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장관 암환자의 수술 전후 영양상태의 변화 -Preliminary Result

        심홍진,이호선,이재길,정재호,이강영,노성훈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1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1 No.-

        배경 및 목적: 영양불량은 수술 후 환자의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며, 암환자는 영양불량의 위험성이 높은 고위험환자로 영양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 국내에서 위장관암 환자의 영양 상태에 대한 실태 조사는 드문 상황이다. 본 연구를 통해 위장관 암으로 수술을 시행받는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영양상태가 어떻게 변하는지 평가하고, 수술 후 영양 불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5월부터 위암 및 대장암, 직장암으로 세브란스병원에서 수술을 시행받는 환자 약 500명을 대상으로 영양 상태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수술 전날과 수술 후 처음 외래를 방문하는 날짜에 scored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를 이용하여 영양상태를 평가하였다. 의무기록을 통해 환자의 임상정보와 수술 관련 정보를 확인하였다. 결과: 2011년 5월부터 7월까지 수술 예정으로 1차 영양평가가 시행된 환자 중 2차례의 영양평가가 완료된 205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59.3세였으며, 남자가 109명이었다. 위암으로 수술받은 환자가 133명(64%)이었다. 복강경이나 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수술은 109명에서 시행되었으며, 개복수술이 94명에서 시행되었다. 수술 전 영양 평가 결과 PG-SGA 등급 A 108명, 등급 B 23명, 등급 C 2명이었으며, 수술 후에는 PG-SGA 등급 A 63명, 등급 B 85명, 등급 C 57명으로, 영양 상태가 악화되었다. PG-SGA 점수는 수술 전에는 4.46에서 수술 후에 10.88로 증가하였다. 수술 후 심한 영양불량(PG-SGA 등급 C)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단변량 분석에서 위수술(p=0.003), 개복수술(p<0.001), 고연령(60세 이상, p<0.001), 수술 전 높은 PGA 점수(5점 이상, p=0.001)이었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고연령, 개복수술, 높은 SGA 점수가 의미 있는 요인이었다. 결론: 위장관 암환자의 심한 영양불량의 발생빈도는 수술 전에 약 1%에서 수술 후에는 27.8%까지 증가하였다. 수술 후 심한 영양불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령, 개복수술, 수술전 높은 PG-SGA 점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는 영양불량 고위험 환자에서는 수술 후 심한 영양불량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영양 공급 및 영양 상담 등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지능정보기술 활용 집단의 유형화와 개인정보 제공의도 결정 요인 : 디지털 역량의 잠재집단분석을 중심으로

        심홍진,박준혁 한국언론학회 2024 한국언론학보 Vol.6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능정보사회를 향유하는 개인을 디지털 역량 수준에 따라 잠재집단분석을 통해 유형화하고 유형화된 집단별로 개인의 자의적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방송통신위원회가 공개한 <2022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의 횡단면 자료(N=5,378)를 활용하였다(방송통신위원회·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3). 디지털 역량에 대한 문항 응답 값을 바탕으로 잠재집단분석을 수행하여 응답자들을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특성에 따라 각각 ‘디지털 적극 활용형’(35.5%), ‘디지털 생활 활용형’(48.8%), ‘디지털 소외형’(15.7%)으로 명명하였다. 나아가, 유형화된 집단별로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디지털 적극 활용형의 경우 개인정보 요청 서비스 이용 주저 경험, 특정화된 신뢰, 미디어 이용 경험 등이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었다. 이어서 디지털 생활 활용형의 경우 연령, 월평균 가구소득, 개인정보 요청 서비스 이용 주저 경험, 특정화된 신뢰 및 일반화된 신뢰, 미디어 이용 경험, 지능정보기술·서비스 이용 의도 등이, 디지털 소외형의 경우 최종 학력, 미디어 이용 경험, 지능정보기술·서비스 이용 의도 등이 주요 결정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이 연구는 지능정보사회를 영위하는 개인을 디지털 역량의 영역별 특성을 내재한 집단으로 유형화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유형화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집단 내 디지털 역량이 미흡한 영역을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집단 간 디지털 격차를 유발하는 영역을 특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디지털 활용 유형별로 개인정보 공개의 패턴과 특성을 식별하고 개인정보 공개의 이론적 모형을 구성할 수 있는 개인정보 공개 결정요인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정보 연구 분야에 새로운 시각과 방법을 제안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이 연구 결과는 지능정보기술 및 서비스 활용과 개인정보 공개를 결정하는 심리적 기저에 프라이버시 역설이 자리잡고 있을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한다. 연구결과는 디지털 역량 수준과 무관하게 디지털 적극 활용형, 디지털 생활 활용형, 디지털 소외형 집단은 지능정보기술 및 서비스 이용의도와 개인정보 제공의도 간에 정적 관계를 유의미하게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개인정보 관련 제도나 기업의 개인정보 가이드라인 수립 시, 지능정보사회 구성원의 디지털 역량 유형과 개인정보 제공 결정요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 간에 이상적 균형 파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정책적, 실무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individuals with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based on their levels of digital competence using latent class analysis an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willingness to voluntarily share private information when adopt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services. The research leveraged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2022 Panel Survey of Users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which was made available b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The latent class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user types: 'Digital Active' (35.5%), 'Digital Life' (48.8%), and 'Digital Marginalized' (15.7%). Subsequently, the study delved into the factors that determined the intention of each user type to provide private information. For 'Digital Active' users, the primary determinants of private information-sharing were hesitancy to use private information request services, interpersonal trust, and media usage experience. 'Digital Life' users' willingness to share private information wa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ag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hesitancy to use private information request services, interpersonal and social trust, media usage experience, and the intention to use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services. In the case of 'Digital Marginalized' users, their private information sharing tendencies were mainly determined by factors such as education level, media usage experience, and the intention to use information and intelligent technologies and services. These research findings carry significant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irstly, they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ategorizing individuals engaged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based on their digital competence across various domains. Such categorization not only enables the identification of areas where digital competence is lacking within specific groups but also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areas contributing to the digital divide between these groups from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Secondl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identification of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rivate information disclosure across different types of digital usage. Furthermore, it proposes determinants of private information disclosure that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oretical models in the field of private information research. Thirdly, the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existence of a privacy paradox at the psychological core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rvice utilization and private information disclosure. Regardless of their level of digital competence, the 'Digital Active,' 'Digital Life,' and 'Digital Marginalized' groups display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ir intention to use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services and their willingness to provide private inform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diverse digital competencies of members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private information provision when formulating regulations related to private information or company privacy guidelines. This consideration is critical for achieving a balance between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nd its effective utilization in both policy and practical contexts.

      • KCI등재

        소셜미디어의 정치참여 효과에 관한 연구 : 주관적 규범과 동류집단압력을 중심으로

        심홍진 한국언론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8 No.3

        The main goal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of social media users based on the roles of such social interaction factors as subjective norm and peer-group pressure. The paper proposes two research questions: (1) How actively do political expressions of social media users affect the political participation?, (2)How does social interaction factors adjust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express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500 residents in Seoul after the Seoul Mayoral By-Election in October, 2011 in order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us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esults present two major findings. First, users who actively express their political views within social media seem to be more actively involved with politics outside the social medial as well. Second,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peer-group pressure as a better moderator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an subjective norms in social media. 이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 네트워크가 형성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들의 역할을 토대로 개인의 정치참여 동인을 밝히고 그 메커니즘을 구조화시키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소셜미디어에서 이루어지는 정치적견해 표현은 정치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소셜미디어를 통한정치적 견해 표현과 정치참여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의 상호작용 효과는 어떠한가이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2011년 10월 26일 치러진 서울시장보궐선거직후 서울 지역 거주자 가운데 투표권이 있는 19세부터 56세에 해당하는 소셜미디어 이용자(트위터/페이스북)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소셜미디어에서 자신의 정치적견해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사람이 정치참여도 활발하게 수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 주관적 규범의 상호작용 효과의 경우, 정치참여에 대한 정치적 견해 표현의 주효과는 유의미하였으나 주관적 규범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동류집단압력은 정치적 견해 표현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을 의미 있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소셜미디어에서 정치적 견해를 표현하는 개인이 자신의 주위에 형성되고 있는 여론을 지각할수록 정치참여도 보다 활발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동류집단압력의 주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 KCI등재

        Perioperative Nutritional Status Changes in Gastrointestinal Cancer Patients

        심홍진,정재호,이강영,이호선,이재길,노성훈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3 Yonsei medical journal Vol.54 No.6

        Purpose: The presence of gastrointestinal (GI) cancer and its treatment might aggravate patient nutritional status. Malnutrition is one of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postoperative course. We evaluated changes in perioperative nutritional status and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severe malnutrition in the GI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Nutritional status was prospectively evaluated using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 perioperatively between May and September 2011. Results: A total of 435 patients were enrolled. Among them, 279 patients had been diagnosed with gastric cancer and 156 with colorectal cancer. Minimal invasive surgery was performed in 225 patients. PG-SGA score increased from 4.5 preoperatively to 10.6 postoperatively (p<0.001). Ten patients (2.3%) were severely malnourished preoperatively, increasing to 115 patients (26.3%) postoperatively. In gastric cancer patients, postoperative severe malnourishment increased significantly (p<0.006). In univariate analysis, old age (>60, p<0.001), male sex (p=0.020), preoperative weight loss (p=0.008), gastric cancer (p<0.001), and open surgery (p<0.001) were indicated as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severe malnutrition. In multivariate analysis, old age, preoperative weight loss, gastric cancer, and open surgery remained significant as risk factors of severe malnutrition. Conclusion:The prevalence of severe malnutrition among GI cancer patients in this study increased from 2.3% preoperatively to 26.3% after an operation. Old age, preoperative weight loss, gastric cancer, and open surgery were shown to be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severe malnutrition. In patients at high risk of postoperative severe malnutrition, adequate nutritional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Carcinosarcoma on Ascending Colon Found by Bowel Perforation: A Case Report

        심홍진,홍영기,김서전,최윤정,강중구 대한대장항문학회 2010 Annals of Coloproctolgy Vol.26 No.5

        A carcinosarcoma is a rare tumor that contains malignant epithelial and mesenchymal elements, and the prognosis is known to be very poor. It is usually detected in the head or neck, the respiratory tract, and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but it is rarely foun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especially in the colon. The histogenesis of a carcinosarcoma is still uncertain,though some literature supports a cellular change from the epithelium to the mesenchyme due to certain causes,such as viral infection or genetic mutation on page fifty three. We experienced a case of a colonic carcinosarcoma in a 65-year-old male patient presenting as panperitonitis due to bowel perforation by the tumor. A right hemicolectomy with lymph node dissection was performed. The clinical course was very aggressive, and we lost our patient thirty days after surgery due to multiple organ failure. Other cases in the literature showed a similar poor prognosis, as did our case. Treatment for a carcinosarcoma is radical surgery and adjuvant chemotherapy if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