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양광 모듈의 미스매치를 고려한 새로운 최대전력 추종제어 알고리즘 연구

        심재휘,최주엽,최익,이상철,이동하,Shim, Jae-Hwe,Choi, Ju-Yeop,Choy, Ick,Lee, Sang-Cheol,Lee, Dong-Ha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2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32 No.suppl3

        Th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MPPT) is important part pf PV generating system, because of nonlinear characteristic of PV array. Many MPPT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and proposed, but partially shaded in PV generating system, these algorithms can not track maximum power point. This paper explains the partially shaded conditions in the PV generating system and describes a novel new MPPT algorithm. To verify the proposed novel algorithm, PSIM simulation tool is used in this paper, and proper 3kW PV module modeling is made. As a result, the right maximum power point(11PP) of PV PCS can be tracked directly under shading effect for any mismatched condition in solar array.

      •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미스매치를 보상한 새로운 최대전력추종제어 알고리즘

        심재휘(Shim Jae-Hwe),양승대(Yang Seung-Dae),정승환(Jung Seung-Hwan),이국선(Lee Kook-Sun),최익(Choi Ick),최주엽(Choi Ju-Yeop),이상철(Lee Sang-Cheol),이동하(Lee Dong-Ha) 전력전자학회 2011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7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태양광 모듈은 일사량과 온도에 따라 출력특성이 변하고 비선형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최대전력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컨버터에 의한 최대 전력점 추종제어가 필요하다. 특히 발전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전기적 특성을 맞추기 위해 다수의 태양모듈을 직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하는데 있어서 그림자 혹은 일부 모듈이 정상작동하지 않아 미스매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스매치 손실을 극복하는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는 제어알고리즘을 설계하였고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종단분석: 성별 및 학업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심재휘 ( Shim Jae-hwee ),이기혜 ( Yi Kihye )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중1패널 3-6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학업 관련 특성과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간의 종단적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하였다. 먼저 최소제곱법(OLS) 추정을 이용한 중학교 3학년 때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학생 간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주관적 학업성취 수준이 높고 수업에 잘 적응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반면 학습시간이 많은 학생의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관적 학업성취 효과는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 변수들을 추가로 투입했을 때 통계적 유의미성을 상실하였으며, 부모, 교사, 친구와의 관계는 모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고정효과(fixed effect) 추정을 통해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주관적 학업성취와 수업적응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관계가 확인되었다. 한편 중학교 3학년 때 크게 나타났던 여학생과 남학생의 삶의 만족도 격차는 고등학교 2학년 시기에 좁혀졌다.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의 효과를 보면 교우관계, 부모자녀 관계는 남녀 모두에게 정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으나 교사학생 관계는 여학생에게서만 정적인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국교육의 풍토에 대해 논의하였다. Using the 3rd to the 6th wav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we examined the effects of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relations on the trajectories of th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OLS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than female students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As academic characteris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level of class adjustment improved life satisfaction but the amount of learning time spent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lost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including variables of social relations.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ha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e longitudinal analysis using the fixed effect estimation also showed a similar result of the associations among the variables to that in the OLS analysis. The life satisfaction gap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narrowed over time from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2nd grade of high school.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friend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female and male students, but th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was significant only for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ssues of Korean education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시어의 탈장소와 사물성 - 김종삼과 김춘수의 시를 중심으로

        심재휘(Shim, jaehui)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8 No.-

        이 글의 내용은 김종삼과 김춘수의 시를 중심으로 시어가 어떻게 사물성을 구축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두 시인은 60년대와 70년대에 소통이 불가능한 시를 써 보였다. 한국 시사가 다양하게 분기되는 지점에서 두 시인이 선보인 이러한 시도는 의미 있었고 이후의 시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체로 장소 연구는 장소에 투영된 시인의 지향을 살핀다. 현상학 연구에 가깝다. 그러나 문법 규범이 지켜지지 않는 김종삼과 김춘수의 시를 살필 때 이 방법을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언어의 장소성에 주목하기로 한다. 언어 행위가 이루어질 때 표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언어는 반드시 제 자리를 지켜야 한다. 이 글에서는 언어의 제 위치를 언어의 장소로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언어가 제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를 탈장소로 규정하고 다양한 탈장소의 양상을 살펴 그 의도적인 탈장소의 결과로 어떻게 시어의 사물성이 확보하는지 알아본다. 김종삼과 감춘수의 시에는 모두 의미 맥락의 파괴가 일어난다. 불완전한 언어행위로 인하여 문장이 해독이 안 될 뿐만 아니라 문맥이 형성되지 않는다, 김종삼의 경우, 불완전한 문장으로 인해 의미 맥락이 구축되지 않는 것이 대표적이다. 문장 성분의 일부가 없어서 그 구문이 무엇을 말하려는지 알 수 없다. 탈장소를 감행한 언어들은 다른 곳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아예 탈락된 것이다. 남아있는 문장 성분들, 즉 시어들은 불구의 언어가 될 수 있지만 교묘한 이미지의 운행으로 그들은 사물성을 획득한다. 시의 언어들은 ‘내용 없는 아름다움’에 다가간다. 김춘수의 경우는 김종삼의 경우와 다르다. 그는 문장 성분들, 혹은 문장 들, 나아가 의미단락들의 연계를 파괴한다. 약정된 위치로부터 벗어나 엉뚱한 위치에 배치한다. 언어들은 서로 맞물리지 못하여 통상적인 의미를 형성하지 못한다. 언어들은 서로 고립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언어의 탈장소로 감행되는 이 낯선 조합을 통해 언어들은 유일무이한 장소를 얻는다. 언어의 내재적 장소성이 발생한다. 김춘수의 시어가 사물성을 취득하는 방법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oetry builds materiality, focusing on the poems of Kim Jong-sam and Kim Chun-soo. The two poets wrote poems that could not be communicated in the 60s and 70s. These attempts by the two poets were meaningful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future current affairs. In general, the study of place looks at the intention of the poet projected on the place. It is close to phenomenological research. However, it is not easy to apply this method on the poems of Kim Jong-sam and Kim Chun-soo, So, I decided to pay attention to the place of language. The language must hold its pla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expression. In this study, I will refer to the position which the language must keep by the rule as the place of language. In addition, the case where language is out of its position is defined as a escaping of place. Based on this premise, it is examined how the materiality of the poetic language is secured as a result of the intentional escaping of place. In poems of the two, the semantic context is destroyed. In the case of Kim Jong-sam, not only cannot the sentence be deciphered due to incomplete verbal behavior, and the context is not formed. There is no part of the sentence component, so you don"t know what the phrase is trying to express. The remaining sentence elements, that is, poetic words, can be a crippled language, but they acquire materiality through the subtle movement of images. The languages of poetry approach ‘beauty without content’. The case of Kim Chun-soo is different from that of Kim Jong-sam. The making rule of sentence and even semantic paragraphs are destroyed. It is placed in the wrong position away from the agreed position. Languages do not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thus do not form the usual meaning. Languages are bound to be isolated from each other. However, through this unfamiliar combination that runs into the unique place of language. Kim Chun-soo’s poetic language is a way to acquire materiality.

      • KCI등재

        김종삼 시의 공간과 장소

        심재휘(Shim, Jae-hui)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아시아문화연구 Vol.30 No.-

        이 글은 김종삼의 시에 등장하는 공간과 장소에 주목한다. 그의 시를 이해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공간은 단순하게 시인의 내면이 투영된 주관의 지향성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공간이 장소와 구분되면서 공간 연구는 좀 더 세밀해지기 시작했다. 구체적이며 직접적인 경험의 의미가 반영된 공간을 장소라는 개념으로 부르게 된 것이다. 김종삼의 초기시의 경우, 그의 시에는 물리적 배경으로서 장소는 물론이거니와 공간조차도 잘 드러나지 않는다. 개연성이 농후한 현실 세계가 배제됨으로써 몽환적인 분위기가 만들어진다. 그가 추구했던 ‘내용 없는 아름다움’의 시세계에 접근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중기에서는 초기에 비해 공간감을 지닌 시가 늘어난다. 소외된 존재들을 연민 가득한 눈으로 바라본다거나 문제적인 사회 현상에 비판적인 안목이 늘어나는 것과 비례한다. 그러한 시들에서는 좀 더 현실감이 있는 공간의 구성이 우세해진다. 관념보다 현실 세계가 묘사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후기 시에서는 장소가 등장한다. 유년의 추억이 구상성을 띄는 것과 연관이 있다. 주변인에 대한 연민을 드러내거나 자신의 처지를 진술하는 시에서도 이전과는 다르게 장소가 등장한다. 이 시들에는 초기는 물론이거니와 중기에서도 거의 만날 수 없는 표현들이 등장한다. 안정된 구문, 이해하기 쉬운 진술, 그리고 장소의 등장은 김종삼의 후기 시가 보여주는 가장 큰 변화이다. This essay tries to look into Kim Jongsam’s poetry based on a special method of study named space imagination. I think this methodology has the effect of showing a marked characteristic of his poetry. The traditional concept of a space devide into two notions. those are a space and a place. Especially, a concept of a place connotes a meaning that is related with an experience. In the case of early days poetry, there are not that much space imagnation on his poetry. On the contrary, he tried not to reveal a space on the poem as well as a place intentionally. Those tries accomplished a unique way to get his own characteristic. In the middle of writing poetry, the sense of space is getting more than before time. He tried to show a certain opinion about a society on the poem. Because of that, a scene of real world that include a figurative space is represented. At the latter term, a place appeared on his poem frequently. I think this appearance is the biggest mutation all through the his long life of creative writing. He was beginning to remember his past time and showing the old place. It means that his poetry made a landing down to an everyday experience.

      • KCI등재

        공동체의 해체 경험과 이용악의 시

        심재휘(Shim, Jaehui)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2 No.3

        인류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공동체를 구성하고 운영한다. 그 중에서 혈연공동체는 고향이라는 물리적, 정신적 토대를 바탕으로 강한 연대를 이룬다. 일제 강점기는 혈연공동체가 해체되었던 고통스러운 경험의 시간이었다. 이용악은 시를 통해 당시의 고통을 현재적인 시점에서 형상화했다. 특히, 고향을 버리고 낯선 땅으로 떠나야 했던 유·이민의 삶을 주목했다. 1930년대는 일제 강점기 중에서 3기인 ‘병참화시기’에 해당환다. 만주사변과, 만주국 건국과 중일전쟁,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으로 확전되던 시기이다. 더불어, 조선 민중의 삶은 더욱 피폐해져갔다. 수차례의 농업공황과 악랄해지는 수탈정책으로 고향을 버리고 야반조두를 하거나 만주로 딸을 팔아넘기는 농민들이 생겼다. 이용악의 「강가」, 「낡은집」, 「전라도 가시내」 등은 그러한 현실을 서정적으로 잘 그려낸 시들이다. 이 글은 이용악의 시들 중에서 특히, 공동체가 어떻게 해체되어갔는지, 그리고 고향을 떠난 사람들이 타지에서 어떤 고통을 받았는지 주목한 시들을 살폈다. 더불어 이용악의 문학적 지향과 그 문학이 성취한 문학사적 의의를 다루었다. Human organizes and operates communities for various purposes. Especially, blood-related community forms strong solidarity based on their hometown by the physical and spiritual sense of unit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 time of painful experience when blood-related communities were disbanded. Through poetry, Lee Yong-ak embodied the pain of that time by a present point of view. In particular, he paid attention to the lives of migrants and immigrants, who had to leave their hometown and go to an unfamiliar land. The 1930s corresponded to the third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is is the so-called "chronicization period". It was a period of escalation with the Manchurian Incident, the founding of Manchukuo, the Sino-Japanese War, and World War II. At the same time, the lives of the people of Joseon became even more devastating. Due to several agricultural panics and vicious expropriation policies, some peasants abandoned their hometowns and sell their daughters to Manchuria. Lee Yong-ak"s "Riverside", "Old House", and "Girl from Jeolla-do" are poems that lyrically depict such a reality. This article write about Lee Yong-ak"s poems, in particular, focusing on how the community was dismantled and how the people who left their homeland suffered in other countries. In addition, This article dealt with the literary orientation of Yong-ak Lee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성취에 대한 혁신학교의 영향 : 부산시 다행복학교 사례

        심재휘(Shim, Jaehwee),김경근(Kim, Kyung-keu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1∼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산형 혁신학교인 다행복학교가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성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한편 다행복학교가 확대 지정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초창기 다행복학교와 나중에 지정된 다행복학교 사이의 특성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으로는 패널분석과 이중차분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초기 시점에서는 다행복학교 학생들이 일반학교 학생들에 비해 평균적 학업성취 수준이 다소 낮았지만 학년이 올라가면서 그 차이가 좁혀져 비슷한 수준에 이르는 것을 보여준다. 학생들의 학교만족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떨어졌는데, 다행복학교에서는 하락 추세가 일반학교보다는 완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공동체의식 등 정의적 성취에서는 다행복학교와 일반학교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최근에 다행복학교로 전환된 학교들은 과거 일반학교였을 때에는 다른 학교들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가 높은 편이었지만 다행복학교로 전환된 이후에는 다른 학교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학업성취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행복학교의 성과를 평가하고 혁신학교 정책의 개선방안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Drawing on first to fourth wave data from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 we explored the effects of Busan-type innovative schools on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achievement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early innovative schools and those designated later, using panel analysis and difference in differences(DID). Results exhibited that initially, the averag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innovative school students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general school students, but the difference narrowed and reached a similar level as the grade level went up.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declined as the grade level went up, but the trend of decline in innovative schools was milder than that of general schools. In affective achievements such as creativ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 sense of communit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general schools. On the other hand, those schools that were recently converted to innovative schools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other schools when they were formerly general schools, but after the transition to innovative schools, they attained a level of achievement tha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other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we assessed the performance of the Busan-type innovative schools and discussed policy alternatives for improving innovative schools.

      • KCI등재

        정지용과 윤동주 시의 장소 비교 -일본에서의 창작시를 중심으로-

        심재휘(Shim, Jae-Hui)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2

        유학생 시절에 정지용은 교토에서 윤동주는 도쿄에서 시를 썼다. 이 글은 지용과 동주의 유학 시절의 시에 나타나는 장소를 비교하였다. 특히, 제국의 근대도시이자 대도시가 식민지 유학생의 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고 두 시인의 위상을 다시 한 번 검토하였다. 시 쓰기의 양상은 시인마다 다르지만 동일한 장소 체험을 기준으로 두 시인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은 새로운 접근이라 생각했다. 우선, 문학관을 비교했다. 산문에 노정된 생각을 추출하여 ‘타자에 대한 감수성’을 살폈다. 지용의 경우, 타자에 대한 감수성은 강하지 않았다. 타자는 개인의 사유와 느낌을 형상화하는 통로의 역할을 했다. 특히, 그는 교양의 힘을 중시했고 그 결과로 자기중심적 사고가 강했다. 반면, 동주는 신앙인으로서의 윤리를 중시했다. 공동체나 타자에 대한 감수성이 강할 수밖에 없었고 신념과 실천의 불일치로 인해 갈등이 심했다. 이러한 문학관은 유학시절의 시에도 공히 적용되었다. 장소 체험의 시적 투사로서 우선 ‘도시’를 살폈다. 정지용의 「황마차」와 윤동주의「흐르는 거리」를 중심으로 교토와 도쿄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비교하였다. 또한, 시인 내면을 도해하는 장소로서 ‘방’ 을 분석하였다. 지용의「자류」와 동주의「쉽게 씌여진 시」를 중심으로 일본에서의 하숙방이 시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검토하였다. 지용의 낭만적 우수는 객수 혹은 객고의 형식을 취한다. 그러나 그는 이 ‘나그네’ 의식을 당대의 현실 문제로 확장하지 않고 서정시의 보편적 정서에 한정했다. 그리고 놀라운 표현으로 시화하는 데 애썼다. 동주의 도쿄 시는 도일 전의 시에 비해 형상력이 늘었다. 이전과 달리, 그는 장소 체험을 구체적으로 시에 명시할 정도로 강한 현실 인식을 보여주었다. 그동안의 시가 강한 표상성을 지닌 것에 비하면 중요한 변화라 할 수 있다. 유사한 유학체험을 공유하는 두 시인이었지만 장소를 취재하고 장소를 형상화하는 부분에서 큰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었던 소이를 살폈고 그 결과를 분석했다. 시인의 위상을 새로운 방법으로 정립해 본 글이다. While studying abroad, Jung Ji-yong wrote poetry in Kyoto and Yun Dong-ju wrote in Tokyo. This article compares the depiction of places in the poems of Ji-yong and Dong-ju. In particular, the status of the two poets is reviewed once again by examining how the modern city and metropolis of the empire was depicted in the poems of the colonial students. I believe it is a new approach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poets based on their experience of the same place. First, we compare the literary recognition they have received. The aspect of "sensitivity to others" is investigated by extracting opinions laid out in prose. In the case of Ji-yong, he emphasized the power of culture and had a strong egocentric way of thinking. On the other hand, Dong-ju emphasized ethics as a Christian. He had to have strong sensibility to the community and others, and the conflict between beliefs and responsibilities to practice was inconsistent. This opinion was also applied to the poetry. For place experience, I first looked at the "city".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how Kyoto and Tokyo were utilized, focusing on Ji-yong"s "Carriage " and Dong-ju"s "Flowing Street". I analyzed "Bang" as an inner diagram of the poet, and focused on Ji-yong"s "Pomegranate" and Dong-ju"s "Easily Written Poetry". Numerous poems by Ji-yong express romantic emotions and he tried to poetize the universal emotion of lyric poetry with surprising expressions, without extending the consciousness of the "traveler" to the real problems of the time. The poetic power of Dong-ju"s poetry is stronger in the poems he wrote after arriving in Japan. Unlike his previous works, his poems written in Japan revealed a strong sense of reality in his description of his place experience.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n important change from the poetry that had strong representation in the past. This means that the strength of beliefs has changed. The difference perspectives people have towards the world and towards literature is directly related to poetry writing. This article highlights that although two poets received similar education and had similar experiences of staying abroad, their portrayal of the places they lived in was quite different. Therefore, this article tries to establishes the status of the two poets in a new way.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초기 노동시장 성과 영향요인 분석: 대학 재학기간을 중심으로

        심재휘 ( Jae Hwee Shim ),김경근 ( Kyung Keun Kim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2011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1GOMS1)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임금, 정규직 취업 여부와 같은 대졸 청년층의 초기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졸 청년층의 임금은 개인수준에서 성별, 연령, 가계소득, 졸업평점, 전공계열, 학내 취업프로그램 참여, 어학연수, 취업교육훈련 참여, 인턴 경험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수준에서는 교육내용 만족도, 서울소재 대학 졸업, 졸업한 대학의 평판이 임금에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정규직 취업 가능성에는 개인수준에서 성별, 연령, 가계소득, 전공계열, 학내 취업프로그램 참여, 어학연수, 취업교육훈련 참여 등이 영향요인으로 작용했고, 대학수준에서는 졸업생의 교육내용 만족도와 대학 평판의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인 대학 재학기간은 임금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정규직 취업 가능 성과는 부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뚜렷한 명분이나 비전이 없는 상태에서 재학기간을 연장하는 것은 상당히 불합리한 선택임이 판명되었다. 다른 변수들을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도 가계소득이 임금 및 정규직 취업 가능성에 강력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은 교육을 통한 부의 대물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하기 때문에 불평등을 완화하기위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Drawing on first wave data from 2011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2011GOMS1),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early-career labor market outcomes such as monthly wage of the first job after graduation and likelihood of being employed as a regular worker for young four-year college graduates using multi-level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at the individual level, gender, age, parental income, GPA(grade point average), major, participation in on-campus employment programs, language training abroad, participation in off-campus job training, and internship are closely related to monthly wage of early-career young college graduates. At the collegiate level, college satisfaction, having graduated from a college located in Seoul, and college reputation exert a significant impact on monthly wage of early-career BA recipients. In a similar vein, likelihood of being employed as a regular worker for early-career young college graduate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ender, age, parental income, major, participation in on-campus employment programs, language training abroad, participation in off-campus job training at the individual level, and by college satisfaction and college reputation at the collegiate level. Meanwhile, it turns out that time to degree has little to do with monthly wage of early-career BA recipients, whereas it is closely related to likelihood of making entry into labor market as a regular worker. It can then be said that increasing time to degree with little justifiable cause is rather an irrational behavior. The fact that parental income still has a significant effect,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both on monthly wage of BA recipients and on their likelihood of being employed as a regular worker exhibits that inheritance of wealth through schooling is highly likely to take place in Korea, which in turn calls for appropriate compensatory measures to ease ine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