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시사점으로 (1)쾌적성과 안전성 문제의 지속성, (2)통일성 및 효율성 문제, (3)아이덴티티 결여 문제의 경험성과 연계하여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시티의 방향성을 활용하여 해결 목표를 설정하였다. 사용자 중심의 거리 조성을 위해 인프라만을 기준으로 하는 획일적인 조닝을 지양하고 사용자 행위를 중심으로 하는 조닝을 시도하였다. Recently, Daejeon Metropolitan City is planning a futuristic city with Daedeok Special District at the center of its transformation into a city of nature, science and culture alo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divide the 1.5 km distance from the in Doryong-dong, Daejeon, science park intersection to the (Former)Daedeok Science and Culture Center, and propose a space design concept that incorporates IT technologie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The center will analyze the space status and derive an experience-oriented space design concept for user-centered planning so that it can serve as a guideline that will provide the fundamental direc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Daedeok Science Culture. Through the field survey, we will look for ways to integrate IT technology with infrastructure that needs improvement and change the distance of Daedeok Science culture as a smart street. The results of the field survey were : (1) made by connecting the persistence of comfort and safety issues, (2) uniformity and efficiency issues, and (3) the experience of identity problems and the orientation of the smart city. To create user-centered distances, we attempted to avoid uniform zoning based solely on infrastructure and zoning focusing on user behavior.

      • KCI등재

        브랜드공간에 대한 사용자 감성평가조사

        안세윤(An, Se-Yu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2

        Brand space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urban cultural space and can stimulate the urban culture as a significant landmark.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factors for evaluating the communication with users in brand spaces. In particular, factor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emotional aspects of users is essential.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evaluation factors with a space marketing perspective through an user behavioral analysis. As for research method, the emotional responses of users will be examined and analyzed through an eye-tracking device. First, The researcher will visit brand spaces and take photos of them to collect data and analyze the status. Second, we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based on analytical framework and selected 20 architectural students for survey. Third, Eye-tracking experiment will be conducted. Forth, Space design marketing evaluation factors will be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s. Fina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hen the 30 images of premium supermarkets were used for the survey, men more sensitive to the store design. But women were more sensitive to the quality or store accessibility. Also, the furniture factor was most important for women, and spatial factor was most important for men. When the eye-tracking experiment was done as to the 5 selected brand spaces, both men and women looked at the furniture factor that includes the showcases more than anything else. It shows the same result as the previous survey.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미래주거예측

        안세윤(Se-Yun An),주한나(Hannah Ju),김소연(So-Ye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논문은 주거의 미래변화를 전망하고 대응방안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델파이 기법을 통해 주거의 미래를 예측하였다. 먼저, 미래주거 예측 시기를 구분하고, 대상을 주거형태, 주거공간, 주거수요, 건축기술변화로 설정하였으며, 대상에 미치는 Impact Factor를 조사, 분석 하였다. 결과는 ① 사회적, 가치적 관점이 주거형태, 공간, 수요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며, 정치적 관점의 영향은 적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② 형태적 측면에서 고층빌딩에 다운사이징 주택 수요 증가, 기술적 측면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원격의료지원 서비스와 홈케어 실현 가능성이 높게 예측하였다. 그에 따라 ③ IoT가 미래주거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④ 공유경제에 의한 코하우징, 그와 관련된 법 제정, 고층, 고밀 주택 보급으로 유지관리를 위한 서비스, 거주자 맞춤형 주거지원 혹은 임대차 시장 선진화, 건축기술 발전으로 미래형 주거확산 등이 전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dict the future changes of housing through the Delphi technique. The targets to predict were set by housing type, housing space, housing demand, and architectural technolog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① The influences of social and value perspectives on the change of housing type, space, and demand would be high, on the other hands, the influence of political perspective would be low. ② In terms of housing type, the increase in demand for downsizing housing for high-rise buildings and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remote medical support services and homecare using big data are highly predicted. That is, ③ it is anticipated that IoTs wi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s on future housing changes, and ④ enactment of co-housing and related laws by the sharing economy, services for maintenance through the supply of high-rise and high-density homes, housing support for residents, and advanced lease markets by developed architectural technology are expected as anticipated forms of future housing.

      • KCI등재

        논문 : 서울 특화거리 조성사업 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 -성산대로 대상으로

        안세윤 ( Se Yun An ),이현수 ( Hyun Soo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디자인 서울 거리 성산로의 특성화 거리 조성 사업의 디자인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거리의 공공성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정체성을 부여받는다. 사용자의 보행과 휴식, 시각적 즐거움등의 쾌적함에 대한 공감에 중점을 두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장조사는 가로시설물, 보행 환경, 도로환경, 교통량 등 면밀히 실시하였고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디자인서울 가이드 라인을 기본으로 디자인을 계획하였다. 디자인 결정과 제안은 사업추진 위원회와의 협의를 통해 진행하였다. 마스터 플랜은 사용자와의 통합적이고 유기적인 공간의 창조를 목적으로 제안하고 협의를 통해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아아덴티티 부여 전략과 가로 활성화 라는 큰 실행전략을 중심으로 실질적 적용 디자인을 계획하였으며, 적용되었다. 디자인 서울 거리가 지향하는 비우는 디자인, 통합디자인, 더불어 디자인,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실현시킬 디자인을 일련의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제안하고 있다. 앞으로 거리디자인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본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sign planning for a big street named ``Shun-san, ``that is the one of the design Seoul projects. A street can have the public identity as interacting with users. This study have focused on user`s comfortable walking, resting and visual pleasure in this street. This site was investigated carefully and analyzed. This site`s design was planned based on design Seoul guide line. The design decide after due consultation with community. Master plan suggested space`s creative which can be the unified organism with users. Master plan has the big two strategies for street`s identity and activ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one process to plan public street design. This standard will be basic study to design street in the future.

      • KCI등재

        고위험 공무직업에서의 위기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의 관계 - 우울, 불안, 신체화를 중심으로 -

        안세윤(Ahn Se Yun),박영석(Park Young Seok)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8 교정상담학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업무상 고위험 공무 직업군에 속하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위기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우울, 불안, 신체화)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일개 광역시 소방관 중 구조, 구급 및 화재진압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31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연구의 주요변인인 위기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 불안, 신체화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본 연구에 참가한 소방관들은 모두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위기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회귀분석 결과 위기경험은 외상 후 스트레스 4.6%, 우울 10.5%, 불안 2.6%, 신체화 5.6%를 설명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는 우울 43.7%, 불안 45.8%, 신체화 37.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위기경험 자체에 대한 개입보다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개입이 정신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직무특성에 따라 위기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가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무특성에 따른 위기경험은 계급, 전체 소방관 근무경력, 현재 담당업무, 출동빈도, 스트레스가 많았던 업무에서 위기경험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특성에 따른 외상 후 스트레스는 계급, 전체 소방관 근무경력, 현재 담당업무에 따라 외상 후 스트레스의 정도가 달리 나타났다. 즉, 두 변인 모두에서 계급과 전체 소방관 근무경력에서 위기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소방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및 예방을 위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였고, 우울, 불안 등 외상 후 스트레스와 관련된 심리적 변인들을 중재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Crisis experience,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Mental health(Depression, Anxiety, Somatic symptom) of Fire fighters belonging to the high-risk official occupation group. 312 rescue, first aid, and fire suppressor were conducted among fire fighters in a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risis experience, PTSD,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c symptom. All participants were at high risk for PTSD. Crisis experience explained 4.6% of PTSD, 10.5% of depression, 2.6% of anxiety, and 5.6% of somatic symptom. PTSD explained 43.7% of depression, 45.8% of anxiety, and 37.7% of somatic symptom.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 on PTSD may have a greater impact on mental health than intervention on crisis experience itself. Second, post-test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risis experience and PTSD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crisis experience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crisis experienced more in class, overall fire fighter work experience, current duty, dispatch frequency and stressful work. The difference between crisis experience and PTSD was found in both class and total fire fighter work experience in both variables. Finally,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TSD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t levels of PTSD in class, overall fire fighter work experience, and current 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PTSD of fire fighters, and to develop a program to mediate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PTSD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공유자전거 데이터 분석 및 활용방안 연구 : 세종특별자치시 공유자전거 어울링의 데이터를 적용하여

        안세윤(Se-Yun An),주한나(Hannah Ju),김소연(So-Yeon Kim),조민준(Min-Jun Jo),김성환(Sungwha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7

        최근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과 바이러스로부터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도시 공간 내 공유자전거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기술이 향상되면서, 시민들의 공유자전거 사용에 따라 수집 · 저장되는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 공간 내 이동성(Mobility)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헌고찰을 통해 도시 공간 내 공유자전거 시스템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의 속성과 활용사례를 분석하여, 고찰 ·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공유자전거 시스템 중 하나인 세종특별자치시 어울링의 데이터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공유자전거 데이터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문헌은 GIS데이터, O-D데이터, 대여 및 반납 이력, 대여소 위치정보 및 주변정보, 날씨정보 등을 활용하여 GIS 네트워크 분석기법, 방정식 및 비율 분석, 소셜 네트워크 분석, 통계 및 네트워크 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유자전거 시스템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방안을 제안, 공유자전거 사용의 확장 및 활성화 방안 도출, 효율적인 공유자전거 관리 및 운영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궁극적으로,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유자전거를 활용하여 도시 공간 내 이동성(Mo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interests in the use of Sharing Bike is increasing in consideration of eco-friendly transportation and safety from viruses. As the technology for collecting and storing data is improved with the development of ICTs, research on mobility using the Sharing Bike Data is also actively progressing.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properties of Sharing Bike Data and cases of researches on i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view, data of Eoulling, the Sharing Bike System of Sejong City is analyzed as a way to utilize Sharing Bike Data. Most of the selected literature used structured data, and analyzed it through statistical methods or data mining. Through data analysis, it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found out problems of the Sharing Bike System, proposed a solution to solve them, developed plans to activate the use of Sharing Bike. This provides basic data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plans for Sharing Bike System. Ultimately,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ways to improve mobility in urban spaces by utilizing Sharing Bike Data.

      • KCI등재

        상업공간 디지털미디어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안세윤(An, Se-Yun ),김소연(Kim, So-Yeon),조문가(Cao, Wen-jia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6 No.1

        Interior design especially the design developments for commercial spaces should ensure the economy of spaces. This is the marketing for spa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esign elements of commercial space for the efficient using of digital media of space marketing. In this research decided to design application schemes for shopping mall by searching fashion shopping behaviors of users with persona-base scenario approach. Collected the information of users behavior base on case analysis of advance research to make personas. And develop scenario base personas for knowing the needs of users. And then made 4 schemes as the solution. Scheme 1. Customers can ge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staff through with media screen in one room of shopping mall. The data of customers can be recorded for providing information or product recommendation personality. Forecast to preferred by group trip or customers that don"t like walking around in shopping mall. Scheme 2. Install a media screen at entrance of a store in shopping mall and show special effect to raise customers" attention who walk through from the front of the store. Through with this customers will stay for long time and raise curiosity to get in the store. And the media screen also provide information of store and products. Scheme 3. Customers can get the information of products with using smart phone to scan QR cord in labels of products and record. Customers can finish whole shopping behaviors without the help of store staff. And can make buying decision even have left shopping mall as a online mode. Scheme 4. Store managers can record the products and the environment of store with 360 camera and update to website. Then customers can browse the virtual space with VR glasses. That make customers can have the real shopping experience without being in the store. In this study, have presented schemes of digital media in commercial space. But there are various of commercial space. In this study was presented schemes for shopping mall by searching fashion shopping behaviors of users. And look forward the researches about specific space setting and other type of commercial space for space development.

      • KCI등재

        페르소나 유형을 적용한 주거지형 U-City 체험지구 사용자 시나리오 개발

        안세윤(An, Se Yun),김소연(Kim, So Yeo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세종시에 주거지형 U-City 체험지구를 개발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공간디자인을 계획하기 위해 페르소나를 설정, U-City 계획공간 안에서의 사용시나리오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공간을 디자인함에 있어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접근방법을 통해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추구하며, 단순히 공간을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리적인 존재가 아니라, 사용자들의 행위와 체험요소를 반영하는 공간으로 계획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1) 공공데이터를 통해 세종시 인구현황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2) 세종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데이터 수집과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주거지역 공간에서의 이용행태, 체험요소, 니즈(Needs)를 파악, 결과를 토대로 공간 영역별 행위요소를 도출한다. 3)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주거지형 U-City 체험지구 개발을 위해 페르소나 모델을 도출한다. 페르소나 유형은 성별과 연령별로 30대 주부, 남녀 고등학생, 여자 유치원생, 남자 직장인 5가지 유형으로 제안한다. 각각의 페르소나는 체험요소별로 조사대상지의 공간영역 내 적용 가능한 행위요소의 항목을 토대로 시나리오로 개발될 것이다. 본 연구는 시나리오를 통해 다양한 상황정보와 사용자 요구를 제시함으로서 추후 U-City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계획방향을 만들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실제 세종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만족도나 선호도를 조사하여 공간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preliminary work to develop a residential area style U-City experience zone in Sejong city, Korea.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persona"s space-using scenario in the U-City to achieve user-oriented design of space. It is based on a perspective that design of space should reflect users" activities and experience beyond simple physical substance to accomplish a human-centered design of space. Drawing a "Persona Model" is done through the multi-faceted data and analytical procedures: 1) analyze a population data base of Sejong city statistically; 2) adopt on-line media and free suggestions/debates of ideas to grasp behavior patterns of residential areas, experience factors, public needs, and comprehend various components of public in different types of spaces; and 3) draw a Persona Model to develop a residential area style U-City experience zon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ake a new direction of spatial planning applicable to the future U-City service through a scenario. The future studies shall focus on developing an operable model from the actual Sejong city residents"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the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