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위험 공무직업에서의 위기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의 관계 - 우울, 불안, 신체화를 중심으로 -

        안세윤(Ahn Se Yun),박영석(Park Young Seok)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8 교정상담학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업무상 고위험 공무 직업군에 속하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위기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우울, 불안, 신체화)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일개 광역시 소방관 중 구조, 구급 및 화재진압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31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연구의 주요변인인 위기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 불안, 신체화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본 연구에 참가한 소방관들은 모두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위기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회귀분석 결과 위기경험은 외상 후 스트레스 4.6%, 우울 10.5%, 불안 2.6%, 신체화 5.6%를 설명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는 우울 43.7%, 불안 45.8%, 신체화 37.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위기경험 자체에 대한 개입보다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개입이 정신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직무특성에 따라 위기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가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무특성에 따른 위기경험은 계급, 전체 소방관 근무경력, 현재 담당업무, 출동빈도, 스트레스가 많았던 업무에서 위기경험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특성에 따른 외상 후 스트레스는 계급, 전체 소방관 근무경력, 현재 담당업무에 따라 외상 후 스트레스의 정도가 달리 나타났다. 즉, 두 변인 모두에서 계급과 전체 소방관 근무경력에서 위기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소방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및 예방을 위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였고, 우울, 불안 등 외상 후 스트레스와 관련된 심리적 변인들을 중재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Crisis experience,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Mental health(Depression, Anxiety, Somatic symptom) of Fire fighters belonging to the high-risk official occupation group. 312 rescue, first aid, and fire suppressor were conducted among fire fighters in a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risis experience, PTSD, depression, anxiety, and somatic symptom. All participants were at high risk for PTSD. Crisis experience explained 4.6% of PTSD, 10.5% of depression, 2.6% of anxiety, and 5.6% of somatic symptom. PTSD explained 43.7% of depression, 45.8% of anxiety, and 37.7% of somatic symptom.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 on PTSD may have a greater impact on mental health than intervention on crisis experience itself. Second, post-test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risis experience and PTSD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crisis experience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crisis experienced more in class, overall fire fighter work experience, current duty, dispatch frequency and stressful work. The difference between crisis experience and PTSD was found in both class and total fire fighter work experience in both variables. Finally,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TSD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t levels of PTSD in class, overall fire fighter work experience, and current 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PTSD of fire fighters, and to develop a program to mediate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PTSD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결과 기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안세윤(Ahn Se Yun)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7 교정상담학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가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98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후 대상(성별, 학년)집단별 차이 검증과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및 매개분석을 하였다. 먼저 집단간 차이검증 결과 남녀 학생간의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결과기대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학년 간에는 결과기대와 자기효능감이 차이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는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그리고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이 결과기대를 부분 매개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의 문제를 갖고 있는 대학생들을 상담할 때 보다 중점적으로 다뤄야할 매개 변수의 존재를 파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Expected Outcomes and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his study conducted a survay on 398 university student through questionnaire regarding Self-efficacy, Expected Outcomes and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n sex by Self-efficacy, Expected Outcomes and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nd grade by Self-efficacy, Expected Outcom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lf-efficacy, Expected Outcomes and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hird, Expected Outcomes was partial medi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College Students’ Adjustment. Finally,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유형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심리적 고통의 매개효과

        정서련(Seo-Ryeon Jeong),안세윤(Se-Yun Ahn)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유형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고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중학생을 위한 상담적 개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N시에 위치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SPSS 23.0과 PROCESS Macro의 Model 4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t-검증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고통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고통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고통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basic data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middle school student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pai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 typ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adjustment. To this end, 389 students enrolled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N city were survey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t-test, an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23 and PROCESS Macro's Model 4.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parental attitude and school adjustment,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parental attitude. Second,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perceived psychological pain more than male students. Third,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pai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adjustment. Fourth, psychological pain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